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1926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난 미국의 외교관으로,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 예일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30여 년간 동아시아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주한 대사 재임 기간 중 박정희 대통령 사망, 12.12 군사반란, 광주 민주화 운동 등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다. 그는 코리아게이트 사건 해결에 관여하고, 주한미군 철수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며,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노력했다. 대사 퇴임 후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하다가 2002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는 대한민국의 미국 외교 사절이자 대사관의 수장으로, 과거 조선에 파견된 미국 공사를 시작으로 외교 관계 단절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다시 임명되어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에 관여하고 특별한 인연으로 주목받기도 했으나 피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백혈병으로 죽은 사람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백혈병으로 죽은 사람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미국의 외교관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미국의 외교관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윌리엄 헨리 글라이스틴 주니어 |
출생일 | 1926년 5월 8일 |
출생지 | 베이징, 중화민국 (1912-1949) |
사망일 | 2002년 12월 6일 |
사망지 | 워싱턴 D.C. |
직업 | 외교관 |
배우자 | 조 클럽 (이혼) 메릴린 웡 글라이스틴 |
자녀 | 4명 |
모교 | 예일 대학교 |
복무 기간 | 1943–1945 |
외교 경력 | |
소속 국가 | 미국 |
파견 국가 | 대한민국 |
임기 시작 | 1978년 6월 27일 |
임기 종료 | 1981년 6월 10일 |
이전 대사 | 리처드 리 스나이더 |
다음 대사 | 리처드 루이스 워커 |
대통령 | 지미 카터 |
2. 생애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1926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성장했다. 예일대학교에서 유럽정신사를 전공하고 1951년부터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30여 년간 외교관 생활 대부분을 동아시아 관련 업무를 맡았으며,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를 두 차례 지냈다. 주한 미국 대사가 그의 마지막 공직이었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로 재직하는 동안 박정희 대통령 사망, 신군부의 쿠데타 등 한국 현대사의 큰 사건들을 경험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김영삼을 의원직에서 제명했을 때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글라이스틴 대사를 소환하여 한미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1988년에는 대사 재직 시절 미국이 신군부의 등장과 집권을 용인했다는 이유로 야당으로부터 광주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할 것을 요청받았으나 거부하였다.
2002년 급성 백혈병으로 사망했다.[14][1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글리스틴은 미국인 장로교 선교사인 테오도라(컬버)와 윌리엄 헨리 글리스틴의 아들로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났다.[2][3] 그의 외조부모는 네덜란드 사람이었다. 베이징에서 자랐고 베이징 아메리칸 스쿨에 다녔다.[4] 그의 아버지는 큰 남학교의 교장이었고 어머니도 그 학교에서 가르쳤다. 1937년부터 일본 제국이 베이징을 점령했고 진주만 공격 이후 글리스틴과 그의 가족은 산둥성 위현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4] 1943년 12월 미국으로 송환되었고, 그 후 글리스틴은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타운 프렌즈 스쿨을 졸업했다. 졸업 후 2년 동안 미국 해군에서 복무했는데, 처음에는 V-12 해군 대학 훈련 프로그램 학생으로, 나중에는 입대 병으로 복무했다.[4] 전쟁이 끝난 후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유럽 지성사를 전공했다. 그는 예일 대학교에 남아 국제 관계 석사 학위를 받았다.[12] 예일 대학교 재학 시절, 글리스틴은 외교관인 동료 학생들과 이미 외교관이었던 그의 형 컬버의 영향을 받았다.[4]2. 2. 외교관 경력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1951년부터 30여 년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대부분 동아시아 관련 업무를 맡았다.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를 두 차례 역임했으며, 주한 미국 대사가 마지막 공직이었다.[4]1951년 딘 애치슨과 존 포스터 덜레스 장관 재임 시절, 글라이스틴은 행정부 비서실의 사무직 타이피스트로 국무부 민간 공무원에 합류했다. 1954년 덜레스가 외무 공무원과 민간 공무원을 통합하는 정책("Wristonization")을 추진하면서 외교관으로 전환되었고, 이 정책으로 외교 공무원 수는 단 4년 만에 두 배로 증가했다.[4][5] 이후 타이완(두 차례), 일본, 영국령 홍콩, 대한민국에서 근무했으며, 워싱턴 D.C.에서도 여러 차례 근무했다.[4] 그는 어린 시절 만다린어를 처음 배웠고, 타이완 파견 근무 전 다시 공부해 유창하게 구사했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로 재직하는 동안 박정희 대통령 사망(1979년), 신군부의 쿠데타(1980년) 등 한국 현대사의 큰 사건들을 겪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김영삼을 의원직에서 제명하자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글라이스틴 대사를 소환했고, 한미 관계는 악화되었다. 1988년, 대사 재직 시 미국이 신군부의 등장과 집권을 용인했다는 이유로 야당은 글라이스틴에게 광주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할 것을 요청했으나, 그는 이를 거부했다.
2. 3. 주한 미국 대사 (1978~1981)
카터 행정부에 의해 주한 미국 대사로 지명된 윌리엄 글라이스틴은 1978년 6월 서울에 도착하여 1981년 은퇴할 때까지 그 직책에 머물렀다.[6] 글라이스틴은 대사 재직 동안 양국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 여러 중요한 사건들에 직면해야 했다.1976년 미국 대선 기간 중 발생한 코리아게이트 사건은, 의원들이 한국의 이익을 위해 우호적인 조치를 취하는 대가로 한국 요원들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난 사건이었다. 글리스틴이 1978년 서울에 도착했을 때에도 여전히 조사 중이었으며,[4] 대사로서 그의 첫 번째 임무 중 하나는 하원 의장 팁 오닐의 요청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이 요청은 두 명의 하원 의원에게 전 주미 한국 대사 김동조와 한국 요원으로 알려진 박통선에게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1978년 미국 대선 이후 몇 달 후에 이 소동은 가라앉았다.[4]
글리스틴이 대사로 재직하는 동안 또 다른 문제는 카터 대통령이 제안한 주한미군 철수 문제였다. 당시 주지사였던 카터는 대선 운동 기간 동안 한국의 인권 기록을 비판했고, 1977년 1월 대통령 취임 후 완전 철수 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시했다.[7] 글리스틴은 철수에 반대했고, 1979년 대통령의 서울 방문 중 대통령의 리무진에서 있었던 유명한 대화에서 카터 대통령을 설득하여 정책을 재고하도록 했다.[14]
미국은 박정희와 전두환 시대의 정치 탄압에 대한 일관된 비판으로 한국인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칭찬을 받았지만, 글리스틴은 그러한 긍정적인 감정이 "1980년 봄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급증한 감정과 잘못된 정보로 인해 수년 동안 억눌렸다"고 말했다.[8] 글리스틴은 회고록에서 광주 민주화 운동이 오랜 민주화 운동과 전라도와 박정희의 고향인 경상도 사이의 지역적 갈등이라는 맥락에서 일어났다고 말했다.[9] 이 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은 전두환이 선포한 전국적인 계엄령의 재개와 연장, 그리고 전라도 출신 김대중을 포함한 민주화 운동 지도자들의 체포였다. 5월 18일 전남대학교에서 약 200명의 학생들이 시위를 시작하면서 봉기가 시작되었다. 경찰과의 일련의 격렬한 충돌로 시위대의 수가 빠르게 증가했고, 5월 20일에는 시위대의 수가 1만 명으로 증가했다. 5월 21일, 광주의 학생, 노동자, 시민들은 정부 건물을 공격하여 무기와 탄약을 탈취했다.[9] 반란이 전개됨에 따라 글리스틴 대사와 위컴 장군(유엔군 사령부 사령관)은 당시 사건 처리에 대해 군부와 정치 지도자들을 비판했고, 5월 21일 한국군은 시 외곽으로 철수하여 5월 27일 약 6,000명의 군대가 광주에 진입하여 반란을 종식시킬 때까지 계속된 대치 상황이 시작되었다.[9] 심각한 폭력이 발생하기 전인 봉기 기간 동안 글리스틴은 전두환 장군을 만나 학생 시위에 대한 자제를 촉구했고, 한국 정부가 "과잉 반응과 군사력 사용의 위험을 잘 알고 있다"는 여러 가지 확신을 받았으며, "대통령은 최후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면 군대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결심을 했다"고 했다.[10][11] 최규하 대통령은 6월에 연설을 통해 사건의 폭력적인 전개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지만, 사과하지는 않았지만 글리스틴은 그렇게 하도록 격려했다고 말했다.
2. 4. 퇴임 이후
글라이스틴은 대사직에서 물러난 직후 국무부에서 은퇴하였다. 이후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임명되었다.[13] 2002년 12월 6일 워싱턴 호스피스에서 급성 백혈병으로 사망했다.[14][15]3. 가족 관계
글라이스틴은 1952년 12월 첫 번째 부인 조이 클럽과 결혼하여 슬하에 테아 클라크, 가이 글리스틴, 마이클 글리스틴의 세 자녀를 두었다. 1981년에는 두 번째 부인 마릴린 웡 글리스틴과 결혼하여 딸 안나 웡 글리스틴을 얻었다.[12]
4. 저서
- 《깊숙한 개입, 제한된 영향력》(1999년)
5. 평가 및 비판
(결과값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William Henry Gleysteen, Jr.
https://history.stat[...]
[2]
웹사이트
Gleysteen, William Henry ("Will"), 1876-1948 age 71
http://iagenweb.org/[...]
[3]
뉴스
Theodora Gleysteen
https://www.nytimes.[...]
1976-05-26
[4]
웹사이트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AMBASSADOR WILLIAM H. GLEYSTEEN, JR.
https://adst.org/OH%[...]
1997-06-10
[5]
웹사이트
Wristonization
https://history.stat[...]
[6]
뉴스
Koreagate: Bringing Forth a Mouse, But an Honest One
https://www.washingt[...]
2019-01-17
[7]
뉴스
Carter's Decision on Korea Traced Back to January, 1975
https://www.washingt[...]
2019-01-15
[8]
서적
Massive Entanglement, Marginal Influence
The Brookings Institution
1999
[9]
서적
Massive Entanglement, Marginal Influence
The Brookings Institution
1999
[10]
웹사이트
Gleysteen-Chun-Choi Transcript: "Meetings With General Chun and Blue House SYG Choi"
http://timshorrock.c[...]
1980-05-05
[11]
웹사이트
Gleysteen-Choi Transcript: "Conversation with Blue House SYG Kwang Soo Choi"
http://timshorrock.c[...]
1980-05-10
[12]
뉴스
Obituary of William Gleysteen
https://www.washingt[...]
2019-01-15
[13]
뉴스
William Gleysteen
https://www.theguard[...]
2002-12-15
[14]
뉴스
Obituary of William H. Gleysteen
https://www.nytimes.[...]
2002-12-12
[15]
웹사이트
https://2001-2009.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