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산 도시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 도시철도는 울산광역시에서 계획 중인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90년대부터 여러 차례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경제성 부족, 시민 반대 등으로 인해 무산되거나 보류되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다시 추진되어 2023년 8월 1호선 트램 건설이 확정되었으며, 2026년 착공하여 2029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4개의 노선이 계획되어 있으며, 모두 노면전차(트램) 형태로 건설될 예정이다. 주요 노선으로는 태화강역에서 신복로터리, 북울산역에서 야음사거리, 효문행정복지센터에서 대왕암공원, 신복로터리에서 복산성당 앞을 잇는 노선이 있으며, 울산항선을 활용한 수소전기 노면전차 실증 노선도 구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교통 - 울산 나들목
    울산 나들목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남구에 위치하며, 1969년 언양울산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남부순환도로와 국도 제7호선으로 연결된다.
  • 울산광역시의 교통 - 울산교통방송
    울산교통방송은 FM 104.1MHz로 울산광역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는 대한민국의 교통 전문 라디오 방송국이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울산 도시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체계명울산 도시철도
종류도시 철도
국가대한민국
운행 지역울산광역시
상태계획 중
노선 수4
역 수50
소유자울산광역시청
운영자미정
노선 정보
영업 거리48.25㎞
기술 사양
통계
기타
울산 도시철도 계획 노선도
울산 도시철도 계획 노선도

2. 역사

울산 도시철도는 여러 차례 계획과 변경을 거듭하며 추진되어 왔다. 1990년대부터 경전철과 중전철 건설이 구상되었으나, 경제성 문제와 시민단체의 반대, 광역철도 연계 시도 무산 등으로 인해 장기간 표류하였다. 2010년대 중반 이후 노면전차 건설 계획이 다시 추진되어 2023년 8월 1호선 건설이 확정되었고, 2026년 착공하여 2029년 개통될 예정이다.

2. 1. 초기 계획 및 좌절 (1990년대 ~ 2000년대)

경상남도 울산시는 1993년에 방어진~야음 및 태화강역~외곽 간 경전철을 구상하였고[1], 울산광역시는 1997년 말 도시교통정비계획 초안에서 울산시청~울산역~울산시청 간 중전철 1호선과 방어진, 언양, 통도사 방향 경전철 세 노선을 구상하였다.[2] 2002년 6월에는 기존 노선을 백지화하고 모두 경전철로 짓기로 변경하였으며[3], 무인궤도교통(AGT),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모노레일, 노면전차 등을 검토하였다.[4]

2003년 12월 2일, 다섯 개 노면전차 노선을 2008년부터 차례로 착공하여 2011년부터 개통하는 계획이 확정되었다.[5] 한국개발연구원은 효문역~울산역~울산시청~울산대학교~굴화 간 1호선 본선과 굴화~신울산역~언양 간 지선을 대상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선만 건설할 때 B/C=1.21로 경제성이 있으며, 지선과 함께 건설할 때 B/C=0.71로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하였다.[6] 그러나 울산 시민단체에서 지나친 사업비, 과다 추정된 수요 등을 이유로 경전철 건설을 반대하였고[7], 2006년 10월 24일 국정감사에서 박맹우 시장은 경전철 사업 연기 의사를 밝혔다.[8]

2008년 10월 28일 국토해양부에서 1호선 본선(15.95 km) 기본계획을 고시하였으나[9], 2009년 2월 울산광역시는 경전철을 보류하고 해당 구간에 BRT를 우선 추진하기로 하였다.[10]

2. 2. 광역철도 연계 시도와 무산 (2000년대 ~ 2010년대 초)

2000년대 초, 울산시는 부산, 경상남도와 함께 광역철도 건설을 추진하면서 도시철도 사업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12] 2001년 건설교통부는 삼호~부산 노포동 간 34.4km 구간을 경전철로 잇는 계획을 마련했고,[11] 2007년에는 이 노선과 함께 굴화~양산 북정 간 34.6km 경전철을 부산, 울산, 경상남도가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12]

2010년 들어 굴화~북정 경전철 추진이 가시화되자,[13] 울산광역시는 2008년에 고시되었던 울산 1호선을 다시 추진하려 했다.[14] 그러나 2012년 6월,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굴화~북정 경전철 추진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하면서,[15] 1호선 건설은 장기 계획으로 다시 전환되었다.[16][17][18]

2. 3. 재추진과 현재 (2010년대 중반 ~ 현재)

2010년대 중반 들어 울산광역시는 다시 도시철도 계획 추진에 나섰다. 2017년 3월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고[19], 2019년 6월 용역이 마무리되어 네 개의 노선을 노면전차로 건설하고 2027년부터 개통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20] 울산광역시는 이를 바탕으로 2019년 10월 국토교통부에 해당 계획의 승인을 요청했으며[21], 2020년 8월 14일에는 노선1과 노선2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였다.[22] 같은 해 9월 7일,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고시되었다.[23] 울산시는 2020년 12월 중 1호선에 대해 타당성 재조사를 신청할 계획이었고, 2호선은 2021년에 다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었다.

울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 사업에는 총 1조 3.316조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울산시 역대 추진 사업 중 최대 규모이다.

2023년 8월 1호선 트램 건설이 확정되었다. 2026년 착공, 2029년 개통 예정이다.

3. 노선

현재 계획된 울산 도시철도 노선은 총 4개로, 모두 노면전차(트램) 형태로 건설될 예정이다. 각 노선의 기점, 종점, 연장, 역 수는 다음과 같다.

기점종점연장역 수운영
태화강역신복로터리10.99km15개2029년 예정
북울산역야음사거리13.69km14개미정
효문행정복지센터대왕암공원16.99km15개
신복로터리복산성당 앞5.94km8개



이 외에도 울산항선을 활용한 4.6km 구간의 수소전기 노면전차 실증 노선이 구상 중이다.[24]

3. 1. 1호선 (태화강역 ~ 신복로터리)

태화강역에서 신복로터리까지 10.99km 구간으로, 15개 역이 설치될 예정이며 2029년에 개통될 예정이다.[24]

3. 2. 2호선 (북울산역 ~ 야음사거리)

북울산역과 야음사거리를 잇는 13.69km 구간에 14개 역이 설치될 예정이다.

기점종점연장역 수운영
북울산역야음사거리13.69km14개미정


3. 3. 3호선 (효문행정복지센터 ~ 대왕암공원)

Ulsan Metro Line 3영어은 효문행정복지센터에서 대왕암공원을 연결하는 16.99km 구간으로, 15개 역이 설치될 예정이다.

기점종점연장역 수운영
효문행정복지센터대왕암공원16.99km15개미정


3. 4. 4호선 (신복로터리 ~ 복산성당 앞)

신복로터리와 복산성당 앞을 잇는 5.94km 구간에 8개 역이 설치될 예정이다.[24]

3. 5. 수소전기트램 실증 노선

울산항선을 활용한 수소전기 노면전차 실증 노선(4.6 km)이 구상 중이다.[24] 이는 울산시의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참조

[1] 뉴스 蔚山 경전철건설-정부 지원있어야…[蔚山]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1993-06-04
[2] 뉴스 "[울산]광역 교통망 확정, 지하철.경전철 건설 부산 연계"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7-11-07
[3] 뉴스 울산 2015년 경전철시대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2-08-21
[4] 뉴스 "[부산/경남]울산 모노레일등 새교통수단 도입"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3-08-31
[5] 뉴스 신교통수단 신형노면전차로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3-12-02
[6] 보고서 울산시 경전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https://www.kdi.re.k[...] 한국개발연구원 2004-12-31
[7] 뉴스 시민단체 경전철 재검토 촉구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5-12-14
[8] 뉴스 경전철 사업 일단 보류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6-10-24
[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603호 http://gwanbo.mois.g[...] 2008-10-28
[10] 뉴스 울산시 '간선 급행버스' 우선 추진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09-02-13
[11] 뉴스 울산 "경전철 시대" 온다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1-09-25
[12] 뉴스 울산~경남~부산 경전철로 연결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7-03-13
[13] 뉴스 부~울 광역철도 가시권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11-03-08
[14] 뉴스 효문~굴화 노면경전철 재추진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1-04-06
[15] 뉴스 울산~양산 광역철도 '물 건너갔다'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12-06-27
[16] 뉴스 효문역~굴화 노면경전철 또 보류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1-08-16
[17] 뉴스 “경전철사업 당장 추진은 무리”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2-06-11
[18] 뉴스 울산시에는 왜 지하철-트램이 없을까?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8-06-19
[19] 뉴스 울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연구용역 나서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7-03-15
[20] 뉴스 울산시 도심에 트램 깔아 교통·관광 두마리 토끼 잡는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6-18
[21] 뉴스 울산 트램 구축계획안 정부에 승인 요청 http://www.iusm.co.k[...] 울산매일 2019-10-31
[22] 뉴스 첫 수소 트램형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 국토부 승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9-01
[2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615호 http://gwanbo.mois.g[...] 2020-09-07
[24] 뉴스 울산에서 국내 최초 ‘수소트램’ 달린다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20-07-02
[25] 문서 울산광역시고시 제2001-40호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26]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7]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