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호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호성은 빅5 성격 특성 중 하나로, 친절함, 협력, 신뢰, 배려 등의 특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1936년 고든 올포트와 헨리 S. 오드버트의 연구를 시작으로, 레이먼드 카텔, 루이스 골드버그 등의 연구를 거쳐 성격 연구의 주요 프레임워크로 자리 잡았다. 우호성은 자기 보고식 측정, 동료 보고, 제3자 관찰 등을 통해 평가되며, NEO-PI-R 모델에서는 신뢰, 솔직함, 이타심, 순응성, 겸손함, 배려심의 6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다. HEXACO 모델에서는 용서, 부드러움, 융통성, 인내심, 이타주의 대 적대주의의 5가지 하위 요인을 제시한다. 우호성은 대인 관계, 갈등 관리, 친사회적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리적 분포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격 - 낙천주의
낙천주의는 긍정적 결과를 기대하는 성향으로, 심리학에서는 사건 해석 방식과 관련된 심리적 낙관주의와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갖는 기질적 낙관주의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웰빙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 인격 -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은 개인의 행동, 사고, 감정에 영향을 주는 지속적인 심리적 특성과 개인 간 차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며, 성격 발달 요인, 다양한 성격 이론, 성격 평가 방법을 통해 인간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며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분야이다. - 성격 - 인격장애
성격장애는 사고방식, 감정, 대인관계, 행동 양식의 지속적인 패턴이 사회적 기대에서 벗어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1과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는 정의와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정신치료(변증법적 행동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 스키마 치료 등)가 중심적인 치료 방법이다. - 성격 -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5가지 성격 특성 요소는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는 모델로, 경험에 대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등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행동과 성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심리학 이론 - 인지주의
인지주의는 인간의 인지 과정을 정보 처리 모델로 설명하며 지식 획득, 기억, 문제 해결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미있는 학습을 위한 능동적 참여와 메타인지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계산적 설명에 대한 비판과 철학적 한계 또한 존재하며, 상황인지, 분산 인지 등의 새로운 이론으로 다각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 심리학 이론 - 성별 불일치의 원인
성별 불일치의 원인은 유전적, 호르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뇌 구조의 차이, 블랜차드의 유형학 등이 관련 연구로 제시된다.
우호성 | |
---|---|
개요 | |
학문 분야 | 심리학, 성격심리학 |
하위 요인 | 신뢰 솔직성 이타심 순응성 겸손 동정심 |
설명 | |
정의 | 타인과 협력하고 조화롭게 지내려는 개인의 성향 |
특징 | 공감 능력 높음 친절함 남을 잘 도움 이기적이지 않음 |
관련 개념 | 공감, 이타심, 사회성 |
2. 역사
고든 올포트와 헨리 S. 오드버트는 1930년대에 성격 특성 연구를 통해 현대적 우호성 개념의 기틀을 마련했다.[7] 레이먼드 카텔은 7년 후, 올포트와 오드버트가 확인한 수천 개의 성격 관련 단어를 군집 분석하여 16가지 성격 요인(16PF)을 제시했다.[8][9] 이후 추가적인 요인 분석을 통해 16가지 요인을 포괄하는 5가지 상위 요인이 밝혀졌고, 카텔은 이 중 하나를 "독립성"으로 명명했다.[10] 16PF 설문지에서 확인된 "독립성" 요인은 현대적 우호성 개념의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11]
카텔의 요인 분석적 접근은 보편적인 성격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16PF 발표 후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 초부터 카텔의 초기 연구, 16PF, 원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여러 연구자들이 독자적으로 5요인 성격 모델을 개발했으며, 여기에는 "우호성" 또는 "사교성"이라 불리는 요인이 포함되었다.[11][15]
2. 1. 빅 파이브(Big Five) 모델
고든 올포트와 헨리 S. 오드버트의 1936년 연구는 빅5 성격 특성 중 현대적 개념의 우호성의 기원으로 평가받는다.[7] 1980년대 루이스 골드버그의 연구를 통해 빅 파이브 모델은 성격 연구의 지배적인 프레임워크로 자리 잡았다.[11] 빅 파이브 모델에서 우호성은 친절, 상냥함, 협력, 신뢰, 배려 등 다양한 특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16][17]성격의 5요인 모델에서 우호성은 주로 자기 보고를 통해 측정되지만, 동료 보고 및 제3자 관찰도 사용될 수 있다.[2] 자기 보고 측정은 '어휘적'[2]이거나 '진술'[12]을 기반으로 한다.
'어휘적 측정'은 공감, 협력, 따뜻함, 배려, 가혹함, 불친절함, 무례함과 같이 우호성 또는 비우호성 특성을 반영하는 개별 형용사를 사용한다. 골드버그(1992)는 20단어 측정을 개발했고,[13] 소시에(1994)는 더 짧은 8단어 측정을 개발했다.[14] 톰슨(2008)은 이러한 마커를 수정하여 미국 및 비미국 인구 모두에서 더 나은 심리 측정적 속성을 가진 40단어 측정을 개발했다.[2]
'진술 측정'은 어휘 측정보다 더 많은 단어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응답자는 '[거의 모든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습니까', '[다른 사람의 문제에] 관심이 없습니까' 또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하십니까' 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야 한다.[12]
2. 2. NEO-PI
폴 코스타와 로버트 맥크레이는 NEO PI 성격 검사를 개발하여 우호성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를 구체화했다.[20][79] NEO-PI-R에서 우호성은 신뢰, 솔직함, 이타심, 순응성, 겸손함, 배려심의 6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2. 3. HEXACO 모델
이기범과 마이클 애쉬턴은 빅 파이브 모델을 보완한 HEXACO 모델을 제시하며, 정직-겸손성 요인을 추가했다.[31] HEXACO 모델에서 우호성은 분노 조절과 관련된 특성을 포함하며, 정직-겸손성과는 다른 별개의 요인으로 정의된다.[34] 이 모델은 용서, 부드러움, 융통성, 인내심의 4가지 새로운 측면을 제안한다.[82]3. 구성 요소
성격의 5가지 요인 모델에서 우호성의 정도는 자기 보고식 측정, 동료 보고, 제3자 관찰 등을 통해 평가된다. 자기 보고식 측정은 어휘 척도[59]나 기술 척도[70]를 기반으로 하며, 어떤 유형의 측정을 사용할지는 심리 측정 특성의 평가와 연구 수행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에 따라 결정된다.
어휘 측정에서는 공감적, 협력적, 따뜻한, 배려심 있는 등의 우호성 특성과 엄격한, 불친절한, 무례한 등의 비우호성 특성을 반영하는 개별 형용사를 사용한다. 골드버그(1992)[71]는 20단어 척도를, 소시에(1994)[72]는 8단어 척도를 개발했으며, 톰슨(2008)[59]은 미국인과 비 미국인 모두에게서 우수한 심리 측정 특성을 갖는 40단어 척도의 국제 영어 미니 마커를 개발했다.
기술 측정은 어휘 측정보다 많은 단어로 구성되며, "나는 거의 모든 사람과 사이가 좋다", "나는 다른 사람의 문제에 관심이 없다",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한다" 와 같은 문장에 응답자가 동의하는 정도를 묻는다.[70]
현대 우호성 개념의 기원은 고든 올포트와 헨리 S. 오드버트의 1936년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65]。레이몬드 카텔은 올포트와 오드버트가 식별한 수천 개의 성격 관련 단어의 클러스터 분석을 발표했다[66]。 그는 요인 분석을 사용하여 (16PF)을 결정했고, 추가적인 요인 분석을 통해 16가지 요인을 포괄하는 5가지 상위 요인을 밝혀냈다[68]。 카텔은 이를 "독립성"이라고 명명했지만, 의 E, H, L, Q1 요인의 높은 점수로 정의되는 보편적 요인은 현대 우호성 개념의 초기 선구자였다[69]。
1960년대 초부터, 이러한 탐구에는 '우호성' 또는 '사교성'이라고 불리는 요인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다[69][73]。루이스 골드버그는 '빅5'라는 용어를 선택했으며[69], 우호성은 "우호적", "상냥한", "협력적", "신뢰할 수 있는", "육성적인", "사교적인", "배려심 있는" 것과 같은 성격 관련 용어로 정의되었다.[74][75]
3. 1. NEO-PI-R 하위 요인
NEO-PI-R에서 우호성은 다음과 같은 6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다.[64]하위 요인 | 설명 |
---|---|
신뢰 | 타인의 의도를 선의로 믿고, 타인을 쉽게 신뢰하는 경향이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순진해질 수 있다.[21] 반대로 신뢰 점수가 낮은 사람은 냉소적이고 편집증적이며 타인을 의심스럽고, 부정직하거나 위험한 존재로 여긴다. |
솔직함 | 타인과의 관계에서 정직하고, 솔직하며, 가식이 없는 태도이다.[21] 솔직함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직접적이고 정직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점수가 낮은 사람들은 덜 직접적이며 자기 감시 성향이 높고 말을 아끼는 경향이 있다. 또한 타인을 속이거나 조종하는 경향이 있어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다.[22] |
이타주의 | 타인에 대한 배려, 관대함, 자기 희생적인 행동이다.[21] 알프레드 아들러의 사회적 관심 개념과 유사하며, 자신의 행동을 사회 개선을 위해 지향하는 경향이다.[24] 이타주의 점수가 낮은 개인은 무례하고 이기적이며 탐욕스러운 경향을 보인다. |
순응성 | 갈등 상황에서 협력적이고, 온순하며, 타인의 의견에 잘 따르는 경향이다.[21] 순응성 점수가 높은 사람은 갈등 해결 수단으로 협력이나 복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점수가 낮은 사람은 공격적이고, 적대적이며, 경쟁적이고, 싸우기 좋아하며, 앙심을 품는 경향이 있다. |
겸손함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며, 주목받는 것을 불편해하는 태도이다.[21] 겸손함 점수가 낮은 것은 거만함 또는 자기애로 알려져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자기애성 성격 장애 또는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25] |
배려심 |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고, 동정심을 느끼며, 부드러운 마음을 가진 특성이다. 국제 성격 항목 풀의 "공감" 척도에 해당한다.[27] |
3. 2. HEXACO 모델 하위 요인
- 용서 (Forgiveness): 다른 사람이 잘못했을 때 너그럽게 봐주고, 관계를 다시 좋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이다. '관대함'이라고도 한다.[38]
- 부드러움 (Gentleness): 다른 사람을 비판하기보다는 부드럽게 말하고, 온화한 태도를 유지하는 경향이다.
- 융통성 (Flexibility): 타협하고 협력해서 갈등을 해결하고,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이는 태도이다.
- 인내심 (Patience): 화가 나거나 짜증 나는 일이 있어도 잘 참고, 침착하게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다.
- 이타주의 대 적대주의 (Altruism vs. Antagonism):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거나, 아니면 적대적이고 냉담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이 특성은 HEXACO 모델의 여러 요인에 걸쳐 나타난다.[37]
4. 사회적 관계
우호성은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야 하는 상황에서 유리한 자질이다. 우호적인 사람들은 비우호적인 사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우호적인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필요와 관점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사회적 거부를 덜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덜 방해하고, 덜 공격적이며, 놀이 그룹에 참여하는 기술이 더 뛰어나 또래들에게 더 쉽게 받아들여진다.[39]
한 연구에 따르면,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더 정서적으로 반응적이다. 이러한 효과는 자기 보고 설문과 생리적 측정 모두에서 측정되었으며, 외향성과 신경증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빅 파이브 성격 요인이 아님을 시사한다. 특히 여성에게서 두드러졌다.[40]
또한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갈등 상황에서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 잘 조절한다. 이들은 다른 사람과 갈등이 있을 때 갈등 회피 전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우호성이 낮은 사람들은 스톤월링 또는 따돌림과 같은 강압적인 전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41]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상대방에게 양보하려는 의지가 더 강하며, 덜 우호적인 사람들과의 논쟁에서 질 수도 있다. 그들의 관점에서 볼 때, 그들은 논쟁에서 졌다기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 것이다.[42]
4. 1. 대인 관계
우호적인 사람들은 비우호적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다른 사람들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39]우호적인 아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필요와 관점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사회적 거부를 덜 겪을 가능성이 높다. 덜 방해하고, 덜 공격적이며, 놀이 그룹에 참여하는 기술이 더 뛰어난 아이들이 또래들에게 더 쉽게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다.[39]
한 연구에 따르면,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더 정서적으로 반응적이다. 이러한 효과는 자기 보고 설문과 생리적 측정 모두에서 측정되었으며, 외향성과 신경증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빅 파이브 성격 요인이 아님을 시사한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40]
연구는 또한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이 갈등 상황에서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 잘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갈등이 있을 때 갈등 회피 전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반면에 우호성이 낮은 사람들은 스톤월링 또는 따돌림과 같은 강압적인 전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41] 또한 상대방에게 양보하려는 의지가 더 강하며, 덜 우호적인 사람들과의 논쟁에서 질 수도 있다. 그들의 관점에서 볼 때, 그들은 논쟁에서 졌다기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 것이다.[42]
4. 2. 갈등 관리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갈등 상황에서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 잘 조절한다. 이들은 갈등이 있을 때 갈등 회피 전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우호성이 낮은 사람들은 스톤월링 또는 따돌림과 같은 강압적인 전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41][100] 또한,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상대방에게 양보하려는 의지가 더 강하며, 덜 우호적인 사람들과의 논쟁에서 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은 논쟁에서 졌다기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42][101]4. 3. 친사회적 행동
이타주의 및 돕는 행동은 우호성과 긍정적인 관련성을 보인다. 우호적인 사람들은 여러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돕는 데 더 큰 관심과 참여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실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친족을 돕고, 공감이 유발될 때 돕는 경향이 있지만, 우호적인 사람들은 이러한 조건이 없을 때조차 기꺼이 돕는 경향이 있다.[43] 즉, 우호적인 사람들은 "돕도록 성향이 정해져 있는" 것처럼 보이며[44] 다른 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우호적인 개인은 습관적으로 다른 사람을 도울 가능성이 높지만, 비우호적인 사람은 해를 가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낮은 수준의 우호성이 청소년의 적대적인 생각과 공격성 및 좋지 않은 사회 적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45] 우호성이 낮은 사람들은 또한 과체중과 같이 낙인이 찍힌 집단에 대해 편견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46]
그러나 높은 우호성이 항상 친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밀그램 실험에서 양심적이고 우호적인 사람들은 악의적인 권위자의 지시를 받으면 저항력이 낮기 때문에 희생자에게 고강도 전기 충격을 가하는 것을 더 꺼리지 않는다.[47]
5. 한국 사회와 우호성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6. 지리적 분포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지리적 분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겠다.
6. 1. 미국
미국에서 미국 서부, 미국 중서부, 미국 남부 지역 사람들은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평균 우호성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55] 연구자들에 따르면, 우호성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 주는 노스다코타, 미네소타, 미시시피, 유타, 위스콘신,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오클라호마, 네브래스카이다.[56] 이러한 결과는 이들 주에서 잘 알려진 표현, 예를 들어 "남부의 환대" 및 "Minnesota nice|미네소타 나이스영어"와 일치한다. 이들 주는 일반적으로 동부 및 서부 해안보다 도시화가 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작은 지역 사회에서 살고 이웃을 알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이웃을 배려하고 돕는 데 더 기꺼이 할 수 있다.Albright 외 (1997)의 연구에서 중국과 미국의 대학생 그룹은 두 나라의 낯선 사람들을 "빅 파이브" 성격 특성, 외적 특성 및 옷차림에 대해 평가했다. 그들은 중국과 미국 학생 모두 얼굴이 유사한 수준의 우호성과 외향성을 나타낸다고 평가했다. 가장 우호적인 사람으로 여겨진 사람들은 미소를 지었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인식되는 표정이다.[57] 이 결과는 우호성이라는 특성이 보편적인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귀속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58]
참조
[1]
웹사이트
Agreeableness
https://www.psycholo[...]
2024-02-21
[2]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2008-10
[3]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Psychology
Academic Press
[4]
논문
Trait Empathy associated with Agreeableness and rhythmic entrainment in a spontaneous movement to music task: Preliminary exploratory investigations
http://urn.fi/URN:NB[...]
2017-03-28
[5]
논문
The Light vs. Dark Triad of Personality: Contrasting Two Very Different Profiles of Human Nature
2019-03-12
[6]
서적
Culture and Psychology: 5th Edition
Wadsworth-Cengage Learning
[7]
논문
Trait names: A psycholexical study.
[8]
논문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Basic traits resolved into clusters.
1943-10
[9]
서적
The Description and Measurement of Personality
World Book
[10]
웹사이트
The 16PF® Questionnaire
http://www.ipat.com/[...]
IPAT
2012-02-16
[11]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2]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13]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14]
논문
Mini-Markers – a brief version of Goldberg's unipolar big-five markers
[15]
서적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Blackwell Publishing
[16]
서적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ume 2
Sage
[17]
서적
Problems with Language Imprecision: New Directions for Methodology of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https://archive.org/[...]
Jossey-Bass
[18]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structure: A cluster analytic approach.
[19]
서적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0]
서적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 PI-R) and the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1]
논문
Facet scales for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 revision of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22]
논문
The dark triad and normal personality traits
[23]
논문
Honesty-Humility, the Big Five, and the Five-Factor Model
http://www.psy.uwa.e[...]
2005-10
[24]
서적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A Collection of Later Writings
Routledge & Kegan Paul
[25]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Third Edition
Springer
[26]
웹사이트
NEO-PI-R • NEO Personality Inventory – Revised
http://www.unifr.ch/[...]
Hogrefe Testsystem 4
2012-03-19
[27]
웹사이트
A Comparison between the 30 Facet Scales in Costa and McCrae's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and the Corresponding Preliminary IPIP Scales Measuring Similar Constructs
https://ipip.ori.org[...]
Oregon Research Institute
2012-03-19
[28]
서적
Manual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29]
논문
Cloninger's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30]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Zuckerman's three structural models for personality through the NEO-PI-R, ZKPQ-III-R, EPQ-RS and Goldberg's 50-bipolar adjectives
[31]
논문
Honesty as the sixth factor of personality: Correlations with Machiavellianism, primary psychopathy, and social adroitness
[32]
논문
A six-factor structure of personality-descriptive adjectives: Solutions from psycholexical studies in seven languages
2004-02
[33]
논문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A new measure of the major dimensions of personality
[34]
논문
Empir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advantages of the HEXACO Model of Personality Structure.
2007-05
[35]
논문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http://www.psy.uwa.e[...]
[36]
논문
Getting mad and getting even: Agreeableness and Honesty-Humility as predictors of revenge intentions.
2012-04
[37]
논문
Further assessment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Two new facet scales and an observer report form.
2006-06
[38]
웹사이트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Scale Descriptions
https://hexaco.org/s[...]
2012-03-20
[39]
서적
Peer rejection: Developmental process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Guilford Press
[40]
논문
Personality, emotional experience, and efforts to control emotions
[41]
논문
Agreeableness as a moderator of interpersonal conflict
[42]
논문
Perceiving interpersonal conflict and reacting to it: The case for agreeableness
[43]
논문
Agreeableness, empathy, and helping: A person X situation perspective
[44]
논문
Measuring the prosocial personality
[45]
논문
Agreeableness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46]
논문
Attraction, personality and prejudice: Liking none of the people most of the time
[47]
논문
Personality Predicts Obedience in a Milgram Paradigm
https://archivesic.c[...]
2014
[48]
논문
Meta-analytic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y
2023-06-06
[49]
서적
Of Anchors & Sails: Personality-Ability Trait Constellations
https://umnlibraries[...]
University of Minnesota
2023-11-20
[50]
논문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an Adolescent Clinical Population: Consideration of Personality Stability
https://link.springe[...]
2023-02-01
[51]
논문
Can Agreeableness Turn Gray Skies Blue? A Role for Agreeableness in Moderating Neuroticism-Linked Dysphoria
http://dx.doi.org/10[...]
2009-04
[52]
논문
The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agreeableness in adulthood
[53]
논문
Moving against the world: Life course patterns of explosive children
[54]
논문
Linking childhood personality with adaptation: evidence for continuity and change across time into late adolescence
[55]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ate and personality.
http://mypersonality[...]
myPersonality Research
2008-12-09
[56]
뉴스
The United States of Mind. Researchers Identify Regional Personality Traits Across America
https://www.wsj.com/[...]
WSJ.com
2008-09-23
[57]
서적
Psychology
http://www.mhhe.com/[...]
The McGraw-Hill Companies.
2012-03-29
[58]
논문
Cross-cultural consensus in personality judgments.
1997
[59]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2008-10
[60]
간행물
Agreeableness; A dimension of personality. In R. Hogan, S. Briggs, & J. Johnson, (1997). Handbook of Personality Psychology. San Diego, CA: Academic Press.
[61]
논문
Trait Empathy associated with Agreeableness and rhythmic entrainment in a spontaneous movement to music task: Preliminary exploratory investigations
2017-03-28
[62]
논문
Associations between empathy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mong Chinese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2017-02-10
[63]
논문
The Light vs. Dark Triad of Personality: Contrasting Two Very Different Profiles of Human Nature
2019-03-12
[64]
서적
Culture and Psychology: 5th Edition
Wadsworth-Cengage Learning
[65]
논문
Trait names: A psycholexical study.
[66]
논문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Basic traits resolved into clusters.
1943-10
[67]
서적
The Description and Measurement of Personality
World Book
[68]
웹사이트
The 16PF® Questionnaire
http://www.ipat.com/[...]
IPAT
2012-02-16
[69]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70]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71]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72]
논문
Mini-Markers – a brief version of Goldberg's unipolar big-five markers
[73]
서적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Blackwell Publishing
[74]
서적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ume 2
Sage
[75]
서적
Problems with Language Imprecision: New Directions for Methodology of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https://archive.org/[...]
Jossey-Bass
[76]
웹사이트
Big Five Personality Facets: Descriptions of High and Low Values
https://web.archive.[...]
2018-11-26
[77]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structure: A cluster analytic approach.
[78]
서적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79]
서적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 PI-R) and the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80]
논문
Facet scales for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 revision of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81]
논문
The dark triad and normal personality traits
[82]
논문
Honesty-Humility, the Big Five, and the Five-Factor Model
http://www.psy.uwa.e[...]
2005-10
[83]
서적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A Collection of Later Writings
Routledge & Kegan Paul
[84]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Third Edition
Springer
[85]
웹사이트
NEO-PI-R • NEO Personality Inventory – Revised
http://www.unifr.ch/[...]
Hogrefe Testsystem 4
2012-03-19
[86]
웹사이트
A Comparison between the 30 Facet Scales in Costa and McCrae's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and the Corresponding Preliminary IPIP Scales Measuring Similar Constructs
https://ipip.ori.org[...]
Oregon Research Institute
2012-03-19
[87]
서적
Manual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88]
논문
Cloninger's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89]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Zuckerman's three structural models for personality through the NEO-PI-R, ZKPQ-III-R, EPQ-RS and Goldberg's 50-bipolar adjectives
[90]
논문
Honesty as the sixth factor of personality: Correlations with Machiavellianism, primary psychopathy, and social adroitness
[91]
논문
A six-factor structure of personality-descriptive adjectives: Solutions from psycholexical studies in seven languages
2004-02
[92]
논문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A new measure of the major dimensions of personality
[93]
논문
Empir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advantages of the HEXACO Model of Personality Structure.
2007-05
[94]
논문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http://www.psy.uwa.e[...]
[95]
논문
Getting mad and getting even: Agreeableness and Honesty-Humility as predictors of revenge intentions.
2012-04
[96]
논문
Further assessment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Two new facet scales and an observer report form.
2006-06
[97]
웹사이트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Scale Descriptions
http://hexaco.org/sc[...]
2012-03-20
[98]
문서
[99]
논문
Personality, emotional experience, and efforts to control emotions
[100]
논문
Agreeableness as a moderator of interpersonal conflict
[101]
논문
Perceiving interpersonal conflict and reacting to it: The case for agreeableness
[102]
문서
[103]
논문
Measuring the prosocial personality
[104]
논문
Agreeableness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105]
논문
Attraction, personality and prejudice: Liking none of the people most of the time
[106]
서적
"NEO personality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07]
논문
Personality Predicts Obedience in a Milgram Paradigm
https://archivesic.c[...]
2014
[108]
논문
The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agreeableness in adulthood
[109]
논문
Moving against the world: Life course patterns of explosive children
[110]
논문
Linking childhood personality with adaptation: evidence for continuity and change across time into late adolescence
[111]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ate and personality.
http://mypersonality[...]
myPersonality Research
2008-12-09
[112]
뉴스
The United States of Mind. Researchers Identify Regional Personality Traits Across America
https://www.wsj.com/[...]
2008-09-23
[113]
서적
Psychology
http://www.mhhe.com/[...]
The McGraw-Hill Companies.
2012-03-29
[114]
논문
Cross-cultural consensus in personality judgments.
http://doi.apa.org/g[...]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