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1740년 스위스 제네바 근처에서 태어난 스위스의 박물학자, 지질학자, 물리학자, 기상학자이다. 그는 알프스 산맥 탐험을 통해 지질학, 빙하학,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몽블랑 등반을 시도하고 여러 산과 고개를 탐험했다. 또한, 기상 현상 측정을 위한 다양한 기구를 발명 및 개선했으며, 《알프스산맥 탐험》을 저술했다. 소쉬르는 식물학에서 학명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약칭 Sauss.로, 사우수레아 속명으로, 달의 분화구 이름으로, 스위스 지폐 도안으로 그의 이름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지질학자 - 루이 아가시
루이 아가시는 스위스 태생의 미국 박물학자, 지질학자, 어류학자로, 어류 연구와 빙하 연구에 기여했으며, 미국에서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다원론적 견해와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스위스의 산악인 - 콘라트 게스너
콘라트 게스너는 스위스의 박식가로서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 삽화가로 활동했으며, 서지학, 동물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르네상스 시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스위스의 박물학자 - 샤를 보네
샤를 보네는 스위스 출신의 자연과학자이자 철학자로서 곤충, 식물,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처녀생식 연구와 샤를 보네 증후군 묘사로 알려져 있다. - 스위스의 박물학자 - 콘라트 게스너
콘라트 게스너는 스위스의 박식가로서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 삽화가로 활동했으며, 서지학, 동물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르네상스 시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40년 2월 17일 |
출생지 | 셰네부주리 |
사망일 | 1799년 1월 22일 |
사망지 | 제네바 |
국적 | 제네바 공화국 |
자녀 | 니콜라 테오도르 드 소쉬르 알베르틴 네케르 드 소쉬르 |
학문 분야 및 경력 | |
분야 | 식물학 기상학 지질학 물리학 |
직장 | 제네바 대학교 (1762–1786) |
학력 | 콩슈의 컬리지, "제네바 아카데미" (1762) |
지도 교수 | 알려진 정보 없음 |
학위 논문 제목 | 알려진 정보 없음 |
학위 논문 URL | 알려진 정보 없음 |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알려진 정보 없음 |
학문적 조언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업적 | |
알려진 업적 | 알피니즘 빙하학 풍력계 태양열 조리기 청색계 전위계 습도계 |
수상 | |
수상 내역 |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1784) 영국 왕립 학회 (1788) 파리 과학 아카데미 (1791) |
2. 생애와 경력
소쉬르는 1740년 제네바 인근 셴부제리에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1762년부터 1786년까지 제네바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형이상학 등을 가르치는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1760년 알브레히트 폰 할러를 위해 식물 표본을 수집하고자 샤모니 계곡을 여러 번 방문했으며,[36] 몽블랑산 정상에 최초로 오른 사람에게 보상을 제공하기도 했다.[37]
소쉬르는 식물학과 빙하에 관심을 가지고 알프스산맥 탐험을 시작했다.[38] 1767년 몽블랑산 여행을 통해 알프스산맥의 눈 덮인 지역을 지지학적으로 해석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열과 추위, 대기의 무게, 전기와 자기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최초의 전자계 중 하나를 고안했다. 에트나산 등 화산(1772~1773)과 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의 사화산을 연구했다.[39]
소쉬르는 자유주의적인 견해를 가졌으며, 1774년 제네바 대학교의 과학 교육 발전 계획을 제시했으나 실패했다. 1776년 런던 예술 개선 협회에서 영감을 받아 "예술 협회"를 설립하는 데 성공했다.[39]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1740년 2월 17일 제네바 인근 셴부제리에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35] 그의 아버지 니콜라 드 소쉬르는 농학자였다.[2] 어머니가 병약했기 때문에 소쉬르는 어머니의 여동생과 제네바의 박물학자인 샤를 보네 부부의 손에서 자랐으며, 샤를 보네는 소쉬르가 어린 시절부터 식물학에 관심을 가지도록 이끌었다.[8] 소쉬르는 1759년에 제네바 아카데미에서 열에 관한 논문으로 학업을 마쳤다.[36]2. 2. 알프스 탐험과 과학적 업적
알브레히트 폰 할러를 위해 식물 표본을 수집하면서 샤모니 계곡을 여러 번 방문했다.[3] 1760년에 몽블랑 정상에 오른 최초의 산악인에게 보상을 제공했다.[4] 소쉬르는 알프스산맥을 탐험하며 지질학, 빙하학,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1774년에는 미아제 빙하와 몽크라몽 산을 따라 쿠르마유르의 산악 가이드인 장로랑 조르다네와 함께 발베니(현재의 이탈리아) 쪽에 있는 몽블랑 정상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8] 소쉬르는 1776년에 뵈트산(3,096m)에 올랐고 1774년에는 크라몽을 등반했다. 1778년에는 그레이트 생 베르나르 고개 근처에 위치한 발소레이 빙하를 탐험했다. 1780년에는 몽 세니 고개 위에 위치한 로슈 미셸에 올랐다. 1785년에는 에귀 뒤 구테 루트를 통해 몽블랑 등반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786년에는 미셸가브리엘 파카르와 자크 발마가 그랑 뮐레를 거쳐 정상에 올랐고 1787년에는 소쉬르 자신이 3번째로 산을 올랐다.

기상 현상의 측정에 사로잡힌 소쉬르는 자기계,[41] 하늘의 푸르름을 추정하는 시안계,[41][42] 대기의 선명도를 판단하는 디아파노미터, 풍력계, 산악 시아노미터를 포함한 많은 종류의 장치를 발명하고 개선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소쉬르가 고안하여 대기 습도, 증발, 구름, 안개, 비에 대한 일련의 조사에 사용한 '''모발 습도계'''(''Essais sur l'Hygrométrie'', 1783년)였다.[41]
1788년에 소쉬르는 콜 뒤 제앙(3,371m)에서 17일 동안 기상 관측과 물리적 측정을 수행했다.
1789년에는 마쿠냐가 근처의 피초 비안코에 올라 몬테 로사의 동쪽 벽을 관찰했고, 최초의 여행자로서 테오둘 고개(3,322m)를 넘어 체르마트로 갔다. 그 기회에 그는 고개에서 클라인 마터호른(3,883m)까지 올랐다. 1792년, 그는 체르마트로 내려가지 않고 같은 고개에서 3일 동안 관측을 했고, 그 후 테오둘호른(3,472m)을 방문했다.

소쉬르는 7번의 알프스산맥 여행을 진행한 관찰과 실험을 4가지 부분으로 정리했고 이를 《알프스산맥 탐험》(Voyages dans les Alpes, 1779년 ~ 1796년)으로 출판했다.
2. 3. 과학 기구 발명
소쉬르는 기상 현상 측정에 몰두하여 자력계(magnetometer),[41] 하늘의 푸르름을 측정하는 시안미터(cyanometer),[41][42] 대기의 투명도를 판단하는 투과계(diaphanometer), 풍속계(anemometer), 산유디미터(eudiometer) 등 다양한 과학 기구를 발명하고 개량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대기 습도, 증발, 구름, 안개, 비에 대한 일련의 조사에 사용한 모발 습도계(hygrometer)(''Essais sur l'Hygrométrie'', 1783년)였다.[41] 이 기구는 장-앙드레 들뤽(Jean-André Deluc)이 고래 수염 습도계를 발명하면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3]1767년 소쉬르는 서양 최초로 알려진 태양로(solar oven)를 제작했는데,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3겹의 유리를 사용한 단열 상자가 가장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12] 최고 온도는 약 110.0°C였는데, 스위스 알프스의 몽크람몽(Mont Crammont) 정상에서 약 1478.89m 낮은 고도와 약 18.9°C 더 따뜻한 르 꼬르니에 평원으로 상자를 옮겨도 크게 변하지 않아 외부 공기 온도가 이 태양열 가열 효과에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13]
2. 3. 1. 소쉬르의 발명품 (갤러리)

기상 현상의 측정에 몰두한 소쉬르는 여러 장치를 발명하고 개선했다.
장치 | 설명 |
---|---|
자력계(magnetometer)[41] | |
시안미터(cyanometer)[41][42] | 하늘의 푸르름을 측정 |
투과계(diaphanometer) | 대기의 투명도를 판단 |
풍속계(anemometer) | |
산유디미터(eudiometer) | |
모발 습도계(hygrometer) | 대기 습도, 증발, 구름, 안개, 비에 대한 연구에 사용 ('Essais sur lHygrométrie'', 1783)[41] |
장-앙드레 들뤽(Jean-André Deluc)이 고래 수염 습도계를 발명하면서 소쉬르의 모발 습도계와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3]
2. 4. 자유주의적 견해와 사회 활동
소쉬르는 귀족 신분이었지만, 자유주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39] 1774년에 제네바 대학교의 과학 교육 발전 계획을 제시했지만 이 시도는 실패했다. 하지만 런던 예술 개선 협회에서 영감을 받아 1776년에 "예술 협회"를 설립하는 데에는 성공했다.[39]3. 과학적 의의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알프스 산맥을 지구 이론의 중요한 열쇠로 보고 지질학 연구에 매진했다. 그는 수성론을 지지했으며, 기상학적 조건의 연구를 중시했다. 암석, 침식, 화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구가 생각보다 오래되었다는 것을 인지했다.[45] 소쉬르는 특히 지질학자로서 영향력이 컸으며,[46] 근본 원리에 대한 그의 생각은 종종 틀렸지만 과학을 크게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소쉬르는 1784년에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788년에는 영국 런던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9] 1791년에는 프랑스 파리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0] 또한, 1767년에는 서양 최초의 태양열 온열기를 제작했다.[34]
3. 1. 지질학적 연구
소쉬르 연구의 중심은 알프스 산맥이었다. 알프스는 소쉬르가 지구에 대한 올바른 이론을 얻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여겼고, 지금까지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방법으로 지질학을 연구할 기회를 제공해주었다.[44] 특히 그곳의 지층의 경사, 암석의 성질, 화석, 광물에 주의를 기울였다. 소쉬르는 지질학(지오로지)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인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46], 대부분의 경우 지질학자라고 불러야 할 사람이었다. 이론적 측면에서 소쉬르의 생각은 현재의 시각에서는 많은 경우 틀렸지만, 이러한 과학을 크게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소쉬르는 당시 화학 지식을 철저하게 배우고, 광물, 물, 대기 연구에 적용했다.[36] 지질학적 관찰을 통해 소쉬르는 수성론을 강하게 믿게 되었다. 즉, 암석과 광물은 모두 수용액 또는 현탁액에서 침전된 것으로 간주했다. 또한, 기상 조건 연구를 특히 중시했다. 암석, 침식, 화석에 대한 소쉬르의 연구는 또한 지구가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래되었으며, 찰스 다윈의 진화론의 기초 일부를 형성한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45]
소쉬르는 기압계와 끓는점 온도계를 가장 높은 산 정상으로 가져가 고도의 차이에 따른 기압과 온도를 측정하고, 대기의 상대 습도, 태양 복사의 강도, 대기의 성분과 투명도를 추정했다. 이후, 응결된 수증기 연구에 이어 온도계를 가져갈 수 있는 모든 깊이의 지중 온도, 더 나아가 강, 빙하, 호수, 바다의 온도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소쉬르는 해발 고도가 높은 관측 지점에서 측정되는 기상 현상의 큰 이점을 인식하고, 가능할 때에는 항상 최대한 장기간, 서로 다른 고도에서 동시에 관측을 수행했다.
3. 2. 기상학적 연구
소쉬르는 기압계와 끓는점 온도계를 가장 높은 산 정상으로 가져가 고도의 차이에 따른 기압과 온도를 측정하고, 대기의 상대 습도, 태양 복사의 강도, 대기의 성분과 투명도를 추정했다.[45][15] 이후, 응결된 수증기 연구에 이어 온도계를 가져갈 수 있는 모든 깊이의 지중 온도, 더 나아가 강, 빙하, 호수, 바다의 온도에 대해 연구했다.[15] 또한 소쉬르는 해발 고도가 높은 관측 지점에서 측정되는 기상 현상의 큰 이점을 인식하고, 가능한 때에는 항상 최대한 장기간, 서로 다른 고도에서 동시에 관측을 수행했다.[15]고산이나 지중·수중 등에서 측정을 위해 소쉬르는 많은 측정 기기를 개량, 고안했다. 1783년에 출판된 『습도 측정법에 관한 시론』 (''Essai sur l'hygrométrie프랑스어'') 에서는, 모든 기후와 온도에서 다양한 형식의 습도계로 행해진 실험이 기록되어 있으며, 다른 습도계에 대한 그의 '''모발 습도계'''의 우위를 입증하고 있다.
'''시안계'''는 고도에 따라, 또한 시간과 기후에 따라 미묘하게 변화하는 하늘의 푸르름을 측정하기 위한 차트이며, '''디아파노메트르''' (diaphanomètre프랑스어)는 검은 원형이 식별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대기의 투명도를 측정했다.[33] 그 외에도, 자력계, 풍력계, 고산에서 사용하는 (eudiomètre프랑스어) 등을 개량했다.
소쉬르는 다양한 목적에 적용시키기 위해 온도계 개량도 했다. 대기 온도를 조사하기 위해, 햇빛 가리개 안에 매달거나, 실로 회전시킨 액체 저장조를 사용했다. 후자는, 액체 저장조에 젖은 스펀지를 넣어 일정한 반지름과 회전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증발계로 개량되었다. 지중이나 수중 온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위해, 한 번 측정한 온도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 큰 온도계를 비전도성 덮개로 감싸 매우 천천히 온도가 변화하도록 했다.[15] 이러한 측정 기기를 통해 소쉬르는 깊은 호수 바닥의 물이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한 차가운 온도를 가지는 것을 밝혀냈고, 또한 지중 9미터 깊이에 계절에 따른 열이 전달되는 데 6개월이 걸린다는 것을 나타냈다.[15]
4. 유산
식물학에서 학명을 표기할 때 사용되는 약칭 중 하나인 'Sauss.'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51] 취나물속의 학명인 *사우수레아*(*Saussurea*)는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와 그의 아들인 니콜라 테오도르 드 소쉬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2] 이탈리아 발레다오스타주 쿠르마유르에 있는 스카이웨이 몬테비앙코 케이블카의 첫 번째 역인 파비용 뒤 몽프레티에 위치한 사우수레아 알프스 식물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소쉬르는 광물학자로서의 업적도 인정받았다. 사장석 장석의 열수 변질 생성물로 형성되는 광물 집합체인 사우수리테(Saussurite)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3] 달의 충돌구 가운데 하나인 소쉬르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소쉬르의 초상화는 1979년부터 1995년까지 스위스에서 발행된 20프랑 지폐에 사용되었다.
4. 1. 소쉬르 가문
소쉬르 가문은 많은 학자를 배출했다.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의 아들 니콜라 테오도르 드 소쉬르는 식물학과 유기 화학 분야의 권위자였다.[54] 딸 알베르틴 네케르 드 소쉬르는 여성 교육의 선구자였다.[54] 증손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기호학자였다.[20][31][54]4. 2. 소쉬르를 기리는 것들 (갤러리)
참조
[1]
문서
At his birth Geneva was an independent republic, and at his death it was the capital of the French department of Léman
[2]
서적
Un père agronome: Nicolas de Saussure (1709-1791)" [An agronomist father: Nicolas de Saussure (1709-1791)]. In Sigrist, René (ed.) H.-B. de Saussure (1740-1799): un regard sur la terra [H.-B. de Saussure (1740-1799): A look at the Earth]
Bibliothèque d'Histoire des Sciences. Georg Editeur
2001
[3]
서적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Slatkine
[4]
서적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Slatkine
[5]
간행물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Forerunner in glaciology
1995
[6]
간행물
Saussure à la découverte de l'Italie (1772–1773)
Georg
2001
[7]
서적
Manuscrits et publications de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sur l'origine du basalte (1772–1797)
Editions Zoé
2000
[8]
서적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Slatkine
[9]
웹사이트
Les instruments scientifiques d'Horace-Benedict de Saussure.
https://www.persee.f[...]
2021-07-03
[10]
웹사이트
Classic Kit: Saussure's cyanometer
https://www.chemistr[...]
2021-07-03
[11]
간행물
Scientific standards in the 1780s: A controversy over hygrometers
Slatkine
2011
[12]
서적
Le capteur solaire de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Genèse d'une science empirique
https://independent.[...]
Passé-Présent / Jullien
1993
[13]
웹사이트
Horace de Saussure and his Hot Boxes of the 1700s
http://www.solarcook[...]
Solar Cooking Archive, Solar Cookers International (Sacramento, California)
2010-01-13
[14]
간행물
Forty years of thinking in front of the Alps: Saussure's (1796) unpublished theory of the Earth
1989
[15]
Youtube
Connections 2 with James Burke, Episode 4 Whodunit
https://www.youtube.[...]
[16]
간행물
H.-B. de Saussure: James Hutton's obsession
2000
[17]
웹사이트
Saussure, Horace Benedict de, 17 February 1740 – 22 January 1799
https://royalsociety[...]
List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660–2007
2016-11-13
[18]
웹사이트
Saussure (Horace, Bénédict de)
http://www.academie-[...]
Liste des membres depuis la création de l'Académie des sciences
2016-11-13
[19]
웹사이트
Albertine Amelie Boissier
https://www.geni.com[...]
2024-10-11
[20]
서적
Sauss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1]
문서
Candolle, A.P. de, in Annal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6:197–198
[22]
웹사이트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Euphotide and Saussurite
https://books.google[...]
2016-11-08
[23]
서적
On the Fourfold Root of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and on the Will in Nature, English translation by Mme. Karl Hillebrand
https://archive.org/[...]
George Bell and Sons
1903
[24]
백과사전
Horace Bénédict de Saussure Swiss physicist
https://www.britanni[...]
[25]
웹사이트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http://hypo.ge-dip.e[...]
2009-02-27
[26]
웹사이트
オラス・ベネディクト・ドゥ・ソシュール
http://www.swissworl[...]
2009-02-27
[27]
웹사이트
The first summitting
http://www.montblanc[...]
2009-02-27
[28]
문서
この四折り判の他、1780–1796年出版の八折り版8巻があり、科学的記述を除く部分は1834年に出版され以降しばしば の名を冠された。
[29]
웹사이트
Saussure, Horace Benedict de, 17 February 1740 – 22 January 1799
https://catalogues.r[...]
List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660–2007
2021-04-01
[30]
웹사이트
Saussure (Horace, Bénédict de)
http://www.academie-[...]
Liste des membres depuis la création de l'Académie des sciences
2021-04-01
[31]
웹사이트
L'origine des de Saussure
http://hypo.ge-dip.e[...]
2009-03-02
[32]
문서
vol i, 1779 収録の ''
[33]
서적
Sky in a Bottle
MIT Press
[34]
웹사이트
Horace-Benedict de Saussure and his Hot Boxes of the 1700s
http://solarcooking.[...]
2009-02-27
[35]
서적
Un père agronome: Nicolas de Saussure (1709-1791)" [An agronomist father: Nicolas de Saussure (1709-1791)]. In Sigrist, René (ed.) H.-B. de Saussure (1740-1799): un regard sur la terra [H.-B. de Saussure (1740-1799): A look at the Earth]
Bibliothèque d'Histoire des Sciences. Georg Editeur
2001
[36]
서적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éd. Slatkine
[37]
서적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éd. Slatkine
[38]
논문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Forerunner in glaciology"
[39]
간행물
"Saussure à la découverte de l'Italie (1772–1773)"
Geneva, Georg
[40]
서적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éd. Slatkine
[41]
저널
Les instruments scientifiques d'Horace-Benedict de Saussure.
https://www.persee.f[...]
2021-07-03
[42]
웹인용
Classic Kit: Saussure's cyanometer
https://www.chemistr[...]
2021-07-03
[43]
간행물
"Scientific standards in the 1780s: A controversy over hygrometers"
Geneva, Slatkine
[44]
논문
"Forty years of thinking in front of the Alps: Saussure's (1796) unpublished theory of the Earth"
[45]
Youtube
"Connections 2" with James Burke, Episode 4 "Whodunit"
https://www.youtube.[...]
[46]
논문
"H.-B. de Saussure: James Hutton's obsession»"
[47]
서적
'Le capteur solaire de Horace-Bénédict de Saussure. Genèse d'une science empirique'
https://independent.[...]
Genève, Passé-Présent / Jullien
[48]
웹인용
Horace de Saussure and his Hot Boxes of the 1700s
http://www.solarcook[...]
Solar Cooking Archive, Solar Cookers International (Sacramento, California)
2010-01-13
[49]
웹인용
Saussure, Horace Benedict de, 17 February 1740 – 22 January 1799
https://royalsociety[...]
List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660–2007
2016-11-13
[50]
웹인용
Saussure (Horace, Bénédict de)
http://www.academie-[...]
Liste des membres depuis la création de l'Académie des sciences
2016-11-13
[51]
웹인용
Sauss.
https://www.ipni.org[...]
[52]
간행물
[53]
저널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Euphotide and Saussurite
https://books.google[...]
2016-11-08
[54]
서적
Sauss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