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우 (조유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우(조유왕)는 전한 고제의 아들로, 기원전 196년에 회양나라의 왕으로 봉해졌으며, 이후 조나라 왕으로 옮겨졌다. 여태후에 의해 핍박받아 기원전 181년에 굶어 죽었으며, 그의 아들들은 조왕이 되지 못하고 여씨 일족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형벌로 죽은 사람 - 베르나르두스 (이탈리아)
    샤를마뉴의 손자인 베르나르두스는 817년 루트비히 1세의 제국 분할령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 후 실명형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여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형벌로 죽은 사람 - 송계월
    송계월은 1920년대 후반 여성해방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강조하고 《신여성》 기자 및 카프 동맹원으로 활동하며 여성 권리를 옹호하고 사회주의 문학 운동에 참여했으나 23세의 나이로 사망한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자이다.
  • 기원전 181년 사망 -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는 프톨레마이오스 4세의 아들로 기원전 210년에 태어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며, 제5차 시리아 전쟁에서 패배하고 로마의 중재로 클레오파트라 1세와 결혼했으며, 로제타석 제작을 통해 치세를 칭송받았고, 이집트 원주민의 반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프톨레마이오스 6세 등을 자녀로 두었다.
  • 기원전 181년 사망 - 유회 (조공왕)
    유회(조공왕)는 전한 초 양왕과 조왕을 역임했으며, 아내 여씨의 횡포로 인해 비극적인 삶을 살다 자결하여 조왕으로 재위한 지 반 년 만에 생을 마감하였다.
  • 전한 고제의 황자 - 유여의
    전한 고조 유방의 아들 유여의는 척부인의 소생으로 고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여태후와 중신들의 반대로 황태자 경쟁에서 실패한 후 대왕과 조왕에 봉해졌지만 여태후의 미움을 받아 독살당하고 그의 죽음은 혜제에게 정치적 무관심을 야기했다.
  • 전한 고제의 황자 - 전한 혜제
    전한 혜제는 고조 유방과 여태후의 적자로 태어나 전한의 제2대 황제에 즉위했으나, 여태후의 섭정으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정치에 뜻을 잃어 국정을 소홀히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우 (조유왕)
조왕 유우 정보
이름유우 (劉友)
시호조공왕 (趙恭王)
생몰년기원전 3세기 ~ 기원전 181년
아버지유방
어머니조희
봉국조나라
작위왕 (王)
주요 경력조왕
사망 원인굶어 죽음
시대전한
가계
부왕고제 유방
모후조희
형제유비
유여의
유항
유회
유건
유장
유고
자녀유수

2. 생애

유우는 고제의 아들로, 기원전 196년 회양나라의 첫 왕으로 봉해졌다.[7]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조나라유여의여태후에게 독살당하면서 후임 조왕으로 옮겨 봉해졌다. 여태후가 제후왕이 된 고제의 아들들을 제거하고 그 자리를 여씨 일족들로 채우면서 조유왕도 기원전 181년에 희생되었는데, 여태후의 일족을 아내로 맞았으나 사이가 좋지 않았고, 결국 여태후에게 모함을 받아 굶어 죽었다.[7]

2. 1. 회양왕 시절

고제의 아들로, 高帝|고제중국어 11년(기원전 196년)에 양나라팽월이 제거되면서 회양나라의 첫 왕으로 봉해졌다.[7] 고제는 영천군을 폐지하여 회양나라에 덧붙여주었다.[6]

2. 2. 조왕 시절과 죽음

고제의 아들로, 고제 11년(기원전 196년)에 양나라팽월이 제거되면서 회양나라의 첫 왕으로 봉해졌다.[7] 고제는 영천군을 폐지하여 회양나라에 덧붙여주었다.[6]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조나라유여의여태후에게 독살당하면서 후임 조왕으로 옮겨 봉해졌다. 여태후가 제후왕이 된 고제의 아들들을 제거하고 그 자리를 여씨 일족들로 채우면서 조유왕도 여태후 7년(기원전 181년)에 희생되었는데,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조유왕은 여태후의 일족 여씨를 아내로 두었으나, 사랑하지 않았고 다른 첩을 사랑했다. 아내는 여태후에게 “조왕은 '어찌 여씨가 왕이 되랴? 여후가 죽은 후 내가 반드시 그를 치리라.'라고 합니다.”라고 참소했다. 여태후에게 소환되어 장안으로 갔고, 감금되어 식량 공급이 끊어졌으며 혹시 감금을 뚫고 음식을 가져다주는 자가 있다면 사로잡혀 논죄를 당했다. 결국 조왕은 여씨의 횡포를 비난하고 저주하는 노래를 짓고 굶어죽었고, 여태후는 조왕의 장례를 평민의 예에 따르게 했다.

아들로는 유수유벽강이 있었으나, 여태후는 조유왕의 아들들 대신 양나라 왕으로 있던 유회를 조왕으로 삼았고, 유회가 자결하자 기어이 자기 일족인 여록을 조왕으로 삼았다.[7]

2. 3. 사후

조유왕은 고제의 아들로, 기원전 196년에 양나라팽월이 제거되면서 회양나라의 첫 왕으로 봉해졌다.[7] 혜제 원년(기원전 194년), 조나라유여의여태후에게 독살당하면서 후임 조왕으로 옮겨 봉해졌다.

여태후가 제후왕이 된 고제의 아들들을 제거하고 그 자리를 여씨 일족들로 채우면서 조유왕도 기원전 181년에 희생되었다. 조유왕은 여태후의 일족 여씨를 아내로 두었으나, 사랑하지 않았고 다른 첩을 사랑했다. 아내는 여태후에게 “조왕은 '어찌 여씨가 왕이 되랴? 여후가 죽은 후 내가 반드시 그를 치리라.'라고 합니다.”라고 참소했다. 여태후에게 소환되어 장안으로 갔고, 감금되어 식량 공급이 끊어졌으며 혹시 감금을 뚫고 음식을 가져다주는 자가 있다면 사로잡혀 논죄를 당했다. 결국 조왕은 여씨의 횡포를 비난하고 저주하는 노래를 짓고 굶어죽었고, 여태후는 조왕의 장례를 평민의 예에 따르게 했다.

아들로는 유수유벽강이 있었으나, 여태후는 조유왕의 아들들 대신 양나라 왕으로 있던 유회를 조왕으로 삼았고, 유회가 자결하자 기어이 자기 일족인 여록을 조왕으로 삼았다.[7]

참조

[1] 문서 dingchou day of the zheng month of the 7th year of Empress Lü's regency (after Emperor Hui's death) Zizhi Tongjian
[2]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7-05
[3] 서적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2011-07-05
[4]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7-05
[5] 서적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2011-07-05
[6] 위키문헌 한서 권1 하 고제본기 하 :zh:漢書/卷001下
[7] 위키문헌 한서 권38 고오왕전제8 :zh:漢書/卷038
[8]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9]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