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젠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젠잉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이자 정치가로, 1897년 광둥성에서 태어나 1986년에 사망했다. 윈난 육군 강무학교에서 주더의 영향을 받았으며, 황푸 군관 학교 교관을 거쳐 1927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난창 봉기 실패 후 모스크바 중산 대학에서 군사 과학을 공부했으며, 장정에서 마오쩌둥을 지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광둥성 주석 등을 역임했으며, 문화 대혁명 시기 군부 내 지위를 유지하며 린뱌오 실각 이후 국방부장 역할을 대행했다. 덩샤오핑 복귀를 지원하고, 1978년부터 1983년까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1985년 당직에서 은퇴했으나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직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박시창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한 군인 박시창은 박은식의 양자이며, 황포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 국민혁명군에 참여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에 참여 및 한국 전쟁에도 참전, 광복회 회장을 역임하며 독립유공자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했다.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우쉐첸
우쉐첸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 부부장, 외교부장, 국무위원, 외교 담당 부총리 등을 역임하며 중국 외교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고, 홍콩 주권 반환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적극적인 역할을 한 지한파이다. - 중국의 개신교도 - 용국
용국은 1996년 중국에서 태어난 한국계 아이돌 가수로, Mnet의 《프로듀스 101 시즌2》에 출연하여 JBJ로 데뷔했으며, 2018년 솔로 데뷔하여 앨범을 발매하고 고양이 학대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다. - 중국의 개신교도 - 천청
천청은 청나라 말기부터 타이완 시대까지 활동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장제스의 핵심 측근으로서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타이완으로 건너가 토지 개혁과 경제 재건을 추진하여 타이완 발전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로 민주주의를 억압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윈난 대학 동문 - 이범석
이범석은 조선 왕족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인으로, 청산리 대첩에서의 활약과 대한민국 건국 참여, 초대 국무총리 역임 등 뚜렷한 업적을 남겼으나, 과장된 서술 및 정치적 행보에 대한 논란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윈난 대학 동문 - 최용건
최용건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투쟁에 참여하고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을 지휘했으며 김일성 정권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예젠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존칭 접두사 | 원수 |
이름 | 예젠잉 |
원어 이름 | 葉劍英 |
원어 이름 (언어) | zh-Hans-CN |
출생 이름 | 葉劍英 |
출생 이름 (한자) | 葉宜偉 |
자 (字) | 창바이 (滄白) |
별칭 | 예솨이 (Marshal Ye), 화솨이 ("플레이보이 원수") |
출생일 | 1897년 4월 28일 |
출생지 | 청나라 광둥성 메이현 |
사망일 | 1986년 10월 22일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국적 | 중국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1927–1985) |
배우자 | 6명 |
자녀 | 7명 (예쉬안핑, 다이칭 포함) |
모교 | 윈난 육군 강무당 모스크바 중산 대학 |
경력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 제3대 |
임기 시작 | 1978년 3월 5일 |
임기 종료 | 1983년 6월 17일 |
주석 | 없음 (1975년 폐지) |
이전 | 쑹칭링 (대행) |
이후 | 펑전 |
중국 공산당 제1부주석 | 제5대 |
임기 시작 | 1976년 10월 7일 |
임기 종료 | 1982년 9월 12일 |
주석 (당시) | 화궈펑 후야오방 |
이전 (당시) | 화궈펑 |
이후 (당시) | 직위 폐지 |
임기 시작 | 1973년 8월 30일 |
임기 종료 | 1982년 9월 12일 |
주석 (당시) | 마오쩌둥 화궈펑 후야오방 |
국방부장 | 제3대 |
임기 시작 | 1975년 1월 17일 |
임기 종료 | 1978년 2월 26일 |
총리 (당시) | 저우언라이 화궈펑 |
이전 (당시) | 린뱌오 |
이후 (당시) | 쉬샹첸 |
선거구 | 광둥성 전체 (54–59) 인민해방군 전체 (59–83) |
임기 시작 | 1954년 9월 15일 |
임기 종료 | 1983년 6월 6일 |
광저우 시장 | 제1대 |
임기 시작 | 1949년 |
임기 종료 | 1952년 |
이전 (당시) | 직위 신설 |
이후 (당시) | 허웨이 |
군사 경력 | |
복무 | 1917–1985 |
소속 | 인민해방군 육군 |
충성 | |
군종 | 제18집단군, 국민혁명군 [[File:中國工農紅軍軍旗.svg|25px]] 중국 공농 홍군 제1군 및 제4군, 국민혁명군 |
지휘 | 참모장, 제4군, 국민혁명군 [[File:中國工農紅軍軍旗.svg|25px]] 참모장, 중국 공농 홍군 참모장, 제18집단군, 국민혁명군 총참모장, 중앙군사위원회 |
계급 | [[File:Marshal_rank_insignia_(PRC).jpg|48px]]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File:Lieutenant General rank insignia (ROC, NRA).jpg|48px]] 중장, 중화민국 |
수상 | |
훈장 | [[File:Order of Victory of Resistance against Aggression ribbon.png|40px]] 항전 승리 기념장 (1946) [[File:中国人民解放军一级八一勋章的略章.png|40px]] 8.1 훈장 (1급 훈장) (1955) [[File:中国人民解放军一级独立自由勋章的略章.png|40px]] 독립자유훈장 (1급 훈장) (1955) [[File:中国人民解放军一级解放勋章的略章.PNG|40px]] 해방훈장 (1급 훈장) (1955) 세부 정보... |
기타 정보 | |
지지 |
2. 생애
예젠잉(葉劍英)은 1897년 4월 28일 광둥성 메이 현 옌양바오 샤후싱촌에서 객가의 부유한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917년 윈난 육군 강무학교에 입학하여 주더의 영향을 받았고, 1920년 1월에 졸업한 후 황푸 군관 학교에서 교관 생활을 하며 저우언라이를 만났다. 1927년 7월에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
같은 해 8월 난창 봉기에 참여했다가 패배하여 홍콩으로 도망쳤다. 이후 모스크바 중산 대학에서 군사 과학을 배웠다.[1]
1932년 중국으로 돌아와 중화소비에트공화국에 참여하여 장궈타오의 제4방면군 참모장으로 복무했다. 대장정 중 마오쩌둥과 장궈타오의 노선 갈등이 발생하자, 예젠잉은 장궈타오의 암호책과 지도를 가지고 마오쩌둥의 본부로 도망쳤다. 마오는 훗날 "예젠잉은 (중국 공산) 당, (중국) 붉은 군대, 그리고 (중국) 혁명을 구했다"라고 말했다.[1]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예는 광둥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지역의 경제 상황은 대부분의 광둥 출신 지주들이 소작인을 착취하지 않고 생산에 참여하는 농민들이었기 때문에 그는 지주들을 몰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그들의 사업과 토지를 보호했다. 그러나 예의 정책은 계급 투쟁을 강조하는 당의 지침과 모순되었다.[1]
1971년 린뱌오가 실각하고 사망한 후, 예의 영향력은 커졌고, 1975년에는 국방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 1973년부터 그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이었다.[1]
그는 장칭과 사인방을 전복시킨 장군들과 당 원로들의 음모를 주도했다.[1] 화궈펑 주석을 지지하여 1977년 제11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당 부주석으로 확정되었다. 1978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중국의 의례적인 국가 원수가 되었다.[1]
덩샤오핑의 일국양제 접근 방식에 따라, 예는 1981년 9월 30일 "구 포인트 제안"을 통해 평화적 통일 양안 관계를 제안했다.[2]
예는 1983년에 전인대 상무위원회 위원장 직에서 은퇴했고, 1985년에는 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그는 1986년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군사 경력
예젠잉은 1897년 4월 28일 청나라 광둥성 메이저우 시 메이 현의 부유한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덩샤오핑, 마오쩌둥과 같이 하카계 출신이다.[1] 1917년 윈난강무당(군사학교)에 입학해 주더의 영향을 받았다.[1] 1919년 졸업 후 황푸군관학교에서 교관 생활을 하면서 저우언라이와 인연을 맺었다. 쑨원의 중국국민당에 가입했다가 1927년 저우언라이와의 인연으로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같은 해 난창 봉기에 참가했다가 실패하여 저우언라이, 예팅과 함께 홍콩으로 도주했다. 광둥 봉기에도 참여했으나 다시 실패하여 홍콩으로 도주했고, 이후 소련 모스크바 대학교에 유학하여 군사학을 공부했다.[13]
1932년 중국으로 돌아와 장시 소비에트에서 장궈타오 휘하의 홍군 제4방면군 참모장을 맡았다. 장정 기간 중 장궈타오와 마오쩌둥의 노선 갈등에서 예젠잉은 마오쩌둥을 지지했다. 예젠잉은 장궈타오의 부대를 탈주하여 마오쩌둥의 부대에 가담했고, 코민테른과의 교신에 사용하는 암호를 가져갔기 때문에 장궈타오는 소련과의 관계가 끊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예젠잉의 마오쩌둥 지지는 장정의 분수령이었고, 마오쩌둥은 거듭 예젠잉의 결단을 칭송했다.
1937년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자 공산당의 연락장교를 맡아 국민당 정부가 있던 난징과 충칭에 파견되었다. 같은 해 8월, 홍군이 국민혁명군 제8로군으로 개편되자 예젠잉은 국민혁명군 중장 계급을 수여받고 팔로군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941년 옌안으로 돌아와 당 중앙 혁명 군사위원회(이후 당 중앙군사위원회) 참모장 겸 제18집단군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10월 초, 천겅과 함께 광둥 전역을 지휘하여 14일에 광저우를 해방시켰다.[1] 이후 광둥성 당위원회 서기, 광둥성 인민정부 주석 겸 광저우시 시장, 중난 군정위원회 부주석, 화난 군구 사령원, 중난 군구 사령원 대행, 중국 공산당 중앙 중난국 서기 대리 등을 역임하며 화난 지역에서 세력을 구축했다.[1] 1950년 2월, 하이난섬 전역 계획을 입안하고 5월 1일에 하이난섬을 해방했다.[1] 이후 베트남의 응우옌 손과 친교를 맺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베트남을 지원했다.[1]1954년 6월 베이징으로 돌아와 중앙 인민 정부 인민 혁명 군사위원회 부주석이 되었다.[1] 같은 해 9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에 따라 정부 기구가 재편되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에 취임했다.[1] 중국 인민 해방군 무장력 감찰부 부장 등을 역임했다.[1] 1955년 4월, 훈련 총감부 부장 대리가 되어 전군의 군사 훈련을 주관했고, 같은 해 9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다(서열 10위).[1] 11월에는 랴오둥반도 방면군의 대 상륙 훈련을 통괄했다.[1] 1956년 9월, 제8차 당 대회에서 중앙 위원에 재선되었고, 12월에는 중국 군사 대표단을 이끌고 미얀마, 소련, 인도, 폴란드를 방문했다.[1]
1958년 3월, 군사 과학원 창설 명령을 받아 원장 겸 정치 위원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고등 군사 학원 원장을 겸임했다.[1] 1959년 9월 당 중앙 군사 위원회 상무 위원, 1960년 중앙 군사 위원회 군사 훈련·군사 학술 연구 위원회 주임이 되었다.[1] 1963년 12월, 궈싱푸 교수법을 전군에 확대하여 마오쩌둥과 중앙 군사 위원회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 1965년 제4기 전국 정치 협상 회의 부주석, 1966년 1월 중앙 군사 위원회 부주석, 5월 중국 공산당 중앙 서기처 서기 및 중앙 군사 위원회 비서장이 되었다.[1] 8월, 제8기 제11차 중앙 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에 당선되었다.[1]
예젠잉은 소규모 자작농이 주된 광둥성의 특수한 경제적 지위를 인식하고,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 벌어지는 정책과는 달리 사유재산을 보호하였다.[1] 이는 계급 투쟁을 강조하던 중국공산당의 정책과 상충되었고, 린뱌오로 교체되었다.[1]
2. 3. 문화대혁명과 그 이후
1966년 문화 대혁명이 발발하자 예젠잉은 잠시 박해를 받았지만,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비서장 직을 유지하며 군부 내 지위를 지켰다.[4] 1971년 9월 린뱌오가 실각한 이후, 국방부장 역할을 실질적으로 대행하며[4]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1973년 8월 제1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정치국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당 부주석 중 한 명으로 선출되어 당내 서열 5위로 올라섰다.[5] 1975년 1월 제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에서 국방부장에 임명되었다.1976년 9월 마오쩌둥 사망 당시, 예젠잉은 군 원로파 중 유일하게 정치국 상무위원과 당 부주석이라는 요직을 맡고 있었다. 그는 당 제1부주석이자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여겨졌던 화궈펑을 지지하며, 리셴녠, 왕둥싱 등과 함께 장칭 등 사인방 체포를 주도하여 문화 대혁명을 종식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77년 8월 문화대혁명 종료 후, 예젠잉은 리셴녠, 천윈, 왕전 등과 함께 덩샤오핑의 복귀를 위해 노력했다. 1978년 12월 화궈펑 실각 후에도 후야오방 정권 하에서 당 부주석,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유임되었다. 1978년 3월부터 1983년 6월까지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원수 격의 지위에 있었다.
1983년 6월 20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퇴임한 직후 신설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어 당과 국가의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겸임하며 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985년 9월, 제12기 4중전회에서 건강상의 이유로 당 중앙위원, 중앙 정치국 위원 및 상무위원에서 은퇴했지만,[6]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직은 유지했다.[7] 1986년 10월 22일 베이징에서 8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정치 활동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예젠잉은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받고 정계에 진출하여 광둥성 성장과 광저우시 시장을 역임하였다.[1] 그는 소규모 자작농이 대다수인 광둥성의 특수한 경제적 지위를 인식하고, 중국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사유재산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이는 계급 투쟁을 강조하는 중국 공산당의 정책과 상충되었고, 예젠잉은 린뱌오의 심복으로 대체되었다.[1]
이후 마오쩌둥 집권 기간 동안 예젠잉은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맡지 못했지만, 과거 자신을 위기에서 구해준 예젠잉을 잊지 않은 마오쩌둥 덕분에 군직은 유지할 수 있었다.[1] 1955년 인민해방군에 계급 제도가 도입되자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받았다.[1]
문화대혁명 기간과 이후 벌어진 권력 투쟁에서 예젠잉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처신으로 자리를 유지했다. 마오쩌둥 사후, 4인방 체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문화대혁명 청산에 크게 기여했다.
1977년 제11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당 부주석으로 확정되었다. 1978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어 주더 사망 이후 비어 있던 국가 원수 자리를 채웠다.
덩샤오핑의 일국양제 구상에 따라, 예젠잉은 1981년 9월 30일 '9개 조항 제안'을 통해 평화 통일 양안 관계를 제안했다. 이 제안에서 타이완은 통일 후 높은 수준의 자치를 보장받게 되며, 해협을 가로지르는 '세 가지 연결'과 문화, 학문, 경제, 스포츠 분야의 '네 가지 교류'를 제안했다.[2]
1983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에서 은퇴했고, 1985년에는 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3. 1. 국민당과의 협력과 갈등
1917년 윈난강무당(군사학교)에 입학해 주더의 영향을 받은 예젠잉은 1919년 졸업 후 황푸군관학교에서 교관 생활을 하면서 저우언라이와 인연을 맺는다.[1] 쑨원의 중국국민당에 가입했다가 저우언라이와의 인연으로 1927년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1]1937년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자 예젠잉은 공산당의 연락장교를 맡아 국민당 정부가 있던 난징과 충칭에 파견되었다. 같은 해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장제스가 난징에서 국방회의를 소집했을 때 저우언라이, 주더와 함께 참가했다. 홍군이 국민혁명군 제8로군으로 개편되자, 예젠잉은 국민혁명군 중장 계급을 받고 팔로군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939년에는 국민당 난웨 유격 간부 훈련반 부교육장으로 임명되어 유격 전술을 교육하기도 했다.
1941년 옌안으로 돌아간 후에는 당 중앙 혁명 군사위원회 참모장 겸 제18집단군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945년 대일전 승리 후에는 국민당과의 협상에 참여했다. 1946년에는 베이핑(북경)으로 옮겨 군사조처집행부 중공 대표가 되었고, 국민당 및 미국 대표와 정전 협의를 진행했다. 1947년 옌안으로 돌아갔고, 1948년에는 화북군정대학교 교장 겸 정치위원이 되었다.
3. 2.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정치 활동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예젠잉은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받고 정계에 진출하여 광둥성 성장과 광저우시 시장을 역임하였다.[1] 그는 소규모 자작농이 대다수인 광둥성의 특수한 경제 상황을 이해하고, 중국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사유재산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1] 그러나 이는 계급 투쟁을 강조하는 중국 공산당의 정책과 상충되었고, 예젠잉은 린뱌오의 심복으로 대체되었다.[1]이후 예젠잉은 마오쩌둥 집권 기간 동안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맡지 못했지만, 과거 자신을 위기에서 구해준 예젠잉을 잊지 않은 마오쩌둥 덕분에 군직은 유지할 수 있었다.[1] 1955년 인민해방군에 계급 제도가 도입되자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받았다.[1]
3. 3. 문화대혁명 시기의 역할
린뱌오가 1971년 9월에 실각하자, 예젠잉은 국방부장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대행했고[4],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1973년 8월 1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정치국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당 부주석 중 한 명으로 선출되어 당내 서열 5위로 승격되었다[5]. 1975년 1월 제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에서, 공석이었던 국방부장에 임명되었다. 1976년 9월 마오쩌둥이 사망했을 때, 군 원로파에서 유일하게 정치국 상무위원을 맡았고, 당 부주석의 요직에 있었다. 당 제1부주석이자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여겨졌던 화궈펑을 지원하여, 리셴녠, 왕둥싱 등과 함께 사인방 추방을 실질적으로 지도하여, 문화 대혁명의 종언에 큰 역할을 했다.3. 4. 개혁개방 시기의 활동
예젠잉은 덩샤오핑의 일국양제 접근 방식에 따라, 1981년 9월 30일 "구 포인트 제안"을 발표하여 타이완과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양안 관계를 제안했다. 이 제안에서 타이완은 통일 후 높은 수준의 자치를 보장받게 되며,[2] "구 포인트 제안"은 또한 해협을 가로지르는 "세 가지 연결"과 문화, 학문, 경제, 스포츠 분야의 "네 가지 교류"를 포함했다.[2]1977년 8월 문화 대혁명 종료 후 리셴녠, 천윈, 왕전 등과 함께 덩샤오핑의 복귀를 지원했다. 1978년 12월 화궈펑 실각 후에도 후야오방 정권 하에서 당 부주석,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유임되었다. 1978년 3월부터 1983년 6월까지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원수 격의 지위에 있었다.
1983년 6월 20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퇴임 직후 신설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어, 당과 국가의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겸임하며 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985년 9월 제12기 4중전회에서 병을 이유로 당 중앙위원, 중앙 정치국 위원 및 상무위원에서 은퇴했지만[6],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직은 유지했다.[7]
4. 평가
예젠잉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발전 과정에 기여한 인물이지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대장정 시기 마오쩌둥을 지지하고[1] 4인방을 제거하여 문화대혁명 종식에 기여한 점[4][5]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에서 군사 전문가로서 활약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군사 교육 및 훈련 체계 발전에 기여하여 195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다.[1] 1976년 마오쩌둥 사망 당시 군 원로파에서 유일하게 정치국 상무위원을 맡았고, 당 부주석의 요직에 있었으며,[5] 1978년부터 1983년까지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국가 원수 격의 지위에 있었다.
그러나 잦은 혼인 관계와 여성 편력[8][9][10][11], 광둥성 성장 시절 중앙 정부의 정책과 마찰을 빚은 점은 비판받기도 한다.
4. 1. 긍정적 평가
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장정 시기 마오쩌둥을 지지한 것[1]과 4인방을 제거하여 문화대혁명 종식에 기여한 점[4][5]은 높이 평가된다.또한, 군사 전문가로서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군사 교육 및 훈련 체계 발전에 기여했다. 195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다.[1] 1976년 마오쩌둥 사망 당시 군 원로파에서 유일하게 정치국 상무위원을 맡았고, 당 부주석의 요직에 있었다.[5] 1978년부터 1983년까지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격의 지위에 있었다.
4. 2. 부정적 평가
예젠잉은 잦은 혼인 관계와 여성 편력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8][9][10][11] 그는 젊은 시절 고향에서 중매 결혼을 했지만, 아이는 없었다.[9] 1924년 광저우에서 의료 종사자였던 펑화와 결혼하여 장남 예셴핑과 장녀 예추메이를 낳았다. 1927년에는 쩡셴즈와 결혼하여[9] 1938년에 차남 예셴닝을 낳았다. 1937년에는 옌안에서 대장정 여성 간부였던 웨이궁즈와 결혼했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다. 1940년 충칭에서 우보와 결혼했고,[9] 1948년 말 베이징 량샹에서 화베이 군정 대학 학생이었던 리강과 결혼하여 아들 예셴롄, 딸 예원산을 낳았지만, 1955년에 이혼했다.[9] 1955년 이후에는 정식으로 혼인하지 않았지만, 주변에 3명의 여성이 그를 돌봤다고 한다.[10]또한, 예젠잉이 광둥성 성장 시절 중앙 정부의 정책과 마찰을 빚은 점은 그의 정치적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그는 광둥 지역의 경제 상황이 중국의 다른 지역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대부분의 광둥 출신 지주들이 소작인을 착취하지 않고 생산에 참여하는 농민들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지주들의 토지 몰수를 거부하고 그들의 사업과 토지를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계급 투쟁을 강조하는 당의 토지 개혁 지침과 모순되었고, 결국 린뱌오의 가혹한 정책으로 대체되면서 수십만 명의 광둥 지주들이 처형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5. 가족 관계
예젠잉은 여러 차례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그와 관련된 가족 구성원 일부이다.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기타 |
---|---|---|---|
장남 | 예쉔핑 | 1924년 - 2019년 | 광둥성 성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역임 |
차남 | 예쉬닝 | 1938년 - 2016년 | |
아들 | 예쉔롄 () | 1952년 - | |
장녀 | 예추메이 | 저우자화 전 국무원 부총리와 결혼 | |
딸 | 예원산 | ||
손녀 | 입뤄빈 (예쉔롄의 딸) | 1986년 - | 홍콩에서 활동하는 전문 음악가 |
예젠잉은 젊은 시절 고향에서 중매로 결혼했지만, 아이는 없었다.[9] 1924년 초, 광저우에서 의료 종사자였던 펑화와 결혼하여 같은 해 11월 장남 예쉔핑을 낳았고, 이어서 장녀 예추메이를 낳았다.[9] 1927년, 광저우에서 쩡셴즈와 결혼했으며,[9] 1938년에 차남 예셴닝을 낳았다. 1937년에는 옌안에서 대장정 여성 간부였던 웨이궁즈와 결혼했지만, 둘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다. 1940년, 충칭에서 우보와 결혼했다.[9] 1948년 말, 베이징 량샹에서 화베이 군정 대학 학생이었던 리강과 결혼하여 아들 예셴롄과 딸 예원산을 낳았지만, 1955년에 이혼했다.[9]
1955년 이후, 예젠잉은 정식으로 혼인하지 않았지만, 주변에 그를 돌보는 세 명의 여성이 있었다고 한다.[10] 이 여성들과의 사이에 자녀가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예젠잉의 장남 예쉔핑은 광둥성 성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등을 역임하며 아버지의 기반을 이어받았다. 또한, 장녀 예추메이는 국무원 부총리 및 국무위원 등을 역임한 저우자화와 결혼했다.
6. 기타
예젠잉은 부유한 기독교 객가 상인 집안 출신으로, 본명은 '''예이웨이'''(葉宜偉)였다.[1] 윈난 군사 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국민당에 입당했다가, 황푸 군관학교에서 교관으로 활동하던 중 1927년 공산당에 입당했다.[1]
난창 봉기와 광저우 봉기 실패 후 홍콩으로 피신했다가 모스크바에서 군사 과학을 공부했다.[1] 1932년 중국으로 돌아와 장시 소비에트에 합류, 장궈타오의 제4방면군 참모장으로 복무했다.[1] 대장정 중 마오쩌둥과의 갈등에서 마오쩌둥을 지지하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의 신임을 얻었다.[1]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광둥 지역을 담당했으나, 온건한 토지 개혁 정책으로 인해 린뱌오로 교체되며 정치적 경력이 단절될 위기를 맞았다.[1] 그러나 마오쩌둥의 배려로 군사적 지위는 유지되었고, 1955년 원수 계급을 받았다.[1] 린뱌오 사후 국방부 부장을 역임하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에 올랐다.[1] 사인방 체포를 주도했으며, 화궈펑을 지지하여 당 부주석으로 확정되었다.[1] 이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의례적인 국가 원수가 되었다.[1]
덩샤오핑의 일국양제 정책에 따라, 1981년 9월 30일 타이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구 포인트 제안"을 발표했다.[2] 이 제안은 통일 후 타이완의 고도 자치와 양안 간의 교류 확대를 제시했다.[2]
1983년 전인대 상무위원회 위원장 직에서 은퇴하고, 1985년 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물러났으며, 1986년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6. 1. 트리비아
예젠잉은 중화인민공화국 개창 1세대 정치가 중에서도 보기 드문 개신교 신자였다.[1]6. 2. 마오쩌둥의 평가
""라는 대련은 마오쩌둥이 예젠잉에게 선물한 것으로, 그의 신중함과 중요한 결정에서의 명확함을 칭찬하는 내용이다.[1] 마오쩌둥은 대장정 당시 예젠잉이 장궈타오의 암호책과 지도를 가져와 자신에게 전달하여 중국 공산당, 중국 붉은 군대, 그리고 중국 혁명을 구했다고 평가했다.[1] 이러한 공헌 덕분에 예젠잉은 정치적 박해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참조
[1]
웹사이트
叶剑英和叶道英的兄弟情 - 全网搜
https://sunnews.cc/p[...]
[2]
서적
China under Xi Jinping: A New Assessment
Leiden University Press
[3]
문서
ようけんえいの読み方に関する記述
2013-02-00
[4]
간행물
(제목 없음)
アジア経済研究所
[5]
간행물
(제목 없음)
アジア経済研究所
[6]
간행물
(제목 없음)
[7]
간행물
胡耀邦と葉剣英の政治闘争に関する記述
[8]
서적
中国最高指導者 WHO'S WHO[1996年新版]
蒼蒼社
[9]
서적
葉剣英伝
当代中国出版社
[10]
서적
脍炙英雄
北京 中国文联出版社
[11]
서적
告别总参谋部——罗宇回忆录
開放出版社
[12]
웹인용
중공 엽검영 사망
https://www.joongang[...]
2023-01-05
[13]
문서
러시아 사회주의공화국 모스크바 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