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라우스 페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라우스 페트리는 스웨덴의 종교 개혁가이자 루터교 신학자이다. 그는 외레브로에서 태어나 웁살라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마르틴 루터와 필리프 멜란히톤의 영향을 받았다. 스웨덴으로 돌아와 종교 개혁 활동을 시작하여 구스타브 바사의 지지를 얻어 루터교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스웨덴어 성경 번역, 스웨덴 연대기 저술, 스톡홀름 대성당 학장 역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스웨덴의 법률 체계와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울라우스 페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올라우스 페트리 |
원어 이름 | Olof Persson, Olaus Petri |
존경 대상 |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 |
칭호 | 종교인 및 고해 성사자 |
기념일 | 4월 19일 |
인물 정보 | |
출생 | 1493년 |
출생지 | 스웨덴 외레브로 |
사망 | 1552년 4월 19일 (58세 또는 59세) |
사망지 | 스웨덴 스톡홀름 |
안치 장소 | 스톡홀름 대성당 |
기타 정보 | |
관련된 | 종교 개혁 |
2. 생애
울라우스 페트리(Olaus Petrisv, 1493년 ~ 1552년 4월 19일)는 스웨덴의 종교 개혁을 이끈 핵심적인 신학자이자 작가이다.[1] 그는 외레브로 출신으로, 웁살라 대학교와 독일의 여러 대학에서 수학하며 마르틴 루터 등 종교 개혁가들의 영향을 받았다.[2]
스웨덴으로 돌아온 후, 그는 구스타브 1세 바사 국왕의 지원을 받아 로마 가톨릭교를 비판하고 루터교 사상을 적극적으로 전파했다. 그는 스웨덴 최초로 미사를 스웨덴어로 집전했으며[2], 신약성서를 스웨덴어로 번역하고[3] 스웨덴어 찬송가와 교리 문답서를 만드는 등 스웨덴 교회의 개혁과 스웨덴어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노력은 1527년 베스테로스 의회에서 스웨덴이 루터교를 받아들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스웨덴의 역사를 기록한 연대기를 저술하기도 했다.[4][5]
종교 개혁 과정에서 그는 국왕과 긴밀히 협력했지만, 후에는 국왕의 권력 강화 시도와 교회 통제에 반대하며 갈등을 겪었다. 이로 인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사형 선고까지 받았으나, 친구들의 도움으로 사면되었다.[2][6][7] 이후 정치 일선에서는 물러났지만, 스톡홀름 대성당의 학장으로 활동하며 저술과 교회 활동을 계속하다 1552년 사망했다. 그는 스웨덴 종교 개혁의 아버지로 평가받으며, 스웨덴 역사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2. 1. 초기 생애
외레브로에서 태어난 울라우스 페트리는 지역 대장장이인 페테르 올로프손과 크리스티나 라르스도터의 아들이었다.[1] 그는 지역 카르멜회 수도원에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이후 웁살라로 가서 웁살라 대학교에서 신학과 독일어를 공부했다. 1516년까지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518년 2월에는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육을 마치고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비텐베르크에서 동생 라르스와 함께 머무는 동안, 울라우스는 필리프 멜란히톤과 마르틴 루터와 같은 독일 종교 개혁의 주요 인물들을 만나 그들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2]2. 2. 종교 개혁 활동

1519년, 페트리 형제는 스웨덴으로 돌아왔다. 울라우스는 스트렝네스에서 부제 서품을 받고 스트렝네스 교구의 비서이자 재상, 스트렝네스 대성당의 교구 참사회원이었던 마티아스 그레게르손 릴예 주교 아래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는 마티아스 주교를 따라 스톡홀름에 갔다가 크리스티안 2세 덴마크 국왕이 일으킨 스톡홀름 피바다 사건을 겪었다. 이 사건으로 마티아스 주교를 포함한 많은 스웨덴 귀족과 성직자가 처형되었고, 울라우스 역시 처형될 뻔했으나 과거 비텐베르크에서 그를 본 적 있는 독일인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2]
이 학살은 스웨덴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고, 울라우스는 구스타브 바사가 이끄는 반군에 합류했다. 1523년 구스타브 바사가 스웨덴 국왕으로 선출되자 울라우스는 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왕국의 재상이 되었다. 1년 후, 울라우스는 스톡홀름의 도시 서기로 임명되어 수도로 이주했으며, 판사(구체적인 법적 훈련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와 시의원으로도 활동했다.
울라우스는 루터교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며 당시 지배적이던 로마 가톨릭교를 비판했다.[2] 이로 인해 1524년 10월 웁살라 대성당 참사회로부터 이단으로 파문당했지만,[2] 새로운 국왕 구스타브 바사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1525년, 울라우스는 루터교 관습에 따라 결혼했으며, 스웨덴 역사상 처음으로 미사를 스웨덴어로 집전했다.[2] 또한 루터의 저작물을 스웨덴어로 번역하고, 1526년에는 신약성서의 첫 스웨덴어 번역본과 스웨덴어 교리 문답서를 출판하는 등[3]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노력은 1527년 베스테로스 의회에서 스웨덴이 루터교를 국교로 선언하는 결실을 보았다. 1531년에는 가톨릭 미사를 간소화한 스웨덴어 미사서를 출판했다. 같은 해 구스타브 바사 국왕은 울라우스의 동생 라스를 웁살라 대주교로 임명하며 스웨덴 교회의 루터교 전환을 확고히 했다. 울라우스는 스웨덴 찬송가, 전례서, 설교, 논쟁적인 글들을 다수 집필했으며, 스웨덴 연대기도 저술했다.[4] 이 연대기는 일부 부정확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많은 흥미로운 사실과 일화를 담고 있어 중요한 역사 자료로 평가받는다.[5] 또한 1541년경 완성된 구스타브 바사 성경 번역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539년, 울라우스는 루터교 방식으로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는 1535년 4월 20일의 채운 현상에 영향을 받아 신비로운 그림 바데르솔스타블란 제작을 의뢰하고 종말론적인 설교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품 직후 구스타브 바사 국왕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울라우스는 고해를 통해 알게 된 국왕에 대한 음모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반역죄로 기소되어 재판에 회부되었다. 또한 국왕의 강압적인 통치와 과도한 과세 정책을 비판하는 글을 쓴 것도 재판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6] 구스타브 국왕은 교회를 완전히 통제하려 했지만, 울라우스는 국왕의 전제 정치적 경향을 경계하며 교회의 자율성을 옹호했다.[7]
1540년 1월 2일, 울라우스는 로렌티우스 안드레아와 함께 유죄 판결을 받았다.[2] 하지만 많은 협상과 요청 끝에 친구들의 도움과 스톡홀름 상인들이 낸 막대한 벌금 덕분에 보석으로 풀려났다. 이 사건으로 그의 정치적 활동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
울라우스는 1542년 국왕으로부터 사면권을 받았는데, 이는 성경 번역 완료에 대한 보상으로 여겨진다. 같은 해 스톡홀름 학교의 감독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스톡홀름의 성 니콜라스 교회(대성당)의 학장으로 승진하여 남은 9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했다.
2. 3. 국왕과의 갈등 및 말년
1539년, 울라우스 페트리는 사제 서품을 받았으나, 직후 구스타브 1세 바사 국왕과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울라우스는 고해를 통해 국왕 암살 음모를 알게 되었음에도 이를 발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반역죄 혐의를 받아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되었다. 또한, 일부 역사가들은 울라우스가 국왕의 가혹한 처벌과 과도한 과세 정책을 비판하는 글을 쓴 점도 재판의 원인이 되었다고 본다.[6] 구스타브 국왕은 교회를 완전히 통제하려 했지만, 울라우스는 국왕의 전제 정치적 경향을 경계하며 종교적 자치를 지지했다.[7]
결국 1540년 1월 2일, 울라우스 페트리와 그의 동료 로렌티우스 안드레아는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웁살라 대주교였던 그의 형 라우렌티우스 페트리마저 판결문에 서명해야 했다.[2] 그러나 많은 이들의 탄원과 중재 노력, 특히 스톡홀름 상인들이 거액의 벌금을 대신 내주는 등 친구들의 도움으로 울라우스는 사형을 면하고 보석으로 풀려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그의 정치 경력은 사실상 끝나게 되었다.
울라우스는 1542년에 사면권을 받았다. 이는 그가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구스타브 바사 성경 번역 작업 완료에 대한 보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같은 해 그는 스톡홀름 학교의 감독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543년에는 스톡홀름의 성 니콜라스 교회, 즉 스톡홀름 대성당의 학장으로 승진하여 이후 9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했다. 그는 사망 후 스톡홀름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3. 업적
1616년 사후 출판된 ''판사의 협회 규칙''은 울라우스 페트리의 주요 저술로 꼽힌다. 1520년에서 1540년 사이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이 42개의 규칙은 일반법과 성문법의 성격을 함께 지니며, 스칸디나비아, 특히 스웨덴과 핀란드 법 체계의 기초를 다지는 데 영향을 주었다. 핀란드 법 규약 서론에 포함되어 있으나 법적 구속력은 없다. 일부 종교적 언급 등은 시대적 한계를 보이지만, 그가 강조한 법적 확실성, 형평성, 정의의 가치는 북유럽 법학에서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진다.[8] 다만, 그의 법조 경력 말년에 있었던 재판에 대한 기록은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나 에릭 요란손 테겔에 의해 기록된 것이라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9]
그의 저술들은 ''Samlade skrifter av Olavus Petri''라는 제목의 전집으로 묶여 웁살라에서 출판되었다(1913–1917).[10]
이 외에도 그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스톡홀름의 스토르키르칸 외부에는 1898년 세워진 기념 명판과 동상이 있으며,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매년 4월 19일을 그와 동생 라르스를 기리는 전례 기념일로 지킨다. 또한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의 희곡 ''마스터 올로프''(''Mäster Olof'')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4. 평가 및 영향
울라우스 페트리는 국립 대성당이 된 스토르키르칸( Storkyrkansv , 과거 웁살라 대성당)에 묻혔다. 1898년부터 스토르키르칸 외부에 설치된 대형 명판과 동상은 이 종교 개혁가를 기념하고 있다. 그의 동생 라르스는 형보다 20년 더 생존하며 스웨덴 교회가 루터교적 관점에서 개혁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울라우스 페트리가 사망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1616년, ''판사의 협회 규칙''이 출판되었다. 이 문서는 1520년에서 154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며, 오랫동안 울라우스 페트리의 저작으로 여겨져 왔다. 이 42개의 일반 규칙은 일반법과 법률이 혼합된 형태로, 스웨덴과 핀란드를 포함한 스칸디나비아 법적 전통의 기반을 형성했다. 특히 핀란드 법에서는 이 규칙을 법규의 서론 부분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구속력 있는 법률로 제정되지는 않았다. 일부 내용은 시대에 뒤떨어진 면(특히 명백한 종교적 언급)이 있지만, 법적 확실성, 형평성, 정의라는 가치는 북유럽 법학 연구와 실무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8] 다만, 그의 법조 경력을 끝낸 재판에 대한 이야기는 그의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나 바사 왕조의 연대기 작가인 에릭 요란손 테겔에 의해 기록되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9]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울라우스 페트리와 그의 형제를 기리기 위해 그의 사망일인 4월 19일을 전례 기념일로 지정하여 함께 기념하고 있다.
문화적으로도 울라우스 페트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의 희곡 ''마스터 올로프''( Mäster Olofsv )의 주인공으로 등장했으며, 이 희곡은 1881년 12월 30일에 초연되었다.
그의 저작들을 모은 전집(Samlade skrifter av Olavus Petri)은 1913년부터 1917년까지 웁살라에서 출판되었다.[10]
참조
[1]
서적
Föreningen Heimdals folkskrifter. — N:r 11.
https://runeberg.org[...]
F. & G. BEIJERS BOKFÖRLAGSAKTIEBOLAG
2018-11-21
[2]
웹사이트
581-582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20. Norrsken - Paprocki)
https://runeberg.org[...]
Runeberg.org
2014-11-30
[3]
웹사이트
Biography: Olavus and Laurentius Petri, priest and archbishop (19 Apr 1552)
http://elvis.rowan.e[...]
Elvis.rowan.edu
2014-11-30
[4]
웹사이트
Olai Petri Svenska krönika
https://archive.org/[...]
Stockholm, H. Klemming
2014-11-30
[5]
웹사이트
583-584 (Nordisk familjebok / Uggleupplagan. 20. Norrsken - Paprocki)
https://runeberg.org[...]
Runeberg.org
2014-11-30
[6]
웹사이트
Olaus Petri And The Rules For Judges. Associations 1/2000.
https://jarkkotontti[...]
Jarkkotontti.net
2014-11-30
[7]
서적
Olavus Petri: The Church Reformer of Sweden
Augustana Book Concern
[8]
간행물
Olaus Petri And The Rules For Judges. Associations - Journal for Social and Legal Theory Vol. 4., 2000, No.1, p. 113-128.
https://jarkkotontti[...]
Tontti, Jarkko
[9]
문서
Hermelin, Andrea, Vädersolstavlan i Storkyrkan - III En målning i reformationens tjänst - Historik enligt skriftliga källor, p. 42
[10]
웹사이트
Samlade skrifter av Olavus Petri
https://runeberg.org[...]
2021-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