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이저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저강은 기니의 푸타잘론 고원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르다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기니만으로 흘러드는 서아프리카의 주요 강이다. 나이저강은 총 4,180km 길이에 달하며, 말리, 니제르, 나이지리아 등 10개국에 걸쳐 유역을 형성한다. 주요 지류로는 바니강, 베누에강 등이 있으며, 나이저 삼각주를 이루며 기니만으로 흘러든다. 사하라 사막을 가로지르는 독특한 경로를 보이며, 내부 나이저 삼각주를 형성하여 어업과 농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이저강 유역은 다양한 기후대를 나타내며, 농업, 어업, 수력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막화, 환경 오염, 댐 건설 등으로 인해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니의 강 - 감비아강
    감비아강은 기니에서 발원하여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1,130km 길이의 강으로, 항해 가능한 구간이 있으며, 삼림과 사바나, 맹그로브 숲, 염습지 등을 지나고,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던 쿤타 킨테 섬이 하구 근처에 위치하며, 모래 채취로 인한 문제와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나이저강
지도
일반 정보
니아메의 니제르강 케네디 다리
2019년 초 니아메의 니제르강 케네디 다리
다른 이름졸리바 (Joliba)
젤리바 (Jeliba)
마요 발레에오 (Maayo Ɓaleewo)
에게레우 (Egerew)
이사 베리 (Issa Beri)
콰라 (Kwara)
토루 베니 (Toru Beni)
오야 (Ọya)
오시미리/오시밀리 (Óshimiri/ Oshimili)
이름 어원불명 (아마도 "큰 강"을 의미하는 베르베르어 'Gher' 또는 투아레그어 'n-igereouen'에서 유래)
위치서아프리카
흐르는 국가기니
말리
니제르
베냉
나이지리아
주요 도시템바코운다
바마코
팀북투
니아메
로코자
오니차
지리
길이4,200 km
너비 (로코자)1.24 km ~ 1.73 km
최대 깊이 (로코자)37 m
유역 면적2,117,700 km² ~ 2,273,946 km²
발원지기니 고원, 기니
발원지 좌표09°05′50″N 10°40′58″W
발원지 고도850 m
하구대서양, 기니 만, 나이지리아
하구 좌표5°19′20″N 6°28′9″E
하구 고도0 m
강 체계니제르강
왼쪽 지류틴키소 강
소코토 강
카두나 강
구라라 폭포
베누에 강
아남브라 강
오른쪽 지류니안단 강
밀로 강
산카라니 강
바니 강
벨리 강 (고루올)
시르바 강
메크루 강
알리보리 강
소타 강
올리 강
오라시 강
에스크라보스 강
와리 강
수문 정보
평균 방류량 (니제르 삼각주)(2010–2018): 270.5 km³/년 (270.5 km³/year)
(1971–2000): 7,922.3 m³/s
(6,925 m³/s ~ 250 km³/년)
최소 방류량1,200 m³/s
최대 방류량35,000 m³/s
평균 유량 (오니차, 1971-2000)6,470.8 m³/s
유량 (로코자)최소 (2000/06/01–2023/05/31): 1,864 m³/s
평균 (2000/06/01–2023/05/31): 6,696 m³/s
평균 (1971–2000): 5,754.7 m³/s
최대 (2000/06/01–2023/05/31): 21,800 m³/s
최대 (2022/10/04): 33,136 m³/s
유량 (니아메)최소 (2000/06/01–2023/05/31): 60 m³/s
평균 (2000/06/01–2023/05/31): 964 m³/s
평균 (1971–2000): 737.7 m³/s
최대 (2000/06/01–2023/05/31): 1,994 m³/s
평균 유량 (바마코, 1971-2000)1,091.7 m³/s

2. 지형

나이저 강은 기니의 푸타잘론 고원 동쪽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르다 말리의 타우사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니제르 서부를 지나 나이지리아로코자에서 남쪽으로 흘러 포트하커트 서쪽 기니만으로 이어진다.

나이저강 유역은 남쪽으로는 푸타잘론, 반포라 절벽, 요루바 구릉, 카메룬 고원 등과 경계를 이루지만, 북쪽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상류에는 마푸, 니안단, 밀로, 산카라니, 틴키소 강이, 중류에는 바니강이, 하류에는 카두나 강과 베누에강 등이 합류한다. 특히 베누에강은 카두나강보다 연간 배수량이 두 배 많다.

로코자에서 베누에강과 합류한 나이저 강은 폭 약 3.2km의 넓은 호수 모양을 이루며 섬과 사구가 흩어져 있다. 총면적 36000km2가 넘는 니제르 삼각주에서는 눈강, 브라스강, 솜브레이로강, 포르카도스강, 보니강 등으로 복잡하게 나뉜다.

우주에서 본 나이저강의 굽이치는 모습. 사헬과 사바나의 갈색을 가로지르는 녹색 아치를 형성하며, 왼쪽의 녹색 덩어리는 내부 나이저 삼각주, 맨 왼쪽에는 세네갈강의 지류가 보인다.


나이저강 데보호 중앙 섬의 진흙집


나이저 강은 나일강보다 퇴적물이 10분의 1 정도로 적어 비교적 깨끗하다. 이는 발원지가 실트가 거의 없는 고대 암석 지대이기 때문이다.[19] 나일강처럼 매년 범람하며, 9월에 시작해 11월에 최고조에 달하고 5월에 끝난다.[19] 내부 나이저 삼각주는 강의 경사가 급감하며 형성된 곳으로, 사행천, , 호수 등이 나타난다. 계절별 홍수로 어업과 농업에 매우 생산적이다.[19][20]

나이저강에서 카누를 가져오는 소년 (2022)


세구팀북투 사이 내부 삼각주에서 침투와 증발로 잠재 유량의 약 3분의 2를 잃는다. 모프티에서 유입되는 바니강 물로도 손실을 보충하기 어렵다. 평균 손실량은 연간 31km3 정도이나, 연도별 차이가 크다.[18] 이후 여러 지류와 합류하지만 증발로 더 많은 물을 잃는다. 1980년대 이전 나이지리아 유입량은 연간 25km3, 1980년대에는 13.5km3였다.

나이지리아 로코자에서 합류하는 베누에강은 가장 중요한 지류이다. 나이지리아 지류 총량은 나이지리아 유입량의 6배 이상이며, 강 어귀 근처 유량은 1980년대 이전 연간 177km3, 1980년대 147.3km3였다.[18]

나이저강 지도, 유역과 "내륙 삼각주" 표시


나이저강은 부메랑 모양의 특이한 경로를 따른다. 발원지는 대서양에서 240km 떨어져 있지만, 강은 사하라 사막으로 흘러 들어가 팀북투 근처에서 급격히 우회전하여 기니만으로 향한다. 이는 두 고대 강이 합쳐진 결과로, 상부 나이저강은 과거 팀북투 동북동쪽의 마른 호수로 흘러갔고, 하부 나이저강은 팀북투 남쪽에서 기니만으로 흘렀다. 하부 나이저강의 상류 침식으로 상부 나이저강이 하천 포획되었다.[19]

강의 북쪽 ''나이저 굽이''는 사막 지역의 주요 수원으로, 서부 사하라 횡단 무역 중심지이자 말리 제국, 가오 등 사헬 왕국 중심지였다. 나이저강 유역은 아프리카 대륙의 뚜렷한 지형 구획인 수단 주의 일부이다.

나이저강 유역은 서아프리카에 위치하며, 아프리카 대륙의 7.5%를 차지하고 10개국에 걸쳐 있다.

나이저강 유역: 국가별 면적 및 강수량[18]

국가유역 내 국가 면적평균 강수량 (mm)
(km2)(%)
알제리193,4498.520
베냉46,3842.01,055
부르키나파소76,6213.4655
카메룬89,2493.91,330
차드20,3390.9975
코트디부아르23,7701.01,466
기니96,8804.31,635
말리578,85025.5440
니제르564,21124.8280
나이지리아584,19325.71,185
나이저강 유역2,273,946100.0690



나이저강 수문 관측소[20][6][21][2]

관측소강 킬로미터 (rkm)고도 (m)유역 면적 (km2)다년간 평균 유량
연도 시작(m3/s)(km3)
나이저 삼각주002,273,94619147,922.3250
하류 나이저
오니차270142,240,01919146,470.8204
로코자480342,204,50019145,754.7182
바로600471,845,30019142,349.874
제바810731,751,00019701,457.346
카인지 댐9001001,711,30019701,153.936
중류 나이저
가야1,1201561,404,60019291,086.734
말란빌1,1301571,399,23819291,086.734
니아메1,420176791,1211929893.428
안송고1,770241647,5271949806.826
가오1,860245549,8761947875.628
팀북투2,460256382,4691975950.730
내부 삼각주
디레2,540257372,58819241,11335
몹티2,900261308,18619221,742.955
상류 나이저
케 마키나3,050271143,36119451,33042
세구3,200280132,83819451,344.542
쿨리코로3,440289119,02919071,35143
바마코3,500316114,80019071,371.243
시기리3,60033767,631196791929
쿠루사3,80035718,90019502327
파라나4,0404243,196195069.52



보마디의 나이저강

2. 1. 상류

기니의 푸타잘론 고원에서 발원하며, 북동쪽으로 흐르면서 Milo River|밀로강영어, Sankarani River|상카라니강영어, Tinkisso River|틴키소강영어 등 여러 지류와 합류한다. 시기리에서 Tinkisso River|틴키소강영어과 합쳐져 수량이 늘어나고, 시기리에서 50km 북동쪽의 말리 영내로 들어간다.

이 일대에는 National Park of Upper Niger|오-니제르 국립공원영어이 있으며, 담수 습지, 사바나 및 Afzelia africana|아프젤리아 아프리카나영어라는 마호가니 삼림이 많다. 강에는 멸종 위기 종인 해마목의 Giant sea catfish|label=''Arius gigas''|Arius gigas영어가 서식하고, 유역에는 세발가락기러기, 흰얼굴오리, 쇠백로, 중백로, African jacana|아프리카물총새영어 등의 물새가 서식한다. 틴키소강 부근에는 자이언트 일런드가 서식하고 있다.

니제르강 수원지[42], 마후강과의 합류점 부근[43], Niandan|니안단강영어과 밀로강 일대[44], 틴키소강과의 합류점 부근[45]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

2. 2. 중류

말리의 수도 바마코를 지나면서, 크리콜로에서부터 내부 나이저 삼각주를 형성한다. 이 삼각주는 세구, 모프티를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으로, 우기에는 54,000km2의 거대한 습원이 형성된다.[46] 이곳은 증발량이 많아 이전까지의 나이저강 유량의 3분의 2가 증발로 손실되지만, 비옥한 토양으로 농업과 어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프티에서는 코트디부아르 북부에서 흘러온 바니강(Bani River)을 합류하지만, 잃어버린 수량을 완전히 회복하지는 못한다.

삼각주를 빠져나와 팀북투의 외항인 카바라 (팀북투)(Kabara, Mali) 주변에서 강은 북동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가오 (도시)(Gao)의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말리의 바마코 부근에서 니제르니아메 부근까지의 나이저강은 북쪽으로 크게 굽이치고 있어 대만곡부라고도 불린다.

2. 3. 하류

니제르의 수도 니아메를 통과한 뒤 베냉과의 국경을 이룬다. 니제르 영내의 나이저강 본류 길이는 약 500km이다.[47][48]

나이지리아에 들어서면서 강은 고도를 낮추며, 이 과정에서 몇몇 급류가 나타난다. 나이지리아 서부에는 카인지 댐 건설로 인해 카인지호가 생겼다. 카인지 댐을 지나 하구로부터 900km 지점부터 흐름이 다시 완만해지고, 강수량도 크게 증가한다. 로코자에서 최대 지류인 베누에강과 합류하여 수량이 증가한다.[51]

하구 부근에서 거대한 니제르 삼각주를 형성하며, 여러 갈래로 나뉘어 기니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하구에서의 유량은 평균 5589m3/s[52], 최대 27600m3/s[53], 최소 500m3/s에 이른다.

3. 기후

나이저강 유역은 매우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삼각주 지역은 연간 강수량이 4060mm가 넘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감소하여 팀북투에서는 254mm 이하로 떨어진다. 이러한 기후 차이로 인해 강물의 정기적인 범람이 전 지역에서 동시에 발생하지는 않는다.[17]

서아프리카 사헬 지역에 속하는 나이저강 유역은 연중 매우 높은 기온을 보이는 더운 기후를 나타낸다. 10월부터 5월까지는 길고 강렬한 건기가 이어지고, 서아프리카 몬순의 영향으로 짧고 불규칙적인 우기가 나타난다.[17]

4. 생태

나이저 강 유역은 다양한 식생대를 포함한다. 서아프리카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식물지대, 즉 사초(莎草)식물지대, 사바나 초원지대, 가시 많은 관목과 아카시아 삼림지대, 강우림, 홍수림의 늪지대 등이 나타난다.[18]

나이저 강과 그 지류에는 메기류, 잉어, 나일파치류 등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며, 이는 지역 경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그 밖에도 하마, 악어, 도마뱀, 각종 조류 등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한다.[18]

유역 중앙부에서는 사막화가 진행되어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구에서 팀북투에 이르는 내륙 삼각주는 1980년대부터 건조화가 진행되어 면적이 대폭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벼 생산량이 급감하고, 소의 생산도 감소했으며, 하천 어업 역시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또한, 유역 어민들의 남획도 어업 자원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니제르강 중류 유역은 건조 지역 내 거대한 오아시스를 형성하고 있어 철새들의 월동지이기도 하다.

기니에 있는 에는 담수 습지, 사바나 및 라는 마호가니 삼림이 많고, 강에는 멸종 위기 종인 해마목의 가, 유역에는 세발가락기러기, 흰얼굴오리, 쇠백로, 중백로, 등의 물새, 부근에는 자이언트 일런드가 서식하고 있다. 니제르강 수원지[42], 마후강과의 합류점 부근[43], 과 일대[44], 과의 합류점 부근[45]은 람사르 조약 등록지이다.

5. 주민 분포

말리 중부와 나이지리아의 누페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지만, 그 외 지역은 전반적으로 인구 밀도가 희박하다. 강 유역에는 밤바라족, 말링케족, 송가이족, Zarma people|제르마족영어 등 여러 민족이 살고 있다.

니제르강 유역에는 다양한 민족들이 살고 있다.

지역주요 민족
상류 ~ 나이지리아 북부풀라니족(풀베족) (특히 기니 푸타잘론 산지에 많이 분포, 중류 지역과 나이지리아 북부에도 하우사족과 함께 거주)
말리 제국 유민마린케족, 소닝케족, 밤바라족 등 만딩고족(만데계) 민족
바마코 주변밤바라족
내륙 삼각주밤바라족, 풀라니족, 보조족, 소모노족 (보조족과 소모노족은 어업과 수운에 특화)
삼각주 하류투아레그족, 송가이족
니제르Zarma people|제르마족영어 (송가이족과 가까운 관계, 제르마송가이라고도 불림)
나이지리아하우사족 (남쪽으로 갈수록 다른 민족)
영국 식민지 시대북부(하우사족), 남부(요루바족), 동부(이보족) 경계 역할
기타Nupe people|누페족영어, Edo people|에도족영어
니제르 삼각주이조족


6. 역사

나이지리아에서 나이저 강을 따라 자라는 아프리카 쌀()의 모습. 이 작물은 강을 따라 처음으로 작물화되었다.


라벤나 지리학의 재구성, 프톨레마이오스 지도에 배치. 하단에 '''게르 강'''이 보인다.


1561년 서아프리카 지도. 세네갈강감비아강의 입구가 호수로 흘러들어가 "게르"/"나이저 강"을 공급하고, 다시 "나일 호수"와 나일강을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나이저 강 유역은 고대부터 인류 문명의 중심지였다. 약 5,500년 전 아프리카 습윤기가 끝나면서 사바나였던 현대 사하라 사막사막화를 겪었다. 식물 종이 급격히 감소하면서,[28] 인간은 가축을 위한 식물과 물고기를 포함한 풍부한 자원이 있는 비옥한 나이저 강 굽이 지역으로 이주했다.[29]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와 마찬가지로, 얌, 아프리카 쌀, 수수를 포함한 많은 식량 작물이 나이저 강 지역에서 작물화되었다.[30] 농업과 어업, 축산업으로 인해 현재 세계 유산인 제네-제노와 같은 내륙 삼각주 지역의 정착지가 생겨났다.[31]

사헬의 나이저 강 굽이 지역은 사하라 횡단 무역의 주요 기원이자 목적지였으며, 가나 제국,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과 같은 거대한 제국의 부를 촉진했다. 팀북투가오를 포함한 강을 따라 주요 무역 항구는 학습과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사하라 사막 내부를 다룬 고전적인 기록은 프톨레마이오스에서 시작되며, 그는 사막에 두 개의 강 "기르"(Γειρ)[32][33]와 "니기르"(Νιγειρ)[34][35]를 언급했다. 니-게르강은 추측일 가능성이 높지만, 이 이름은 지중해 "알려진 세계" 남쪽에 있는 강의 이름으로 굳어졌다. 플리니우스는 이 두 강을 하나의 긴 수로로 연결하여 나일강으로 흘러 들어간다고 생각했는데, 이 개념은 19세기까지 아랍과 유럽 세계에서 지속되었으며, "게르" 강으로 세네갈강을 더했다.

나이저 강의 실제 경로는 지역 주민들에게는 알려졌지만, 18세기 후반까지 외부 세계에는 미스터리였다. 나일강과의 연결은 이 강이 "에티오피아"의 가장 큰 강으로 알려졌고 나일강이 나이저 강처럼 매년 여름에 범람했기 때문이었다. 레오 아프리카누스이븐 바투타의 묘사를 통해서도 나이저 강과 나일 강을 연결하는 신화가 지속되었다.

강의 지도를 그리기 위한 많은 유럽 탐험이 실패했다. 1788년 영국에서는 아프리카 협회가 설립되었고, 1796년 6월 스코틀랜드 탐험가 망고 파크는 고대 이후 처음으로 강의 중간 부분을 본 유럽인이었다. 그는 1799년 ''아프리카 내륙 여행기''를 썼다.[37] 파크는 나이저 강과 콩고강이 같은 강이라는 이론을 제안했고, 1806년 이를 증명하려는 두 번째 탐험에서 사망했다.[38] 1830년 리처드 랜더와 그의 형제가 나이저 강의 흐름을 따라 바다로 간 최초의 유럽인이 되면서 나이저 강의 미스터리는 해결되었다.[38]

1946년, 프랑스인 3명은 강의 전체 길이를 여행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기니의 키시두구 근처 강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여행을 시작하여 처음에는 걸어서, 이후에는 뗏목, 그리고 다양한 지역 공예품을 이용해 이동했다. 그들 중 두 명은 1947년 3월 25일 해안에 도착했으며, 16mm 영화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며 두 편의 민족지학적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6. 1. 고대 ~ 중세

기원전 2000년경부터 사하라 사막의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니제르강 유역은 오아시스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고, 사막화되는 북부로부터 사람들이 모여 살게 되었다. 이 무렵부터 농경이 시작되었고, 이 지역에서는 글라베리마 벼(Oryza glaberrima영어)와 포니오, 기장, 수수, 테프 등이 재배되어[62], 세계 농경 문화의 기원지 중 하나가 되었다. 한편 하류 유역에서는 조스 고원에서 기원전 35세기경부터 노크 문화가 번성했다. 노크 문화는 토우토기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이페 왕국과 베닌 왕국의 조각 조형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원전 5세기경부터 제철이 시작되었으며, 이 기술은 반투족의 확산과 함께 전 아프리카로 퍼져나갔다.

3세기에는 북아프리카에서 낙타가 가축화되었고, 이를 통해 그동안 미미한 교류만 있었던 북아프리카와 니제르강 유역 사이에 교역로가 열렸다. 강수량의 관계상 낙타의 사용 한계는 니제르강 유역 북부까지였고, 그 이남에서는 당나귀를 역축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점, 그리고 를 이용한 교역 관계 때문에, 짐을 옮겨 싣는 장소로서 니제르강을 따라 교역 도시가 성립하게 되었다. 교역은 부를 창출했고, 마침내 8세기경부터 이 지역에는 사하라 교역과 농경을 경제 기반으로 한 왕국이 성립하게 된다.

11세기경 가나 왕국과 사하라 횡단 교역로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왕국은 790년경에 건국되어 쿰비 살레에 도읍을 둔 가나 왕국이다. 가나 왕국은 현재 모리타니 남부에서 니제르강 본류의 북쪽 기슭 주변까지를 영토로 삼았으며, 기니 고원의 과 사하라 중앙부에 있는 타가자의 소금 중계 교역으로 번성했다.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전래된 것도 이 시기이다. 가나 왕국은 1076년 무라비트 왕조성전에 의해 수도를 점령당해, 이후 쇠퇴의 길을 걸었다. 가나 왕국 쇠퇴 후, 이 지역은 소국들이 난립하는 시대를 맞았지만, 이윽고 1230년경 니제르강 상류의 니아니에 건국된 말리 제국이 세력을 뻗어 1235년에는 가나 왕국의 영토를 지배하에 두었고, 14세기에는 만사 무사 치세 아래 전성기를 맞았다. 말리 제국 시대에 이슬람교가 이 지역에 침투했고, 또한 왕국은 지배하에 둔 하항 도시 제네, 모프티, 팀북투에서 경제에 힘쓰고 학예를 보호했기 때문에, 팀북투는 이슬람 학예의 중심지가 되었다. 17세기에는 말리 제국이 쇠퇴했지만, 그 대신 동쪽의 가오에 도읍을 둔 송가이 제국이 힘을 얻어, 1468년에는 팀북투를 지배하에 두고 유역에 패권을 다퉜으며, 16세기 초두에는 아스키아 무함마드 1세 치세 하에 전성기를 맞았다. 그러나 1591년 모로코의 사디 왕조의 원정군에 의해 송가이 제국은 멸망했다.

6. 2. 근대 ~ 현대

1591년 모로코 사디 왕조의 침략으로 송가이 제국이 멸망한 후, 이 지역에는 유역을 통괄하는 거대 제국이 나타나지 않았다. 사디 왕조는 팀북투, 가오 등 주요 도시에 관리를 두고 통치했지만, 곧 본국 모로코에서 내란이 일어나 통치권은 유명무실해졌다. 주둔군의 모로코인들은 토착화되어 1833년까지 가오, 팀북투, 제네와 같은 중요 도시의 지배권을 쥐고 있었지만,[63] 유역 전체를 지배할 힘은 없었고, 그 외 지역에는 군소 국가들이 난립했다. 정정 불안과 대세력의 소멸은 교역 거점의 이동을 초래했고, 사하라 횡단 무역의 주요 경로는 동쪽의 하우사 제국이나, 더 동쪽의 카넴-보르누 제국으로 옮겨졌다.

1660년세구에 건국된 세구 왕국은 여러 차례 흥망을 거듭하며 내륙 삼각주의 최대 세력이 되었다. 밤바라 왕국은 이전의 내륙 삼각주 제국들과는 달리 이슬람교를 받아들이지 않고 독자적인 종교를 유지했다. 밤바라족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것은 19세기 풀라니의 성전 이후의 일이다.

이 무렵 하류 유역에서는 삼각주 주변에 15세기경 베닌 왕국이 번성했다. 베닌은 요루바 제국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오요 왕국으로부터 독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페를 중심으로 하는 성계 질서에 편입되어 있었다. 1483년 베닌에 포르투갈인이 내항했고, 이후 해안부는 유럽인에 의한 대서양 무역 시스템에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내륙부의 교역은 쇠퇴했고, 이는 니제르강 중류 유역의 대제국 소멸을 초래한 한 요인이 되었다. 이 지역에서 유출되는 상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노예였으며, 이 지역에서는 노예 사냥이 횡행하게 되었다. 베닌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쇠퇴해 갔다. 베닌의 동쪽에 거주하던 이보족들은 무두성 사회를 구축하고 있었고, 인구는 많았지만 왕국을 건설하지는 않았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유역의 목축민인 풀라니족이 성전을 선포하고 각지에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게 되었다. 최초의 풀라니 이슬람 국가는 1726년 푸타 잘론에 건설된 푸타 잘론 왕국(1725년 - 1896년)이다. 1804년에는 우스만 단 포디오가 지하드를 일으켰고, 1809년에는 하우사 제국을 타도하고 소코토 제국을 건국했다. 1818년에는 내륙 삼각주에 마시나 제국이, 1853년에는 투쿨로르 제국이 건국되었다.[64] 투쿨로르 제국은 1861년 밤바라 왕국을 타도했고, 1862년에는 마시나 왕국도 멸망시켜 상중류 유역을 지배하에 두었다. 그 후 내분으로 투쿨로르 제국은 쇠퇴했고, 1861년경 현재 기니 서부에 해당하는 상류 유역을 중심으로 사모리 투레에 의해 건국된 사모리 제국이 세력을 뻗어갔다.

그러나 이 무렵에는 이미 유럽 열강이 이 지역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19세기 말, 상중류 유역에는 프랑스가, 하류 유역에는 영국이 세력을 뻗어, 사모리 제국이나 투쿨로르 제국, 소코토 제국 등의 저항을 격파하고 이 지역을 식민지화했다. 1957년 상류 유역이 기니의 영토로 독립한 것을 시작으로, 1960년 하류 유역은 나이지리아, 중류 유역은 니제르말리의 영토로 독립했다.

7. 경제

나이저강은 유역 국가들의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농업, 어업, 수력 발전,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니제르강 유역은 공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지만, 건조 지역의 귀중한 수원이며 특히 말리니제르에서 농업에 매우 중요하다. 내부 나이저 삼각주에서는 가 주요 작물이며, 면화, 조, 수수도 유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또한 내수면 어업도 중요하며, 니제르강에서 잡히는 물고기는 특히 1960년대에 면화와 소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은 수출량을 가진 말리의 중요한 수출품 중 하나였다.

하구부의 니제르 델타에서는 석유가 대량 매장되어 있으며, 그 채굴을 위해 삼각주에는 무수한 유정이 굴착되어 나이지리아 경제를 지탱하고 있다. 한편 석유 회사와 지역 주민 사이에는 환경 및 경제 면에서 갈등이 끊이지 않아, 지역의 불안정 요인이 되고 있다.

로코자에 있는 나이저강의 평균, 최저 및 최대 유량(1946년 ~ 2023년)은 다음과 같다.[26][8][22][23][24]

수문 연도유량 (m3/s)수문 연도유량 (m3/s)
최저평균최고
1946/477884,82416,6001985/861,1104,60115,800
1947/481,0106,25821,0001986/871,2104,02711,400
1948/499156,42720,9001987/881,3903,84911,800
1949/508425,84919,2001988/891,0704,61515,100
1950/519354,75515,0001989/901,1105,58916,300
1951/521,2906,66220,4001990/911,7905,04514,800
1952/532,2605,67418,3001991/921,7706,38718,400
1953/541,8406,40518,5001992/931,9305,57015,300
1954/552,1307,73324,9001993/941,9494,90811,895
1955/562,4008,24724,6001994/951,9455,91520,418
1956/571,8705,39418,1001995/961,9456,28417,713
1957/581,4807,76923,6001996/972,1036,02019,914
1958/592,0204,82814,7001997/982,4065,67715,548
1959/601,5305,22818,3001998/992,3157,17523,491
1960/611,2506,70722,2001999/002,6187,65223,090
1961/629794,91215,5002000/012,1128,50432,080
1962/631,1507,10124,1002001/022,1575,33818,885
1963/641,7106,76420,5002002/032,0005,29717,012
1964/651,1606,12820,8002003/041,5926,22519,025
1965/661,3105,91418,6002004/052,1075,68316,098
1966/671,3206,54520,0002005/061,8014,84913,792
1967/689285,81219,7002006/071,7815,29119,389
1968/691,7206,55818,8002007/082,2276,76719,941
1969/701,6307,92723,5002008/091,5356,16120,426
1970/711,6406,22920,1002009/102,1017,63720,534
1971/721,2705,36017,6002010/112,1667,22521,272
1972/731,4104,48914,4002011/121,8355,73616,912
1973/748393,69812,2002012/131,7318,61231,692
1974/758325,27517,1002013/141,5465,78316,430
1975/761,3005,84819,6002014/151,5706,35219,664
1976/771,3205,13612,0002015/161,7536,05427,285
1977/781,3104,66215,5002016/172,5506,55520,613
1978/791,0805,63617,0002017/182,0586,78121,020
1979/801,2105,51017,8002018/192,0467,90025,612
1980/811,4005,21516,7002019/201,5948,75124,800
1981/821,3405,31218,4002020/212,1317,57028,082
1982/831,3304,27011,6002021/222,0215,91317,688
1983/848622,8779,1802022/231,9978,28833,136
1984/858623,0588,4902023/242,1077,49120,578



나이저강의 수자원은 관개를 위한 물 추출 증가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다. 나이저 유역 국가들의 만성적인 전력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이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이다.[40]

7. 1. 농업

나이저강 유역은 건조 지역에서 중요한 수자원 역할을 하며, 특히 말리니제르에서 농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세구팀북투 사이의 내부 나이저 삼각주는 가 주요 작물이며, 면화, 조, 수수 등도 많이 재배된다. 이 지역은 1960년대에 면화와 소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은 수출량을 기록할 정도로 내수면 어업도 활발했다.[46]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의 추정에 따르면, 나이저강 유역의 관개 가능 경작 면적은 280만 헥타르에 달하지만, 1980년대 말 기준 실제 관개 면적은 93만 헥타르에 불과했다. 특히 나이지리아말리는 관개 농업을 확대하고 있는데, 나이지리아는 168만 헥타르, 말리는 56만 헥타르의 관개 잠재 가능 면적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 관개 면적은 각각 67만 헥타르와 19만 헥타르였다.[68]

말리의 시카소주에 있는 세린게 댐은 수력 발전뿐만 아니라 관개 용수도 공급한다. 바마코 하류의 소츠바와 세구 하류의 마라카라에는 분류용 보가 설치되어 54,000헥타르에 관개 용수를 공급한다.[68]

7. 2. 어업

나이저 강은 내수면 어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기, 잉어, 나일파치 등 다양한 물고기가 서식하며, 지역 주민들의 식량 공급과 소득에 기여한다. 특히 1960년대에는 면화와 소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은 수출량을 기록할 정도로 말리의 중요한 수출품이었다.[18] 그러나 최근에는 지나친 어획과 환경 오염으로 인해 물고기 자원이 줄어들고 있다.

7. 3. 수력 발전

나이저강에는 여러 개의 댐이 건설되어 수력 발전에 활용되고 있다. 말리에는 상카라니강에 위치한 셀린게 댐이 있어 수력 발전과 관개에 사용된다.[18] 나이지리아에는 카인지 댐, 제바 수력 발전소가 있어 주로 수력 발전에 사용된다.[18]

나이저강 유역 국가들은 만성적인 전력 부족을 겪고 있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댐 건설이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이다.[40]

7. 4. 교통

나이저강은 강 길이가 길지만, 수운은 활발하지 않다. 상류와 중류 대부분이 스텝 기후사바나 기후에 속하여 우기건기가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이다. 건기에는 수량이 크게 줄어들어 선박 항행이 불가능하다.[75] 중류와 하류 사이에는 급류가 여러 곳 있어 선박 항행을 방해하고, 수운을 통한 원양과의 연결을 불가능하게 한다. 말리의 수도 바마코도 59km 하류의 크리코로 사이에 급류가 있어 연중 항행이 불가능하며, 두 도시는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역에는 교통 기반 시설이 잘 정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홍수기에는 배가 운항되어 유역의 중요한 교통 수단이 된다. 중류에서는 8월부터 12월경까지의 홍수기에 크리코로에서 가오까지 1308km 구간에 대형 선박이 항행할 수 있으며, 두 도시와 중간의 세구, 모프티, 제네, 팀북투의 외항인 카발라와 같은 도시들을 잇는 동맥이 되고 있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연간 화물 수송량은 16,000톤이었다. 또한, 홍수기에는 모프티에서 지류인 바니 강을 통해 산까지 224km를 항행하는 것이 가능하다.[75]

하류에서는 수량 문제가 상당히 완화되어, 하구에서 오니차까지는 선박이, 나이저강과 베누에강의 합류점인 로코자까지는 바지선으로 연중 항행이 가능하다. 홍수기에는 나이저강에서도 더 상류까지, 베누에 강에서는 카메룬 영내의 가루아까지 항행이 가능하다.

모프티 근교의 페리 (1990년)

8. 환경 문제 및 개발 계획

나이저강 유역은 사막화, 건설,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세구에서 팀북투에 이르는 내륙 삼각주는 1980년대부터 건조화가 진행되어 면적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벼 생산량이 급감하고, 소의 생산도 감소했으며, 하천 어업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18] 유역의 어민들이 근대적인 어구를 사용하면서 남획이 이루어져 어업 자원 감소의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니제르강 중류 유역은 건조 지역 내 거대한 오아시스를 형성하고 있어 철새들의 월동지이기도 하다.

나이저 강 유역 국가들은 니제르강 유역 기구(NBA)를 설립하여 수자원 관리 및 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NBA는 유역 전체의 30년 개발 계획과 5년의 중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신규 프로젝트 심사 및 승인 절차, 수자원 배분 틀, 수생태계 보전, 분쟁 해결 절차 등이 포함되어 있다.[40]

주요 프로젝트로는 말리의 타우사 댐 건설, 니제르의 칸다지 댐 건설, 나이지리아의 카인지 댐 및 제바 댐 개수 등이 있다. 칸다지 댐 건설 자금은 이슬람 개발 은행, 아프리카 개발 은행, 석유 수출국 기구 개발 기금의 원조로 조달되고 있다. 세계 은행은 2007년 5억 달러의 대출을 승인하여 유역 내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이 자금은 나이지리아, 기니, 베냉,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차드, 코트디부아르에 제공될 예정이다.[40]

2009년 9월, 나이지리아 정부는 360억나이지리아 나이라를 투입하여 바로에서 와리에 이르는 니제르강 구간의 토사를 제거하는 준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고립된 지역 사회를 대서양과 연결하여 상품 수송을 용이하게 하고 경제 발전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나이지리아 대통령 우마르 야라두아는 2020년까지 나이지리아가 20대 산업 국가에 진입하는 계획에서 니제르강의 연중 항행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일부 시민 운동가들은 이 계획이 유역 주민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반대했다. 2010년 3월, 이 계획은 50% 완료되었다.

9. 명칭

"니제르"라는 명칭은 원래 강의 중류 유역에만 적용되었던 이름이지만, 현재는 강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이 명칭의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지만, 투아레그족의 투아레그어 명칭인 "에게르 n-이게르완"(ⴴⵔⵓ ⵏ ⴴⵔⵓⵏtmh, 강들의 강)이 라틴어 단어 "niger"(검은)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61]

나이저 강은 유역의 여러 민족에게 고유한 이름으로 불린다. 19세기 중반 스코틀랜드의 탐험가는 이 강의 명칭에 대해 29개의 다른 이름을 기록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언어명칭의미
만딩어젤리바(ߖߋ߬ߟߌߓߊ߬man) 또는 졸리바(ߖߏ߬ߟߌߓߊ߬man)큰 강
투아레그어에게르 n-이게르완(ⴴⵔⵓ ⵏ ⴴⵔⵓⵏtmh)강들의 강
송가이어이사그 강
자르마어이사 베에리큰 강[13]


참조

[1] 웹사이트 niger {{!}} Origin and meaning of the name niger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1-04-26
[2] 서적 The Niger River Basin - A Vision for Sustainable Management https://econpapers.r[...] World Bank 2023-01-04
[3] 학술지 35-years decadal changes in platform morphology of the Niger and Benue confluence, West Africa https://www.authorea[...]
[4] 웹사이트 WWD Continents http://www.geol.lsu.[...] 2018-04-28
[5] 서적 Agricultural Engineering: An Introduction To Agricultur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NestFame Creations Pvt. Ltd. 2021-11-18
[6] 웹사이트 Niger https://www.riversne[...] 2024-04-01
[7] 웹사이트 A Study On The Hydrological Series Of The Niger River At Koulikoro, Niamey And Lokoja Stations https://web.archive.[...] 2018-04-28
[8] 웹사이트 Niger-Hycos http://nigerhycos.ab[...] 2023-01-02
[9] 웹사이트 The World's Water, 2000-2001: The Biennial Report on Freshwater https://archive.org/[...] Island Press
[10] 웹사이트 Niger River https://geography.na[...] 2021-04-26
[11] 백과사전 Niger River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
[12] 웹사이트 Rivers of the World: The Niger River https://www.radionet[...] 2002-12-04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iger Scarecrow Press 2012-06-01
[14] 백과사전
[15]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NIGEIR https://www.perseus.[...] 2024-04-01
[16] 서적 Timbuktu and the Songhay Empire: Al-Sadi's Tarikh al-Sudan down to 1613 and other contemporary documents Brill
[17] 웹사이트 Climate change, water and conflict in the Niger river basin https://www.internat[...] 2011-12-01
[18] 웹사이트 Irrigation potential in Africa: A basin approach, The Niger Basin http://www.fao.org/d[...] FAO 1997
[19] 서적 Physical Geography: A Landscape Appreciation Pearson, Prentice Hall
[20] 웹사이트 GRDC https://www.bafg.de/[...] 2023-01-11
[21] 웹사이트 Niger River https://www.britanni[...] 2023-06-14
[22] 웹사이트 Essai de segmentation des sèries annuelles des dèbits du Niger aux stations de Koulikoro, Niamey at Lokoja http://m2hh.metis.up[...]
[23] 웹사이트 AUTORITE DU BASSIN DU NIGER http://www.abn.ne/in[...]
[24] 웹사이트 BILAN HYDROLOGIQUE DU BASSIN DU NIGER ANNEE 2023/2024 https://web.archive.[...] 2024-09-17
[25] 서적 Water Accounting in the Niger River Basin https://doi.org/10.4[...]
[26] 웹사이트 Liste des stations avec des mesure de type Debit et du groupe NIGERIA https://nigerhycos.a[...]
[27] 웹사이트 FAO http://www.fao.org/ 2010-01-09
[28] 학술지 The Rise and Fall of African Rice Cultivation Revealed by Analysis of 246 New Genomes
[29] 학술지 Ceramic Traditions and Ethnicity in the Niger Bend, West Africa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Geneva
[30] 학술지 Yam genomics supports West Africa as a major cradle of crop domestication
[31] 학술지 Initial Perspectives on Prehistoric Subsistence in the Inland Niger Delta (Mail) 1979-10
[32] 서적 Geographia https://books.google[...]
[33] 서적 Geographia https://books.google[...] Sumptibus et typis Caroli Tauchnitii 1843
[34] 학술지 The Niger and the Classics: The History of a Name
[35] 학술지 The Garamantes and Trans-Saharan Enterprise in Classical Times
[3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Among the Greeks and Romans: From the Earliest Ages Till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J. Murray 1879
[37] 서적 The Strong Brown God: Story of the Niger River Houghton Mifflin 1991
[38] 서적 Mungo Park https://archive.org/[...] Oliphant, Anderson & Ferrier 1898
[39] 웹사이트 About Jean Rouch http://www.der.org/j[...] Documentary Education Resources 2010-01-27
[40] 뉴스 In the Niger Basin, Countries Collaborate on Hydropower, Irrigation and Improved Water Resource Management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7-09-20
[41] 웹사이트 Niger River http://www.geol.lsu.[...] 2010-10-22
[42] 웹사이트 Niger Source https://rsis.ramsar.[...] 2023-04-02
[43] 웹사이트 Niger-Mafou https://rsis.ramsar.[...] 2023-04-02
[44] 웹사이트 Niger-Niandan-Milo https://rsis.ramsar.[...] 2023-04-02
[45] 웹사이트 Niger-Tinkisso https://rsis.ramsar.[...] 2023-04-02
[46] 서적 ミリオーネ全世界事典 第11巻 アフリカII 学習研究社 1980-11-01
[47] 웹사이트 Parc national du W https://rsis.ramsar.[...] 2023-04-02
[48] 웹사이트 Site Ramsar du Complexe W https://rsis.ramsar.[...] 2023-04-02
[49] 웹사이트 Zone humide du moyen Niger https://rsis.ramsar.[...] 2023-04-02
[50] 웹사이트 Zone Humide du Moyen Niger II https://rsis.ramsar.[...] 2023-04-02
[51]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52] 웹사이트 Niger River http://www.geol.lsu.[...] 2010-10-22
[53] 웹사이트 niger river peak discharge https://webcache.goo[...] 2010-10-22
[54] 웹사이트 Foge Islands https://rsis.ramsar.[...] 2023-04-02
[55] 웹사이트 Lower Kaduna-Middle Niger Floodplain https://rsis.ramsar.[...] 2023-04-02
[56] 웹사이트 Upper Orashi Forests https://rsis.ramsar.[...] 2023-04-02
[57] 웹사이트 Apoi Creek Forests https://rsis.ramsar.[...] 2023-04-02
[58] 서적 Africa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1
[59] 간행물 週刊朝日百科世界の地理99 アフリカ西部諸国 朝日新聞社 1985-09-15
[60] 웹사이트 GRDC - Der Niger in Malanville http://www.grdc.sr.u[...]
[61] 웹사이트 Niger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etymonlin[...]
[62] 서적 ニジェールからナイルへ 農業起源の旅 講談社 1969
[63]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現代新書 2003-02-20
[64] 서적 新書アフリカ史 講談社現代新書 2003-02-20
[65] 서적 三大陸周遊記 角川書店 1961-06-28
[66] 간행물 週刊朝日百科世界の地理99 アフリカ西部諸国 朝日新聞社 1985-09-15
[67] 서적 世界の歴史6 黒い大陸の栄光と悲惨 講談社 1977-04-20
[68] 웹사이트 Irrigation potential in Africa: A basin approach, The Niger Basin http://www.fao.org/d[...] 国際連合食糧農業機関 1997
[69] 웹사이트 8th Summit of th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Final communique http://www.abn.ne/in[...] Niger Basin Authority (NBA), Executive Secretariat 2010-01-09
[70] 웹사이트 RSS Feed World Bank Sending $500 Million Funding for Niger Basin Development http://www1.voanews.[...] Voice of America 2007-07-04
[71] 웹사이트 Niger Basi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Sustainable Ecosystems Management Project http://web.worldbank[...] 2010-01-09
[72] 웹사이트 Nigeria begins vast river dredge http://news.bbc.co.u[...] BBC 2009-09-11
[73] 웹사이트 Yar'Adua Flags off Dredging of River Niger http://www.thisdayon[...] This Day Online 2009-09-11
[74] 웹사이트 N36bn River Niger dredging project 50% completed – FG http://www.punchonth[...] Punch on the web 2010-05-11
[75]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2 아프리카 朝倉書店 1998
[76] 웹사이트 http://www.geol.lsu.[...] 2010-10-22
[77] 웹사이트 http://webcache.goog[...] 2010-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