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쉐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쉐첸은 상하이 출신으로 193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을 역임한 중국의 정치인이다. 그는 신민주주의청년단에서 활동했으며, 외교부 부부장과 외교부장을 거쳐 외교 담당 부총리를 지냈다. 1982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응했으며, 1990년 아키히토 일왕 즉위식에 중국 정부 대표로 참석했다. 1993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지냈으며, 1998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그는 중국 외교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예젠잉
    예젠잉은 중국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말기에 태어나 중국공산당 입당 후 여러 봉기에 참여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화난 지역에서 세력을 구축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 신중한 처신으로 자리를 유지하다 사인방 체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덩샤오핑의 복귀와 개혁개방 정책 추진에 기여했다.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박시창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한 군인 박시창은 박은식의 양자이며, 황포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 국민혁명군에 참여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에 참여 및 한국 전쟁에도 참전, 광복회 회장을 역임하며 독립유공자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장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장 - 리자오싱
    리자오싱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장을 역임했으며, 주미 대사, 유엔 대사 등을 지내며 이라크 전쟁, 북한 핵 문제 등 국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40여 년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시인 외교관"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직설적인 화법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리바오둥
    리바오둥은 베이징 출신의 중국 외교관으로, 다양한 외교 직책을 거쳐 잠비아 대사, 유엔 제네바 사무소 대표, 유엔 주재 중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하며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우쉐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5년의 우쉐첸
1985년의 우쉐첸
원어 이름중국어 간체: 吴学谦
중국어 번체: 吳學謙
영어: Wu Xueqian
직책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임기 시작: 1993년 3월 27일
임기 종료: 1998년 3월 13일
주석: 리 루이환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임기 시작: 1988년 3월 25일
임기 종료: 1993년 3월 5일
총리: 리펑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장대수: 6대
임기 시작: 1982년 11월 19일
임기 종료: 1988년 4월 12일
총리: 자오쯔양
전임자: 황화
후임자: 첸치천
개인 정보
출생일1921년 12월 19일
출생지상하이 시
사망일2008년 4월 4일
사망지베이징 시
배우자비링 (畢玲)
자녀1명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학력
출신 학교지난 대학 외문학부 (중퇴)

2. 이력

우쉐첸은 지난대학교 외국어학부를 중퇴했다.[1] 1974년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국장으로 복직했으며, 1978년 외교부 부부장, 1982년 4월 외교부 제1부장을 역임했다.[2] 1982년 8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처했고, 그해 11월 외교부장에 취임했다.[1] 1980년대 초 외교부장 신분으로 영국과 홍콩 주권 반환 협상을 벌였다. 1983년 6월 국무위원을 겸임하였고, 1988년 외교부장에서 물러나 외교 담당 부총리로 승진하였다.[1] 1990년 11월 중국 정부 대표로 아키히토의 즉위의 예에 참석했다. 1993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과 국제교류협회 회장을 지냈다.

당내에서는 제12기 및 제13기 중국 공산당 중앙 위원회 중앙 위원을 역임했다. 12기 5중전회와 제13기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청년 활동

상하이에서 태어나 1939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다.[1] 지난대학교 외국어학부를 중퇴하고, 상하이에서 중국 공산당 지하 활동에 참여했으며, 한동안 상하이 학생위원회의 부서기이자 서기 대리를 역임했다.[1]

1949년 6월, 중국 전국 민주 청년 연합회의 대표로 세계 민주 청년 연맹에 파견되어 프라하로 갔다.[2]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에는 상하이에서 첸치천 등과 함께 학생운동을 지도하였다. 1949년부터 신민주주의청년단(현재의 중국공산주의청년단) 중앙국제연락부 부부장, 부장을 지냈다.[2] 1958년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국장이 되었으나 문화대혁명으로 실각해 외교부 57간부학교에 하방됐다가 1974년에 복직했다.[2]

2. 2.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경력

상하이에서 태어나 1939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다.[1]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에는 상하이에서 첸치천 등과 함께 학생운동을 지도하였다.[1] 1949년부터 신민주주의청년단(현재의 중국공산주의청년단) 중앙국제연락부 부부장, 부장을 지냈다. 1958년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국장이 되었으나 문화대혁명으로 실각해 외교부 57간부학교에 하방됐다가 1974년에 복직했다.[2]

2. 3. 외교 분야 경력

1978년 외교부 부부장, 1982년 4월 외교부 제1부장에 임명되었다.[2] 1982년 8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처하였고, 그해 11월 외교부장에 취임하였다.[1] 1980년대 초 외교부장 신분으로 영국과 홍콩 주권 반환 협상을 벌였다. 1983년 6월 국무위원을 겸임하였고, 1988년 외교부장에서 물러나 외교 담당 부총리로 승진하였다.[1] 1990년 11월 중국 정부 대표로 아키히토의 즉위의 예에 참석했다.

2. 4. 정계 은퇴

1998년 3월 정협 부주석에서 물러나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2008년 4월 4일 베이징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3. 정치적 입장

우쉐첸은 중국 외교가의 대부로 불리며, 중국이 오랜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데 힘썼다. 그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 당시 리펑 전 총리의 강경 진압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한국과의 관계

우쉐첸은 외교 담당 부총리로 재임하던 1991년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과 1992년 한중수교 과정에서 한국의 입장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994년 4월에는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신분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당시 김영삼 대통령과 면담을 가졌다.[1] 그는 중국통인 이세기 한중친선협회장과 오랜 친분을 유지했다.[1]

5. 중국 공산당 내 직책

193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 젊은 시절, 상하이에서 중국 공산당 지하 활동에 참여했으며, 한동안 상하이 학생위원회의 부서기이자 서기 대리를 역임했다.[1] 1958년 중국 공산당 중앙 대외 연락부 국장이 되었다. 문화 대혁명으로 실각하여 외교부 오칠간부학교로 하방되었으나, 1974년에 같은 직책으로 복귀했다. 제12기 및 제13기 중국 공산당 중앙 위원회 중앙 위원을 역임했다. 12기 5중전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제13기에서도 중앙 정치국 위원이었다. 1987년부터 1992년까지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정치국 위원이었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3-09-18
[2] 웹사이트 Wu Xueqian http://www.fmprc.gov[...] 2023-09-18
[3] 뉴스 Former Chinese vice-premier Wu Xueqian dies at 87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8-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