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단은 특정 종교나 종파가 다른 종교나 종파의 가르침이나 실천이 자신들의 핵심 교리에 어긋나며 구원을 얻을 수 없다고 규정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가르침을 의미한다. 기독교, 이슬람, 유학 등 다양한 종교에서 이단 개념이 존재하며, 각 종교는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이단을 규정한다. 이단으로 지목된 종교는 이에 반발하여 자신을 이단으로 규정한 종교를 비판하기도 한다. 종교적 이단 외에도 정치,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통념이나 권위에 도전하는 사상이나 행위를 비유적으로 이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 이단 문제는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사회적 통합과 관련된 복잡한 논쟁을 야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단 - 마르키온파
    마르키온파는 144년경 마르키온에 의해 시작된 기독교 분파로, 구약의 하나님과 예수의 가르침을 구분하고 엄격한 금욕주의를 강조했으며 신약성경 정경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이단 - 기독교복음선교회
    기독교복음선교회는 1980년 정명석에 의해 설립되어 JMS라는 약칭으로도 알려진 종교 단체로, 통일교와 유사한 교리를 가지고 젊은 층을 대상으로 포교 활동을 하며 교주의 성범죄 의혹으로 사회적 논란이 되었다.
  • 종교법 - 신성모독
    신성모독은 신성한 대상에 대한 불경스러운 행위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범죄로 처벌받기도 했지만, 현재는 많은 국가에서 폐지되었고, 종교에 따라 다른 관점을 보인다.
  • 종교법 - 성직자기본법
    성직자기본법은 프랑스 혁명 시기 국민 의회에서 프랑스 가톨릭 교회를 국가 통제하에 두기 위해 제정된 법률로, 교구 재편, 성직록 폐지, 선거를 통한 성직자 임명, 외부 권위 부정, 헌법에 대한 선서 의무 부과 등을 내용으로 하며, 가톨릭 교회의 반발과 사회 분열, 탄압을 야기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폐지 후 나폴레옹 시대 정교 협약으로 종교와 국가 관계가 재정립되었다.
  • 종교 용어 - 섭리
    섭리는 삶과 역사가 신의 깊은 배려로 일어난다는 종교적 관점으로, 세상과 인간을 향한 신의 개입과 돌보심을 강조하며,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고 특히 기독교에서는 핵심 교리로 여겨지지만, 인간의 자유 의지 및 예정론과의 관계는 신학적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종교 용어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이단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확립된 믿음이나 관습과 강하게 모순되는 신념 또는 이론
영어heresy
관련 개념
관련 개념사이비
연관 개념배교
신성 모독
역사 및 어원
어원고대 그리스어에서 '선택'을 의미하는 "hairesis"에서 유래
기원1455–1460년경
참고 자료
참고 자료옥스포드 사전의 이단 정의
dictionary.com의 이단 정의
reference.com의 배교 정의
dictionary.com의 신성 모독 정의

2. 종교적 이단

종교 또는 종파가 다른 종교 또는 종파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것은, 그 종교의 가르침과 실천이 구원, 깨달음 등 핵심적인 종교적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다른 길"이 아니라 "틀린 길"이라고 규정하는 것이다.[6]

예를 들어, 불교 초기 발생 시 힌두교불교를 이단(나스티카)으로 규정했는데, 이는 불교의 가르침과 실천으로는 해탈을 성취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보편교회는 영지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축출했는데, 이는 영지주의의 가르침과 실천으로는 구원받을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단으로 지목받은 종교나 종파는 자신을 이단으로 규정한 종교나 종파를 도리어 이단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영지주의 운동가들은 보편교회를 이단이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자신들보다 구원을 성취하기 어려운 부류로 규정하였다.

고대 그리스어 ''haíresis''(αἵρεσιςgrc)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 ''heresy''는 원래 "선택"을 의미했다.[7] 그러나 "개인의 선택에 따른 당파 또는 학파"를 의미하게 되었고,[7] 젊은이가 다양한 철학을 검토하여 어떻게 살아갈지 결정하는 과정을 가리키기도 했다. ''heresy''는 일반적으로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에서 사용되며, 각 종교마다 약간 다른 의미를 지닌다. 이단 운동의 창시자 또는 지도자는 이단의 지도자라고 불리며, 이단을 주장하거나 행하는 사람들은 ''이단자''로 알려져 있다.

유교에서도 이단에 대한 철저한 배척이 일어났다. 기독교이슬람교 등에서도 이단 논쟁은 큰 사건으로 기록된다. 영국의 워버턴은 "정통은 나의 의견이고, 이단은 다른 사람의 의견이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이단 논쟁에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78]

정통/이단의 구별은 마르크시즘과 같은 절대주의적인 주장을 포함하는 이데올로기에서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78] 정치적으로는 스탈린주의가 다른 공산주의 파벌을 이단으로 배척하고 숙청한 사건이 있다.[80]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주의적 자유 경제주의가 정통으로 여겨지고, 공산주의나 통제경제 등은 이단시되어 배척된다. 마찬가지로 북한에서는 주체사상만이 정통으로 여겨지고, 민주주의는 이단시되어 배척되고 있다.

정통/이단의 용법은 종교적 영역에서 시작하여 정치, 문화, 경제 등 널리 사용되고 있다.[80] 학문(과학) 등의 영역에도 유사한 개념이 존재한다. 「이단」이라는 말은 역사적 배경으로부터 현대에도 반감이나 혐오감을 담아 사용되지만, 예술 등 창조성, 독창성이 높이 평가되는 분야에서는 찬사의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절대주의에서는 이단을 극단적으로 배척하지만, 이단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사상은 창조적인 사상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78]

기성 종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변혁을 시도하는 인물은 처음에는 기성 종교로부터 이단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부처, 예수 그리스도, 프로테스탄트 등이 그러한 예이다. 이처럼 이단으로 배척되더라도 더 나은 종교를 추구하는 사람들에 의해 기성 종교의 문제점이 개선되어 왔다는 역사적 사실이 있다.[82]

2. 1. 기독교

기독교에서는 성경에 근거[127]하여 침례교를 비롯한 여러 개신교 교단들이 로마서를 통해 이단을 가려낸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지 않는 가르침 및 교회 내의 부패 또는 범법 행위들을 이단이라고 하는데, 흔히 사이비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으나 대부분 성경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육체로 오신 그리스도를 시인하지 않는 영은 적그리스도라고도 하였다.[128]

기독교에서 판별하는 이단의 기준은 지옥[129], 죄성[130], 회개[131],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삼위일체[132], 보혈을 통한 죄사함[133], 믿음[134], 복음부활[135], 구원[136],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137], 새로운 피조물[138], 휴거[139], 세상과 성도의 구별[140], 두 성품[141]에 대한 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반발할 경우 이단으로 규정되어 출회까지도 당할 수 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죄성, 회개, 믿음[142]과 구원[143]에 대한 것을 의심하는 것이다.

구약에선 카인, 발람 등이 이단이었고, 초림때는 유다 이스카리옷이 이단이었고, 초대 교회에서는 사도 바울이 이단으로 몰렸고, 예수 그리스도 역시 성령모독죄를 범했다며 이단으로 몰렸으나 정작 예수 그리스도를 이단으로 정죄한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이 오히려 이단으로 정죄를 당했고, 사도 바울을 이단으로 몰았던 유대인들이 오히려 이단으로 몰려 복음의 원수란 말을 붙이게 되었다.[144]

11세기 동서 교회의 분열 시기에 동방교회인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디오키아, 알렉산드리아 교구의 동방 정교회는 서방교회인 로마 교구의 로마교회를, 서방교회의 교황은 이와 반대로 동방 정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상호 파문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20세기에 와서야 동방 정교회가 1960년 천주교회의 정교회 지역의 사제, 교인 살해, 교회 약탈 등에 대한 용서 성명을 발표하였고, 이후 천주교회도 이에 화답하여 화해와 일치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면서 상호간 이단 파문 결정이 철회되었다.

16세기 종교 개혁 시기에 서방 교회내에서 교황 중심의 개혁반대파(천주교)와 복음 중심의 개혁찬성파(개신교)는 서로를 이단으로 간주하였고 전쟁까지 비화되었다. 1960년대 개신교회인 루터교회다른 개신교단이 종교개혁 이후 천주교회의 개신교도에 대한 살인, 방화, 교회 공격을 용서하는 성명을 발표하였고, 이후 천주교회의 교황 바오로 6세는 이에 대해 '열교'(裂敎)를 "갈라진 형제"로 고치며 현실적인 개신교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개신교도 대부분의 교단은 천주교회를 무조건적으로 이단으로 간주하지는 않고 있다.

또한 기독교 중 성서지상주의를 강조하는 개신교에서는 성경에 준하지 않는 종파를 이단으로 지목하기도 하며, 사도신경이나 니케아 신경, 칼케돈 신조 등의 정통 신앙고백을 준수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이론, 또는 그런 이론에 바탕한 종교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기독교계 종파 뿐만 아니라 기독교가 아닌 종교까지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단을 가려내는 집단들 역시 이단이 나오거나 교회 내의 부패 또는 범법 행위들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명예훼손에서 겨우 승소하거나 패소를 하는 경우도 많았고 뿐만 아니라 이단이라 정죄된 집단이 나중에 세력이 커져서 이단이 되지 않거나 반대로 이단이라 정죄한 세력이 이단이 되는 상황이 많아지는데 그 이유는 성당을 비롯한 현재의 교회가 초대 교회와 너무나도 동떨어졌고, 초대 교회 때와 달리 박해도 크게 감소했고, 현대문명이 급속도로 발달함으로 인하여 교회의 세속화로 이단의 구별도 더 이상 의미가 없어졌다.

우선 우리는 이단(異端)에 대해서 성경은 어떻게 말하는지 그 기준(基準)을 알아야 한다. ‘이단’이란 ‘정통’(正統, orthodoxy)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이단에 대한 반작용으로 정통신앙이 생긴 것이 아니라 “성도에게 단번에 주신 믿음의 도”(유 1:3)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이탈(離脫) 현상이 이단이 된 것이다. 이단은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을 수 없는 사탄이 역사하여 맺게 하는 육체의 열매이다(갈 5:19).[145]

성경에서 이단으로 경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삼위 하나님’을 믿지 않는 것과 다른 예수, 다른 영을 받는 자를 이단시했다(신 4:19; 딤전 4:1; 요일 4:1-6).
  • 둘째, 성경은 ‘다른 복음’을 전하는 것을 이단시했다(갈 1:6-11).
  • 셋째, ‘부활’을 믿지 않는 자들을 이단시했다(마 22:23).
  • 넷째, ‘성경의 무오성(無誤性)’을 믿지 않는 자를 이단시했다(마 5:18; 히 1:1, 2; 계 19:9-10).
  • 다섯째, 성경을 억지로 푸는 자를 이단시했다(벧후 3:16).
  • 여섯째, 성경을 더하거나 빼는 자를 이단시했다(계 22:18-19).
  • 일곱째, 자기 마음으로 말미암은 묵시(默示)를(교리나 예언)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시(同一視)한 자를 이단시했다(렘 23:16, 21, 26).


종합적으로 보면 이단 시비(是非)의 구분선은 영혼을 살리는 ‘복음’과 복음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되어 있다. 죄인이 ‘예수 그리스도’를 바로 알고 ‘복음’을 믿어야 구원을 받고 성령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행 19:2). 기독교를 처음 접하는 분을 위해 조금 더 설명을 드리면 삼위 하나님(triune god)은 유일하시며 오직 한 분 되신 참 하나님이시다(출 9:14; 사 46:9; 고전 8:4-6,유1:20-21).

하나님은 영원하시며(출 3:14; 신 33:26-27; 합 3:6), 불변하시며(사 46:9-10; 말 3:6; 약 1:17;), 전지(시 94:10-11; 사 40:13-14; 요일 3:20) 전능하시며(사 59:1-2; 막 10:27; 롬 4:21), 편재하시며(시 139:7-12; 왕상 8:27; 렘 23:23-24), 삼위일체시며(마 28:19; 요 1:1, 4; 딛 2:13), 영이시며(요 4:24; 골 1:15), 신격으로서의 모든 필요한 속성을 소유하시는 인격이시다(출 3:14; 시 94:9-10; 렘 10:14-16). 성경적인 삼위일체는 ‘한 분 영원한 하나님의 본성(성품) 안에 세 분의 별개 위격, 즉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계시다. 이 세 위격은 한 하나님이시다.’

예수 그리스도가 기독교 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수님이 약속된 메시아인 그리스도라는 것과(눅 2:11; 요일 2:22), 근본 하나님과 본체인 ‘하나님의 아들’이시고 성령으로 성육신하셨다는 점이다. 그리고 인간의 죄를 대속(代贖)하시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셨고 사흘 만에 죽음에서 부활하셨다(요 2:19; 눅 24:39). 그는 40일 동안 제자들과 함께 계시다가 승천하셨으며 장차 모든 인간을 심판하시려고 가시적으로 재림하실 것이다(마 24:30-31; 계 19:11-15, 20:11-15). 그는 완전한 하나님이시며(요 20:28, 1:1 등) 완전한 사람으로 오셨다(빌 2:5-11; 딤전 2:5). 죄인 된 인간이 구원을 얻고 하나님께로 갈 수 있는 길은 유일하게 ‘그리스도 안’에서이다(행 4:12; 롬 5:9-11; 요일 5:20).

이러한 근본적인 기준에서 한 가지라도 부인하면, 십계명에서 한 계명을 어기면 모든 계명을 어긴 것과 같이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것이다. 즉 ‘다른 예수’이며 ‘이단’이다.

'''복음(Gospel)은 무엇일까?'''

복음은 지상 최대의 기쁜 소식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소식을 말한다(마 11:5; 눅 4:18; 롬 1:2, 16:25).

복음의 내용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믿는다(렘 10:10; 요 7:26, 17:3, 8).

② 모든 인간은 죄인이며(롬 3:10, 23, 5:12; 요일 1:8) 죄의 대가(代價)는 사망이요, 심판과 지옥이 기다리고 있다(겔 18:4; 롬 6:23; 계 20:14-15).

③ 인간의 행위와 힘으로는 스스로 구원을 받을 수 없다(롬 3:20; 갈 2:16; 엡 2:8-9).

④ 예수 그리스도만이 구세주이시며 그는 죄인을 위해 죽으시고 부활하신 영생의 유일하신 문(門)이다(요 14:6; 딤전 2:5; 행 4:12).

⑤ 죄인은 회개하고 예수님을 구주로 믿음으로 구원받는다(요 3:16; 갈 3:26; 롬 10:9-10).

이상의 복음의 내용 중 한 가지라도 다르거나 부인하면 ‘다른 복음’이다. 즉 이단이다.

결론적으로 삼위 하나님을 믿지 않거나 다른 하나님이나 다른 예수(고후11:3-4), 다른 영을 받고 전하는 자나 다른 복음(갈1:6)을 따르거나 전하는 자들은 ‘이단’이다. 이단 교주나 이단을 따르는 이단자들의 결국은 지옥이다(벧후2:1,갈5:20-21).

'''성경은 이단에 대해 어떻게 대처(對處)하라고 명하고 있는가?'''

첫째, 이단을 시험하여(try,test) 분별하라(요일 4:1-3).

“1사랑하는 자들아 영을 다 믿지 말고 오직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분별하라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라 2이로써 너희가 하나님의 영을 알지니 곧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3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지금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요일4:1-3)

둘째, 훈계하라(딤3:10).

“이단에 속한 사람은 한두 번 훈계한 후에 멀리하라”(딛 3:10).

이단에 속한 사람들도 하나님이 구원하기를 원하시는 인간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들이 신봉하는 교리와 내용은 영적인 독과 죄로 여기되 그들의 영혼은 사랑으로 대하고 복음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분명히 경계의 말과 확고한 복음의 선포가 필요하다.

셋째, 조심하라(마 7:15). 그리고 멀리하라(딛3:10)

이것이 성경이 제시한 이단에 대한 기본적인 대처 방안이다. “이단을 분별하고 한두 번 훈계하라.” (딛3:10) 변론이나 인격적인 사귐의 대화가 아니라 훈계하다 듣지 않으면 멀리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단은 사람의 영혼을 죽이고 썩히는(딤후2:17) 무서운 전염병과 같으므로(마 16:6) 전염병을 멀리하듯 멀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치명적인 독한 균으로 당신도 교회도 피해를 보게 된다. 이단에 대처하기에는 믿음이 약하고 성경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아예 대화를 피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인사와 대화 자체를 금하였다. 영혼의 독한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누구든지 이 교훈을 가지지 않고 너희에게 나아가거든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말라”(요이 1:10).

하나님 나라의 경계선 곧 정통과 이단의 구분선은 성경을 근거로 한 ‘삼위 하나님’과 ‘복음’에 대한 신앙이다.

전 독일 가톨릭 수사였던 마르틴 루터는 1520년 교황 레오 10세가 발표한 교황 칙서 ''Decet Romanum Pontificem''에 의해 이단으로 파문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 교황령은 철회되지 않았다.


디도서 3장 10절에 따르면, 분열을 일으키는 사람은 그와 헤어지기 전에 두 번 경고해야 한다. "분열을 일으키는 사람"이라는 구절의 그리스어는 초기 교회에서 분쟁을 조장하는 유형의 "이단자"를 위한 전문 용어가 되었다.[8] 반대로, 올바른 가르침은 신앙을 세우는 것뿐만 아니라 거짓 교사들의 부패한 영향으로부터 신앙을 보호하기 때문에 건전하다고 불린다.[9]

터툴리아누스는 기독교 내 이단의 가장 큰 영감을 준 것이 유대인이었다고 암시했다. "이단자는 이 논의에서 유대인으로부터 지침을 받아들였다. 예수는 그리스도가 아니었다."[10]

"이단"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2세기 이레네우스의 논문 ''Contra Haereses'' (''Against Heresies'')에서 그의 반대자들을 묘사하고 불신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 그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공동체의 신념과 교리를 정통](orthodox) (ὀρθόςgrc, ''orthos'', "정직한" 또는 "올바른"과 δόξαgrc, ''doxa'', "신념"에서 유래)으로 묘사하고

2. 1. 1. 한국 기독교의 이단 논쟁

한국 기독교는 급격한 성장 과정에서 다양한 이단 논쟁을 겪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등 일부 단체들은 기성 교단으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되어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127]

2. 2. 이슬람

전통적으로 수니파시아파를 이단으로 규정해 왔다.[61][62][63]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1세는 시아파 키질바시를 이단으로 간주했다.[60]

무굴 제국의 황제 아우랑제브시크교도들을 이단으로 여겼다.[64] 수니파시아파무함마드 이후의 예언자를 믿는 아흐마디야를 이단으로 널리 간주한다.[65][66] 무슬림으로 간주되지 않는 바하이교는 이슬람의 이단적인 분파로 여겨져 왔다.[67] 이란에서는 바하이교가 이슬람의 이단으로 간주되어 체계적인 바하이교도 박해가 이루어지고 있다.[64]

1989년 이란의 최고 종교 지도자 루홀라 호메이니살만 루슈디의 저술을 이단으로 선언하는 파트와를 발표하고, 그를 암살하는 자에게 현상금을 걸었다.

이슬람에서 정통/이단이라는 용어는 교리보다는 실천적인 행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15] 9~10세기 하디스 수집과 4대 법학파 성립에 따라 순나의 내용이 확립되면서, 순나와 대립하는 새로운 행위는 "비다"로 배척되었다.[115]

2. 3. 유학

조선 시대 유학에서는 천주교를 정학(正學)인 유학에 반하는 사학(邪學)으로 규정하고 박해하였다.[78] 이는 한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개신교의 경우 초기에는 천주교로 오인받아 반감을 샀으나, 조선 왕조 역사상 유학 다음으로 큰 지지를 받은 교단이 되었다. 개신교 선교사인 알렌이 왕조에 훈장을 받기도 하였고, 평양 대부흥 운동도 조선 왕조 말기에 일어났다. 이는 개신교가 운명론적인 사상이나 은혜에 대한 관점이 유학과 유사하고, 당시 개신교가 복음보다 세속과 타협하는 방향으로 갔기 때문이다.

3. 비종교적 이단

'이단'이라는 용어는 종교뿐만 아니라 정치,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통념이나 권위에 도전하는 사상이나 행위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80] 혁신이 중시되는 분야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이단'(heresy, heterodoxy)은 '정통'(legitimacy, orthodoxy)의 반대 개념이다. '이단'은 '정통'이 있어야만 성립하며,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81] 무엇이 정통이고 이단인지에 대한 논쟁은 '이단 논쟁'이라고 불린다.[78]

유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에서 이단 배척 사건이 있었다. 워버턴의 말처럼, 이단 논쟁에는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78] 정통과 이단의 구별은 마르크시즘과 같은 절대주의적 사상이나 이데올로기에서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78] 스탈린주의는 다른 공산주의 분파를 이단으로 몰아 숙청했고,[80]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유 경제주의가 정통으로 여겨지며, 공산주의나 통제경제는 이단시된다. 북한에서는 주체사상만이 정통이고, 민주주의는 이단시된다.

절대주의는 이단을 극단적으로 배척하지만, 이단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사상은 창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78] 부처, 예수 그리스도, 프로테스탄트처럼 기성 종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변혁을 시도하는 인물은 종종 '이단'으로 여겨졌지만, 이들에 의해 기성 종교의 문제점이 개선되기도 했다.[82]

3. 1. 정치적 이단

정치적 이단은 특정 이념이나 정치 체제에서 금기시되거나 탄압받는 사상을 의미한다. 한국 현대사에서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정치적 이단으로 탄압받았으며, 이는 사회적 갈등과 변화의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74][75]

'이단'이라는 용어는 종교뿐만 아니라 정치 이론의 맥락에서도 사용된다. 현대에는 "월가 이단", "민주당 이단", "공화당 이단"과 같이 풍자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류의 견해와 개인의 차이, 그리고 그러한 견해를 제시하는 사람의 대담성을 암시한다.

3. 2. 과학적 이단

과학적 이단은 기존의 과학적 패러다임에 도전하는 새로운 이론이나 가설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많은 과학적 발견은 처음에는 이단으로 취급되었으나, 이후 과학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72]

아이작 아시모프는 과학적 이단을 내부 이단(내부 과학계 출신)과 외부 이단(외부 출신)으로 나누었다. 과학 정통주의는 내부 이단자에 대해서는 잘 방어하지만, 외부 이단자에 대해서는 거의 무력하다고 보았다. 그는 이단이 반복적으로 정통이 되어 온 사례들을 통해 이를 인정했다.[72]

고생물학자 로버트 T. 배커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공룡 이단''으로 출판하면서 공룡에 대한 주류 견해를 독단으로 다루었다.[73] 그의 삽화는 전통적인 무기력한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활동적인 자세로 공룡을 보여준다.

이마누엘 벨리코프스키는 최근 과학적 외부 이단의 한 예이다. 그는 적절한 과학적 자격 증명이 없었고 과학 저널에 발표하지 않았다. 그의 연구 내용은 과학적으로 신뢰를 얻지 못했지만, 격변적 변화(멸종 사건 및 점진적 평형)의 개념은 최근 수십 년 동안 받아들여지고 있다.

학문의 세계에서도 정통/이단과 유사한 구분과 논쟁이 존재한다. 17세기 자연철학에서는 물체가 직접 부딪히지 않으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는다는 생각이 정통이었다.[116] 아이작 뉴턴이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1687년)에서 만유인력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창했을 때,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그 생각을 "오컬트"라는 말로 부르며 배척하려 했다.[117]

1833년 윌리엄 휴웰이 "과학자"라는 용어를 제안했지만, 당시 대학에서 인정받는 학자들은 scientia를 정통적이지 않은 지식으로 간주했으며, scientist들의 사회적 지위는 낮았다. scientist들은 정통성을 인정받는 데 오랜 세월이 걸렸다.[119]

19세기 말, 실증주의 사상이 학문 세계에서 극성을 부렸던 시기, 어른스트 마하 등은 인간이 직접적으로 지각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기술은 "형이상학"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배척하려고 했다. 마흐는 원자론도 거부했다.[123]

현대에도 실증주의적인 생각을 정통이라고 여기고, 그것에서 벗어난 생각을 배척하려는 사람들이 자연과학 분야에 많이 존재한다. 이들은 직접 감각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오컬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에는 과학이 국가로부터 승인을 얻어 행정적인 기구에도 통합되어 있다.[124] 현대 과학자에게 "유사과학"이라는 낙인이 찍히면 공공 기관으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125][126]

4. 현대 사회와 이단

현대 사회에서 이단 문제는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사회적 통합과 관련된 복잡한 논쟁을 야기한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존중하면서도 사회적 안정과 조화를 추구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이단 논쟁은 주관적인 요소가 강하며,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절대주의적 이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스탈린주의는 다른 공산주의 분파를 이단으로 숙청했으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유 경제주의가 정통으로 강조되고 다른 경제 체제는 이단시되는 경향이 있다. 북한에서는 주체사상만이 정통으로 옹호되고 민주주의는 배척된다.

절대주의에서는 교리의 절대성을 지키기 위해 이단을 엄격히 경계한다. 그러나 이단의 존재를 허용하고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사상이 창조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부처, 예수 그리스도, 프로테스탄트 등 기성 종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변혁을 시도한 인물들은 초기에 이단으로 여겨졌지만, 이들의 노력으로 기성 종교의 문제점이 개선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eresy – definition of heresy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www.oxforddic[...]
[2] 웹사이트 Heresy | Define Heresy at Dictionary.com http://www.dictionar[...] Dictionary.reference.com 2013-04-15
[3] 서적 Twentieth-Century Marx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4] 웹사이트 Apostasy | Learn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Apostasy at http://www.reference[...] Reference.com 2013-04-15
[5] 웹사이트 Definitions of "blasphemy"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5-11-27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7] 서적 The Spreading Flame Paternoster 1964
[8] 서적 The NIV Study Bible Zondervan / Hodder & Stoughton 1987
[9] 서적 The NIV Study Bible Zondervan / Hodder & Stoughton 1987
[10] 서적 A History of Catholic Antisemitism: The Dark Side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
[11] 서적 The Rise of Christianity 1984
[1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13] 서적 The Early Christian Church Pelican 1967
[14] 서적 Constantine: Roman Emperor, Christian Victor Harry N. Abrams 2009
[15] 서적 A.D. 381 – Heretics, Pagans, and the Dawn of the Monotheistic State Harry N. Abrams 2008
[16] 서적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7]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Patristic Theolog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18] 백과사전 Priscillian https://www.britanni[...] 2024-01-00
[19] 서적 The Early Church Pelican 1967
[20] 서적 A Tale of Five Cities: A History of the Five Patriarchal Cities of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9
[21] 서적 Magical Practice in the Latin West: Papers from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the University of Zaragoza, 30 Sept. – 1st Oct. 2005 https://books.google[...] BRILL 2010
[22] 서적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3] 서적 Routledge Revivals: The Islamic Jesus (1977):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Sources in English and French Routledge 2016
[24] 서적 The Strange Death of Europe: Immigration, Identity, Isla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
[25] 서적 Censorship and Heresy in Revolutionary England and Counter-Reformation Rome: Story of a Dangerous Book Springer 2017
[26] 서적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1862
[27] 서적 The Rise of Christianity Fortress Press 1984
[28] 서적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1862
[29] 서적 Constantine's Swor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1
[30] 서적 The Age of Faith https://archive.org/[...] 1950
[31] 웹사이트 Notification regarding certain writings of Fr. Marciano Vidal, C.Ss.R. https://www.vatican.[...]
[32] 웹사이트 Responses to Some Questions and Commentary https://www.vatican.[...]
[33] 뉴스 Dismay and anger as Pope declares Protestants cannot have churches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7-07-11
[34] 뉴스 Will the Pope's Pronouncement Set Ecumenism Back a Hundred Years? http://www.progressi[...] Progressive Theology 2007-07-11
[35] 뉴스 Massacre of the Pure https://web.archive.[...] Time 1961-04-28
[36] 서적 The Albigensian Crusad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7] 서적 The Age of Faith https://archive.org/[...]
[38] 서적 The Disputed Injunction and its Role in Galileo's Trial 2005
[39] 서적 The Galileo Affair: A Documentary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40] 서적 The Trial of Galileo : Essential Documents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orporated 2014
[41] 서적 Galileo's Inquisition Trial Revisited Peter Lang 2008
[42] 백과사전 Robert Bellarmine Scribner &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2008
[43] 서적 A History of Catholic Antisemitism : The Dark Side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02-09
[44] 서적 A History of Catholic Antisemitism : The Dark Side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02-09
[45] 법전 Constitutio Sirmondiana, Theodosius II Novella, Codex Theodosianus, Codex Justinianus, Justinian Novellae
[46] 서적 Shaping North America: From Exploration to the American Revolution ABC-CLIO 2018
[47]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https://bookofconcor[...]
[48] 서적 Methodist Theology Bloomsbury Publishing 2011
[49] 서적 Encyclopedia of Tudor Englan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50] 서적 Political Trials in Histor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51] 서적 From Irenaeus to Grotius https://books.google[...] Eerdmans
[52] 서적 The English Reformation Fontana/Collins
[53] 서적 Anglicanism Pelican
[54] 서적 Thomas Cranmer Yale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Reformation Penguin
[56] 서적 John Wesley the Methodist: A Plain Account of His Life and Work Eaton & Mains
[5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thodism Scarecrow Press 2013
[58] 간행물 The Wesleyan Methodist Association Magazine R. Abercrombie
[59] 백과사전 Zindiq
[60] 서적 Plagued by the West Center for Iranian Studies, Columbia University
[61] 서적 Negotiating with Iran: Wrestling the Ghosts of History https://archive.org/[...] US Institute of Peace Press 2009
[62] 서적 The Rational Believer: Choices and Decisions in the Madrasas of Pakistan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12
[63] 서적 Power, National Security, and Transformational Global Events: Challenges Confronting America, China, and Iran CRC Press 2012
[64] 서적 Religious Minorities in Ira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Who are the Ahmadis, the Muslims the UN calls to protect? https://internationa[...] 2024-12-16
[66] 웹사이트 Doors to the Imaginal: Implications of Sunni Islam’s Persecution of the Ahmadi “Heresy” https://www.mdpi.com[...] 2024-12-16
[67] 웹사이트 Who are the Baha'is and why are they so persecuted? https://theconversat[...] 2024-12-16
[68] 서적 The Limits of Orthodox Theology: Maimonides' Thirteen Principles Reappraised
[69] 뉴스 When the Doctrine Leaves the Church http://www.latimes.c[...] 2008-08-24
[70] 서적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E.J. Brill
[71] 서적 The construction of orthodoxy and heresy: Neo-Confucian, Islamic, Jewish, and early Christian patterns SUNY Press
[72] 서적 Scientists Confront Velikovsky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73] 서적 The Dinosaur Heresies Citadel Press
[74] 웹사이트 Religion: Anti-Religion http://content.time.[...] 1940-05-06
[75] 웹사이트 Exploring the high moments and small mountain roads of Marxism http://isreview.org/[...]
[76] 간행물 広辞苑 第五版 p.152【異端】
[77] 간행물 デジタル大辞泉
[78] 간행물 東京大学出版会『宗教学辞典』pp.26-27【異端】
[79] 간행물 東京大学出版会『宗教学辞典』pp.485-486【正統と異端】
[80] 간행물 『岩波 哲学思想事典』 pp.921-922【正統と異端】
[81] 웹페이지 정통과 이단에 대한 설명 2015-04
[82] 웹페이지 이단과 종교개혁에 대한 주석 2015-04
[83] 서적 『フランス・プロテスタント-苦難と栄光の歩み』
[84] 웹사이트 Decriminalizing Heresy https://legalhistory[...] 2024-11-24
[85] 웹사이트 On the Galileo Affair https://inters.org/J[...] 2024-11-25
[86] 웹사이트 After 350 Years, Vatican Says Galileo Was Right: It Moves https://www.nytimes.[...] 2024-11-25
[87] 서적 何のための「宗教」か?―現代宗教の抑圧と自由 青弓社
[88] 서적 カルトの諸相 キリスト教の場合 岩波書店
[89] 서적 なんでもわかるキリスト教大事典 朝日新聞出版
[90] 서적 この一冊で「キリスト教」がわかる!―誕生・発展の歴史から世界に与えた影響まで 三笠書房
[91] 잡지 血を拒む「エホバの証人」--異端の輝きと悲惨 朝日新聞社
[92]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
[93] 서적 カトリック大事典
[94] 서적 日本プロテスタント教会史 聖恵授産所
[95] 서적 聖書の教理 羊群社
[96] 서적 岡田稔著作集 いのちのことば社
[97] 서적 福音主義キリスト教と福音派
[98] 서적 日本キリスト教宣教史
[99] 서적 日本プロテスタント教会史
[100] 서적 現代の宗教改革 小峯書店
[101] 서적 聖書の教理 羊群社
[102] 서적 教会とは何か いのちのことば社
[103] 서적 キリストの教会 小峯書店
[104] 서적 京都宣言-解説と注解- いのちのことば社
[105] 서적 ニューエイジの罠 CLC出版
[106] 서적 ローザンヌ誓約-解説と注釈
[107] 서적 キリストの教会
[108] 서적 キリスト教とは何か-リベラリズムとの対決 いのちのことば社
[109] 웹사이트 Witnesses of Hope in an Ecumenical and Inter-religious Surrounding http://www.vatican.v[...] ローマ教皇庁 2008-04-00
[110] 웹사이트 ローマ教皇庁教理省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による2001年6月5日の公式見解 http://www.vatican.v[...] ローマ教皇庁教理省 2001-06-05
[111] 간행물 JMR調査レポート(2017年4月) http://www.tci.ac.jp[...] 東京基督教大学 国際宣教センター・日本宣教リサーチ 2017-04-00
[112] 간행물 海外の宗教事情に関する調査報告書 https://www.bunka.go[...] 文化庁 2012-03-00
[113] 웹사이트 The Orthodox Christian and the Heretic https://oca.org/refl[...] アメリカ正教会
[114] 서적 The Heresy of JEHOVAH'S WITNESSES https://books.google[...] Baramous.Monastery Press 1993-00-00
[115] 서적 岩波 哲学思想事典
[116] 기타 近接作用論と遠隔作用論の説明
[117] 기타 ヴォルテールによるイギリスと大陸の重力説明の違いに関する書簡
[118] 기타 18世紀半ばの学問の名称
[119] 기타 科学者の社会的地位の変遷に関する歴史的事実
[120] 기타 フランソワ・マジャンディーの1833年の文献 1833-00-00
[121] 서적 マッハ力学―力学の批判的発展史 講談社 1969-00-00
[122] 서적 改定版 物理学辞典 培風館
[123] 서적 ボルツマンの原子―理論物理学の夜明け 青土社 2003-00-00
[124]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125] 서적 江原スピリチュアルの大嘘を暴く 鉄人社 2008-00-00
[126] 서적 「心理テスト」はウソでした。受けたみんなが馬鹿を見た
[127] 성경 성경구절 (신 13:1~5, 렘 23:16,17 마 7:14,15 롬 1:18~20, 롬1:28~32, 롬2:21~24, 롬3:10~19, 롬10:2,3 롬16:17,18, 고전 5:1~5, 고후 4:3~4:4, 6:14~18, 갈 1:8-9 갈 5:19~21, 살후 2:4~12 딛3:10,11, 벧후 2:1~3, 약 2:19, 계 3:15~16,계 17:5 등)
[128] 성경 성경구절 (개역개정 요일4:1~3, 요한이서 1:7)
[129] 성경 성경구절 (사 5:14 막 9:47~48 살후 1:8~9 계 21:8)
[130] 성경 성경구절 (삼하 11:1~5 시 51:5, 막 7:20~23, 롬1:28~32, 롬3:10~19 갈 5:19~21)
[131] 성경 성경구절 (시51:1~5, 롬2:4~5, 고후 7:10, 벧후 3:9)
[132] 성경 성경구절 (요 20:28, 딤전 3:16, 요일 5:6~7)
[133] 성경 성경구절 (롬 5:9, 골 1:14)
[134] 성경 성경구절 (롬 10:17, 갈 3,22~27)
[135] 성경 성경구절 (고전 15:1~6)
[136] 성경 성경구절 (롬10:9~10, 엡 2:8~9)
[137] 성경 성경구절 (롬5:8~9)
[138] 성경 성경구절 (고후5:17)
[139] 성경 성경구절 (살전 4:16,17)
[140] 성경 성경구절 (롬 12:1~2)
[141] 성경 롬 7:15~25
[142] 성경 롬 10:17, 갈 3:22~27
[143] 성경 롬 10:9~10, 엡 2:8~9
[144] 성경 로마서 11장 28절
[145] 서적 엔드타임 메시지 야스미디어 2024-07-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