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이파인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파인딩은 주변 환경과 목적지를 고려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과정은 방향 설정, 경로 결정, 경로 모니터링, 목적지 인식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추측 항법, 지도, 나침반 등을 활용한 항해 기술을 의미했으며, 폴리네시아 웨이파인딩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도 존재했다. 현대에는 도시나 실내 공간에서 특정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기술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도서관이나 병원과 같은 공간에서 웨이파인딩은 자료나 진료실의 위치를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심리학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환경심리학 - 생태심리학
    생태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경험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로저 바커의 행동 설정 연구와 제임스 J. 깁슨의 어포던스 이론을 기반으로 하며, 도시 환경 설계 및 교육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건축 이론 - 유니버설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람이 제품, 환경,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설계하는 개념이며, 7가지 원칙을 통해 공평한 사용을 추구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건축 이론 - 장식품
    장식품은 다양한 문화권 예술의 중요한 요소로서 시대에 따라 장식 수준이 변동했으며, 알로이스 리글의 연구 이후 다양한 문화유산을 참고한 장식 스타일이 등장했고, 판화 기술 발전은 장식 요소 접근성을 높였으며, 현대 건축에서는 장식 제거 시도와 함께 현대적 장식 어휘 고안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고, 19세기에는 장식 관련 저서들이 출판되어 당시 장식 예술 경향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 건축 - 스티로폼
    스티로폼은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가볍고 부력이 큰 합성수지로, 건축, 포장,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지만, 생분해되지 않는 폴리스티렌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와 스티렌의 발암 가능성 논란으로 재활용률 향상과 친환경 대체재 개발이 요구된다.
  •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웨이파인딩
웨이파인딩
정의사람들이 물리적 환경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경로를 계획하고 따르는 데 사용하는 방법.
목표사용자가 길을 잃지 않고 쉽게 원하는 목적지를 찾도록 돕는 것.
혼란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
구성 요소표지판: 명확하고 일관된 디자인, 적절한 위치와 크기.
지도: 현재 위치와 주변 환경, 목적지 정보 제공.
방향 지시: 화살표, 선, 색상 등을 사용하여 경로 안내.
상징: 특정 장소나 시설을 나타내는 그림 또는 기호.
음성 안내: 시각적 정보 외에 음성으로도 경로 안내.
디자인 고려 사항사용자 그룹: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환경 조건: 조명, 날씨, 소음 등 주변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문화적 요인: 언어, 상징, 색상 등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디자인.
정보 과부하 방지: 필요한 정보만 간결하게 제공.
일관성 유지: 전체 시스템에서 디자인 요소의 일관성을 유지.
적용 분야공항
병원
쇼핑몰
지하철역
박물관
캠퍼스
도시
효과적인 웨이파인딩 시스템의 특징명확성: 정보가 쉽게 이해되고 해석될 수 있어야 함.
일관성: 시스템 전체에서 동일한 디자인 요소와 정보 체계를 사용해야 함.
가시성: 표지판과 정보가 눈에 잘 띄고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함.
접근성: 모든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함 (예: 휠체어 사용자, 시각 장애인).
유연성: 변화하는 환경과 요구에 맞춰 시스템을 쉽게 수정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어야 함.
ウェイファインディングシステム (웨이파인딩 시스템)
주요 목적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찾도록 돕는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하도록 돕는다.
구성 요소사인 (표지판)
랜드마크
지도
색상 코딩
조명
음성 안내
디자인 시 고려 사항사용자의 인지 능력
주변 환경과의 조화
유지 보수의 용이성
비용 효율성
적용 분야공공 시설 (공항, 역, 병원, 박물관 등)
상업 시설 (쇼핑몰, 백화점 등)
도시 공간 (공원, 거리 등)
효과적인 웨이파인딩 시스템의 특징명확하고 간결한 정보 제공
직관적인 디자인
사용자의 관점을 고려한 설계
지속적인 개선

2. 웨이파인딩의 기본 과정

웨이파인딩은 다음 네 가지 기본 단계를 거친다.[1]


  • 방향 설정: 주변 환경과 목적지를 고려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 경로 결정: 목적지까지 가는 가장 좋은 경로를 선택한다.
  • 경로 모니터링: 선택한 경로가 목적지로 이어지는지 확인한다.
  • 목적지 인식: 목적지를 알아본다.

2. 1. 방향 설정

주변에 있을 수 있는 물체와 원하는 목적지를 고려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려는 시도이다.[1]

2. 2. 경로 결정

목적지로 가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1]

2. 3. 경로 모니터링

선택한 경로가 목적지로 올바르게 향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단계이다.[1]

2. 4. 목적지 인식

최종 목적지에 도착했음을 인지하는 단계이다.[1]

3. 역사적 활용

과거에 웨이파인딩은 비교적 표시가 없고 종종 잘못 표기된 경로를 찾는 여행자들이 육상과 해상에서 사용했던 기술을 의미했다. 여기에는 추측 항법, 지도나침반, 천문 항법 등이 포함되었다.[2]

3. 1. 전통 항해술

추측 항법, 지도나침반, 천문 항법 등 전통적인 항해술이 웨이파인딩에 활용되었다.[2] 폴리네시아 항해는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이 전통적인 웨이파인딩 및 항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3] 고대 폴리네시아인과 태평양 섬 주민들은 마셜 제도 막대 차트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태평양의 섬을 탐험하고 정착하기 위해 웨이파인딩 방법을 숙달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그들 중 일부는 자신의 땅을 항해하는 것만큼이나 바다를 항해할 수 있었다. 오랫동안 바다에 나가 있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웨이파인딩은 삶의 방식이었다.[4] 오늘날, 폴리네시아 항해 협회는 전통적인 폴리네시아 항해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3. 2. 현대 기술

최근에는 GPS와 같은 현대 기술이 웨이파인딩에 활용된다.[2]

4. 도시 및 실내 웨이파인딩

현대에는 도시 또는 실내 공간에서의 길찾기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

도서관은 특정 자료가 배치된 장소가 목적지가 된다.[7] 자료 배치와 자신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 이상적이다.[8] 유럽의 전통적인 서가 배치는 벽부 서가이며, 일본에서는 중치형 서가 배치가 주류를 이룬다.[6]

병원은 의료진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우선시하여 디자인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다.[5] 제인 말킨은 저서에서 웨이파인딩의 기본 요소로 목적지, 메인 통로, 표지, 강조의 4가지를 제시했다.[10]

4. 1. 도서관

도서관에서 웨이파인딩은 특정 자료가 있는 위치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7]

도서관 내에서 자료 배치와 자신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구조가 이상적이다. 입구 층에서 지하로 내려가면서 각 층이 펼쳐지는 지하 도서관이 자료 배치를 인지하는 데 유리하다.[8]

유럽의 전통적인 서가 배치는 열람석 주변에 서가를 배치하는 벽부 서가이다.[9] 이러한 배치는 한 번에 자료를 찾을 때 경로를 잃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면적당 보관할 수 있는 책의 수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6]

일본에서는 서가를 병렬로 배치하는 중치형 배치가 주로 사용된다.[6]

4. 2. 병원

병원은 의료진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평면적이며, 유지보수 및 기능성 관점에서 동일한 재료나 색채가 사용되지만, 이용자들은 디자인이 획일적이고 변화가 없어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5] 병원 내에서 길을 잃는 것은 환자에게 불안감이나 육체적인 피로를 유발하거나, 진료가 예약 시간에 늦어지는 등의 단점을 초래한다.[5]

제인 말킨은 『Hospital interior Architecture』에서 웨이파인딩의 기본 요소로 다음 4가지를 제시했다.[10]

  • 목적지: 병원의 경우 접수, 대기실, 병실 등을 식별하는 기명 사인 등
  • 메인 통로: 간선
  • 표지: 현재 위치 파악 및 직원의 안내를 위한 표지
  • 강조: 사인 시스템, 조명, 바닥 패턴 등

참조

[1] 서적 The Pocket Universal Principles of Design: 125 Ways to Enhance Usability, Influence Perception, Increase Appeal, Make Better Design Decisions, and Teach through Design Rockport Publishers
[2] 웹사이트 GPS gives directions, but what does it take away? https://www.popsci.c[...] 2019-04-30
[3] 웹사이트 Modern Wayfinding http://archive.hokul[...] 2021-01-25
[4] 웹사이트 Hōkūle'a: The Art of Wayfinding (Interview With a Master Navigator) https://blog.nationa[...] 2014-03-03
[5] 서적 建築設計資料 (72) 病院2 建築資料研究社
[6] 서적 建築設計資料 (97) 図書館3 建築資料研究社
[7] 서적 建築設計資料 (97) 図書館3 建築資料研究社
[8] 서적 建築設計資料 (97) 図書館3 建築資料研究社
[9] 서적 建築設計資料 (97) 図書館3 建築資料研究社
[10] 서적 建築設計資料 (72) 病院2 建築資料研究社
[11] 웹사이트 Polynesian Voyaging Society http://pvs.kcc.hawai[...]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