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암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암공원은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에 위치한 공원이다. 신라 문무대왕의 왕비가 죽어 동해를 지키는 용이 되었다는 전설이 깃든 대왕암을 중심으로 조성되었으며, 반상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지질학적 특징을 갖는다. 공원에는 대왕암과 육지를 연결하는 대왕교, 보행로, 미르놀이터, 출렁다리, 울기등대 등의 시설이 있으며, 주변에는 일산해수욕장, 슬도 등의 관광지가 있다.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주차는 유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관광지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울산광역시의 공원 - 울산왜성
울산왜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울산에 축성한 왜성으로, 도산왜성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는 학성공원으로 조성되어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석축 일부가 남아 있는 곳이다. - 울산광역시의 공원 - 울산대공원
울산대공원은 울산광역시와 SK그룹의 협약으로 SK그룹이 사회 환원 사업으로 조성하여 울산시에 기증한 약 364만m² 면적의 대규모 공원으로, 아쿠아시스, 현충탑, 호수, 놀이 및 운동 시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하다. - 울산 동구 - 동구 (울산광역시)
울산 동구는 울산광역시 동쪽에 위치하며 동해안과 접해 조선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경제 중심지이자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등의 관광 명소와 동축사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9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 울산 동구 - 방어진
방어진은 고려 시대 왜구 방어 수로진인 '방어진(防禦陣)'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는 방어가 많이 잡히는 '방어진(魴魚津)'으로 불렸고, 초기에는 목장이 설치되기도 했으며, 일제강점기 초 '방어(方魚)'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대왕암공원 - [공원]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왕암공원 |
로마자 표기 | Daewangam Gongwon |
한글 표기 | 대왕암공원 |
한자 표기 | 大王巖公園 |
위치 | 울산광역시 동구 |
면적 | 942,000m² |
웹사이트 | 대왕암공원 공식 웹사이트 |
개요 | |
종류 | 공원 |
운영 주체 | 울산광역시 동구 |
추가 정보 | |
특징 | 송림 탐방로 조성, 산책로 정비 |
행사 | 달빛문화제 개최 |
2. 전설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동쪽 끝, 동해안과 접한 곳에 대왕암이 있다. 이곳에는 신라 문무왕의 왕비가 남편을 따라 나라를 지키는 용이 되어 승천하여 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그 뒤 사람들은 등대산 끝 용추암 일대를 대왕암(대왕바위)이라고 불렀다.[6]
대왕암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의 일종인 반상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암석은 울산광역시 동구 동부동, 서부동, 미포동, 전하동, 화정동, 방어동, 일산동 일대에 널리 분포하며, 울산층을 관입하여 주변부를 혼펠스화시키고 울산층의 주향과 경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회색을 띠는 중립질, 부분적 조립질 암석으로, 석영, 장석, 흑운모를 주 구성 광물로 하며, 0.5~1.5 cm 크기의 장석반정을 갖는다.[1]
문무왕비는 남편 문무왕이 죽은 뒤, 동해를 지키는 용이 되기 위해 바다에서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3. 지질
바위는 인도교와 보행로가 있어서 근접 관찰이 가능하다. 다만 바위에 직접 오르는 것은 위험하므로 자제한다. 대왕암, 울기바위, 남근바위, 탕건바위, 처녀봉, 용굴 등이 있으며, 멀리 정상에서는 현대중공업 울산 공장이 보인다. 대왕암 사이는 인도교인 대왕교로 연결되어 있다.[1]
3. 1. 암석 종류
대왕암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개의 크고 작은 바위들은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의 일종인 반상흑운모화강암이다. 반상흑운모화강암은 울산광역시 동구 동부동, 서부동, 미포동, 전하동, 화정동, 방어동, 일산동 일대에 분포하며 울산층을 관입하여 그의 연변부를 모두 혼펠스화시키고 울산층의 주향과 경사에도 영향을 주었다.[1] 본 암석은 회색을 띠며 중립질, 부분적으로 조립질이고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흑운모이고 장경 0.5~1.5 cm의 장석반정을 갖는다.[1]
바위로는 대왕암과 울기바위, 남근바위, 탕건바위, 처녀봉, 용굴 등이 있다.[1]
4. 시설
대왕암공원에는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다. 화강암 바위 위에 교량과 보행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아이들을 위한 용의 모습을 한 미르놀이터가 있다. 2021년 6월에는 국내에서 가장 긴 출렁다리가 개장했다. 1906년 러일 전쟁 때 일본 제국이 설치한 울기등대가 있었으나, 주변 해송 때문에 1987년 새 등대를 만들었고, 구 등대는 보존 중이다.[6]
4. 1. 보행로
화강암 바위 위에 교량과 보행로가 조성되어 있어 대왕암공원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4. 2. 미르놀이터
아이들을 위한 놀이시설로, 용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만들어졌다.4. 3. 출렁다리
2021년 6월 국내에서 가장 긴 출렁다리가 개장되었다.[6]4. 4. 울기등대
1906년 러일 전쟁 때 일본 제국이 울기등대를 설치하였다. 등대 주변에 해송이 자라 등대불이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되자 1987년 기존 위치에서 50m 떨어진 곳에 새 등대를 건립하였고, 구 등대는 보존 중이다.[6]5. 낙화암 쌍바위
낙화암은 원래 미포만 해안에 있던 아름다운 절경의 바위산이었다. 현대중공업 건설 과정에서 낙화암 대부분이 매립되거나 사라졌으나, 한시(漢詩)가 새겨진 암각석과 쌍바위는 따로 보존되었다. 암각석은 현대중공업 사내에, 쌍바위는 한국프랜지 회장의 사저에 40년간 보존되어 오다가 2017년 5월에 대왕암공원으로 옮겨져 시민들에게 공개되었다.
6. 주변 관광지
대왕암공원 주변에는 대왕별 아이누리, 일산해수욕장, 슬도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6. 1. 대왕별 아이누리
대왕별 아이누리는 어린이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1]
6. 2.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인근에 있는 일산해수욕장은 여름철 피서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6. 3. 슬도
슬도는 울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작은 섬이다. '슬도'라는 이름은 갯바람과 파도가 바위에 부딪힐 때 거문고 소리가 난다는 데서 유래했다.[1] 방파제 역할을 하며, 낚시 명소로도 유명하다.[1]슬도에는 슬도 등대가 있으며, 섬 전체에 다양한 조형물과 쉼터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1] 해 질 녘 노을이 아름다운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1]
7. 이용 안내
대왕암공원은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누구나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이용 시간은 오전 6시부터 밤 12시까지이다.
7. 1. 주차장
대왕암공원 주차장은 유료로 운영되지만, 평일에는 2시간 이내 주차 시 무료이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며, 적재량 2.5톤, 25인승 이상 차량에 대해서는 기준 요금의 2배를 징수한다.[1]국가유공자 및 장애인은 평일 2시간, 주말 및 공휴일에 1시간 무료이며 초과 시 50% 할인된다. 대왕암공원 상가 주차할인권은 주말과 공휴일에도 2시간 무료이다. 1,000cc 미만 경차와 다자녀사랑카드는 60% 할인, 승용차 요일제 등록차량, 친환경 및 임산부 차량은 50% 할인, 시장이 발급한 자원봉사자증 소지자는 20%, 모범납세자(수상일로부터 1년 이내)는 면제, 투표확인증(선거 후 3개월까지 유효) 제시 시 2000KRW 할인한다.[1]
평일 | 주말/공휴일 | 기본 초과 시 | ||||
---|---|---|---|---|---|---|
2시간 이내 | 2시간 30분 이내 | 20분 이내 | 20~30분 이내 | 10분 이내 | 20분 이내 | 30분 이내 |
무료 | 500KRW | 무료 (회차) | 500KRW | 200KRW | 400KRW | 500KRW |
8.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대왕암공원'으로 불러 주세요"
http://news.naver.co[...]
[2]
웹사이트
대왕암공원, 송림탐방로 조성
http://news.naver.co[...]
[3]
웹사이트
울산 동구 대왕암공원 산책로 '걷기 좋은 길'로 탈바꿈
http://www.newsis.co[...]
[4]
웹사이트
동구 대왕암공원 ‘달빛문화제’ 1,000여명 참석 성황 - 울산매일
http://www.iusm.co.k[...]
[5]
웹사이트
울산 동구, 대왕암솔바람길 4.1km 구간 걷기 축제
http://news1.kr/arti[...]
2017-11-09
[6]
뉴스
울산 대왕암공원
http://www.mediapen.[...]
2016-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