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 출신의 여행가이자 탐험가로, 아프리카 협회의 지원을 받아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을 탐험했다. 그는 아랍어를 배우고 무슬림으로 위장하여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요르단 등지를 여행하며 페트라 유적을 발견했다. 또한, 누비아와 아라비아를 탐험하며 메카 순례를 하기도 했으며, 흑사병과 노예 무역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부르크하르트의 탐험 기록은 사후 출판되어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유럽인의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동양학자 - 콘라트 게스너
    콘라트 게스너는 스위스의 박식가로서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 삽화가로 활동했으며, 서지학, 동물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르네상스 시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스위스의 탐험가 - 오귀스트 피카르
    오귀스트 피카르는 스위스의 물리학자, 발명가, 탐험가로, 기구를 이용한 성층권 탐험과 심해 탐험용 바티스카프 개발에 기여했으며, 그의 탐험 정신과 기술은 후대에 영향을 주어 만화 캐릭터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 스위스의 탐험가 -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스위스의 박물학자, 지질학자, 물리학자이자 알프스산맥 탐험가로서, 제네바 아카데미의 철학 교수였으며, 알프스산맥 탐험과 다양한 과학 기기 개발을 통해 지질학, 기상학,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아라비아 탐험가 - 거트루드 벨
    영국의 탐험가, 작가, 고고학자, 행정가였던 거트루드 벨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근대사를 전공하고 페르시아와 중동을 탐험하며 아랍어를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정보기관에서 활동하고 이라크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그녀의 삶은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 아라비아 탐험가 -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은 영국의 탐험가, 작가, 외교관으로, 인도 주둔군 장교, 메카 순례, 나일 강 발원지 탐험, 다양한 저술 활동을 거쳐 말년에는 『천일야화』 번역에 전념했으며, 성과 에로틱 문학에 대한 솔직한 묘사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
기본 정보
이름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
국적스위스
직업여행가, 지리학자, 동양학자
출생1784년 11월 24일
출생지스위스보주로잔
사망1817년 10월 15일
사망지이집트카이로

2. 생애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는 1784년 11월 24일 스위스 로잔에서 부르크하르트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다. 이 가문은 바젤의 부유한 실크 상인 가문이었다.[1][2] 라이프치히 대학교괴팅겐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806년 여름 영국으로 건너가 나이저강 탐험을 목적으로 하는 아프리카 협회에 취업했다.[2]

아프리카 협회의 탐험을 준비하기 위해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아랍어, 과학, 의학을 공부했다.[2] 1809년 영국을 떠나 시리아 알레포로 가서 아랍어와 이슬람 문화를 익혔으며, 자신의 신분을 숨기기 위해 셰이크 이브라힘 이븐 압달라라는 가명을 사용했다.[4][5] 알레포에서 2년 이상 무슬림으로 생활하며 공부한 후,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요르단 지역을 여행했다.[2]

1813년 1월, 카이로를 출발하여 나일강 상류의 상이집트누비아 지역으로 탐험을 떠났고, 같은 해 3월 아부 심벨에 있는 람세스 2세 대 신전의 모래에 파묻힌 유적을 발견했다.[2][1] 1814년 7월 18일, 홍해를 건너 제다에 도착한 후 메카로 가서 하지 의식을 수행했다.[8] 1815년 6월 24일, 아라비아를 떠나 시나이 반도를 거쳐 육로로 카이로에 도착했다.[1]

1815년 6월, 부르크하르트는 카이로로 돌아왔으나,[13] 1817년 4월에 이질에 걸려[13] 그 해 10월 15일에 사망했다.

2. 1. 유년기와 초기 여행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는 1784년 11월 24일 스위스 로잔에서 부유한 바젤의 실크 상인 가문인 부르크하르트 가문에서 태어났다.[1][2] 라이프치히 대학교괴팅겐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806년 여름 영국으로 건너가 나이저강 탐험을 목적으로 하는 아프리카 협회에 취업했다.[2]

탐험을 준비하기 위해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아랍어, 과학, 의학을 공부했다.[2] 이 시기에 아랍 복장을 착용하기 시작했으며, 1809년 영국을 떠나 시리아 알레포로 가서 아랍어와 이슬람 문화를 익혔다.[4] 시리아로 가는 길에 몰타에 들러 울리히 야스퍼 제텐에 대해 알게 되었다.[4] 시리아에서는 자신의 신분을 숨기기 위해 셰이크 이브라힘 이븐 압달라라는 가명을 사용했다.[5] 알레포에서 2년 이상 무슬림으로 생활하며 공부한 후,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요르단 지역을 여행했다.[2]

2. 2. 중동 탐험과 이슬람교

1809년, 부르크하르트는 아랍어와 이슬람 문화를 배우기 위해 시리아 알레포로 떠났다.[2] 가는 길에 몰타에 들러 울리히 야스퍼 제텐에 대해 알게 되었다.[4] 시리아에 도착한 후에는 '셰이크 이브라힘 이븐 압달라'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자신의 유럽 신분을 숨겼다.[5] 알레포에서 2년 이상 무슬림으로 살면서 공부한 그는 코란과 샤리아에 대한 깊은 지식을 쌓아 무슬림 사회에 의심받지 않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다고 느꼈다.[2] 그는 가난한 아랍인으로 위장하여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요르단 지역을 여행했다.[2]

2. 3. 페트라의 발견

아카바로 가는 더 위험한 내륙 노선을 따라 카이로로 가던 부르크하르트는 성경의 아론의 무덤 근처 좁은 계곡에 있는 고대 유적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되었다. 이 지역은 이전 로마의 아라비아 페트라였으며, 그는 몰타에서 들었던 유적이 이 유적이라고 믿게 되었다. 그는 안내자에게 무덤에서 염소를 제물로 바치고 싶다고 말했고, 1812년 8월 22일에 좁은 계곡을 지나가면서 현대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고대 나바테아 도시 페트라를 보게 되었다.[6]

부르크하르트는 와디 무사의 고대 유적에 대해 "나는 특히 그 나라 사람들이 매우 칭찬하는 고대 유적에 대해 들었던 와디 무사를 방문하고 싶었다... 나는 아론의 무덤으로 나를 안내할 가이드를 엘드지에서 고용했다... 나는 이전에 여행자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막 한가운데서 보호를 받지 못했다... 미래의 여행자들은 무장 세력의 보호를 받으며 그곳을 방문할 수 있을 것이고, 주민들은 낯선 사람들의 연구에 더 익숙해질 것이며, 와디 무사의 고대 유적은 고대 예술의 가장 흥미로운 유적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라고 기록했다.[6]

또한 "굴착된 영묘가 보였는데, 그 위치와 아름다움은 내가 묘사한 것과 같이 30분 가까이 어둡고 거의 지하 통로를 통과한 여행자에게 특별한 인상을 주기에 충분했다. 현지인들은 이 기념물을 카스르 파라운(Kaszr Faraoun), 즉 파라오의 성이라고 부르며, 왕자의 거주지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왕자의 무덤이었을 것이고, 그런 기념물을 통치자의 기억에 바칠 수 있었던 도시는 얼마나 부유했을까..."라고 덧붙였다.[6]

그는 렐란드의 "팔레스티나"에 인용된 저자들의 증언을 비교해 보며, "와디 무사의 유적이 고대 페트라의 유적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유세비우스가 아론의 무덤이 페트라 근처에서 발견되었다고 말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적어도 나는 내가 얻은 모든 정보로부터 확신하는데, 사해와 홍해의 경계 사이에는 그 도시에 해당할 만큼 중요성이 있는 다른 유적이 없다. 내가 아라비아 페트라의 수도 유적을 발견했는지 여부는 그리스 학자들의 결정에 맡긴다."라고 결론지었다.[6]

하지만 그는 보물 사냥을 하는 이교도로 정체가 드러날까 두려워 유적에 오래 머물거나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없었다. 유적의 이름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시리아로 가는 길에 들었던 페트라 유적이라고 추측할 수밖에 없었다.[6]

페트라에 있는 재무부 건물

2. 4. 누비아와 아라비아 탐험

1813년 1월, 부르크하르트는 카이로를 출발하여 나일강 상류의 상이집트누비아 지역으로 탐험을 떠났다. 그는 아프리카 문화에 대한 정보 수집이 서아프리카 여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2] 그는 나일강을 따라 당나귀를 타고 육로로 이동하며 현재 수단 지역인 동골라까지 가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나일강의 세 번째 급류 근처에서 적대적인 사람들에게 막혀 목표 지점에서 160km도 채 안 되는 곳에서 발길을 돌려야 했다. 북쪽으로 이동하던 중, 1813년 3월 부르크하르트는 아부 심벨에 있는 람세스 2세 대 신전의 모래에 파묻힌 유적을 발견했다.[1] 그는 신전 입구를 발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친구인 조반니 벨초니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벨초니는 1817년에 신전을 발굴했다.[1]

부르크하르트는 북쪽으로 에스메까지 여행을 계속했다. 그는 나중에 메로에의 피라미드 근처 셴디까지 여행하며 누비아를 더 탐험했다.[1] 여기서 그는 홍해로 이동하여 팀북투로 가는 길에 무슬림으로서의 자격을 높이기 위해 메카로 순례를 떠나기로 결심했다.[1]

이집트와 누비아를 여행하면서 부르크하르트는 아프리카의 노예 무역의 참상을 직접 목격했다. 그는 "나는 상인들이 주요 행위자였던 부끄러운 장면을 자주 목격했고, 그들은 단지 웃었다. 나는 10세가 넘은 노예 여성 중 처녀 상태로 이집트나 아라비아에 도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라고 기록했다.[7]

1814년 7월 18일, 홍해를 건너 제다에 도착한 부르크하르트는 이질에 걸렸다. 여기서 그는 무슬림으로서의 자격을 증명받고 메카로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유럽인에게는 생소한 다양한 하지 의식을 수행하며 메카에서 여러 달을 보냈다. 그는 도시와 지역 주민들의 태도와 문화에 대한 상세한 관찰을 기록했는데,[8] 이는 훗날 아프리카 탐험가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에게 귀중한 정보가 되었다. 그는 메디나로 짧은 여행을 갔다가 다시 이질에 걸려 3개월 동안 회복했다. 1815년 6월 24일, 부르크하르트는 아라비아를 떠나 시나이 반도를 거쳐 육로로 카이로에 도착했다.[1]

부르크하르트는 1812년부터 1816년 사이에 헤자즈와 이집트를 휩쓴 2차 흑사병을 목격했다. 그는 "내가 [얀부]에 도착한 지 5~6일 만에 사망률이 증가했고, 하루에 40~50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5,000~6,000명의 인구에서 끔찍한 사망률이었다."라고 기록했다.[9]

2. 5. 죽음

1815년 6월, 부르크하르트는 극심한 결핍과 고통을 견디며 지쳐 쓰러진 상태로 카이로로 돌아왔다.[13] 1816년 봄, 시나이산으로 여행했고, 그 해 6월 카이로로 돌아와 다시 페잔으로 향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 몇 가지 장애가 있었고, 마침내 오랫동안 꿈꿔왔던 사하라 횡단 대상이 출발을 준비하던 1817년 4월에 이질에 걸려[13] 그 해 10월 15일에 사망했다. 그는 평소 일기, 메모, 편지의 사본을 잉글랜드로 꼼꼼히 보냈기 때문에 잃어버린 자료는 거의 없었다. 그는 800권에 달하는 동양 고사본 수집품을 케임브리지 대학교 도서관에 기증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3. 유산

부르크하르트의 탐험 기록은 사후에 아프리카 협회에 의해 출판되어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기록은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유럽인의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페트라의 발견은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수집한 800여 권의 동양 고사본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도서관에 기증되어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부르크하르트의 삶은 2005년 BBC 다큐멘터리 드라마 '''이집트'''에서 다뤄지기도 했다.[1]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4. 비판적 평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비판적 평가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Literature of Travel and Explora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12
[2] 간행물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http://www.encyclope[...]
[3] 서적 Desert Traveller: The Life of Jean Louis Burckhardt Phoenix Press
[4]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Petra http://www.historyto[...] 2012-08
[5] 서적 The Decipherment of Hittite, Ancestral Voices: Decoding Ancient Languages Four Winds Press
[6] 웹사이트 Shaikh Burckhardt: Explorer https://www.saudiara[...] 1967-10
[7] 웹사이트 Travels in Nubia, by John Lewis Burckhardt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The Lure of Mecca http://www.aramcowor[...] 1974-12
[9] 문서 Travels in Arabia; comprehending an account of those territories in Hedjaz which the Mohammedans regard as sacred by Burckhardt, John Lewis, 1784-1817 https://www.scribd.c[...]
[10] 문서 Burckhardt, John Lewis
[11] 서적 Notes on the Bedouins and Wahábys https://books.google[...] H. Colburn and R. Bentley 1830
[12] 문서
[13] 문서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