맨위로가기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세프 도브로프스키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활동한 체코의 언어학자, 역사학자, 문학 연구가이다. 그는 체코어와 슬라브어 연구에 기여하여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로 불리며, 체코 민족 부흥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로는 『체코어와 체코 문학의 역사』, 『상세 체코어 문법』,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언어학자 - 요세프 융만
    체코의 언어학자이자 작가인 요세프 융만은 체코어 부흥 운동에 기여하며 체코어 문어 부활을 옹호하고, 《체코어-독일어 사전》을 편찬하여 현대 체코어 어휘의 기초를 다졌으며, 프라하 카를 대학교의 철학부 학장과 총장을 역임했다.
요세프 도브로프스키
기본 정보
요제프 도브로프스키의 초상화
요제프 도브로프스키, 프란티셰크 트카들리크 그림
이름요제프 도브로프스키
출생 이름(출생 이름 정보 없음)
출생일1753년 8월 17일
출생지발라샤자르마트, 헝가리 왕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사망일1829년 1월 6일
사망지브르노, 오스트리아 제국
학문 분야
주요 관심사문헌학, 역사
영향요한 크리스토프 아델룽
영향을 받은 인물(영향을 받은 인물 정보 없음)
기타
체코어 이름Josef Dobrovský

2. 생애



요제프 도브로프스키는 1753년 헝가리 왕국 노그라드주 발라샤지야르마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야쿠브 도우브라프스키(솔니체, 1701년 – 호르쇼프스키 티인, 1764년)[2]군인이었고, 어머니는 마달레나 도브로프스카(차슬라프, 1733년 – 1797년)였다.[3]

도브로프스키는 호르쇼프스키 티인의 독일어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고, 네메츠키 브로드 김나지움에서 체코어를 배웠다. 클라토비에서 예수회 신부들에게 배우기도 했으며, 1769년 프라하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772년 브르노에서 예수회에 들어가 인도 선교를 준비했으나, 1773년 체코 땅에서 예수회가 해산되자 프라하로 돌아와 신학을 공부했다.[4]

노스티츠 백작의 가정교사를 하다가 올로모우츠의 흐라디스코 일반 신학교에서 부교장, 교장직을 얻었다. 그러나 1790년 합스부르크 제국 전역의 신학교 폐지로 실직하여 백작의 집에 머물렀다.[4] 이 시기에 슬라브 연구, 역사학, 언어학 분야의 중요 저서들을 썼다.

1792년 보헤미아 과학 아카데미 의뢰로 스톡홀름, 투르쿠,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에서 30년 전쟁으로 흩어진 사본을 찾았고, 귀국 후 노스티츠 백작과 스위스, 이탈리아를 여행했다.[4] 1780년대 프라하 학계에 참여했고, 1784년 왕립 체코 과학 학회, 1818년 국립 박물관 설립에 기여했다.

1795년 정신이 악화되어 1801년 정신병원에 수감되었으나 1803년 회복했다. 주로 프라하나 노스티츠 백작, 체르닌 백작의 시골 저택에서 지내다 1828년 브르노에서 사망했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요세프 도브로프스키는 1753년 헝가리 왕국 노그라드주 발라샤지야르마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야쿠브 도우브라프스키(솔니체, 1701년 – 호르쇼프스키 티인, 1764년)[2]는 당시 군인으로 복무하고 있었으며, 어머니는 마달레나 도브로프스카(차슬라프, 1733년 – 1797년)였다.[3]

도브로프스키는 호르쇼프스키 티인의 독일어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네메츠키 브로드 김나지움에서 체코어를 처음 접하고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으며, 클라토비에서 예수회 신부들 밑에서 공부하기도 했다. 1769년에는 프라하 대학교에서 철학 공부를 시작했다.[4]

1772년, 도브로프스키는 브르노에서 예수회에 들어가 인도에서의 선교를 준비했다. 그러나 1773년 체코 땅에서 예수회 전체가 해산되면서 프라하로 돌아와 신학을 공부하게 되었다.[4]

2. 2. 학문 활동과 체코 민족 부흥 운동

호르쇼프스키 티인의 독일어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고, 네메츠키 브로드 김나지움에서 체코어를 처음 접하고 곧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이후 클라토비에서 예수회 신부들 밑에서 한동안 수학했다. 1769년에는 프라하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1772년에는 브르노에서 예수회에 들어가 인도에서의 기독교 선교를 준비했다. 그러나 1773년 체코 땅에서 예수회 전체가 해산되었고, 도브로프스키는 프라하로 돌아와 신학을 공부했다.[4]

노스티츠 백작의 가정교사직을 맡은 후, 올로모우츠(현재 일부)의 흐라디스코 일반 신학교에서 먼저 부교장, 그리고 교장직을 얻었다. 그러나 1790년 합스부르크 제국 전역의 신학교 폐지로 직위를 잃고 백작의 집에 머물렀다.[4] 이때 그는 슬라브 연구, 역사학, 언어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저서들을 썼다.

1792년에는 보헤미아 과학 아카데미의 의뢰로 스톡홀름, 투르쿠,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30년 전쟁으로 흩어진 사본들을 찾았고, 귀국 후에는 노스티츠 백작과 함께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했다.[4]

1780년대 도브로프스키는 프라하의 학계 생활에 참여했다. 1784년에는 왕립 체코 과학 학회 설립에 기여했고, 1818년에는 나중에 체코슬로바키아가 되고 결국 체코 공화국이 된 곳의 국립 박물관 설립에도 참여했다.

그러나 1795년 그의 정신이 악화되기 시작하여 1801년 정신병원에 수감되었지만, 1803년에는 완전히 회복했다. 그의 남은 생애는 주로 프라하 또는 그의 친구인 노스티츠 백작과 체르닌 백작의 시골 저택에서 보냈지만, 1828년 현지 도서관에서 연구하기 위해 갔던 브르노에서 사망했다.[4]

도브로프스키는 전통적인 성서 텍스트 연구자로 출발했다. 1777년, 프라하 유대인 사회를 연구 주제로 한 최초의 개설서 『헤브라이어 사본의 프라하 단편』(Pragische Fragmente hebräischer Handschriftende)을 독일어로 출판했다. 1778년에 라틴어로 출판한 저서 『마르코 복음서의 프라하 단편』(Fragmentum Pragense Evangelii S. Marcila)은 발표되자마자 전문가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는 저서에서 복음서 저자 마르코의 직필 문서 단편으로 전해지는 성유물에 대해, 불확실하게 추정된 성립 시대이며, 기존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후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논증했다.

1779년부터 체코어와 체코 문학 연구를 시작하여 『1779년 체코 문학』(Böhmische Literatur auf das Jahr 1779de)과 『1780년 체코 문학과 모라비아 문학』(Böhmische und mährische Literatur auf das Jahr 1780de)과 같은 학술지를 발행했고, 그는 학술지에서 이 분야 당시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평했다. 1792년에 『체코어와 체코 문학의 역사』(Geschichte der böhmischen Sprache und Literaturde)(1818년에 개제된 『구체코어와 구체코 문학의 역사』(Geschichte der älteren böhmischen Sprache und Literaturde)는 증보판)를 출판했고, 1809년에 출판한 『상세 체코어 문법』(Ausführliche Lehrgebäude der böhmischen Sprachede)은 체코어 최초의 근대 문법서(1819년 제2판)이다. 그 외에도 『독일어-체코어 사전』(Deutsch-böhmisches Wörterbuchde) 2권(1802년, 1821년)을 각각 출판했다.

도브로프스키는 저서에서 16세기 후반을 체코어의 "황금기"로 간주하면서 당시 체코어가 가진 기본 개념에 대해 역설했다. 그는 그 이후 외국어에서 차용어를 흡수함으로써 문어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에 대해 거부했다. 그는 제자인 바츨라프 한카(Václav Hanka)와 요세프 융만(Josef Jungmann)과 달리, 정치적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보헤미아에서 체코어가 공용어로 채택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일반에 널리 알리지 않았다.

그는 자신은 젊은 시절 보헤미아에서 지배적인 언어였던 독일어와 학술어인 라틴어로 각각 저술했고, 사망 직전에 몇몇 작품만 체코어로 저술했다. 그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가 체코어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오해를 했다.

도브로프스키는 슬라브어 연구에도 참여하여 『슬라빈』(Slawinde, 1806년)과 『슬로반카』(Slovankade, 1814년–1815년)와 같은 학술지를 발간했다. 1822년에 출판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Institutiones linguae slavicae dialecti veterisla)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해 체계적으로 해석한 근대 최초의 문법서이며, 그로 인해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2. 3. 슬라브학 연구와 말년

1790년 합스부르크 제국 전역의 신학교가 폐지되면서 도브로프스키는 교장직을 잃고 백작의 집에 머물렀다.[4] 이 시기에 그는 슬라브 연구, 역사학, 언어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저서들을 썼다.

1792년에는 보헤미아 과학 아카데미의 의뢰로 30년 전쟁으로 흩어진 사본을 찾기 위해 스톡홀름, 투르쿠,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를 방문했고, 귀국 후에는 노스티츠 백작과 함께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했다.[4]

1780년대에 도브로프스키는 프라하의 학계 생활에 참여했다. 1784년 왕립 체코 과학 학회 설립에 기여했고, 1818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국립 박물관 설립에도 참여했다.

1795년 그의 정신이 악화되어 1801년 정신병원에 수감되었지만, 1803년에는 완전히 회복했다. 그의 남은 생애는 주로 프라하, 또는 그의 친구인 노스티츠 백작과 체르닌 백작의 시골 저택에서 보냈지만, 1828년 현지 도서관에서 연구하기 위해 갔던 브르노에서 사망했다.[4]

도브로프스키는 슬라브어 연구에도 참여하여 『슬라빈』(„Slawin“, 1806년)과 『슬로반카』(„Slovanka“, 1814년–1815년)와 같은 학술지를 발간했다. 1822년에 출판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Institutiones linguae slavicae dialecti veteris“)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해 체계적으로 해석한 근대 최초의 문법서이며, 그로 인해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3. 주요 업적

요제프 도브로프스키는 성서 텍스트, 체코어와 문학, 슬라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분야주요 업적
성서 텍스트 연구* 『프라하 사본 마르코 복음서 단편』 (1778): 마르코의 직필 문서 단편으로 알려진 성유물이 실제로는 후대에 만들어졌음을 밝힘.[4]
체코어와 문학 연구* 『보헤미아어와 고대 문학사』 (1792)
슬라브학 연구* 『슬라브어의 형성력』 (1799)
기타* 『보헤미아 사료집』 (전2권, 1783)



2003년 8월, 소행성 도브로프스키 (40440)가 그의 업적을 기려 명명되었다.[6]

프란티셰크 팔라츠키의 『도브로프스키의 생애와 학문적 업적』(1833)을 참조할 수 있다.

3. 1. 체코어와 문학 연구

도브로프스키는 전통적인 성서 텍스트 연구로 학문 활동을 시작했다. 1777년에는 프라하 유대인 사회를 연구한 최초의 개설서인 『헤브라이어 사본의 프라하 단편』을 독일어로 출판했다. 1778년에는 라틴어로 『마르코 복음서의 프라하 단편』을 출판하여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이 책에서 마르코의 직필 문서 단편으로 알려진 성유물이 실제로는 기존에 추정된 것보다 훨씬 후대에 만들어졌음을 밝혔다.[4]

1779년부터 체코어와 체코 문학 연구를 시작하여, 『1779년 체코 문학』, 『1780년 체코 문학과 모라비아 문학』과 같은 학술지를 발행하며 당시 연구에 대해 비판적인 논평을 했다. 1792년에는 『체코어와 체코 문학의 역사』(1818년에 『구체코어와 구체코 문학의 역사』로 개제)를 출판했고, 1809년에는 체코어 최초의 근대 문법서인 『상세 체코어 문법』(1819년 제2판)을 출판했다. 또한, 레슈크(Leschk), 푸흐마이어(Puchmayer), 한카(Hanka)와 공동으로 『독일어-체코어 사전』 2권(1802년, 1821년)을 출판했다.

도브로프스키는 저서에서 16세기 후반을 체코어의 "황금기"로 보았고, 당시 체코어가 가진 기본 개념을 강조했다. 그는 이후 외국어 차용어를 흡수하여 문어가 크게 변화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는 바츨라프 한카(Václav Hanka), 요세프 융만(Josef Jungmann)과 달리, 체코어가 보헤미아에서 공용어로 채택되는 것은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중에게 알리지 않았다.

그는 젊은 시절 보헤미아에서 주로 사용되던 독일어와 학술어인 라틴어로 저술했고, 사망 직전에 몇몇 작품만 체코어로 저술했다. 이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가 체코어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했다고 오해하기도 했다.

도브로프스키의 주요 체코어와 문학 연구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비고
1778프라하 사본 마르코 복음서 단편통칭 자필 사본
1779발비니의 보헤미아 학술 연구 수정
17791779년 보헤미아 문학
1780–1787보헤미아 및 모라비아 문학 정기 간행물
1782보헤미아에서의 인쇄술 도입과 전파에 관하여
1782보헤미아어 성경 번역의 연대에 관하여
1782체코, 체코인이라는 명칭의 기원에 관한 논문
1783고대 히브리어 문자에 관한 논문
1783–1829보헤미아 역사 서술가들전3권
1784슬라브족이 그들의 이름을 어떻게 얻게 되었는지에 대한 역사 비평적 연구
1786고대 문서를 활용하는 방법
1786–1787보헤미아와 모라비아 문학 잡지
1788성 보니파티우스 서한 19편의 한 구절에 대한 연구: 슬라브족과 그들의 풍습에 관하여
1790슬라브 역사와 지리학에 대한 최초의 자료에 관하여
1792보헤미아어 언어와 문학사
1793로키찬 수도원 사본을 바탕으로 편집 및 주석을 곁들인 프라하 3대 대주교 요한 폰 옌슈타인의 전기(요한 폰 옌슈타인의 전기)
17961792년 보헤미아 왕립 과학 학회의 후원으로 스웨덴과 러시아를 여행한 결과에 대한 문학적 보고
1798가장 오래된 사본, 특히 드레스덴 사본을 바탕으로 보헤미아어 성경 번역의 최초 본문에 관하여
1802–1821독일어-보헤미아어 사전레슈크(Leschk), 푸흐마이어(Puchmayer), 한카(Hanka)와 공동 편찬
1803–1807후대의 허구로부터 보헤미아 초기 역사를 정화하기 위한 비판적 시도
1804체코 속담집
1809독일인을 위한 보헤미아어 학습을 위한, 보헤미아인을 위한 완벽한 이해를 위한 보헤미아어의 상세한 교습서


3. 2. 슬라브학 연구

도브로프스키는 슬라브어 연구에 참여하여 『슬라빈』(„Slawin“, 1806년)과 『슬로반카』(„Slovanka“, 1814년–1815년)와 같은 학술지를 발간했다.[4] 1822년에 출판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Institutiones linguae slavicae dialecti veteris“)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 대해 체계적으로 해석한 근대 최초의 문법서이며, 그로 인해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라는 칭호를 받았다.[4]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은 슬라브학 관련 연구 업적을 남겼다.

출판 연도제목비고
1784슬라브족이 그들의 이름을 어떻게 얻게 되었는지에 대한 역사 비평적 연구
1784슬라브족 전반, 특히 보헤미아인의 장례 풍습에 관하여. 1784년 호림에서 발견된 이전 이교도 무덤에서 출토된 도자기 유물을 통해 연구보헤미아 왕립 과학 학회 논문집
1788성 보니파티우스 서한 19편의 한 구절에 대한 연구: 슬라브족과 그들의 풍습에 관하여
1790슬라브 역사와 지리학에 대한 최초의 자료에 관하여
1807글라골 문자. 글라골 문자 문학에 관하여. 부크비차의 연대, 그 형성의 모델, 로마-슬라브 예배의 기원 (글라골 문자, 슬라브어족의 가장 오래된 문자에 대한 설명)
1808슬라빈. 모든 방언에 따른 슬라브 문학, 언어학 및 고고학에 대한 기여
1813슬라브어족의 일반 어원학 초안
1814–1815슬로반카. 고대와 현대 슬라브 문학, 모든 방언에 따른 언어학, 역사, 고고학에 대한 이해를 위해
1822고대 슬라브어 방언 등에 관한 언어학 강의
1826키릴메토디우스에 대한 모라비아 전설. 사본을 바탕으로 편집, 다른 전설과 비교 및 해설


3. 3. 기타

도브로프스키는 성서 텍스트 연구로 시작하여, 1778년 『마르코 복음서의 프라하 단편』을 출판하여 마르코의 직필 문서 단편으로 전해지는 성유물에 대해, 기존의 추정보다 훨씬 후대에 만들어졌음을 논증했다.[4]

1779년부터 체코어와 체코 문학 연구를 시작, 학술지를 발행했고, 1792년 『체코어와 체코 문학의 역사』를 출판했다. 1809년 『상세 체코어 문법』은 체코어 최초의 근대 문법서이다. 『독일어-체코어 사전』 2권도 출판했다.

슬라브어 연구에도 참여, 학술지를 발간했다. 1822년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기초』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체계적으로 해석한 최초의 근대 문법서로, 체코 슬라브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2003년 8월, 소행성 도브로프스키 (40440)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6]

팔라츠키의 『도브로프스키의 생애와 학문적 업적』(1833)을 참조하라.

4. 유산과 영향

도브로프스키는 체코슬로바키아 지식인 사회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남아 있다. 밀란 마호베츠는 1964년 자신의 저서에서 도브로프스키를 철학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4]

그의 명성은 주로 슬라브어 언어학에 대한 업적에 기반하지만, 그의 식물학 연구 또한 과학사에서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4]

1948년부터 1968년까지 체코 시인 블라디미르 홀란은 캄파 섬에 있는 소위 "도브로프스키 하우스"에 살면서, "푸른 수도사"(도브로프스키의 별명)가 때때로 자신을 방문한다고 말하곤 했다.

참조

[1] 서적 Origins of the Czech National Renascenc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 웹사이트 Jakub Dobrovský https://www.geni.com[...] 2019-10-21
[3] 웹사이트 Magdalena Dobrovský https://www.geni.com[...] 2019-10-21
[4] 백과사전 Dobrowsky, Joseph
[5] 서적 Origins of the Czech National Renascenc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6] 간행물 Minor Planet Circ. 49283 https://www.minorp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