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자망 어업은 목표 어종 외 다른 해양 생물까지 무차별적으로 포획하는 혼획, 해양 환경 파괴, 불법 어업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혼획은 상어, 돌고래, 고래, 바다거북, 바닷새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의 죽음과 멸종 위기를 초래하며, 유령 어망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와 미세 플라스틱 오염을 심화시킨다. 또한, 불법 어업은 어족 자원 고갈을 초래하며, 규제 회피와 공해상에서의 불법 조업으로 인해 더욱 심각해진다. 유자망은 생태 연구에도 사용되지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망 - 자망
    자망은 물고기 아가미에 걸리도록 설계된 어구로, 상업적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혼획 및 유령 어업 문제가 발생하여 그물코 크기 규제, 대체 어구 개발, 친환경 소재 사용 등 다양한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어망 - 저인망
    저인망은 그물을 끌어 물고기를 잡는 어업 방식으로,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규제가 이루어지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어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쓰레기
    바다 쓰레기는 해양에 유입되어 축적되는 인공적인 폐기물로, 플라스틱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며 해양 생태계 파괴, 사회·경제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국제적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어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혼획
    혼획은 어업 활동 중 의도치 않게 잡히는 해양 생물 전체를 의미하며, 무분별한 어업 방식 등으로 인해 발생하여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멸종위기종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므로, 혼획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유망
어업 방식
그물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어부
그물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어부
종류어업 기술
방법그물을 드리워 물고기를 잡는 방식
영향해양 생태계 파괴 논란
개요
정의표층트롤망 어업의 일종으로, 해상에 그물을 드리워 표층을 표류하면서 어획하는 방식
특징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어획 가능
목표 어종 외에 다른 해양 생물까지 잡히는 혼획 문제 발생
논란환경 운동가들의 비판 대상
어획 방법
그물 길이최대 50 km까지 펼쳐지는 경우 존재
작동 방식어선이 그물을 끌면서 이동
그물에 걸린 물고기를 건져 올림
유망 어업의 문제점
혼획다른 해양 생물(돌고래, 바다거북, 상어 등)까지 무분별하게 잡힘
해양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지목
그물 유실폐기된 그물이 해양에 남아 '유령 그물' 역할
해양 생물에게 지속적인 위협이 됨
규제 필요성국제적인 차원에서 유망 어업 규제 논의 필요
관련 정보
영어 명칭drift net
다른 뜻유망 (사람): 유망한 사람
어망의 일종: 어망의 한 종류
신나라 말기의 자칭 황제: 신나라 말기의 자칭 황제
기타
참고다른 뜻 참고
토막글도구 관련 토막글

2. 유자망 어업의 문제점

유자망 어업은 표류 그물 어로 길목에 있는 모든 물고기가 그물에 얽히거나 걸릴 수 있어, 물고기 종의 멸종 위기나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유실되거나 버려지는 유령 어망은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해양 미세 플라스틱 오염을 유발한다.[14][15][16]

불법 어업은 전 세계 어획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어족 자원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19] 지중해처럼 여러 국가가 인접한 해역에서는 유자망 어업 규제 위반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어선들은 규제를 피하고자 어구 형태를 변경하기도 한다.[1]

1980년대 일본북태평양에서 참치와 오징어를 잡기 위해 대규모 유자망 어선을 운영하면서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해양 생물 무차별 포획, 연어 불법 포획, 미국과 캐나다 어업 피해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21]

2. 1. 혼획

유자망 어업은 목표 어종 외에 다른 해양 생물까지 무차별적으로 포획하는 혼획 문제를 일으킨다. 표류 그물 어로를 할때 그물에 얽히거나 걸려서 많은 해양 생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멸종 될 수 있다.[6][7]

2. 1. 1. 비목표 어종 포획

상어, 돌고래, 고래, 거북, 바닷새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유자망에 걸려 죽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는다.[6][7][8] 1994년 유엔 식량 농업 기구(UNFAO)는 전 세계 혼획률이 매년 어업에 의해 버려지는 어류가 2,700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6]

1990년대에 표류 그물 어업은 매년 전 세계 혼획에서 3만 톤의 상어와 가오리를 차지했다.[9]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우발적 살상''[10]을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에서 촬영하는 동안, 황새치와 다양한 상어가 북쪽으로 헤엄쳐 가는 곳에서 잠수부들은 많은 표류 그물 어선들이 그날 밤 그물을 설치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물은 각각 1마일 길이였고 거의 약 30.48m 높이로 황새치와 환도상어를 목표로 설치되었다. 잠수부들은 그물 길이의 절반을 헤엄쳤고, 그 길이에서 그물에 32마리의 죽은 청상아리와 2마리의 귀상어, 바다사자, 만타 가오리를 발견했는데, 이들은 그물을 끌어올릴 때 모두 바다로 다시 던져졌다.[11]

연승 어업이 바닷새 혼획의 주요 원인이지만, 바닷새도 상당한 수로 표류 그물에 잡힌다. 발트해에서 30개의 소규모 표류 그물 어업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매년 90,000마리의 바닷새가 표류 그물에서 죽는 것으로 추산된다.[12]

혼획은 죽은 채로 또는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부상을 입은 채 바다로 다시 버려진다. 먹히지 않으면 죽은 동물은 부패하고, 박테리아는 유기물을 분해하기 위해 산소를 사용한다.[13] 바다에서 대량의 죽은 물질이 부패하면 주변의 용존 산소 수준이 감소한다.

2. 1. 2. 멸종 위기종 위협

혼획은 멸종 위기종의 개체 수 감소를 가속화하여 생물 다양성을 위협한다. 유엔 식량 농업 기구(UNFAO)는 1994년에 전 세계 혼획률이 매년 어업에 의해 버려지는 어류가 2,700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6] 그 결과, 많은 종들이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7] 혼획으로 잡히는 종에는 상어, 돌고래, 고래, 거북이, 바닷새 및 기타 해양 포유류가 포함된다. 그물은 설치 후 며칠 동안 회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물에 얽힌 공기 호흡 포유류는 스스로 풀 수 없는 경우 익사한다.

1990년대에 표류 그물 어업은 매년 전 세계 혼획에서 3만 톤의 상어와 가오리를 차지했다.[9]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우발적 살상''[10]을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에서 촬영하는 동안, 많은 표류 그물 어선들이 그물을 설치했다. 그물은 각각 1마일 길이였고 거의 약 30.48m 높이였다. 그물 길이의 절반에서 32마리의 죽은 청상아리, 2마리의 귀상어, 바다사자, 만타 가오리가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그물을 끌어올릴 때 모두 바다로 다시 던져졌다.[11]

연승 어업이 바닷새 혼획의 주요 원인이지만, 바닷새도 상당한 수로 표류 그물에 잡힌다. 발트해에서 30개의 소규모 표류 그물 어업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매년 90,000마리의 바닷새가 표류 그물에서 죽는 것으로 추산된다.[12]

혼획은 죽은 채로 또는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부상을 입은 채 바다로 다시 버려진다. 먹히지 않으면 죽은 동물은 부패하고, 박테리아는 유기물을 분해하기 위해 산소를 사용한다.[13] 바다에서 대량의 죽은 물질이 부패하면 주변의 용존 산소 수준이 감소한다.

2. 1. 3. 어족 자원 고갈

혼획은 미래 세대의 어족 자원까지 고갈시켜 지속 가능한 어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1994년 유엔 식량 농업 기구(UNFAO)는 전 세계 혼획률이 매년 어업에 의해 버려지는 어류가 2,700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6] 혼획으로 잡히는 종에는 상어, 돌고래, 고래, 거북이, 바닷새 등이 있다.[7]

1990년대에 표류 그물 어업은 매년 전 세계 혼획에서 3만 톤의 상어와 가오리를 차지했다.[9]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에서 촬영된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우발적 살상''에서는, 잠수부들이 표류 그물에 걸려 죽은 청상아리, 귀상어, 바다사자, 만타 가오리 등을 발견했다.[11]

연승 어업이 바닷새 혼획의 주요 원인이지만, 바닷새도 상당한 수로 표류 그물에 잡힌다. 발트해에서 30개의 소규모 표류 그물 어업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매년 90,000마리의 바닷새가 표류 그물에서 죽는 것으로 추산된다.[12]

혼획은 죽은 채로 또는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부상을 입은 채 바다로 다시 버려진다. 먹히지 않으면 죽은 동물은 부패하고, 박테리아는 유기물을 분해하기 위해 산소를 사용한다.[13] 바다에서 대량의 죽은 물질이 부패하면 주변의 용존 산소 수준이 감소한다.

2. 2. 해양 환경 파괴

유령 어망은 해류나 사고, 고의적인 투기로 인해 바다에서 유실되거나 버려진 어망을 말한다. 합성 그물은 부패하거나 분해에 강하여 바다에서 무한정으로 어획을 계속한다.[14] 해양 동물들은 유령 어망에 쉽게 얽히며, 죽은 동물들이 끌어들이는 포식자들도 마찬가지로 얽히게 된다. 또한 유령 어망은 해류에 따라 움직이며 식물 생태계와 기질 서식지에 생태 피해를 입히고, 해저를 끌고 다닌다.[14]

해양 미세 플라스틱 오염은 사용 중에 마모되거나, 유실되거나 버려지는 표류 그물과 같은 플라스틱 어구에 의해 크게 발생한다.[15][16]

2. 2. 1. 유령 어업

유령 어망은 강한 해류, 사고, 또는 고의적인 투기로 인해 바다에서 유실되거나 버려진 표류 그물이다. 합성 그물은 부패하거나 분해에 강하여 바다에서 무한정으로 어획을 계속한다.[14] 해양 동물들은 유령 어망에 쉽게 얽히며, 죽은 동물들이 끌어들이는 포식자들도 마찬가지로 얽힌다. 그물의 부유 줄은 해류에 따라 움직이게 하여 식물 생태계와 기질 서식지에 생태 피해를 입히며, 그물은 해저를 끌고 다닌다.[14]

또한, 해양 미세 플라스틱 오염은 사용 중에 마모되거나, 유실되거나 버려지는 표류 그물과 같은 플라스틱 어구에 의해 크게 발생한다.[15][16]

2. 2. 2. 해저 생태계 파괴

유령 어망은 강한 해류, 사고, 또는 고의적인 투기로 인해 바다에서 유실되거나 버려진다. 합성 그물은 부패하거나 분해에 강하여 바다에서 무한정으로 어획을 계속한다. 해양 동물들은 유령 어망에 쉽게 얽히며, 죽은 동물들이 끌어들이는 포식자들도 마찬가지로 얽히게 된다. 그물의 부유 줄은 해류에 따라 움직이게 하여 식물 생태계와 기질 서식지에 생태 피해를 입히며, 그물은 해저를 끌고 다닌다.[14]

2. 2. 3. 해양 플라스틱 오염

표류 그물은 강한 해류, 사고 또는 고의적인 투기로 인해 바다에서 유실되거나 버려져 유령 어망이 된다. 합성 그물은 부패하거나 분해에 강하여 유령 어망은 바다에서 무한정으로 어획을 계속한다. 해양 동물들은 유령 어망에 쉽게 얽히며 죽은 동물들이 끌어들이는 포식자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물의 부유 줄은 해류에 따라 움직이게 하여 식물 생태계와 기질 서식지에 생태 피해를 입히며, 그물은 해저를 끌고 다닌다.[14]

또한, 해양 미세 플라스틱 오염은 사용 중에 마모되거나, 유실되거나 버려지는 표류 그물과 같은 플라스틱 어구에 의해 크게 발생한다.[15][16]

2. 3. 불법 어업

국제적인 규제에도 불구하고, 불법 유자망 어업은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는 배타적 경제 수역을 가지며, 이는 해양법에 의해 규정된다.[17] 어족 자원 감소는 불법 어업 행위를 증가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며, 단속 및 처벌의 부족으로 인해 더욱 두드러진다.[20]

2. 3. 1. 공해상 불법 조업

배타적 경제 수역 경계 밖은 공해 또는 공해상인데, 공해상에서 어업을 할 경우 선박은 자국 국기하에 속한 국가의 규정을 준수해야 하지만, 공해상에는 이를 집행하는 기관이 없다. 공해는 전 세계 표면의 50%를 차지하지만, 보호가 가장 취약한 서식지이다.[18]

어족 자원의 감소는 불법 어업 행위 증가를 초래했다. 불법, 비규제 또는 비보고 어업은 연간 11MT에서 26MT 사이의 어획량을 기록하며, 이는 전 세계 어획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19] 불법 어업에는 규격 미달 어획, 폐쇄 수역 어획, 허용량 초과 어획, 계절적 금지 기간 동안의 어획 등이 포함된다. 불법 어업은 단속 및 처벌 부족으로 인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0]

통제에도 불구하고, 유자망 어업 법규 위반은 흔하게 발생한다. 지중해는 가장 과도하게 어획되는 지역이다. 21개 현대 국가가 지중해에 해안선을 두고 있어, 좁은 지역에서 많은 어업이 이루어진다. 유자망 어구가 금지되었을 때, 제조업체는 망 설계를 변경하여 더 이상 금지된 정의에 해당하지 않도록 했다. 2007년에는 "부유 장치에 의해 해수면 또는 그 아래 일정 거리에 유지되며, 조류와 함께 표류하는 모든 자망으로, 독립적으로 또는 부착된 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망을 안정시키거나 표류를 제한하는 장치를 갖출 수 있다"라는 새로운 정의가 확립되었다.[1]

일본의 유자망 어업은 1980년대 중반 일본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북태평양으로 대규모 어선을 보내 참치와 오징어를 잡기 시작하면서 대중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일본은 약 900척의 유자망 어선을 운영하며 연간 약 3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어선들은 해양 생물을 무차별적으로 파괴했을 뿐만 아니라, 북태평양 연어를 불법 포획하고, 미국과 캐나다 어업 산업에 피해를 입히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어부들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것으로 비난받았다. 부시 행정부는 미국 내 유자망 금지 조치가 일본 및 캐나다와의 북태평양 연어 어업에 관한 조약과 충돌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다.[21]

2. 3. 2. 규제 회피

일부 어선들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유자망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불법적인 방법으로 조업을 계속한다. 지중해는 가장 과도하게 어획되는 지역 중 하나인데, 21개 국가가 해안선을 가지고 있어 좁은 지역에서 많은 어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유자망 어구가 금지되었을 때, 제조업체는 망의 설계를 변경하여 더 이상 금지된 정의에 해당하지 않도록 하였다. 2007년에는 "부유 장치에 의해 해수면 또는 그 아래 일정 거리에 유지되며, 조류와 함께 표류하는 모든 자망으로, 독립적으로 또는 부착된 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망을 안정시키거나 표류를 제한하는 장치를 갖출 수 있다"라는 새로운 정의가 확립되었다.[1]

2. 3. 3. 어족 자원 남획

불법 유자망 어업은 어족 자원을 남획하여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한다.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 연안으로부터 200해리 이내의 수역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며, 이는 배타적 경제 수역으로, 해양법에 의해 정해진다.[17]

어족 자원의 감소는 불법 어업 행위의 증가를 초래했다. 불법, 비규제 또는 비보고 어업은 연간 11MT에서 26MT 사이의 어획량을 기록하며, 이는 전 세계 어획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19] 불법 어업에는 규격 미달의 어획, 폐쇄 수역에서의 어획, 허용량 초과 어획, 또는 계절적 금지 기간 동안의 어획 등이 포함된다. 불법 어업은 단속 및 처벌의 부족으로 인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0]

통제에도 불구하고, 유자망 어업 법규 위반은 흔하게 발생한다. 지중해는 가장 과도하게 어획되는 지역이다. 21개의 현대 국가가 지중해에 해안선을 두고 있어, 좁은 지역에서 많은 어업이 이루어진다. 유자망 어구가 금지되었을 때, 제조업체는 망의 설계를 변경하여 더 이상 금지된 정의에 해당하지 않도록 했다. 2007년에는 "부유 장치에 의해 해수면 또는 그 아래 일정 거리에 유지되며, 조류와 함께 표류하는 모든 자망으로, 독립적으로 또는 부착된 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망을 안정시키거나 표류를 제한하는 장치를 갖출 수 있다"라는 새로운 정의가 확립되었다.[1]

일본의 유자망 어업은 1980년대 중반 일본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북태평양으로 대규모 어선을 보내 참치와 오징어를 잡기 시작하면서 대중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일본은 약 900척의 유자망 어선을 운영하며 연간 약 3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어선들은 해양 생물을 무차별적으로 파괴했을 뿐만 아니라, 북태평양 연어를 불법 포획하고, 미국과 캐나다 어업 산업에 피해를 입히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어부들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것으로 비난받았다.[21]

3. 기타 용도

유자망은 무척추동물과 어류 플랑크톤의 하류 이동을 연구하는 생태 연구에 사용되기도 한다.

3. 1. 생태 연구

유자망은 하천이나 강에서 무척추동물과 어류 플랑크톤의 이동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이 그물은 개울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밤새 방치되어 샘플을 수집한다. 이 그물은 유역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강에서 사용되는 유자망에서 얻은 정량적 추정치는 그물의 막힘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22]

4. 대한민국의 유자망 어업

대한민국은 유자망 어업이 활발한 국가 중 하나이며, 이로 인한 문제점도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4. 1. 어업 실태 및 문제점

대한민국 유자망 어업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유자망은 물고기가 그물에 걸리거나 얽히게 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이는 의도치 않은 물고기까지 잡는 혼획 문제를 야기한다.[6] 1994년 유엔 식량 농업 기구(UNFAO)는 전 세계 혼획으로 매년 2,700만 톤의 어류가 버려진다고 추산했다.[6] 상어, 돌고래, 고래, 바다거북, 바닷새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혼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7] 특히, 공기 호흡을 하는 포유류는 그물에 걸리면 익사할 수 있다.[8]

1990년대에는 유자망 어업으로 매년 3만 톤의 상어와 가오리가 혼획되었다.[9]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우발적 살상'' 촬영 당시,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 인근에서 설치된 유자망에 황새치환도상어를 노렸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청상아리, 귀상어, 바다사자, 만타 가오리 등이 죽은 채 발견되었다.[11] 발트해의 한 연구에서는 소규모 유자망 어업으로 인해 매년 90,000마리의 바닷새가 죽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2]

혼획된 생물은 대부분 죽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은 채 바다로 버려진다.[13] 이들의 사체는 부패하면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산소가 소모되어 주변 해역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한다.[13]

유실되거나 버려진 유자망은 유령 어망이 되어 오랫동안 해양 생물에게 피해를 준다.[14] 합성 재질로 만들어진 그물은 잘 썩지 않아, 유령 어망은 계속해서 해양 동물을 얽히게 하고, 해저를 긁어 생태계를 파괴한다.[14] 더불어, 유자망은 해양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15][16]

불법 어업도 심각한 문제이다. 전 세계 어획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불법 어업은 규격 미달 어획, 폐쇄 수역 어획, 허용량 초과 어획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19] 이는 단속 및 처벌 부족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20]

지중해는 유자망 어업 규정 위반이 흔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과도 어획 지역이다.[1] 유자망 어구가 금지되자, 제조업체들은 망 설계를 변경하여 규제를 피하는 방식으로 어업을 계속하고 있다.[1]

일본의 유자망 어업은 1980년대 중반 북태평양에서 참치와 오징어를 잡기 위해 대규모 어선을 운영하면서 국제적인 논란이 되었다.[21] 일본은 약 900척의 유자망 어선을 운영하며 연간 3억달러의 수익을 올렸지만, 해양 생물 무차별 포획, 연어 불법 포획, 미국과 캐나다 어업 산업 피해 등의 문제로 비판받았다.[21]

참조

[1] 간행물 Caught in the net: driftnet fishing restrictions an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https://archive.toda[...]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2010
[2] 간행물 Gillnetting (Laboratory Leaflet Number 69) http://www.cefas.co.[...]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Directorate of Fisheries Research 1991
[3] 간행물 Driftnet Fishing https://awionline.or[...] Animal Welfare Institute 2014
[4] 웹인용 Cooperative efforts dealing with driftnet fishing http://greennature.c[...] 2006
[5] 서적 Living in the Environment Brooks/Cole
[6] 간행물 Defining and estimating global marine fisheries bycatch http://assets.panda.[...] Marine Policy 2009
[7] 간행물 Why study bycatch? An introduction to the Theme Section on fisheries bycatch https://www.int-res.[...] Endangered Species Research 2008
[8] 웹사이트 New England/Mid-Atlantic | NOAA Fisheries http://www.greaterat[...] 2021-07-20
[9] 간행물 The problem of incidental catches of sharks and rays, its likely consequences, and some possible solutions http://www.pacfish.o[...] Pacific Fisheries Coalition, Shark Conference Hawaii 2000
[10] Youtube National Geographic's ''Incidental Kill'' https://www.youtube.[...]
[11] 웹인용 Web Across the Currents http://www.ocean.com[...] 1987
[12] 간행물 Bycatch in gillnet fisheries - an overlooked threat to waterbird populations http://bycatch.nicho[...] Biological Conservation 2009
[13] 간행물 General information on dissolved oxygen http://bcn.boulder.c[...] 2007
[14] 웹인용 Ghost nets hurting marine environments http://www.fao.org/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9
[15] 웹사이트 Dumped fishing gear is biggest plastic polluter in ocean, finds report http://www.theguardi[...] 2019-11-06
[16] 웹사이트 With Ropes and Nets, Fishing Fleet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Microplastic Pollution https://www.smithson[...] 2022-05-10
[17] 웹인용 The agreement on high seas fishing: an update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1997
[18] 웹인용 Saving the high seas http://www.nature.or[...] 2008
[19] 웹사이트 Marine Stewardship Council http://www.msc.org/
[20] 웹인용 Seafood watch http://www.montereyb[...] Monterey Bay Aquarium
[21] 문서 legal case study www.misr5.com/99414/[...] 2014
[22] 문서 Drift net performance for larval fish sampling in rivers https://peerj.com/pr[...]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