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넨라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넨라기아는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수각류 공룡으로, '새의 절반' 또는 '불완전한 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997년 페르난도 에밀리오 노바스와 파블로 푸에르타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두 종(Unenlagia comahuensis, Unenlagia paynemili)이 존재한다. 우넨라기아는 조류와 유사한 골반 구조와 어깨뼈를 가지고 있어, 팔을 높이 들어 올릴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학적으로는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거나 조류의 자매 분류군으로 여겨지며, 계통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호모 안테세소르
호모 안테세소르는 약 120만 년 전에서 80만 년 전 유럽에 살았던 호모 속의 멸종된 종으로, 스페인 아타푸에르카 산맥의 화석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단순한 석기 도구 사용, 동물 사냥, 식인 풍습 등의 특징을 보인다. - 199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약 250만 년 전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는 450cc 정도의 뇌 용적과 큰 어금니, 소구치를 가지며, 초기 도구 사용 흔적과 함께 발견되어 도구 사용과의 연관성이 제시되고, 종명은 아파르어로 "놀라움"을 뜻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기가노토사우루스
기가노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거대한 수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 인해 정확한 크기 추정은 어렵지만 가장 큰 육식 공룡 중 하나로 간주되며, 티라노사우루스와 크기 비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용반목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 용반목 - 스타우리코사우루스
스타우리코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브라질에서 살았던 2.1m 크기의 소형 이족보행 육식 공룡으로, 원시적인 골격 구조와 톱니 모양의 이빨을 지니며 헤레라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불완전한 화석 기록으로 용각류와 수각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테유와수 바베르네이*의 이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우넨라기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학명 | Unenlagia |
명명자 | Novas & Puerta, 1997 |
종 | U. comahuensis Novas & Puerta, 1997 (type) U. paynemili Calvo, Porfiri & Kellner, 2004 |
생물학적 분류 | |
아문 | 척추동물아문(Vertebrata) |
분류군 | 파충류(Reptilia) |
아강 | 쌍궁아강(Diapsida) |
하강 | 주룡형하강(Archosauromorpha) |
상목 | 공룡상목(Dinosauria) |
목 | 용반목(Saurischia)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하목 | 테타누라하목(Tetanurae) |
과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
아과 | 우넨라기아아과(Unenlagiinae) |
속 | 우넨라기아속 (Unenlagia) |
종 | |
종 목록 | U. comahuensis (모식종) U. paynemili |
시대 | |
생존 시기 | 백악기 후기 (~) |
2. 발견 및 명명
1996년 아르헨티나 네우켄 주에서 수각류의 골격이 시에라 델 포르테주엘로에서 발견되었고, 같은 해에 보고되었다.[1] 1997년 페르난도 에밀리오 노바스와 파블로 푸에르타는 ''우넨라기아 코마우엔시스''를 명명하고 설명했다. 속명은 마푸체어의 ''uñùm'' '새'와 ''llag'' '반'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기술자들이 이 종을 새와 더 기저적인 수각류 사이의 연결고리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종명은 발견된 지역인 코마우에를 지칭한다.[9]
모식표본인 '''MCF PVPH 78'''은 코니아크절로 연대가 측정되는 포르테주엘로 지층의 지층에서 발굴되었다. 이는 두개골은 없지만 척추, 천추, 늑골, 쉐브론, 견갑골, 상완골, 부분적 골반, 대퇴골 및 경골을 포함하는 부분적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9]
2002년 라고 바레알레스 근처에서 두 번째 골격이 발굴되어 2003년에 보고되었다.[2] 2004년 호르헤 O. 칼보, 후안 포르피리 및 알렉산더 켈너는 이를 두 번째 종인 ''우넨라기아 파이네밀리''로 명명하고 설명했다. 종명은 파이네밀 공동체의 족장인 막시미노 파이네밀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모식표본은 MUCPv-349로, 상완골과 두 개의 치골로 구성된 부분적 골격이다. 몇 개의 부모식표본도 지정되었다: MUCPv-343, 발톱; MUCPv-409, 부분적 장골; MUCPv-415, 지골 및 MUCPv-416, 척추.[3]
일부 연구자들은 ''네우켄랩터''가 ''우넨라기아''의 주관적 동의어라고 생각한다.[4]
2. 1. 종 목록
페르난도 에밀리오 노바스와 파블로 푸에르타는 1997년에 ''우넨라기아 코마우엔시스''(Unenlagia comahuensis)를 명명하고 설명했다. 속명은 마푸체어의 ''uñùm'' '새'와 ''llag'' '반'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기술자들이 이 종을 새와 더 기저적인 수각류 사이의 연결고리로 간주했기 때문이다.[9] 종명은 발견된 지역인 코마우에를 지칭한다.[9] 모식표본인 '''MCF PVPH 78'''은 포르테주엘로 지층에서 발굴되었으며, 두개골은 없지만 척추, 천추, 늑골, 쉐브론, 견갑골, 상완골, 부분적 골반, 대퇴골 및 경골을 포함하는 부분적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9]2004년 호르헤 O. 칼보, 후안 포르피리 및 알렉산더 켈너는 두 번째 종인 ''우넨라기아 파이네밀리''(U. paynemili)를 명명하고 설명했다. 종명은 파이네밀 공동체의 족장인 막시미노 파이네밀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모식표본은 MUCPv-349로, 상완골과 두 개의 치골로 구성된 부분적 골격이다. 몇 개의 부모식표본도 지정되었다: MUCPv-343(발톱), MUCPv-409(부분적 장골), MUCPv-415(지골), MUCPv-416(척추).[3]
일부 연구자들은 ''네우켄랩터''가 ''우넨라기아''의 주관적 동의어라고 생각한다.[4]
3. 특징
우넨라기아의 몸길이는 다리 길이만 잘 알려져 있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몸길이를 추정해야 하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비율을 사용할지, 아니면 다리가 긴 기저 조류의 비율을 사용할지에 따라 추정치가 달라진다.[9] 따라서 추정치는 2~3.5 미터, 몸무게는 9.1~95 kg까지 다양하다.[5][6][7][8] 머리 형태는 짧은 주둥이를 가진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형태에서 부이트레랍토르, 아우스트로랍토르와 같이 길쭉한 모양으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바스와 푸에르타는 우넨라기아의 골반 부위, 특히 장골의 형태가 초기 조류인 시조새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9] 우넨라기아의 어깨띠는 원래 날갯짓에 적응된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갈비뼈 위에 평평한 어깨뼈가 위치하여 어깨 관절이 더 측면을 향하게 했다.[9] 그러나 2002년 케네스 카펜터는 이것이 어깨뼈가 다른 수각류와 달리 측면이 아닌 배쪽으로 평평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어깨뼈가 갈비뼈 측면에 위치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10] 이는 우넨라기아와 같은 비조류 수각류가 심지어 가장 기초적인 조류인 시조새의 경우에도 앞다리를 등 위로 들어 올릴 수 없었다는 필립 센터의 후기 가설과 일치했다.[11] 하지만 남아메리카 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으며, 측면에 위치한 어깨뼈는 우넨라기아의 까마귀뼈가 갈비뼈 안으로 튀어나오게 할 것이며, 이는 해부학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고 반박했다.[6]
학명은 현지 언어로 "새의 절반" 또는 "불완전한 새"를 의미한다. 이른바 공룡과 시조새의 중간에 해당하는 동물이라고도 한다. 견갑골에 존재하는 상완골을 관절하는 움푹 파인 부분이 다른 계통의 공룡에서는 아래를 향하는 데 반해, 본종에서는 바깥쪽을 향하는 것이 화석에서 판명되었다. 이 특징은 본종이 다른 계통의 공룡보다 팔을 높이 들어 올리는 행위가 가능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나아가 조류의 "날갯짓"으로 발달한 것으로 추측된다. 단, 본종에 관해서는 몸집이 커서 진정한 비행은 물론, 활공도 어려웠을 것이다. 아마 질주할 때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팔을 벌렸을 것으로 생각된다.
4. 분류
노바스와 푸에르타는 최초의 설명에서 ''우넨라기아''를 조류의 자매 분류군으로 간주했는데, 이는 가우티에 1986의 ''센수''에서 조류강의 기저 구성원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1999년 마크 노렐과 피터 마코비키는 ''우넨라기아''가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구성원이라고 주장했다.[12][13] ''우넨라기아''는 극도로 조류와 유사한 곤드와나의 분지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며, ''부이테라프토르''와 ''네우켄랍토르''(''우넨라기아''와 동일 종일 수 있음)와 같은 종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마코비키 외. 2005년에는 '나는 랩터' ''라호나비스'' 또한 이 그룹의 구성원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우넨라기아''가 나는 ''라호나비스''와 같은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이차적으로 비행 능력을 상실했거나, 조류와 같은 비행이 최소한 두 번 진화했음을 의미한다.[14] 노렐 외. 2006년에는 또한 ''라호나비스''가 ''우넨라기아''의 자매 분류군임을 발견했다.[15]
이 위치는 만장일치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2011년 노바스와 페데리코 아뇰린은 우넨라기아과가 조류강 내에 위치하는 연구를 발표했다.[16]
하트만 외. 2019년에 수행된 분지도에서는 ''우넨라기아''는 ''다코타랍토르''와 함께 더 파생된 구성원으로 나타났다.[17]
모타 외. 2020에서 가져온 분지도에서는 ''우넨라기아''가 전통적인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보다 더 파생된 것으로 나타났다.[18]
4. 1. 계통
노바스와 푸에르타는 최초의 설명에서 ''우넨라기아''를 조류의 자매 분류군으로 간주했는데, 이는 가우티에 1986의 ''센수''에서 조류강의 기저 구성원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1999년 마크 노렐과 피터 마코비키는 ''우넨라기아''가 드라메오사우루스과의 구성원이라고 주장했다.[12][13] ''우넨라기아''는 극도로 조류와 유사한 곤드와나의 분지 드라메오사우루스과에 속하며, ''부이테라프토르''와 ''네우켄랍토르''(''우넨라기아''와 동일 종일 수 있음)와 같은 종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마코비키 외. 2005년에는 '나는 랩터' ''라호나비스'' 또한 이 그룹의 구성원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우넨라기아''가 나는 ''라호나비스''와 같은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이차적으로 비행 능력을 상실했거나, 조류와 같은 비행이 최소한 두 번 진화했음을 의미한다.[14] 노렐 외. 2006년에는 또한 ''라호나비스''가 ''우넨라기아''의 자매 분류군임을 발견했다.[15]이 위치는 만장일치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2011년 노바스와 페데리코 아뇰린은 우넨라기아과가 조류강 내에 위치하는 연구를 발표했다.[16]
하트만 외. 2019년에 수행된 분지도에서는 ''우넨라기아''는 ''다코타랍토르''와 함께 더 파생된 구성원으로 나타났다.[17]
모타 외. 2020에서 가져온 분지도에서는 ''우넨라기아''가 전통적인 드라메오사우루스과보다 더 파생된 것으로 나타났다.[18]
5. 고생물학
우넨라기아의 학명은 현지 언어로 "새의 절반" 또는 "불완전한 새"를 의미하며, 시조새와 공룡의 중간에 해당하는 동물로 여겨진다. 견갑골에 있는 상완골 관절와(움푹 파인 부분)는 다른 수각류 공룡과 달리 바깥쪽을 향하고 있어, 팔을 높이 들어 올리는 동작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류의 "날갯짓"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우넨라기아는 몸집이 커서 비행이나 활공은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 질주 시 몸의 균형을 잡는 데 팔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논문
New theropod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1996
[2]
간행물
A close relative of ''Unenlagia comahuensis'' (Theropoda, Maniraptor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Neuquén, Patagonia, Argentina
2003
[3]
논문
On a new maniraptoran dinosaur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Neuquén, Patagonia, Argentina
[4]
논문
A small derived theropod from Öösh, Early Cretaceous, Baykhangor Mongolia
2007
[5]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6]
논문
Unenlagiinae revisited: Dromaeosaurid theropods from South America
https://www.research[...]
[7]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www.geol.umd[...]
Random House
2007
[8]
논문
A bizarre Cretaceous theropod dinosaur from Patagonia and the evolution of Gondwanan dromaeosaurids
[9]
논문
New evidence concerning avian origin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10]
간행물
Forelimb biomechanics of nonavian theropod dinosaurs in predation
2002
[11]
간행물
Scapular orientation in theropods and basal birds, and the origin of flapping flight.
http://www.app.pan.p[...]
2006
[12]
논문
Important features of the dromaeosaur skeleton II: information from newly collected specimens of ''Velociraptor mongoliensis''
[13]
서적
Dromaeosaurida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004
[14]
논문
The earliest dromaeosaurid theropod from South America
[15]
논문
A new dromaeosaurid theropod from Ukhaa Tolgod (Omnogov, Mongolia)
https://www.biodiver[...]
[16]
논문
Unenlagiid theropods: are they members of the Dromaeosauridae (Theropoda, Maniraptora)?
[17]
논문
A new paravian dinosaur from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supports a late acquisition of avian flight
2019
[18]
논문
New the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sheds light on the paravian radiation in Gondwana
[19]
서적
한 권으로 끝내는 공룡
Gbrain
2013-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