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박시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박시창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을 지낸 박은식의 양자이다. 1903년 경기도 시흥에서 태어나 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사민보 발행에 관여했고, 중국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일 전쟁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광복군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육군에서 복무하며 제16연대장, 제1군단 부군단장 등을 역임했다. 예편 후 광복회 회장을 지냈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1986년 사망했으며, 2007년 국가보훈처는 그를 9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병참감 - 박경원 (1923년)
    박경원(1923년)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소위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장과 중장을 역임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체신부 장관, 교통부 장관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병참감 - 이효 (1912년)
    이효는 만주국에서 한국독립군과 광복군으로 활동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 한국독립당과 민주공화당에서 정치인으로, 대한체육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예젠잉
    예젠잉은 중국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말기에 태어나 중국공산당 입당 후 여러 봉기에 참여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화난 지역에서 세력을 구축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 신중한 처신으로 자리를 유지하다 사인방 체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덩샤오핑의 복귀와 개혁개방 정책 추진에 기여했다.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우쉐첸
    우쉐첸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 부부장, 외교부장, 국무위원, 외교 담당 부총리 등을 역임하며 중국 외교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고, 홍콩 주권 반환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적극적인 역할을 한 지한파이다.
  • 한국계 중국 군인 - 유진동
    유진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상하이 동제대학 의과대학에서 한인학우회 활동을 하고 김구의 주치의를 맡았으며, 한국 광복군 군의처장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2007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한국계 중국 군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박시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박(朴)
본관밀양(密陽)
출생지경기도시흥군
사망지서울특별시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193호
개인 정보
이름박시창
로마자 표기Bak Si-chang
출생1903년11월 5일
배우자최윤신
자녀슬하 2남 4녀
장남박유철(사회기관단체인)
양부박은식
양모연안 차씨 부인
생부박해겸
생모경주 김씨 부인
친가 서모연안 이씨 첩실, 금성 라씨 첩실
형제양누이 3명(막내 양누나 박영애), 양형 2명, 친가 친형 2명, 친가 친누이 2명, 친가 이복 여동생 3명
친인척박용호(양조부), 노씨 부인(양조모), 윤철선(양매형), 양준자(자부), 양효손(사돈), 양준일(사돈), 양기탁(사돈)
경력
정당한국독립당 당무위원, 한국독립당 전임고문 겸 최고위원
기타광복회 회장
군사 경력
소속국민혁명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최종 계급 (중국군)상교
최종 계급 (한국군)소장
군 복무1924년 2월 29일 ~ 1959년 3월 29일
근무육군 수도사단, 육군 제1사단, 육군종합학교, 육군본부, 육군 제1군사령부, 육군 제2군사령부, 육군 제3군단, 육군 제3사단, 육군 제8사단, 육군 제1군단
지휘육군 수도사단 예하 연대장, 육군 제1사단장 직무대리, 육군본부 정훈감, 육군종합학교 전차과 과장, 육군본부 헌병감, 육군본부 포병감, 육군본부 보병감, 육군본부 정병감, 육군본부 병참감, 육군본부 휼병감, 육군본부 경리감, 육군 제1군사령부 정훈처 처장, 육군 제2군사령부 작전처 처장, 육군 제3군단 경리과 과장, 육군본부 경리국 국장, 육군본부 포병국 국장, 육군본부 정훈참모부 부장, 육군 제3사단장 직무대리, 육군 제8사단장,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
참전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서훈건국훈장 독립장
공직
직책국방부 병무담당관
대통령이승만
부통령이시영 부통령, 장면 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이범석 국무총리, 이윤영 국무총리 서리, 이시영 국무총리 권한대행 서리, 신성모 국무총리 서리, 이시영 국무총리 권한대행 서리, 백낙준 국무총리 서리, 신성모 국무총리 서리, 장면 국무총리
국방부 장관이범석, 신성모, 장경근 국방부 장관 직무대리, 이기붕
국방부 차관최용덕, 장경근, 김일환
임기1948년 8월 21일 ~ 1951년 9월 16일

2. 생애

1903년 11월, 박시창은 경기도 시흥에서 박해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6세 때 박은식의 양자가 되었다.[1] 1916년 서울 오성학교를 졸업하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양아버지 박은식과 재회하였다. 1919년 9월에는 상하이로 가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 사민보 발행에 관여했다. 그 후, 난징 중앙대학교에 입학했지만 1923년에 중퇴하고 상하이로 돌아와 조선인 청년 동맹회에서 활동했다.

1926년 3월 황포군관학교 포병과 제5기생으로 입학[1]하였고, 재학 중 포병 부대에 편입되어 북벌에 참여했다. 황포군관학교 우한 분교가 설립되자 포병과에 입학하여 1927년에 졸업하고, 교관으로 우한 분교 특별반에서 한국인 학생들을 지도했다. 1928년 난징의 중앙 육군 군관학교 군관단에 입대했고, 1929년 국민혁명군 경위군에 입대했다. 1930년 중원 대전,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제87사단 예하 연대장(상위)으로 참전했고, 이후 열하 사변에도 참여했다.[2]

1933년 9월부터 1934년까지 난징 탕산의 육군 포병학교(제2기)에서 수학[3]하고, 졸업 후 중앙 육군 군관학교 뤄양 분교의 중(重)병기 교관이 되었다.[2] 1935년김구의 군관학교 학생 모집 활동에 협력했다. 1936년 8월 29일 육군 포병 상위[4]가 되었고,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당시 부대 포병단에 소속[5]되어 있었다. 같은 해, 중앙 육군 군관학교 제1분교에서 소교대 부(副)를 역임했다.[6]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충칭의 신병 훈련 처에 배속되었으며, 충칭 군정부 제1보충 훈련 처 제4단 제3영 영장을 지냈다. 이창 작전에 참여[7]했고, 1940년 제39군 잠편 제51사 제1단 제2영 영장(중교), 후에 제51사 보병단 단장[8]으로 장사 회전, 계류 회전 등에 참전했다.[8] 1942년 제3전구 사령부에서 복무했고, 1943년 12월 중국 육군대학교 특별반 제6기를 졸업했다.[8]

1943년 광복군 총사령부 고급 참모, 1944년 10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모부 참모[9]를 역임했다. 1945년 8월 광복군 상하이 임시 지대장으로서 상하이 일대에서 한교의 생명, 재산 보호와 조선적 일본군의 귀국을 알선하는 데 힘썼다. 1946년 7월 귀국했다.

유동설의 권유로 경비사관학교 특별 제3기에 입학[10]하여 1947년 3월 졸업하고 대위로 임관(군번 10358번)했다. 임관 한 달 후 소령으로 진급[10]하여 제2연대 제2대대장을 역임했다. 1948년 11월 25일 제16연대장 (중령)[10], 1949년 5월 호국군 제102여단장[11], 같은 해 9월 대전지구 병사구 사령관 (대령)[12]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전에는 충청도 위수 사령관[10]을 지냈고, 1950년 7월 9일 제1군단 민사부장[13]에 임명되었다. 중국 인민 지원군 참전으로 철수할 때 제1군단 예비역 민간 참모[14]로서 함흥, 흥남 일대 피난민을 육로로 수송했고,[15] 흥남 철수 작전에서 피난민의 의식주 문제 해결에 힘썼다.[15]

1951년 5월 제103사단장[16], 1952년 4월 15일부터 1954년 12월 5일까지 전라북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17]을 지냈다. 1956년 제1군단 부군단장(준장)[18]을 역임하다 1959년 6월 소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되었다. 이승만과 박은식의 불화로 인해 한국군에서 요직에 오르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10]

예편 후에는 대동공업 고문[19], 제5대 광복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고, 1986년 6월 7일 서울 시흥의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20] 2007년 9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그를 9월의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2. 1. 유년 시절과 독립운동 투신

밀양(密陽) 박씨인 박시창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을 지낸 백암 박은식(白巖 朴殷植)의 양자이며, 그의 생부 박해겸(朴海謙)은 양부 박은식의 6촌 동생이다.

1903년 11월, 경기도 시흥에서 박해겸의 슬하 3남 5녀 중 막내아들로 출생하였고, 한성부, 경기도 인천 제물포, 경기도 파주, 경기도 양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다. 1904년 시흥으로 귀향하여 성장하였다. 1905년 6세 때 7촌 재종숙 박은식에게 입양되어 황해도 황주에서 성장하였다.

1916년 서울 오성학교를 졸업하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가서 박은식과 재회했다. 1919년 상하이로 가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 사민보 발행에 관여했다. 이후 난징 중앙대학교에 입학했지만 1923년에 중퇴하고 상하이로 돌아와 조선인 청년 동맹회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1925년 11월, 독립운동에 열중하던 중 부친이자 독립운동계의 원로였던 박은식이 망명지 상해에서 사망하였다. 임시정부의 2대 대통령을 지냈던 그의 장례는 국장례로 거행되었다.[27]

1926년경, 근대적인 군사교육을 받기 위해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인 황포군관학교 제5기 포병과에 입교하였다. 1926년 7월 중국의 제1차 북벌전쟁이 시작되자 중국 국민혁명군 포병대에 편입되어 참전하였다. 1927년 7월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군인의 길을 걸으면서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박시창은 의열단과도 관계를 맺고 활동하였다. 1919년 창설된 의열단은 1926년 이후 광동성 광주(廣州)로 집결하고 있었다. 이때 박시창은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에 다녔던 진공목, 진갑수, 안재환, 김영재, 송욱동, 장기준, 그리고 중국군 기술교관으로 있었던 백득림, 홍의균, 권준, 전창무, 노세방 등과 같이 무한한인혁명청년회를 조직,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는데, 이 조직은 후에 의열단 무창지부로 발전하게 된다.

2. 2. 중국에서의 독립운동과 군사 활동

박시창은 1923년경 남경 중앙대학에 수학하다가 학비 등 생활고로 인해 휴학하고 상해로 돌아와 조선인청년동맹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4년경 남경 중앙대를 자퇴하였다. 1925년 11월, 독립운동에 열중하던 중 부친 박은식이 상해에서 사망하여 국장례로 장례를 치렀다.[27] 1926년경, 박시창은 근대적인 군사교육을 받기 위해 황포군관학교 제5기 포병과에 입교하였다.[1]

1926년 7월 중국의 제1차 북벌이 시작되자 중국 국민혁명군 포병대에 편입되어 참전하였다. 1926년 10월 중국 국민혁명군이 무한(武漢)에 입성하고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가 설립되자, 많은 한국 학생들이 무한분교에 입교하는 동시에 북벌에 참가하였다. 1927년 7월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한 박시창은 군인의 길을 걸으면서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27]

박시창은 의열단과 관계를 맺고 활동하였는데, 이는 훗날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에 참여한 계기가 되었다. 1919년 창설된 의열단은 1926년 이후 광주(廣州)로 집결하여 조직세가 크게 신장되었다. 무창(武昌)과 남창(南昌)에도 의열단 지부를 두었는데, 박시창은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 동기생 등과 함께 무한한인혁명청년회를 조직하였다. 혁명청년회는 항일투쟁을 전개하였고, 후에 의열단 무창지부로 발전하였다.[27]

1928년 박시창은 남경 군관단(軍官團)에 입대하였고, 1929년에는 국민혁명군 경위군(警衛軍)에서 8년 동안 복무하였다. 경위단은 나중에 제87사단으로 명칭이 바뀌는데, 제87사단은 1932년 상해사변에 투입되었던 정예부대였다. 박시창은 육군 대위 계급으로 중국군 제5군 제87사단 예하 중대장으로 참전하여 일본군에 저항했지만, 일본군의 막강한 화력에 후퇴하였다. 윤봉길 의사의 폭탄 투척은 이 무렵의 일이었다.[27] 1930년에는 중원 대전에 참여했고, 1933년 9월부터 1934년까지는 난징 탕산의 육군 포병학교(제2기)에 재학했다.[3] 포병학교를 졸업한 후 중앙 육군 군관학교 뤄양 분교의 중(重)병기 교관이 되었다.[2] 1935년경 김구의 군관학교 학생 모집 활동에 협력했다. 1936년 8월 29일, 육군 포병 상위가 되었다.[4]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발발 당시에는 부대에서 포병단에 소속되어 있었다.[5]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충칭의 신병 훈련 처에 배속되었다. 충칭 군정부 제1보충 훈련 처 제4단 제3영 영장을 지냈고, 이창 작전에 참여했다.[7] 1940년에는 제39군 잠편 제51사 제1단 제2영 영장(중교)을 지냈고, 후에 제51사(사단장: 저우즈다오) 보병단 단장을 역임하며[8] 장사 회전, 계류 회전 등의 전투에 참여했다.[8] 1942년에는 제3전구 사령부에서 복무했고, 1943년 12월에는 중국 육군대학교 특별반 제6기를 졸업했다.[8]

2. 3. 광복군 활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박시창은 1923년경 남경 중앙대학을 휴학하고 상해로 돌아와 조선인청년동맹회에서 활동하다가 1924년경 자퇴하였다. 1925년 11월에는 아버지 박은식이 상해에서 사망하여 국장례가 거행되었다.[27] 1926년경, 박시창은 황포군관학교 제5기 포병과에 입교하여 1926년 7월 중국의 제1차 북벌전쟁에 중국 국민혁명군 포병대로 참전하였다.

1926년 10월 중국 국민혁명군이 무한(武漢)에 입성하면서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가 설립되었고, 많은 한국 학생들이 무한분교에 입교하여 북벌에 참가하였다. 1927년 7월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한 박시창은 군인의 길을 걸으면서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박시창은 의열단과 관계를 맺고 활동하였으며, 이는 훗날 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1919년 창설된 의열단은 1926년 이후 광주(廣州)로 집결하여 조직을 확장하였고, 무창(武昌)과 남창(南昌)에도 지부를 두었다. 박시창은 황포군관학교 무한분교 동료들과 함께 무한한인혁명청년회를 조직하였고, 이는 후에 의열단 무창지부로 발전하였다.

1928년 남경의 군관단(軍官團) 입대를 거쳐 1929년에는 국민혁명군 경위군(警衛軍)에서 8년 동안 복무하였다. 경위단은 나중에 제87사단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1932년 상해사변에 투입되었다. 박시창은 육군 대위로서 중국군 제87사단 예하 중대장으로 참전하였으나, 일본군의 화력에 밀려 후퇴하였다. 윤봉길 의사의 홍구공원 폭탄 투척 사건이 이 무렵에 일어났다.[27]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충칭의 신병 훈련 처에 배속되었다. 1943년, 광복군 총사령부 고급 참모가 되었고, 1944년 10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모부 참모가 되었다.[9] 1945년 8월, 광복군 상하이 임시 지대장으로서 상하이 일대에서 한교의 생명 재산 보호와 조선적 일본군의 귀국 알선에 힘썼다.[9] 1946년 7월 귀국했다.

2. 4. 광복 후 대한민국 군 복무

유동설 통위부장의 권유로 경비사관학교 특별 3기에 입학[10]하여 1947년 3월 졸업, 대위로 임관했다(군번 10358번). 임관 한 달 후 소령으로 진급[10]하여 제2연대 제2대대장을 역임했다.

1948년 11월 25일 제16연대장 (중령)[10], 1949년 5월 호국군 제102여단장[11], 같은 해 9월 대전지구 병사구 사령관 (대령)[12]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발발 전에는 충청도 위수 사령관[10]을 지냈고, 1950년 7월 9일 제1군단 민사부장[13]에 임명되었다. 중국 인민 지원군 참전으로 인한 철수 당시 제1군단 예비역 민간 참모[14]로서 수십 대의 트럭을 징발, 함흥 및 흥남 일대 피난민을 육로로 수송했다.[15] 흥남 철수 작전에서는 미군 측과 공동으로 피난민 분류, 제어, 보호 업무를 수행하며 의식주 문제 해결에 힘썼다.[15]

1951년 5월, 제103사단장[16], 1952년 4월 15일부터 1954년 12월 5일까지 전라북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17]을 지냈다. 1956년 제1군단 부군단장(준장)[18]을 역임하다 1959년 6월 소장으로 예비역 편입되었다.

이승만과 박은식의 불화로 인해 한국군에서 요직에 오르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10]

2. 5. 예편 후 활동과 사망

박시창은 예편 후 대동공업 고문[19], 제5대 광복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9년 6월 소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되었는데, 한국군에서 요직에 오르지 못한 것은 이승만박은식의 불화가 원인이었다고도 한다.[10]

1963년에는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1986년 6월 7일, 서울 시흥의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하였다.[20] 2007년 9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그를 9월의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3. 학력

학교내용
경성 오성보통학교졸업
경성 오성고등보통학교졸업
장쑤 성 난징 중앙대학교사학과 중퇴
황푸 군관학교졸업
중국 후베이 성 우한 육군위륭군대학교졸업
육군사관학교특2기(1946년)
조선경비보병학교졸업(1947년)
통위부 보병학교졸업(1948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졸업(1949년)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졸업(1951년)
미국 육군포병학교졸업(1951년)
미국 육군야전포병학교졸업(1952년)
국방대학교행정학사 1기(1956년)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배우자최윤신(崔允信)[28]
장남박유철(朴維徹)[28]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처장, 광복회 회장 역임
자부양준자(梁俊子)[28]
장녀박유숙(朴維淑)[28]
차남박유종(朴維鍾)[28]
자부김영화(金永和)[28]
손녀박지영(朴志-) 또는 제니퍼 박 스타우트(Jennifer Park Stout)[29][30]미국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국 공공외교 담당 부차관보, 존 케리 국무장관 소속 차석 보좌관 역임[31]
차녀박유순(朴維淳)[28]
3녀박유실(朴維實)[28]
4녀박유성(朴維星)[28]
박은식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통령 역임
장인최중호독립운동가, 인성학교 교장 역임


참조

[1] 웹사이트 黄埔本校第五期砲兵科学員(補録)籍貫表 http://www.hoplite.c[...] 2016-03-26
[2] 웹사이트 『한민』 제22호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1-11
[3] 웹사이트 陸軍砲兵学校第二期同学録 http://www.hoplite.c[...] 2016-03-26
[4]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2139号 http://gpost.lib.ncc[...] 中華民国政府官職資料庫 2017-06-06
[5] 서적 翱翔在祖國的天空-韓國臨時政府主席金九公子金信回憶錄 藍海創意文化
[6] 웹사이트 洛阳分校·第一分校 http://www.huangpu.o[...] 2020-05-29
[7] 뉴스 从宜昌3000具尸骨中走出的抗战老兵 http://news.qq.com/a[...] 2015-08-03
[8] 서적 陆军大学将帅录 广州出版社
[9] 웹사이트 臨政 국무회의, 文逸民. 朴始昌을 参謀部 참모로 선임.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1-11
[10] 뉴스 [배진영의 어제오늘내일] 朴維徹 전 광복회장 “우리 민주주의에 害를 끼친 사람에 대한 敍勳은 안 된다” http://monthly.chosu[...] 2019-08-07
[11] 웹사이트 육군본부, 연대장급 인사이동을 발표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5-11-11
[12] 서적 6·25전쟁 시 병무행정기구 https://www.imhc.mil[...]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3] 웹사이트 6·25戦争史 第3巻-漢江線防御と初期遅延作戦 http://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8-09-09
[14] 서적 翺翔在祖國的天空-韓國臨時政府主席金九公子金信回憶錄 藍海創意文化
[15] 서적 흥남철수작전 국가보훈처
[16] 웹사이트 한국노무단 10만명도 작전을 수행하였다. http://www.mndpro.mi[...]
[17] 서적 兵務行政史 上巻 兵務廳
[18] 뉴스 (59) 장창국 3기생 좌익세력 http://news.joins.co[...] 1983-01-08
[19] 뉴스 (3580)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33) 장창국 http://news.joins.co[...] 1982-12-03
[20] 뉴스 전 광복회 회장 박시창옹 별세 https://news.joins.c[...] 1986-06-09
[21] 서적 백암박은식전집 제6권, 독립운동 관련자료 https://archive.is/0[...] 동방미디어 2002
[22] 뉴스 독립운동가 며느리 "그 욕만 하면 日여자들이 …"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2-02-26
[23] 뉴스 A life from exile to repatriation https://koreajoongan[...] 중앙일보 2012-03-03
[24] 웹사이트 Biography: Jennifer Park Stout, Deputy Chief of Staff https://2009-2017.st[...] 미국 국무부
[25] 블로그 호적상 1903년 11월 5일 출생. https://blog.naver.c[...]
[26] 뉴스 박유철 광복회장 누구인가? https://news.naver.c[...] 2012-08-14
[27] 웹사이트 국가보훈처 공훈심사과 독립운동가(박시창) 자료 http://www.mpva.go.k[...]
[28] 서적 백암박은식전집 제6권, 독립운동 관련자료 https://books.google[...] 동방미디어 2002
[29] 뉴스 독립운동가 며느리 "그 욕만 하면 日여자들이 …"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1-09-24
[30] 뉴스 A life from exile to repatriation https://koreajoongan[...] 중앙일보 2020-09-21
[31] 웹사이트 Biography: Jennifer Park Stout, Deputy Chief of Staff https://2009-2017.st[...] 미국 국무부 2020-09-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