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체코 공화국에서 약 1,000만 명이 사용하며, 슬로바키아,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42개의 글자로 구성된 음소적 표기법에 가까운 언어이며, 단어의 첫 음절에 강세가 오는 특징을 갖는다. 문법적으로는 명사의 격, 성, 수, 동사의 시제, 상, 법, 인칭 등에 따라 어미 변화가 일어나는 굴절어이며,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기본으로 하지만, 어순이 유연하다.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높으며, 어휘는 슬라브어, 발트어,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유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어 - Strč prst skrz krk
- 체코어 - 체코어 알파벳
체코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15개의 발음 구별 기호가 붙은 문자를 포함하며, 하첵과 아쿠트 등의 기호가 사용되고 'Ch'는 독립된 문자로 취급되며, 'Ř(ř)' 발음이 특징적이다. - 체코의 언어 - 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는 폴란드 남서부와 체코 북동부의 상실레시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폴란드어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으며 약 46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체코의 언어 - 크난어
크난어는 "크나안의 땅"에서 유래한 용어로, 체코 또는 슬라브 유럽에 거주했던 유대인을 지칭하며, 9세기에서 13세기에 사용되었으나 아슈케나지 문화와 이디시어의 부상으로 소멸되었다. - 체코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체코의 상징 - 체코의 국기
체코의 국기는 흰색, 빨간색, 파란색의 삼색기로, 보헤미아의 전통 색상에서 유래되었으며, 체코슬로바키아가 슬로바키아와 통합된 것을 상징하는 파란색 삼각형을 포함하고 1993년부터 현재까지 사용한다.
체코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체코어 |
고유 이름 | čeština, 체스키 야지크 (český jazyk) |
사용 국가 | 체코, 오스트리아, 독일, 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세르비아 |
지역 | 중앙유럽 |
사용자 수 | 1200만 명 |
순위 | 73위 |
문자 | 라틴 문자 (체코어 알파벳)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체코슬로바키아어 |
공용 국가 | 체코, 유럽 연합 |
표준어 규정 기관 | 체코어 연구원 |
ISO 639-1 | cs |
ISO 639-2b | cze |
ISO 639-2t | ces |
ISO 639-3 | ces |
SIL | CES |
IETF | cs |
링구아 | 53-AAA-da |
발음 및 표기 | |
로마자 표기 | CHEK |
엔도님 (고유어) | 체슈티나 (čeština) |
라틴어 표기 | 링구아 보헤미카 (lingua Bohemica)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
하위 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군 |
방언 | 보헤미아 방언 중앙 모라비아 방언 동부 모라비아 방언 라크 방언 |
사용 인구 | |
모국어 화자 | 961만 2710명 (2012년) |
제2 언어 화자 | 270만 8500명 (2012년) |
총 화자 | 1232만 1210명 (2012년) |
사용 국가 및 소수 언어 지역 | |
공용어 국가 | 체코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오스트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
언어 관련 기관 | |
언어 표준 관리 기관 | 체코어 연구원 (체코 과학 아카데미 소속) |
참고 자료 |
2. 문자
체코어는 유럽 언어 중 가장 음소적 표기법에 가까운 언어 중 하나이다. 알파벳은 42개의 글자로 구성되며, 대부분은 개별 음소에 대응하고, 'ch' 하나의 이중자음(digraph)만을 포함한다.[91] 'q', 'w', 'x'는 외래어에만 등장한다.[92] 하체크(ˇ)는 특정 문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š', 'ž', 'č' 그리고 'ň', 'ě', 'ř', 'ť', 'ď'(마지막 다섯 개는 체코어 이외에서는 드물다). 마지막 두 글자는 높이 때문에 때때로 위에 쉼표(ʼ, 축약된 하체크)를 붙여 쓰기도 한다.[93] 체코어 표기법은 다른 발트-슬라브어의 표기법에 영향을 미쳤고, 일부 문자는 키릴 문자의 음역에 채택되었다.[94]
체코어 표기법은 모음의 길이를 반영한다. 긴 모음은 급상승 악센트(acute accent)로 표시하거나, 'ů'의 경우에는 고리(ring)로 표시한다. 긴 'u'는 일반적으로 단어나 형태소의 앞에서는 'ú'(úroda, neúrodný)로, 다른 곳에서는 'ů'[95]로 쓰지만, 외래어(skútr)나 의성어(bú)는 예외이다.[96] 긴 모음과 'ě'는 알파벳 순서에서 별도의 문자로 간주되지 않는다.[97] 'ó'는 외래어와 의성어에만 존재한다.[98]
체코어의 인쇄술적 특징은 음성학과 관련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영어를 포함한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유럽 언어와 유사하다. 고유 명사, 경칭, 인용문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되며, 구두점은 다른 라틴계 유럽 언어와 유사하다. 서수(1st)는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점을 사용한다(1.). 체코어는 소수점 대신 소수 콤마를 사용한다. 긴 숫자를 쓸 때는,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포함하여 세 자릿수마다 공백을 사용하여 손으로 쓴 글에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1,234,567.89101과 같은 숫자는 1234567,89101 또는 1 234 567,891 01로 쓸 수 있다.[99] 고유 명사 구(개인 및 지명 제외)에서는 첫 번째 단어와 구 내의 고유 명사만 대문자로 표기한다(Pražský hrad, 프라하 성).[100][101]
3. 발음
모든 단어는 접미사(작고, 한 음절이며, 강세가 없는 음절)를 제외하고 첫 번째 음절에 주 강세를 가진다. 세 음절 이상의 모든 단어에서는 홀수 번째 음절에 부차적인 강세가 주어진다. 강세는 모음의 길이와 관련이 없다. 긴 모음과 짧은 모음 모두 강세를 받거나 받지 않을 수 있다.[42] 모음은 강세를 받지 않을 때에도 음조가 약화되지 않는다(예: 슈와 음으로).[43] 명사 앞에 한 음절 전치사가 오면 강세는 보통 전치사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do''' Prahycs "프라하로"와 같다.[44]
체코어 모음은 단모음 와 그에 대응하는 장모음 의 총 10개가 있다. 또한 이중모음 3개가 있다. 이 중 는 autocs「차」, eurocs「유로」처럼 어중에만 나타난다.[160]
체코어 정서법에서 모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ěcs는 앞에 놓인 자음을 구개음화하는 역할이 있으며, 예를 들어 něcocs는 /ɲɛt͡so//n}}이 구개음화되어 (예: /bjɛs//běs}} {{IPAcs).[161]
체코어 자음은 경음, 중성음, 연음으로 분류된다.
과 같은 자음은 음절핵으로서 하나의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체코어의 속담인 ''Strč prst skrz krk''「손가락을 목구멍에 쑤셔넣어라」는 자음만으로 문장이 구성되어 유명하다.[162]
'''자음'''
'''모음'''
체코어의 악센트는 대체로 습득이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아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규칙성이 있고, 유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체코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음절에 첫 번째 강세가 놓인다. 3음절 이상의 단어에서는 각 홀수 번째 음절에 두 번째 강세가 걸린다. 러시아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는 달리, 악센트의 유무와 모음의 장단은 관계가 없다. 장모음에 악센트가 놓이지 않는 경우도 있고, 단모음에 악센트가 놓이는 경우도 있다.[163] 악센트가 놓여 있지 않은 모음이 약모음 등으로 약화되는 일은 없다.[164] 명사에 단음절 전치사가 앞서는 경우, 악센트는 일반적으로 전치사로 이동한다(예: ''do'' Prahy 「프라하로」).[165]
3. 1. 자음
국제 음성 기호의 자음표를 사용하여 체코어의 자음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33]colspan=2| | 순음 | 치음 | 치후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ipa mcs | nipa ncs | ɲipa 무성음/ň}} | ||||
파열음 | |||||||
파찰음 | |||||||
) | |||||||
마찰음 | |||||||
탄음 | |||||||
{{smallcs | r̝ipa řcs | ||||||
유음 | lipa lcs | jipa jcs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체코어의 독특한 발음인 [ɼ, r̝]ipa와 파찰음 [t͡s]ipa, [t͡ʃ]ipa가 있다.[33]
체코어 자음은 "경음", "중성", "연음"으로 분류된다.[34]
- 경음: /d/, /ɡ/, /ɦ/, /k/, /n/, /r/, /t/, /x/ipa
- 중성음: /b/, /f/, /l/, /m/, /p/, /s/, /v/, /z/ipa
- 연음: /c/, /ɟ/, /j/, /ɲ/, /r̝/, /ʃ/, /t͡s/, /t͡ʃ/, /ʒ/ipa
경음은 'i' 또는 'í' 다음에 올 수 없고, 연음은 'y' 또는 'ý' 다음에 올 수 없다. "킬로그램"과 같은 외래어는 예외이다.[34] 중성 자음은 두 문자를 모두 취할 수 있다. 경음은 "강음", 연음은 "약음"으로도 불린다.[35] 이러한 구분은 명사의 격변화 패턴과 관련이 있다.[36]
단어 끝 멈춤음의 경우 유성음 자음의 무성 대응음은 무성음으로 발음되며, 자음군에서는 유성 동화가 발생하여 다음 자음과 유성이 일치한다. /ɦ/ipa의 무성 대응음은 /x/ipa이다.[37]
'ř' (대문자 'Ř')로 표기되는 음소는 다른 언어에서는 매우 드물다.[38] 카슈브어의 일부 방언, 과거 폴란드어에서도 나타났지만, 체코어에만 고유한 것으로 여겨진다.[38] 치조 고상 비유성 전동음(IPA: [r̝]ipa)으로, 체코어 'r'과 'ž' 사이의 소리를 나타낸다(예: ).[39] ''드보르작''에 나타난다. 무성 환경에서 /r̝/ipa는 무성 동소변이체 [r̝̊]ipa로 구현되는데, 체코어 'r'과 'š' 사이의 소리이다.[40]
/r/, /l/, /m/ipa 자음은 음절 자음이 될 수 있으며, 모음 대신 음절 핵 역할을 한다. ''Strč prst skrz krk'' ("목구멍으로 손가락을 쑤셔 넣어라")는 음절 자음을 사용하지만 모음을 사용하지 않는 체코어 혀 꼬임 말이다.[41]
3. 2. 모음
표준 체코어는 10개의 기본 모음 음소와 3개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다. 모음은 와 그에 해당하는 장모음 이다.[31] 이중모음은 이며, 는 autocs "자동차"와 eurocs "유로"와 같은 외래어에서만 발견된다.[31][160]체코어의 모음사각도 상에서 모음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체코어 정자법에서 모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31][160]
- 단모음: a, e/ě, i/y, o, ucs
- 장모음: á, é, í/ý, ó, ú/ůcs
- 이중모음: ě/ou, au, eu}}
문자 를 나타낸다 (예: /bjɛs//běs}} 는 /mɲɛ/로 발음되며, /mɲɛkiː//měkký}} (과 같은 자음은 음절핵으로서 하나의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체코어의 속담인 ''Strč prst skrz krk''「손가락을 목구멍에 쑤셔넣어라」는 자음만으로 문장이 구성되어 유명하다.[162]
4. 사용 국가
체코어는 체코 공화국에서 약 1,000만 명이 사용하며, 국가 공용어이다.[15][24][146][155] 2012년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체코 시민의 98%가 체코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데, 이는 유럽 연합 내에서 그리스와 헝가리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25][156] 체코는 2004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체코어는 EU의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156]
슬로바키아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체코어가 사용되며, 특히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슬로바키아인들이 주로 사용한다.[158] 슬로바키아에서 체코어는 공인된 소수 언어로, 체코어만 사용하는 시민들은 자신의 언어로 정부와 소통할 수 있다.[27][158] 2012년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국어는 체코어였다.[25][156]
경제학자 조나단 반 파리스(Jonathan van Parys)가 2012년 유럽 언어의 날을 위해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체코어 사용률이 높은 국가는 체코(98.77%), 슬로바키아(24.86%), 포르투갈(1.93%), 폴란드(0.98%), 독일(0.47%) 순이었다.[26][157]
체코계 이민자들은 주로 1848년부터 1914년까지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텍사스주, 네브래스카주, 위스콘신주 등에 대규모 공동체를 형성했다.[28] 프라하와 같은 체코어 지명이 텍사스 주에 남아있다.
미국 학교에서 체코어는 소수 언어로 분류되어 체코 문화유산 센터에서 가르치고 있다.[28] 200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체코어는 네브래스카주의 밸리, 버틀러, 손더스 군과 캔자스주의 리퍼블릭 군에서 영어를 제외하고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였다.[29] 2009년 기준으로, 7만 500명의 미국인이 체코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30]
이외에도 캐나다, 프랑스, 영국 등에도 체코 디아스포라가 체코어를 일부 사용한다.
5. 방언
체코어에는 여러 방언들이 존재하며 대부분 서로 이해 가능하다. 모든 체코인들이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이유는 누구나 표준 체코어(spisovná češtinacs) 또는 보통 체코어(obecná češtinacs)를 알기 때문이다. 표준 체코어와 보통 체코어를 섞어서 말하거나, 표준 체코어에 방언 또는 속어를 섞어 말하기도 한다.[106]
체코어 방언은 크게 보헤미아 방언, 모라바 방언, 체코령 실레시아 방언으로 나뉜다.
보통 체코어는 보헤미아 지방에서 널리 사용되는 말로, 표준 체코어와 발음 및 문법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표준어의 /ý/는 /ej/가 되고, /é/는 /ý/가 되며, /o/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v/를 넣어 발음한다. 명사의 곡용에서는 도구격(조격)에서 성에 따라 어미가 달라지는 표준어와 달리, 보헤미아 방언에서는 -ama, -ma 어미를 사용한다. 프라하 방언은 모라바 방언에 비해 더 열린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113][114]
모라바 방언은 어휘적인 측면에서 표준 체코어와 완전히 다른 경우가 있다. 보헤미아와 달리 모라바에서는 마을마다 방언 차이가 나는 경향이 있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말은 여러 방언, 표준 체코어, 때로는 보통 체코어의 형태가 뒤섞인 형태다. 보헤미아에 비해 표준 체코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으며, 모라바 사람들은 보헤미아 사람들보다 더 정확한 표준어를 구사하는 경향이 있다.
체코령 실레시아 지방에서 오스트라바 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방언은 표준 체코어에 가깝다. 그러나 발화 속도가 빠르고 장모음과 단모음을 구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슬로바키아어로도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사이의 차이는 저지독일어와 고지독일어 사이의 관계처럼, 다른 언어의 두 방언 사이의 차이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체코어 방언은 더 상세하게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 중앙보헤미아 방언군 (Středočeská nářečícs)
- 북동보헤미아 방언군 (Severovýchodočeská nářečícs)
- 남서보헤미아 방언군 (Jihozápadočeská nářečícs) - (Chodský úsekcs)
- 남서보헤미아 방언군 (Jihozápadočeská nářečícs) - 도우들레비 지구 (Doudlebský úsekcs)
- 보헤미아-모라바 방언군 (Českomoravská nářečícs)
- 중앙모라바 방언군 (Středomoravská nářečícs)
- 동모라바 방언군 (Východomoravská nářečícs)
- 체코령 실레시아 방언군 (Slezská nářečícs)[159]

현대 문학 표준어이자 권위 있는 변종인 "표준 체코어" (spisovná češtinacs)는 1830년대 체코 민족 부흥 기간 중 표준화를 기반으로 하며, 1834년부터 1839년까지 출판된 요제프 융만(Josef Jungmann)의 체코-독일어 사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융만은 크랄리체 성경(1579–1613) 시대의 어휘와 당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했다. 그는 체코어에 없는 단어를 다른 슬라브어에서 차용하거나 신조어를 만들었다.[102]
6. 역사
7세기경, 슬라브족이 중앙유럽에 도달하여 프랑크 왕국의 동쪽 변두리에 정착했다. 9세기경에는 대모라비아라는 서슬라브 국가가 형성되었으며, 9세기와 10세기에 걸쳐 보헤미아의 기독교화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의 서슬라브어파 내에서의 다양화가 시작되었으며, 그 특징 중 하나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ɣ/)[140]의 사용과 첫 음절에 대한 일관된 강세[139]였다. 초기에는 구슬라브어가 글라골 문자로, 나중에는 라틴어가 라틴 문자로 쓰여져 문어의 기능을 수행했다.
보헤미아(체코)어는 12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주석과 짧은 메모 형태로 처음 기록되었다. 체코어로 쓰인 문학 작품은 13세기 후반과 14세기 초에 등장하고, 행정 문서는 14세기 후반에 처음 등장한다. 최초의 완전한 체코어 성경 번역인 레스코베츠-드레스덴 성경도 이 시대에 해당한다.[142] 대학 외부에서도 시와 요리책을 포함한 고체코어 텍스트가 제작되었다.[141]
15세기 초 보헤미아 종교 개혁의 맥락에서 문학 활동이 널리 퍼지게 된다. 얀 후스는 체코어 표기법의 표준화에 크게 기여했고, 체코 일반 백성(특히 종교 분야)의 광범위한 문해력을 옹호했으며, 구어에 따라 체코어 문어를 모델링하려는 초기 노력을 기울였다.[142]
16세기에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구분이 명확해졌는데, 이는 슬로바키아에서 체코어 표기를 사용하는 루터교 신교도들과, 특히 서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별도의 슬로바키아어 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가톨릭 신자들, 특히 슬로바키아 예수회 신부들 사이의 종교적 분열을 나타낸다.[12][13] 1579년부터 1593년 사이에 출판된 크랄리체 성서(원어에서 체코어로 번역된 최초의 완전한 성서)는 후대 체코어 표준어의 모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후 수세기 동안 체코어 표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1615년, 보헤미아 국회는 체코어를 왕국의 유일한 공용어로 선포하려고 시도했다. 1620년 합스부르크가 승리한 주로 신교 귀족이 주도한 보헤미아 반란 이후, 신교 지식인들은 나라를 떠나야 했다. 이러한 이민과 30년 전쟁의 다른 결과는 체코어의 추가적인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627년 체코어와 독일어는 보헤미아 왕국의 공용어가 되었고, 18세기에는 특히 상류층 사이에서 보헤미아와 모라비아에서 독일어가 우세해졌다.[15]
현대 표준 체코어는 18세기 체코어 표준화 운동에서 유래한다.[147] 이 시기까지 체코어는 이미 문학적 전통을 발전시켰고, 그 이후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당시 잡지의 체코어는 현대 표준 체코어와 실질적인 차이가 없어 현대 체코인들에게는 거의 이해 가능하다.[148] 18세기 이전 어느 시점에서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에 남아 있는 음소 /l/과 /ʎ/의 구분을 버렸다.[152]
18세기 중반에 민족 부흥 운동이 시작되면서, 체코 역사가들은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그들의 민족의 업적을 강조하기 시작했고, 반종교개혁(합스부르크 가문의 재가톨릭화에 의해 체코어와 기타 비라틴어가 부정되었던 시기)에 반발했다.[149] 체코의 문헌학자들은 16세기 텍스트를 연구하여 체코어의 고급 문화로의 복귀를 제창했다.[150] 이 시기는 체코 민족 부흥 운동[151](또는 르네상스)으로 알려져 있다.[150]
민족 부흥기인 1809년에는 체코의 문헌학자이자 역사가인 요제프 도브로프스키(Josef Dobrovský)가 독일어로 ''Ausführliches Lehrgebäude der böhmischen Sprache''('체코어의 포괄적인 교리')라는 고체코어 문법서를 출판했다. 도브로프스키는 자신의 책이 기술적인 것이 되기를 의도했고, 체코어가 주요 언어로 돌아올 현실적인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요제프 융그만(Josef Jungmann)과 다른 부흥 운동가들은 도브로프스키의 책을 사용하여 체코어 부흥을 옹호했다.[151] 이 기간 동안의 변화에는 철자 개혁(특히, 이전의 ''j'' 대신 ''í'', ''g'' 대신 ''j'' 사용), 동사 원형 어미에 ''ti'' 대신 ''t'' 사용, 명사의 대문자 사용 안 함(독일어에서 늦게 차용된 것) 등이 포함되었다.[152] 이러한 변화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구분했다.[153] 현대 학자들은 보수적인 부흥 운동가들이 민족주의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었는지, 아니면 당시 구어 체코어가 공식적인 광범위한 사용에 부적합하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릅니다.[151]
이후 역사적 패턴에 대한 고수는 완화되었고, 표준 체코어는 일부 고유 명사의 불변화와 같이 일반 체코어(광범위한 비공식적인 이방언적 변종)의 여러 특징을 채택했다. 이로 인해 모든 언어 변종 간에 비교적 높은 수준의 동질성이 나타났다.[154]
주로 보헤미아(보헤미아)를 포함한 수도 프라하(프라하)에서 사용되는 주요 체코어 방언은 일반 체코어(체코어: obecná čeština)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체코인은 이 용어를 알지 못하거나 변형되거나 "잘못된" 체코어와 연관시킨다.[107] 표준 체코어와 비교했을 때, 일반 체코어는 더 단순한 어미 변화 패턴과 음운 분포의 차이를 특징으로 한다.[108] 일반 체코어 음운론은 중앙 보헤미아 방언 그룹을 기반으로 하며, 표준 체코어와 약간 다른 모음 음소 집합을 가진다.[112]
일반 체코어는 20세기 후반 이후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보헤미아(보헤미아)와 모라비아(모라비아) 서부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중간 방언으로 정의되며, 일반 체코어는 규범화되지 않았지만, 일부 요소는 문어 표준어에 채택되었다. 표준 체코어는 여전히 정치인, 사업가 및 공식적인 상황에 있는 다른 체코인들에게 표준으로 사용되지만, 일반 체코어는 언론 및 대중 매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108]
일반 체코어의 형태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114]
- 형용사의 통일된 복수 어미: ''mal'''ý''' lidi''(작은 사람들), ''mal'''ý''' ženy''(작은 여자들), ''mal'''ý''' města''(작은 마을들) – 표준어: ''malí lidé, malé ženy, malá města;''
- 통일된 여격 어미 ''-ma'' 복수: ''s tě'''ma''' dobrej'''ma''' lid'''ma''', žena'''ma''', chlapa'''ma''', města'''ma'''''(착한 사람들, 여자들, 남자들, 마을들과 함께) – 표준어: ''s těmi dobrými lidmi, ženami, chlapy, městy.''
- 과거 시제 동사의 남성 어미에서 음절 ''-l'' 생략: ''řek''(그는 말했다), ''moh''(그는 할 수 있었다), ''pích''(그는 찔렀다) – 표준어: ''řekl, mohl, píchl.''
- 형용사의 남성/중성 단수 여격을 여격 어미 ''-ém''을 ''-ým''으로 바꾸고 모음을 단축하여 조격과 합치는 경향.
어미 변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비교를 위해 표준 체코어가 이탤릭체로 추가됨):
남성 생물 | 남성 무생물 | 여성 | 중성 | ||
---|---|---|---|---|---|
단수 | 주격 | mladej člověk mladý člověk | mladej stát mladý stát | mladá žena mladá žena | mladý zvíře mladé zvíře |
소유격 | mladýho člověka mladého člověka | mladýho státu mladého státu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ho zvířete mladého zvířete | |
여격 | mladýmu člověkovi mladému člověku | mladýmu státu mladému státu | mladý ženě mladé ženě | mladýmu zvířeti mladému zvířeti | |
목적격 | mladýho člověka mladého člověka | mladej stát mladý stát | mladou ženu mladou ženu | mladý zvíře mladé zvíře | |
호격 | mladej člověče! mladý člověče! | mladej státe! mladý státe! | mladá ženo! mladá ženo! | mladý zvíře! mladé zvíře! | |
위치격 | mladým člověkovi mladém člověkovi | mladým státě mladém státě | mladý ženě mladé ženě | mladým zvířeti mladém zvířeti | |
조격 | mladym člověkem mladým člověkem | mladym státem mladým státem | mladou ženou mladou ženou | mladym zvířetem mladým zvířetem | |
복수 | 주격 | mladý lidi mladí lidé | mladý státy mladé státy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 zvířata mladá zvířata |
소유격 | mladejch lidí mladých lidí | mladejch států mladých států | mladejch žen mladých žen | mladejch zvířat mladých zvířat | |
여격 | mladejm lidem mladým lidem | mladejm státům mladým státům | mladejm ženám mladým ženám | mladejm zvířatům mladým zvířatům | |
목적격 | mladý lidi mladé lidi | mladý státy mladé státy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 zvířata mladá zvířata | |
호격 | mladý lidi! mladí lidé! | mladý státy! mladé státy!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 zvířata! mladá zvířata! | |
위치격 | mladejch lidech mladých lidech | mladejch státech mladých státech | mladejch ženách mladých ženách | mladejch zvířatech mladých zvířatech | |
조격 | mladejma lidma mladými lidmi | mladejma státama mladými státy | mladejma ženama mladými ženami | mladejma zvířatama mladými zvířaty |
''mladý člověk – 젊은이, mladí lidé – 젊은이들, mladý stát – 젊은 국가, mladá žena – 젊은 여성, mladé zvíře – 어린 동물''
6. 1. 중세/고 체코어 (Medieval/Old Czech)
7세기경, 슬라브족이 중앙유럽에 도달하여 프랑크 왕국의 동쪽 변두리에 정착했다. 9세기경에는 대모라비아라는 서슬라브 국가가 형성되었으며, 9세기와 10세기에 걸쳐 보헤미아의 기독교화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체코-슬로바키아어군의 서슬라브어파 내에서의 다양화가 시작되었으며, 그 특징 중 하나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ɣ/)[140]의 사용과 첫 음절에 대한 일관된 강세[139]였다. 초기에는 구슬라브어가 글라골 문자로, 나중에는 라틴어가 라틴 문자로 쓰여져 문어의 기능을 수행했다.보헤미아(체코)어는 12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주석과 짧은 메모 형태로 처음 기록되었다. 체코어로 쓰인 문학 작품은 13세기 후반과 14세기 초에 등장하고, 행정 문서는 14세기 후반에 처음 등장한다. 최초의 완전한 체코어 성경 번역인 레스코베츠-드레스덴 성경도 이 시대에 해당한다.[142] 대학 외부에서도 시와 요리책을 포함한 고체코어 텍스트가 제작되었다.[141]
15세기 초 보헤미아 종교 개혁의 맥락에서 문학 활동이 널리 퍼지게 된다. 얀 후스는 체코어 표기법의 표준화에 크게 기여했고, 체코 일반 백성(특히 종교 분야)의 광범위한 문해력을 옹호했으며, 구어에 따라 체코어 문어를 모델링하려는 초기 노력을 기울였다.[142]
6. 2. 근세 체코어 (Early Modern Czech)
16세기에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구분이 명확해졌는데, 이는 슬로바키아에서 체코어 표기를 사용하는 루터교 신교도들과, 특히 서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별도의 슬로바키아어 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가톨릭 신자들, 특히 슬로바키아 예수회 신부들 사이의 종교적 분열을 나타낸다.[12][13] 1579년부터 1593년 사이에 출판된 크랄리체 성서(원어에서 체코어로 번역된 최초의 완전한 성서)는 후대 체코어 표준어의 모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후 수세기 동안 체코어 표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1615년, 보헤미아 국회는 체코어를 왕국의 유일한 공용어로 선포하려고 시도했다. 1620년 합스부르크가 승리한 주로 신교 귀족이 주도한 보헤미아 반란 이후, 신교 지식인들은 나라를 떠나야 했다. 이러한 이민과 30년 전쟁의 다른 결과는 체코어의 추가적인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627년 체코어와 독일어는 보헤미아 왕국의 공용어가 되었고, 18세기에는 특히 상류층 사이에서 보헤미아와 모라비아에서 독일어가 우세해졌다.[15]
6. 3. 현대 체코어 (Modern Czech)
현대 표준 체코어는 18세기 체코어 표준화 운동에서 유래한다.[147] 이 시기까지 체코어는 이미 문학적 전통을 발전시켰고, 그 이후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당시 잡지의 체코어는 현대 표준 체코어와 실질적인 차이가 없어 현대 체코인들에게는 거의 이해 가능하다.[148] 18세기 이전 어느 시점에서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에 남아 있는 음소 /l/과 /ʎ/의 구분을 버렸다.[152]
18세기 중반에 민족 부흥 운동이 시작되면서, 체코 역사가들은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그들의 민족의 업적을 강조하기 시작했고, 반종교개혁(합스부르크 가문의 재가톨릭화에 의해 체코어와 기타 비라틴어가 부정되었던 시기)에 반발했다.[149] 체코의 문헌학자들은 16세기 텍스트를 연구하여 체코어의 고급 문화로의 복귀를 제창했다.[150] 이 시기는 체코 민족 부흥 운동[151](또는 르네상스)으로 알려져 있다.[150]
민족 부흥기인 1809년에는 체코의 문헌학자이자 역사가인 요제프 도브로프스키(Josef Dobrovský)가 독일어로 ''Ausführliches Lehrgebäude der böhmischen Sprache''('체코어의 포괄적인 교리')라는 고체코어 문법서를 출판했다. 도브로프스키는 자신의 책이 기술적인 것이 되기를 의도했고, 체코어가 주요 언어로 돌아올 현실적인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요제프 융그만(Josef Jungmann)과 다른 부흥 운동가들은 도브로프스키의 책을 사용하여 체코어 부흥을 옹호했다.[151] 이 기간 동안의 변화에는 철자 개혁(특히, 이전의 ''j'' 대신 ''í'', ''g'' 대신 ''j'' 사용), 동사 원형 어미에 ''ti'' 대신 ''t'' 사용, 명사의 대문자 사용 안 함(독일어에서 늦게 차용된 것) 등이 포함되었다.[152] 이러한 변화는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를 구분했다.[153] 현대 학자들은 보수적인 부흥 운동가들이 민족주의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었는지, 아니면 당시 구어 체코어가 공식적인 광범위한 사용에 부적합하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릅니다.[151]
이후 역사적 패턴에 대한 고수는 완화되었고, 표준 체코어는 일부 고유 명사의 불변화와 같이 일반 체코어(광범위한 비공식적인 이방언적 변종)의 여러 특징을 채택했다. 이로 인해 모든 언어 변종 간에 비교적 높은 수준의 동질성이 나타났다.[154]
주로 보헤미아(보헤미아)를 포함한 수도 프라하(프라하)에서 사용되는 주요 체코어 방언은 일반 체코어(체코어: obecná čeština)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체코인은 이 용어를 알지 못하거나 변형되거나 "잘못된" 체코어와 연관시킨다.[107] 표준 체코어와 비교했을 때, 일반 체코어는 더 단순한 어미 변화 패턴과 음운 분포의 차이를 특징으로 한다.[108] 일반 체코어 음운론은 중앙 보헤미아 방언 그룹을 기반으로 하며, 표준 체코어와 약간 다른 모음 음소 집합을 가진다.[112]
일반 체코어는 20세기 후반 이후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보헤미아(보헤미아)와 모라비아(모라비아) 서부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중간 방언으로 정의되며, 일반 체코어는 규범화되지 않았지만, 일부 요소는 문어 표준어에 채택되었다. 표준 체코어는 여전히 정치인, 사업가 및 공식적인 상황에 있는 다른 체코인들에게 표준으로 사용되지만, 일반 체코어는 언론 및 대중 매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108]
일반 체코어의 형태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114]
- 형용사의 통일된 복수 어미: ''mal'''ý''' lidi''(작은 사람들), ''mal'''ý''' ženy''(작은 여자들), ''mal'''ý''' města''(작은 마을들) – 표준어: ''malí lidé, malé ženy, malá města;''
- 통일된 여격 어미 ''-ma'' 복수: ''s tě'''ma''' dobrej'''ma''' lid'''ma''', žena'''ma''', chlapa'''ma''', města'''ma'''''(착한 사람들, 여자들, 남자들, 마을들과 함께) – 표준어: ''s těmi dobrými lidmi, ženami, chlapy, městy.''
- 과거 시제 동사의 남성 어미에서 음절 ''-l'' 생략: ''řek''(그는 말했다), ''moh''(그는 할 수 있었다), ''pích''(그는 찔렀다) – 표준어: ''řekl, mohl, píchl.''
- 형용사의 남성/중성 단수 여격을 여격 어미 ''-ém''을 ''-ým''으로 바꾸고 모음을 단축하여 조격과 합치는 경향.
어미 변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비교를 위해 표준 체코어가 이탤릭체로 추가됨):
남성 생물 | 남성 무생물 | 여성 | 중성 | ||
---|---|---|---|---|---|
단수 | 주격 | mladej člověk mladý člověk | mladej stát mladý stát | mladá žena mladá žena | mladý zvíře mladé zvíře |
소유격 | mladýho člověka mladého člověka | mladýho státu mladého státu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ho zvířete mladého zvířete | |
여격 | mladýmu člověkovi mladému člověku | mladýmu státu mladému státu | mladý ženě mladé ženě | mladýmu zvířeti mladému zvířeti | |
목적격 | mladýho člověka mladého člověka | mladej stát mladý stát | mladou ženu mladou ženu | mladý zvíře mladé zvíře | |
호격 | mladej člověče! mladý člověče! | mladej státe! mladý státe! | mladá ženo! mladá ženo! | mladý zvíře! mladé zvíře! | |
위치격 | mladým člověkovi mladém člověkovi | mladým státě mladém státě | mladý ženě mladé ženě | mladým zvířeti mladém zvířeti | |
조격 | mladym člověkem mladým člověkem | mladym státem mladým státem | mladou ženou mladou ženou | mladym zvířetem mladým zvířetem | |
복수 | 주격 | mladý lidi mladí lidé | mladý státy mladé státy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 zvířata mladá zvířata |
소유격 | mladejch lidí mladých lidí | mladejch států mladých států | mladejch žen mladých žen | mladejch zvířat mladých zvířat | |
여격 | mladejm lidem mladým lidem | mladejm státům mladým státům | mladejm ženám mladým ženám | mladejm zvířatům mladým zvířatům | |
목적격 | mladý lidi mladé lidi | mladý státy mladé státy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 zvířata mladá zvířata | |
호격 | mladý lidi! mladí lidé! | mladý státy! mladé státy! | mladý ženy! mladé ženy! | mladý zvířata! mladá zvířata! | |
위치격 | mladejch lidech mladých lidech | mladejch státech mladých státech | mladejch ženách mladých ženách | mladejch zvířatech mladých zvířatech | |
조격 | mladejma lidma mladými lidmi | mladejma státama mladými státy | mladejma ženama mladými ženami | mladejma zvířatama mladými zvířaty |
''mladý člověk – 젊은이, mladí lidé – 젊은이들, mladý stát – 젊은 국가, mladá žena – 젊은 여성, mladé zvíře – 어린 동물''
7. 어휘
체코어 어휘는 주로 슬라브어, 발트어 및 기타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유래한다. 대부분의 동사는 발트-슬라브어 어원을 가지고 있지만, 대명사, 전치사 및 일부 동사는 더 넓은 인도유럽어 어근을 가지고 있다.[129] 어떤 차용어들은 고유 체코어 단어와 비슷하게 하도록 속어 어원론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예: ''hřbitov'', "묘지" 및 ''listina'', "명부").[130]
대부분의 체코어 차용어는 두 시대 중 하나에서 유래했다. 주로 독일어[131], 그리스어 및 라틴어[132]에서 유래한 초기 차용어는 체코 민족 부흥 운동 이전에 유입되었다. 최근의 차용어는 주로 영어와 프랑스어[131]에서 유래하며, 히브리어,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에서도 유래한다. 주로 동물 이름과 해군 용어인 많은 러시아어 차용어도 체코어에 존재한다.[133]
오래된 독일어 차용어는 구어체였지만, 다른 언어에서 온 최근 차용어는 고급 문화와 관련이 있다.[131] 19세기 동안 그리스어와 라틴어 어근을 가진 단어들은 더 오래된 체코어 단어와 공통 슬라브어 어근을 기반으로 한 단어들로 대체되었다. "음악"은 폴란드어로는 ''muzyka''이고 러시아어로는 ''музыка'' (''muzyka'')이지만, 체코어로는 ''hudba''이다.[132] 일부 체코어 단어는 영어 및 기타 언어로 차용어로 빌려졌다. 예를 들어, ''로봇'' (''robota'', "노동"에서 유래)[134] 및 ''폴카'' (''polka'', "폴란드 여성" 또는 "půlka" "절반"에서 유래)가 있다.[135]
8. 문법
체코어 문법은 융합어적 특징을 보이며, 명사, 동사, 형용사는 의미와 문법적 기능을 수정하기 위해 어미 변화를 한다.[45] 교착어에서 볼 수 있는 쉽게 분리되는 접사는 제한적이다.[45]
체코어는 명사에서 격, 성, 수를, 동사에서 시제, 상, 법, 인칭, 주어의 수와 성을 어미 변화시킨다.[46]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 | já | my |
2인칭 | ty vy (정중한 표현) | vy |
3인칭 | on (남성) ona (여성) ono (중성) | oni (남성 생물) ony (남성 무생물, 여성) ona (중성) |
== 품사 ==
체코어의 품사는 다음과 같다.
- 명사 (포드스타트네 이메노/podstatné jménocs)
- 형용사 (프르지다브네 이메노/přídavné jménocs)
- 대명사 (자이메노/zájmenocs)
- 수사 (치슬로프카/číslovkacs)
- 동사 (슬로베소/slovesocs)
- 부사 (프르지슬로프체/příslovcecs)
- 전치사 (프르제들로슈카/předložkacs)
- 접속사 (스포이카/spojkacs)
- 불변사 (차스티체/částicecs)
- 감탄사 (치토슬로프체/citoslovcecs)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는 어형 변화를 가지며, 동사는 활용을 한다. 다른 품사는 어형 변화가 없다(부사는 예외적으로 비교급 형성이 있다). 부사는 주로 형용사의 어근의 마지막 ''ý'' 또는 ''í''를 ''e'', ''ě'', ''y'', 또는 ''o''로 바꾸어 형성된다.[48] 부정문은 절의 주동사에 접사 ''ne-''를 추가하여 만든다.[49] 단 한 가지 예외는 ''je''(그는, 그녀는, 또는 그것이다)가 ''není''가 되는 경우이다.[50]
== 명사의 굴절 ==
체코어에서는 명사와 형용사가 문장에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7개의 문법적 격, 두 개의 수(단수와 복수), 그리고 세 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으로 굴절된다. 남성 성은 다시 생성 유무에 따라 분류된다.[64]
주격-목적격 언어인 체코어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 명사를 사전에 나오는 형태인 주격으로 표시하고,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는 목적격으로 굴절시킨다.[60] 호격은 사람을 부를 때 사용된다.[58] 나머지 격(소유격, 여격, 처소격, 도구격)은 명사 수식어(소유격), 간접목적어(여격) 또는 수동태 구문의 주체(도구격)와 같이 의미 관계를 나타낸다.[59] 또한 전치사와 일부 동사는 그 보어가 특정 격으로 굴절되도록 요구한다.[60] 처소격은 전치사 뒤에서만 사용된다.[61] 형용사의 격은 수식하는 명사의 격과 일치한다. 체코어 어린이들이 어휘의 굴절 패턴을 배울 때, 격은 번호로 언급된다.[62]
체코어의 격은 주격(1격), 속격(2격), 여격(3격), 목적격(4격), 호격(5격), 전치격(6격), 도구격(7격)의 7가지이다.
번호 | 기수 명칭 (체코어) | 명칭 (체코어) | 격 | 주요 용법 |
---|---|---|---|---|
1. | první pád | nominativ | 주격 | 주어 |
2. | druhý pád | genitiv | 소유격 | 명사 수식어, 소유, 이동, 시간 및 위치의 전치사 |
3. | třetí pád | dativ | 여격 | 간접목적어, 이동의 전치사 |
4. | čtvrtý pád | akuzativ | 목적격 | 직접목적어, 이동 및 시간의 전치사 |
5. | pátý pád | vokativ | 호격 | 누군가를 부를 때 |
6. | šestý pád | lokál | 처소격 | 위치, 시간 및 주제의 전치사 |
7. | sedmý pád | instrumentál | 도구격 | 수동태의 주체, 도구, 위치의 전치사 |
일부 전치사는 수식하는 명사가 특정 격을 취하도록 요구한다. 각 전치사에 의해 할당되는 격은 전치사가 나타내는 물리적(또는 은유적) 방향 또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od''(에서, ~로부터)와 ''z''(에서, ~로부터)는 소유격을 할당한다. 다른 전치사들은 여러 격 중 하나를 취하며, 그 의미는 격에 따라 달라진다. ''na''는 목적격에서는 "위에" 또는 "~을 위해"를 의미하지만, 처소격에서는 "위에"를 의미한다.[63]
예시:
{{interlinear|indent=3|abbreviations=INS:도구격
|Nes-l js-em krabic-i do dom-u se sv-ým přítel-em.
|carry-SG.M.PST be-1.SG box-SG.ACC into house-SG.GEN with own-SG.INS friend-SG.INS
|나는 내 친구와 함께 집으로 상자를 날랐다.}}
체코어는 세 가지 문법적 성(성) — 남성, 여성, 중성 —을 구분하며, 남성 성은 다시 생성/무생성(의미상의 성)으로 세분화된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주격에서 여성 명사는 '-a', '-e', 또는 자음으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 '-o', '-e', 또는 '-í'로 끝나며, 남성 명사는 자음으로 끝난다.[64] 형용사, 분사, 대명사의 대부분, 그리고 숫자 "하나"와 "둘"은 성에 따라 표시되며, 수식하거나 가리키는 명사의 성과 일치한다.[65] 과거 시제 동사도 주어의 성에 따라 표시되며 일치하는데, 예를 들어 ''dělal''(그는 했다, 또는 만들었다); ''dělala''(그녀는 했다, 또는 만들었다) 그리고 ''dělalo''(그것은 했다, 또는 만들었다)가 있다.[66] 성은 의미론적 역할도 수행한다. 사람과 동물을 묘사하는 대부분의 명사(고유명사 포함)는 일반적으로 어근에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되는 별도의 남성형과 여성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Čech''(체코인 남자)의 여성형은 ''Češka''(체코인 여자)이다.[67]
다른 성의 명사는 서로 다른 격변화 패턴을 따른다.
명사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는 수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 슬라브어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체코어의 1부터 4까지의 기수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형용사가 어떠한 격이든 취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5 이상의 수는 주어와 목적어 명사구가 주격이나 목적격 대신에 생격 복수로 굴절되어야 하며, 주어로 사용될 때는 이러한 구가 단수 동사를 취한다.[68]
영어 | 체코어 |
---|---|
한 체코 크라운은... | jedna koruna česká byla... |
두 체코 크라운은... | dvě koruny české byly... |
세 체코 크라운은... | tři koruny české byly... |
네 체코 크라운은... | čtyři koruny české byly... |
다섯 체코 크라운은... | pět korun českých bylo... |
수는 격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하며, 1과 2는 성에 따라서도 어형 변화를 한다. 아래는 1부터 5까지의 수를 예시로 보여준다. 1은 지시 대명사 ''ten''과 동일한 굴절 패턴을 가진다.[69][70]
체코어의 문법적 수는 단수와 복수이지만, ''dva''("두")와 ''oba''("둘 다")와 같이 이중수 형태의 잔재가 여러 개 남아 있으며, 이들은 같은 방식으로 굴절된다. 짝을 이루는 신체 부위에 대한 일부 명사는 어떤 경우에 복수를 나타내기 위해 역사적인 이중수 형태를 사용한다: ''ruka'' (손)—''ruce'' (주격); ''noha'' (다리)—''nohama'' (도구격), ''nohou'' (소유격/처소격); ''oko'' (눈)—''oči'', 그리고 ''ucho'' (귀)—''uši''. 이 명사들 중 두 개는 단수 형태가 중성이지만, 모든 복수 형태는 여성으로 간주된다. 그들의 성은 관련된 형용사와 동사와 관련이 있다.[71] 이러한 형태는 의미상으로는 복수이며, ''mezi čtyřma očima'' (마주보고, 문자 그대로 "네 눈 사이에서")에서와 같이 비단수 계산에 사용된다. 이러한 명사의 복수 수 패러다임은 역사적인 이중수와 복수 형태가 혼합된 것이다. 예를 들어, ''nohy'' (다리; 주격/목적격)는 이러한 유형의 명사의 표준 복수 형태이다.[72]
== 동사의 활용 ==
체코어 동사는 인칭, 수, 성(분사를 포함하는 구문에서), 시제(과거, 현재, 미래 시제), 법(직설법, 명령법, 가정법)에 따라 활용된다.[75] 예를 들어 ''mluvit''(mluvit) 동사의 1인칭 복수 현재 시제는 ''mluvíme''이며, 어미 ''-íme''로 구분된다.[75] 체코어 동사의 원형은 ''-t''로 끝난다(고어체에서는 ''-ti'' 또는 ''-ci'').[73]
체코어는 완료상과 미완료상의 두 가지 문법적 상(aspect)을 가진다. 대부분의 동사는 상에 따라 짝을 이루며, 완료상은 행위의 완료, 미완료상은 행위의 진행이나 반복을 나타낸다.[74] 예를 들어 ''koupit''(koupit)(완료상)과 ''kupovat''(kupovat)(미완료상)이 있다. 미래 시제는 미완료상 동사에만 사용된다.[76] 상 짝을 이루는 동사는 주로 접두사(완료상) 또는 접미사(미완료상)로 구분된다.[77][78] 예를 들어 ''psát''(psát)(쓰다, 미완료상) - ''napsat''(napsat)(적어내다, 완료상), ''koupit''(koupit)(사다, 완료상) - ''kupovat''(kupovat)(사다, 미완료상)와 같다. 미완료상 동사는 반복적인 행위를 나타내는 반복상 형태를 가질 수 있다.[79] ''být''(이다), ''chtít''(원하다) 등 지속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는 완료상이 없고, ''otěhotnět''(임신하다) 등 즉각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는 미완료상이 없다.[80]
체코어의 현재 시제는 동사 어간에 인칭과 수에 따른 어미를 붙여 만든다. 체코어는 무주어 언어이므로, 주어 대명사는 생략 가능하다.[81] 과거 시제는 '-l' 분사에 성과 수에 따른 어미를 추가하고, 1, 2인칭에는 조동사 ''být''의 현재 시제를 추가한다.[82] 완료 동사의 현재 시제는 미래의 행동 완료를 나타낼 수 있다.[83] 미래 시제는 ''být'' 동사의 미래 시제 활용형(''budu'', ''budeš'', ''bude'', ''budeme'', ''budete'', ''budou'')과 미완료상 동사의 원형으로 만든다(예: ''budu jíst'' - 나는 먹을 것이다).[76] 일부 이동 동사는 현재 시제에 접두사 ''po-''를 추가하여 미래 시제를 만든다(예: ''jedu'' - ''pojedu'').[84]
체코어에는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의 세 가지 법이 있다.[85] 명령법은 2인칭 단수(''-Ø/-i/-ej''), 2인칭 복수(''-te/-ete/-ejte''), 1인칭 복수(''-me/-eme/-ejme'')에 특정 어미를 붙여 만든다.[86] 조건법은 -l 분사에 조동사를 붙여 만들며, 가정이나 소망을 나타낸다.[88]
대부분의 체코어 동사는 5가지 어미 활용 형태로 분류된다.[89]
1형 | 2형 | 3형 | 4형 | 5형 | |
---|---|---|---|---|---|
의미 | 나르다 | 인쇄하다 | 방랑하다 | 고통받다 | 하다, 만들다 |
원형 | nést | tisknout | putovat | trpět | dělat |
1인칭 단수 | nesu | tisknu | putuji | trpím | dělám |
2인칭 단수 | neseš | tiskneš | putuješ | trpíš | děláš |
3인칭 단수 | nese | tiskne | putuje | trpí | dělá |
1인칭 복수 | neseme | tiskneme | putujeme | trpíme | děláme |
2인칭 복수 | nesete | tisknete | putujete | trpíte | děláte |
3인칭 복수 | nesou | tisknou | putují | trpí | dělají |
의미 | 이다 | 원하다 | 먹다 | 알다 |
---|---|---|---|---|
원형 | být | chtít | jíst | vědět |
1인칭 단수 | jsem | chci | jím | vím |
2인칭 단수 | jsi | chceš | jíš | víš |
3인칭 단수 | je | chce | jí | ví |
1인칭 복수 | jsme | chceme | jíme | víme |
2인칭 복수 | jste | chcete | jíte | víte |
3인칭 복수 | jsou | chtějí | jedí | vědí |
== 어순 ==
체코어는 문장에서 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데 문법적 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순이 유연하다.[51] 주어-동사-목적어(SVO)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어순이 유연하며 화제와 초점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52] 화제(주제)는 문장에서 초점(핵심) 앞에 온다. 이러한 이유로 체코어는 화제 중심 언어로 설명되기도 한다.[52]
체코어에는 수동태 구문이 있지만, 구어체에서는 어순 변화가 수동태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Peter killed Paul"을 "Paul was killed by Peter"로 바꾸려면 주어와 목적어의 순서를 바꾼다. ''Petr zabil Pavla''("Peter killed Paul")는 "Paul, Peter killed"(''Pavla zabil Petr'')가 된다. ''Pavla''는 목적격이며, 동사의 문법적 목적어이다.[53]
문장 끝에 있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강조되지만, 억양이 문장이 의문문임을 나타내는 경우는 예외이다.[53]
- ''Pes jí bagetu.''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다(다른 것을 먹는 것이 아니라).
- ''Bagetu jí pes.''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다(다른 사람이 먹는 것이 아니라).
- ''Pes bagetu jí.''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다(다른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 ''Jí pes bagetu?''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까?(강조 모호)[53]
보헤미아( 프라하 포함) 일부 지역에서는 ''co''("무엇") 또는 ''kdo''("누구")와 같은 의문사가 없는 ''Jí pes bagetu?''와 같은 의문문은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천천히 상승하는 억양으로 발음되며, 마지막 단어나 구절에서 낮은 음으로 빠르게 떨어진다.[54]
8. 1. 품사
체코어의 품사는 다음과 같다.- 명사 (포드스타트네 이메노/podstatné jménocs)
- 형용사 (프르지다브네 이메노/přídavné jménocs)
- 대명사 (자이메노/zájmenocs)
- 수사 (치슬로프카/číslovkacs)
- 동사 (슬로베소/slovesocs)
- 부사 (프르지슬로프체/příslovcecs)
- 전치사 (프르제들로슈카/předložkacs)
- 접속사 (스포이카/spojkacs)
- 불변사 (차스티체/částicecs)
- 감탄사 (치토슬로프체/citoslovcecs)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는 어형 변화를 가지며, 동사는 활용을 한다. 다른 품사는 어형 변화가 없다(부사는 예외적으로 비교급 형성이 있다).
8. 2. 명사의 굴절
체코어에서는 명사와 형용사가 문장에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7개의 문법적 격, 두 개의 수(단수와 복수), 그리고 세 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으로 굴절된다. 남성 성은 다시 생성 유무에 따라 분류된다.[64]주격-목적격 언어인 체코어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 명사를 사전에 나오는 형태인 주격으로 표시하고, 타동사의 직접목적어는 목적격으로 굴절시킨다.[60] 호격은 사람을 부를 때 사용된다.[58] 나머지 격(소유격, 여격, 처소격, 도구격)은 명사 수식어(소유격), 간접목적어(여격) 또는 수동태 구문의 주체(도구격)와 같이 의미 관계를 나타낸다.[59] 또한 전치사와 일부 동사는 그 보어가 특정 격으로 굴절되도록 요구한다.[60] 처소격은 전치사 뒤에서만 사용된다.[61] 형용사의 격은 수식하는 명사의 격과 일치한다. 체코어 어린이들이 어휘의 굴절 패턴을 배울 때, 격은 번호로 언급된다.[62]
체코어의 격은 주격(1격), 속격(2격), 여격(3격), 목적격(4격), 호격(5격), 전치격(6격), 도구격(7격)의 7가지이다.
번호 | 기수 명칭 (체코어) | 명칭 (체코어) | 격 | 주요 용법 |
---|---|---|---|---|
1. | první pád | nominativ | 주격 | 주어 |
2. | druhý pád | genitiv | 소유격 | 명사 수식어, 소유, 이동, 시간 및 위치의 전치사 |
3. | třetí pád | dativ | 여격 | 간접목적어, 이동의 전치사 |
4. | čtvrtý pád | akuzativ | 목적격 | 직접목적어, 이동 및 시간의 전치사 |
5. | pátý pád | vokativ | 호격 | 누군가를 부를 때 |
6. | šestý pád | lokál | 처소격 | 위치, 시간 및 주제의 전치사 |
7. | sedmý pád | instrumentál | 도구격 | 수동태의 주체, 도구, 위치의 전치사 |
일부 전치사는 수식하는 명사가 특정 격을 취하도록 요구한다. 각 전치사에 의해 할당되는 격은 전치사가 나타내는 물리적(또는 은유적) 방향 또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od''(에서, ~로부터)와 ''z''(에서, ~로부터)는 소유격을 할당한다. 다른 전치사들은 여러 격 중 하나를 취하며, 그 의미는 격에 따라 달라진다. ''na''는 목적격에서는 "위에" 또는 "~을 위해"를 의미하지만, 처소격에서는 "위에"를 의미한다.[63]
예시:
{{interlinear|indent=3|abbreviations=INS:도구격
|Nes-l js-em krabic-i do dom-u se sv-ým přítel-em.
|carry-SG.M.PST be-1.SG box-SG.ACC into house-SG.GEN with own-SG.INS friend-SG.INS
|나는 내 친구와 함께 집으로 상자를 날랐다.}}
체코어는 세 가지 문법적 성(성) — 남성, 여성, 중성 —을 구분하며, 남성 성은 다시 생성/무생성(의미상의 성)으로 세분화된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주격에서 여성 명사는 '-a', '-e', 또는 자음으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 '-o', '-e', 또는 '-í'로 끝나며, 남성 명사는 자음으로 끝난다.[64] 형용사, 분사, 대명사의 대부분, 그리고 숫자 "하나"와 "둘"은 성에 따라 표시되며, 수식하거나 가리키는 명사의 성과 일치한다.[65] 과거 시제 동사도 주어의 성에 따라 표시되며 일치하는데, 예를 들어 ''dělal''(그는 했다, 또는 만들었다); ''dělala''(그녀는 했다, 또는 만들었다) 그리고 ''dělalo''(그것은 했다, 또는 만들었다)가 있다.[66] 성은 의미론적 역할도 수행한다. 사람과 동물을 묘사하는 대부분의 명사(고유명사 포함)는 일반적으로 어근에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되는 별도의 남성형과 여성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Čech''(체코인 남자)의 여성형은 ''Češka''(체코인 여자)이다.[67]
다른 성의 명사는 서로 다른 격변화 패턴을 따른다.
명사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는 수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 슬라브어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체코어의 1부터 4까지의 기수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형용사가 어떠한 격이든 취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5 이상의 수는 주어와 목적어 명사구가 주격이나 목적격 대신에 생격 복수로 굴절되어야 하며, 주어로 사용될 때는 이러한 구가 단수 동사를 취한다.[68]
영어 | 체코어 |
---|---|
한 체코 크라운은... | jedna koruna česká byla... |
두 체코 크라운은... | dvě koruny české byly... |
세 체코 크라운은... | tři koruny české byly... |
네 체코 크라운은... | čtyři koruny české byly... |
다섯 체코 크라운은... | pět korun českých bylo... |
수는 격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하며, 1과 2는 성에 따라서도 어형 변화를 한다. 아래는 1부터 5까지의 수를 예시로 보여준다. 1은 지시 대명사 ''ten''과 동일한 굴절 패턴을 가진다.[69][70]
체코어의 문법적 수는 단수와 복수이지만, ''dva''("두")와 ''oba''("둘 다")와 같이 이중수 형태의 잔재가 여러 개 남아 있으며, 이들은 같은 방식으로 굴절된다. 짝을 이루는 신체 부위에 대한 일부 명사는 어떤 경우에 복수를 나타내기 위해 역사적인 이중수 형태를 사용한다: ''ruka'' (손)—''ruce'' (주격); ''noha'' (다리)—''nohama'' (도구격), ''nohou'' (소유격/처소격); ''oko'' (눈)—''oči'', 그리고 ''ucho'' (귀)—''uši''. 이 명사들 중 두 개는 단수 형태가 중성이지만, 모든 복수 형태는 여성으로 간주된다. 그들의 성은 관련된 형용사와 동사와 관련이 있다.[71] 이러한 형태는 의미상으로는 복수이며, ''mezi čtyřma očima'' (마주보고, 문자 그대로 "네 눈 사이에서")에서와 같이 비단수 계산에 사용된다. 이러한 명사의 복수 수 패러다임은 역사적인 이중수와 복수 형태가 혼합된 것이다. 예를 들어, ''nohy'' (다리; 주격/목적격)는 이러한 유형의 명사의 표준 복수 형태이다.[72]
8. 3. 동사의 활용
체코어 동사는 인칭, 수, 성(분사를 포함하는 구문에서), 시제(과거, 현재, 미래 시제), 법(직설법, 명령법, 가정법)에 따라 활용된다.[75] 예를 들어 ''mluvit''(mluvit) 동사의 1인칭 복수 현재 시제는 ''mluvíme''이며, 어미 ''-íme''로 구분된다.[75] 체코어 동사의 원형은 ''-t''로 끝난다(고어체에서는 ''-ti'' 또는 ''-ci'').[73]체코어는 완료상과 미완료상의 두 가지 문법적 상(aspect)을 가진다. 대부분의 동사는 상에 따라 짝을 이루며, 완료상은 행위의 완료, 미완료상은 행위의 진행이나 반복을 나타낸다.[74] 예를 들어 ''koupit''(koupit)(완료상)과 ''kupovat''(kupovat)(미완료상)이 있다. 미래 시제는 미완료상 동사에만 사용된다.[76] 상 짝을 이루는 동사는 주로 접두사(완료상) 또는 접미사(미완료상)로 구분된다.[77][78] 예를 들어 ''psát''(psát)(쓰다, 미완료상) - ''napsat''(napsat)(적어내다, 완료상), ''koupit''(koupit)(사다, 완료상) - ''kupovat''(kupovat)(사다, 미완료상)와 같다. 미완료상 동사는 반복적인 행위를 나타내는 반복상 형태를 가질 수 있다.[79] ''být''(이다), ''chtít''(원하다) 등 지속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는 완료상이 없고, ''otěhotnět''(임신하다) 등 즉각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는 미완료상이 없다.[80]
체코어의 현재 시제는 동사 어간에 인칭과 수에 따른 어미를 붙여 만든다. 체코어는 무주어 언어이므로, 주어 대명사는 생략 가능하다.[81] 과거 시제는 '-l' 분사에 성과 수에 따른 어미를 추가하고, 1, 2인칭에는 조동사 ''být''의 현재 시제를 추가한다.[82] 완료 동사의 현재 시제는 미래의 행동 완료를 나타낼 수 있다.[83] 미래 시제는 ''být'' 동사의 미래 시제 활용형(''budu'', ''budeš'', ''bude'', ''budeme'', ''budete'', ''budou'')과 미완료상 동사의 원형으로 만든다(예: ''budu jíst'' - 나는 먹을 것이다).[76] 일부 이동 동사는 현재 시제에 접두사 ''po-''를 추가하여 미래 시제를 만든다(예: ''jedu'' - ''pojedu'').[84]
체코어에는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의 세 가지 법이 있다.[85] 명령법은 2인칭 단수(''-Ø/-i/-ej''), 2인칭 복수(''-te/-ete/-ejte''), 1인칭 복수(''-me/-eme/-ejme'')에 특정 어미를 붙여 만든다.[86] 조건법은 -l 분사에 조동사를 붙여 만들며, 가정이나 소망을 나타낸다.[88]
대부분의 체코어 동사는 5가지 어미 활용 형태로 분류된다.[89]
1형 | 2형 | 3형 | 4형 | 5형 | |
---|---|---|---|---|---|
의미 | 나르다 | 인쇄하다 | 방랑하다 | 고통받다 | 하다, 만들다 |
원형 | nést | tisknout | putovat | trpět | dělat |
1인칭 단수 | nesu | tisknu | putuji | trpím | dělám |
2인칭 단수 | neseš | tiskneš | putuješ | trpíš | děláš |
3인칭 단수 | nese | tiskne | putuje | trpí | dělá |
1인칭 복수 | neseme | tiskneme | putujeme | trpíme | děláme |
2인칭 복수 | nesete | tisknete | putujete | trpíte | děláte |
3인칭 복수 | nesou | tisknou | putují | trpí | dělají |
의미 | 이다 | 원하다 | 먹다 | 알다 |
---|---|---|---|---|
원형 | být | chtít | jíst | vědět |
1인칭 단수 | jsem | chci | jím | vím |
2인칭 단수 | jsi | chceš | jíš | víš |
3인칭 단수 | je | chce | jí | ví |
1인칭 복수 | jsme | chceme | jíme | víme |
2인칭 복수 | jste | chcete | jíte | víte |
3인칭 복수 | jsou | chtějí | jedí | vědí |
8. 4. 어순
체코어는 문장에서 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데 문법적 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순이 유연하다.[51] 주어-동사-목적어(SVO)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어순이 유연하며 화제와 초점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52] 화제(주제)는 문장에서 초점(핵심) 앞에 온다. 이러한 이유로 체코어는 화제 중심 언어로 설명되기도 한다.[52]체코어에는 수동태 구문이 있지만, 구어체에서는 어순 변화가 수동태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Peter killed Paul"을 "Paul was killed by Peter"로 바꾸려면 주어와 목적어의 순서를 바꾼다. ''Petr zabil Pavla''("Peter killed Paul")는 "Paul, Peter killed"(''Pavla zabil Petr'')가 된다. ''Pavla''는 목적격이며, 동사의 문법적 목적어이다.[53]
문장 끝에 있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강조되지만, 억양이 문장이 의문문임을 나타내는 경우는 예외이다.[53]
- ''Pes jí bagetu.''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다(다른 것을 먹는 것이 아니라).
- ''Bagetu jí pes.''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다(다른 사람이 먹는 것이 아니라).
- ''Pes bagetu jí.''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다(다른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 ''Jí pes bagetu?'' – 개가 바게트를 먹습니까?(강조 모호)[53]
보헤미아( 프라하 포함) 일부 지역에서는 ''co''("무엇") 또는 ''kdo''("누구")와 같은 의문사가 없는 ''Jí pes bagetu?''와 같은 의문문은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천천히 상승하는 억양으로 발음되며, 마지막 단어나 구절에서 낮은 음으로 빠르게 떨어진다.[54]
9. 상호 이해 가능성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와 매우 유사하여 의사소통이 거의 가능하다. 모라비아 방언을 제외한 체코어는 슬로바키아어와 어느 정도 통한다.[125]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대부분의 성인들은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통해 두 언어를 일상적으로 접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성장한 세대들은 서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슬로바키아에서는 체코어 방송을 많이 내보내지만, 체코에서는 슬로바키아어를 접할 기회가 적어 젊은 세대들은 슬로바키아어를 이해하기 어려워한다. 2015년 연구에 따르면, 평균 연령 약 23세의 참가자들은 두 언어 간에 여전히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 가능성을 보였다.[125]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어휘는 80%가 다르지만, 이는 주로 다른 철자법과 형태론적 형성의 미세한 불일치 때문이다.[126] 슬로바키아어 형태론은 더 규칙적이다. 두 어휘는 일반적으로 유사하며, 대부분의 차이점은 구어체 어휘와 일부 과학 용어에서 발견된다.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보다 차용어가 약간 더 많다.[12]
19세기 학자들은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유사성 때문에 자신들을 "체코슬로바키아인"(''Čechoslované'')이라고 부르며 두 언어를 하나의 언어로 간주했다.[127] 제1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1918~1938) 기간 동안 "체코슬로바키아어"가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지만,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표준어가 모두 사용되었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어"는 두 언어의 즉흥적인 피진을 가리키게 되었다.[128]
참조
[1]
웹사이트
Full list
http://www.coe.int/e[...]
Council of Europe
[2]
간행물
Act of 6 January 2005 on national and ethnic minorities and on the regional languages
Ministry of Interior of Poland
[3]
웹사이트
IANA language subtag registry
https://www.iana.org[...]
2018-10-15
[4]
웹사이트
Czech languag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1-06
[5]
서적
A grammar of contemporary Polish
Slavica
[6]
서적
Zrození češtiny
Univerzita Karlova, Filozofická fakulta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웹사이트
Slovaks in Czechia – Czechs in Slovakia
http://homepages.uni[...]
University of Tübingen
2014-08-09
[13]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Springer
[14]
웹사이트
O jazyce Kralické bible
http://nase-rec.ujc.[...]
Czech Language Institute
2021-11-02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Eurobarometer
2012-06
[26]
웹사이트
Language knowledge in the European Union
http://languageknowl[...]
Language Knowledge
2012
[27]
웹사이트
Language Policy of Slovak Republic
https://web.archive.[...]
Annual of Language & Politics and Politics of Identity
[28]
웹사이트
Czech Language Programs and Czech as a Heritage Language in the United States
http://www.cal.org/h[...]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9]
웹사이트
Chapter 8: Language
https://www.census.g[...]
Census.gov
2000-01-01
[30]
웹사이트
Languages of the U.S.A
https://web.archive.[...]
U.S. English
[31]
논문
[32]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33]
논문
[34]
웹사이트
Psaní i – y po písmenu c
http://prirucka.ujc.[...]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웹사이트
Sound Patterns of Czech
https://fonetika.ff.[...]
2021-11-03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서적
Incorporating Corpora: The Linguist and the Translator
Multilingual Matters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웹사이트
SLOVOSLED NOMINÁLNÍ SKUPINY
https://www.czechenc[...]
2017-10-18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웹사이트
Gramatická terminologie ve vyučování – Terminologie a platonický svět gramatických idejí
http://www.dominiklu[...]
DominikLukeš.net
2014-08-05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웹사이트
FUTURUM (budoucí čas)
https://www.czechenc[...]
2019-08-18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in Europe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서적
Orthographies in Early Modern Europe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웹사이트
Členění čísel
http://prirucka.ujc.[...]
[100]
논문
[101]
논문
[102]
웹사이트
CZECH LITERATURE, 1774 TO 1918
http://users.ox.ac.u[...]
Oxford University
2012-10-25
[103]
논문
[104]
논문
[105]
웹사이트
HOVOROVÝ STYL
https://www.czechenc[...]
2019-08-21
[106]
논문
[107]
논문
[108]
웹사이트
The present-day situation of Czech
http://cat.inist.fr/[...]
Academy of Sciences of the Czech Republic
2014-08-10
[109]
저널
Problematyka czeszczyzny potocznej nieliterackiej (tzw. obecná čeština) na łamach czasopisma "Naše řeč" w latach dziewięćdziesiątych
http://www.bohemisty[...]
[110]
저널
Hovorová spisovná čeština
http://bohemistyka.p[...]
[111]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Springer
2008-00-00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저널
Literary Czech, Common Czech, and the Instrumental Plural
Slavica Publishers
2005-00-00
[117]
논문
[118]
웹사이트
Map of Czech Dialects
https://web.archive.[...]
Český statistický úřad (Czech Statistical Office)
2014-07-26
[119]
논문
[120]
뉴스
Sčítání lidu a moravská národnost. Přihlásíte se k ní?
https://kromerizsky.[...]
2021-09-30
[121]
웹사이트
Tab. 614b Obyvatelstvo podle věku, mateřského jazyka a pohlaví (Population by Age, Mother Tongue, and Gender)
http://vdb.czso.cz/s[...]
Český statistický úřad (Czech Statistical Office)
2014-07-26
[122]
논문
[123]
웹사이트
Otázka kodifikace spisovného moravského jazyka (The question of codifying a written Moravian language)
http://www.britskeli[...]
University of Tartu
2014-07-21
[124]
논문
[125]
저널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West and South Slavic languages
[126]
논문
[127]
논문
[128]
웹사이트
Closely-related languages in contact: Czech, Slovak, "Czechoslovak"
https://www.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2014-08-18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사전
robot (n.)
http://www.etymonlin[...]
2014-07-22
[135]
사전
polka (n.)
http://www.etymonlin[...]
2014-07-22
[136]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eb.archive.[...]
2022-01-07
[13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143]
웹사이트
Slovaks in Czechia – Czechs in Slovakia
http://homepages.uni[...]
University of Tübingen
2022-09-18
[144]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Springer
[145]
웹사이트
O jazyce Kralické bible
http://nase-rec.ujc.[...]
Czech Language Institute
2022-09-18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s://op.europa.eu[...]
Th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22-09-18
[157]
웹사이트
Language knowledge in the European Union
http://languageknowl[...]
Language Knowledge
2022-09-18
[158]
웹사이트
Language Policy of Slovak Republic
https://web.archive.[...]
Annual of Language & Politics and Politics of Identity
2022-09-18
[159]
웹사이트
ČESKÁ NÁŘEČNÍ SKUPINA Nový encyklopedický slovník češtiny
https://www-czechenc[...]
2024-06-29
[160]
논문
[161]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162]
논문
[163]
논문
[164]
논문
[165]
웹사이트
Sound Patterns of Czech
https://fonetika.ff.[...]
2021-11-03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