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군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군은 중국 역사에서 여러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진(秦)나라가 한(韓)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되었으며, 양재(陽翟)에 군(郡)의 치소(治所)를 두었다. 전한 시대에는 한국(韓國)이 잠시 설치되기도 했으나 곧 영천군으로 회귀했으며, 예주에 속해 20개의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는 좌대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다시 영천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조조가 헌제를 허현으로 옮겨 도읍을 정하고, 위진 시대를 거쳐 북위 시대에는 3개의 현을 관할했다. 수나라 시대에는 폐지되었다가, 수나라가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영천군으로 부활했지만, 당나라 때 쉬저우로 개칭되면서 그 명칭이 사라졌다. 영천군은 각 시기마다 관할하는 현의 변동이 있었으며, 여러 인물들이 영천태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영천군 (중국) | |
---|---|
개요 | |
위치 | 중국의 진나라, 한나라의 군 |
중심지 | 허창 |
주요 성씨 | 진씨, 순씨, 종요 등 |
역사 | |
기원 | 기원전 277년 진 소양왕 시기 |
상세 내용 | 진 소양왕이 한나라를 쳐서 빼앗은 땅에 설치 기원전 202년 고조 11년에 양책후 유신을 영천군 태수로 임명 후한 시기 조위에 속함 서진 시기 영천국으로 잠시 바뀜 |
폐지 | 남북조 시대 초기 |
지리 | |
관할 지역 | 현재의 허난성 쉬창시, 뤄허시 일대 안후이성 북부 일부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장량 순욱 순유 종요 사마휘 진군 희지재 곽가 두예 한홍 이민 |
문화적 중요성 | |
중요성 | 삼국지를 비롯한 역사 소설에서 자주 언급되는 지역 |
영향 |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여 중국사에 큰 영향을 미침 |
2. 역사
진(秦)이 한(韓)을 멸망시키자 영천군(潁川郡)을 설치했고, 군치(郡治)는 양재(陽翟)에 두었다.[16]
기원전 202년 (전한 고제(高帝) 5년), 한왕 신이 이 땅에 봉해져 한국(韓國)이 세워졌다. 기원전 201년(고제 6년), 한왕 신이 태원군으로 옮겨 봉해지면서 영천군으로 되돌아갔다. 영천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에 43만 2491호, 221만 973명이 있었다.
왕망 때 좌대군(左隊郡)으로 개칭되었다.
후한 건국 후 영천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다. 196년(건안 원년), 조조가 헌제를 데리고 허현으로 옮겨 도읍을 정했다. 221년(황초 2년), 허현을 허창(許昌)으로 개칭했다.
진 시대 영천군은 허창, 장사, 영음, 임영, 언, 소릉(邵陵), 언릉, 신급, 장평(長平)의 9개 현을 관할했다.
북위 시대 영천군은 장사, 임영, 영음의 3개 현을 관할했다. 동위 시대에 정주(鄭州)가 설치되었고, 북주 시대에 쉬저우 시로 개칭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영천군은 폐지되어 쉬저우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쉬저우는 영천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 (무덕 4년), 당이 왕세충을 평정하자 영천군은 쉬저우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쉬저우는 영천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영천군은 쉬저우로 개칭되어 영천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2. 1. 진나라
기원전 230년(진왕 정 17년), 진(秦)이 한(韓)을 멸망시키고 한나라의 옛 땅을 관할하는 군으로 영천군(潁川郡)을 설치하였다.[16] 군의 치소는 양재(陽翟)에 두었다.2. 2. 전한
한왕 신의 봉토로서 한(韓)나라에 속했으나, 고제 6년(기원전 201년) 한나라를 태원군 지역에 옮겨 봉하면서 전한의 직할령이 되었다. 이후 고제가 아들 유우를 회양나라 왕에 봉하면서 영천군을 없애고 회양나라에 덧붙여주었다 하나[18] 실제로 회양나라가 영천군을 관할했는지 자세한 전말은 알 수 없다.[19] 예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43만 2491호, 221만 973명을 관할했다. 대략 현대의 쉬창 시와, 핑딩산 시 서부 일부를 제외한 영역에 해당하며 정저우 시의 덩펑 시 지역도 포함한다.총 20현(18현 2후국)을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양책현 | 陽翟縣 | 쉬창시 위저우 시 | 하우(夏禹)의 나라였다. 4만 1650호, 10만 9천 명이 있었다. |
곤양현 | 昆陽縣 | 핑딩산시 예 현 | 응소에 따르면 곤수(昆水)는 남양에서 발원한다. |
영양현 | 潁陽縣 | 쉬창시 쉬창 현 남서 | 응소에 따르면 영수(潁水)는 양성에서 발원한다. |
정릉현 | 定陵縣 | 뤄허시 우양 현 북동 | 동불랑(東不羹)이 있다. |
장사현 | 長社縣 | 쉬창시 창거 시 동 | |
신급현 | 新汲縣 | 저우커우시 푸거우 현 남서 | 안사고에 따르면 감인의 말로는 원래 급향(汲鄕)이었다가 선제 신작 3년(기원전 59년)에 현으로 설치했는데, 이미 하내군에 급현이 있어서 신자를 붙였다고 한다. |
양성현 | 襄城縣 | 쉬창시 샹청 현 | 서불랑(西不羹)이 있다. |
언현 | 郾縣 | 뤄허시 옌청 구 남 | |
겹현 | 郟縣 | 핑딩산시 자 현 | |
무양현 | 舞陽縣 | 뤄허시 우양 현 서 | 응소에 따르면 무수(舞水)가 남쪽에서 발원한다. |
영음현 | 潁陰縣 | 쉬창시 | |
숭고현 | 崇[20]高縣 | 정저우시 덩펑 시 | 무제가 설치해 태실산(太室山) 곧 중악(中岳)을 받들게 했다. 태실(太室)·소실산묘(小室山廟)가 있다. |
허현 | 許縣 | 쉬창시 쉬창 현 동 | 옛 허나라다. 강성(姜姓)으로 사악(四岳)의 후예 태숙(太叔)이 봉해졌다. 24세를 전하다 초나라에 망했다. |
언릉현 | 傿陵縣 | 쉬창시 옌링 현 북서 | 4만 9101호, 26만 1418명이 있었다. |
임영현 | 臨潁縣 | 뤄허시 린잉 현 서 | |
부성현 | 父城縣 | 핑딩산시 바오펑 현 동 | 응향(應鄕)이 있는데 옛 응나라로, 주 무왕의 아우가 봉해졌다. |
성안후국 | 成安侯國 | 핑딩산시 루저우 시 남동 | 한연년과 곽충의 후국이다. |
주승휴후국 | 周承休侯國 | 핑딩산시 루저우 시 동 | 원제가 설치했고 원시 4년(4년)에 정공(鄭公)으로 고쳤다. |
양성현 | 陽城縣 | 정저우시 덩펑 시 남동 | 양성산(陽城山)에서 유수(洧水)가 발원해 동남쪽으로 장평(長平)에 이르러 영수(潁水)로 흘러드는데 영천·하남·회양·여남 네 군을 지나 5백 리를 간다. 양간산(陽乾山)에서 영수(潁水)가 발원해 동쪽으로 하채(下蔡)에 이르러 회수(淮水)에 이르는데 영천·여양·패 세 군을 지나 천오백 리를 간다. 철관(鐵官)이 있다. |
윤씨현 | 綸氏縣 | 정저우시 덩펑 시 서 |
2. 3. 신나라
왕망이 신을 건국하면서 군의 이름을 좌대(左隊)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전한 | 신 |
---|---|
양책(陽翟) | 영천(潁川) |
정릉(定陵) | 정성(定城) |
양성(襄城) | 상성(相城) |
언릉(傿陵) | 좌정(Left Pavilion영어) |
임영(臨潁) | 감영(監潁) |
주승휴(周承休) | 가미(嘉美) |
신나라 말기에 녹림군이 일어나 이 군의 곤양·정릉·언현을 함락하자, 신나라에서 녹림군을 쳐 대패한 곤양 전투가 이 군의 곤양현에서 벌어졌다.
2. 4. 후한
낙양에서 동남쪽으로 500리 거리에 있었으며, 17개 현, 263,440호, 1,436,513명을 거느렸다.[23]현명 | 한자 | 비고 |
---|---|---|
양책현 | 陽翟 | 고씨정(高氏亭)과 옹씨성(雍氏城)이 있었다. |
양현 | 襄 | 양음리(養陰里)가 있었다. |
양성현 | 襄城 | 서불랑(西不羹), 사성(汜城), 분구(汾丘), 어치산(魚齒山)이 있었다. |
곤양현 | 昆陽 | 담수(湛水)가 있었다. |
정릉현 | 定陵 | 동불랑(東不羹)이 있었다. |
무양읍 | 舞陽 | |
언현 | 郾 | |
임영현 | 臨潁 | |
영양현 | 潁陽 | |
영음현 | 潁陰 | 호종향(狐宗鄕)이 있었는데, 혹자가 말하길 과거 호인정(狐人亭)이었다고 한다. 안정(岸亭)이 있었다. |
허현 | 許 | 196년(건안 원년)에 조조가 동탁에 의해 파괴된 낙양을 대신해 이곳으로 후한의 수도를 옮기고 허창현(許昌)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신급현 | 新汲 | |
언릉현 | 焉陵 | |
장사현 | 長社 | 장갈성(長葛城), 향향(向鄕), 촉성(蜀城), 촉진(蜀津)이 있었다. |
양성현 | 陽城 | 숭고산(嵩高山)이 있고 유수(洧水), 영수(潁水)가 나왔다. 철관, 부서취(負黍聚)가 있었다. |
부성현 | 父城 | 응향(應鄕)이 있었다. |
윤씨현 | 輪氏 | 79년(건초 4년)에 신설되었다. 현재 허난성 덩펑 시 서남쪽에 있다. |
후한이 건국되자 영천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다. 영천군은 양재, 갑, 상성, 곤양, 정릉, 무양, 언, 임영, 영양, 영음, 허, 신급, 언릉, 장사, 양성, 부성, 윤씨의 17개 현을 관할했다.
196년(건안 원년), 조조가 헌제를 데리고 허현으로 옮겨 도읍을 정했다. 221년(황초 2년), 허현을 허창(許昌)으로 개칭했다.
2. 5. 위진 시대
220년 조비가 후한의 수도 허도를 대신하고 재건된 낙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영천군은 수도의 지위를 상실했다. 조위 시기 양책현, 양현이 일시적으로 하남군으로 이관되었다. 266년(태시 2년)에 영천군 서부에 양성군이 신설되었다. 서진 대에는 9현 28,3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으로 화북지방이 석륵에 의해 정복당하면서 영천군 또한 석륵의 휘하에 들어갔다.[24]분리 이전 | 분리 이후 | ||
---|---|---|---|
영천군 | 허창현, 장사현, 영음현, 임영현, 언현, 소릉현, 언릉현, 신급현, 장평현 | 영천군 | 허창현, 장사현, 영음현, 임영현, 언현, 소릉현, 언릉현, 신급현, 장평현 |
양성현, 번창현, 겹현, 정릉현, 부성현, 곤양현, 무양현 | 양성군 | 양성현, 번창현, 겹현, 정릉현, 부성현, 곤양현, 무양현 |
진 시대 영천군은 허창, 장사, 영음, 임영, 언, 소릉, 언릉, 신급, 장평의 9개 현을 관할했다.[12]
2. 6. 남북조 시대
북위에서는 천평 초에 서진대의 영천군 지역에 정주(鄭州)를 설치하고 534년(천평 원년)에 허창 일대에 허창군을, 그리고 양책군을 신설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 이 축소된 영천군은 3현 22,044호 105,909명을 거느렸다.[25] 동위땐 정주(鄭州)로 소속이 바뀌었다.[26]분리 이후 | |
---|---|
영천군 | 장사현, 임영현, 영음현 |
허창군 | 허창현, 언릉현, 신급현, 부구현 |
양책군 | 양책현, 황대현(양책에서 분리신설) |
현명 | 한자 | 비고 |
---|---|---|
장사현 | 長社 | 장갈성(長葛城), 장평성(長平城), 망마대(望馬臺), 계명성(雞鳴城), 종호묘(鍾皓墓), 백안릉(白雁陵)이 있다. 정주의 자사부가 있었다. |
임영현 | 臨潁 | 은탕성(殷湯城)이 있다. 446년(태평진군 7년)에 영음현을 통폐합했다. |
영음현 | 潁陰 | 446년 영음현에 흡수되었다가 539년(원상 2년)에 복구했다. 순상묘(荀爽墓)와 박망성(博望城)이 있다. |
2. 7. 수당 시대
개황 초,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영주(潁州)로 개편되었다. 영천군은 총 14개 현, 195,640호를 거느렸다.[2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천현 | 潁川縣 | 쉬창 시 | 북제 때 장사현(長社縣)에 영음현(潁陰縣)이 통폐합되었고, 동위 때 설치된 황태현(黃台縣)이 있었는데, 대업 초 장사현에 통폐합되었다. |
양성현 | 襄城縣 | 쉬창 시 샹청 현 | 북주 때 여주(汝州)가 설치되었는데, 개황 초 양성군이 폐지되었고, 대업 초 여주가 폐지되었다. 은수(溵水)가 현 내에 있었다. |
여분현 | 汝墳縣 | 핑딩산 시 셰 현 구현향(旧县乡) | 북제 때 한광군(漢廣郡)이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수산(首山)이 현 내에 있었다. |
섭현 | 葉縣 | 핑딩산 시 셰 현 | 북제 때 양주(襄州)가 설치되었지만 북주 때 폐지되었고, 남양성군(南襄城郡)이 설치되었다. 개황 초 남양성군이 폐지되었다. 동위 때 정남군(定南郡)이 신설되었으나 북주 때 정남현으로 격하되었고, 대업 초 폐지되었다. |
북무현 | 北舞縣 | 뤄허 시 우양 현 북무도진(北舞渡镇) | 개황 초 정릉군(定陵郡)이 폐지되었다. 백척구(百尺溝)가 현 내에 있었다. |
언성현 | 郾城縣 | 뤄허 시 옌청 구 | 개황 초 신설된 현으로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도주(道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 주가 폐지되면서 영천군의 현으로 내속되었다. 북제 때 영천군이 임영군(臨潁郡)으로 개명되었는데, 개황 초 군이 폐지되었다. 대업 초 소릉현(邵陵縣)이 통폐합되었다. 은수가 현 내에 있었다. |
번창현 | 繁昌縣 | 뤄허 시 린잉 현 번성회족진(繁城回族镇) 일대 | |
임영현 | 臨潁縣 | 뤄허 시 린잉 현 |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 시 웨이스 현 | 북제 때 폐지되었는데,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복구되었다. |
장갈현 | 長葛縣 | 쉬창 시 창거 시 북동 | 586년 신설되었다. |
허창현 | 許昌縣 | 쉬창 시 창거 시 고교진(古橋鎭) 일대 | |
은강현 | 氵隱強縣 | 596년 도성현(陶城縣)이란 이름으로 신설되었고, 대업 초 은강현으로 개명되었다. | |
부구현 | 扶溝縣 | 주마뎬 시 푸거우 현 | |
언릉현 | 鄢陵縣 | 쉬창 시 옌링 현 | 동위 때 설치된 허창군(許昌郡)의 속현이었는데, 북제 때 폐지되었고, 개황 초 군이 폐지되었다. 587년(수 문제 개황 7년) 복구되었다. 596년 유주(洧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 주가 폐지되면서 영천군의 속현이 되었다. 또한 596년 채피현(蔡陂縣)이 신설되었다가 대업 초 폐지되었다. |
영천군(潁川郡)의 속현(屬縣)은 시대에 따라 변동이 있었다.
3. 속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3. 1. 전한 (20현)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양책현 | 陽翟縣 | 쉬창시 위저우 시 | 하우(夏禹)의 나라였다. 4만 1650호, 10만 9천 명이 있었다. |
곤양현 | 昆陽縣 | 핑딩산시 예 현 | 응소에 따르면 곤수(昆水)는 남양에서 발원한다. |
영양현 | 潁陽縣 | 쉬창시 쉬창 현 남서 | 응소에 따르면 영수(潁水)는 양성에서 발원한다. |
정릉현 | 定陵縣 | 뤄허시 우양 현 북동 | 동불랑(東不羹)이 있다. |
장사현 | 長社縣 | 쉬창시 창거 시 동 | |
신급현 | 新汲縣 | 저우커우시 푸거우 현 남서 | 안사고에 따르면 감인의 말로는 원래 급향(汲鄕)이었다가 선제 신작 3년(기원전 59년)에 현으로 설치했는데, 이미 하내군에 급현이 있어서 신자를 붙였다고 한다. |
양성현 | 襄城縣 | 쉬창시 샹청 현 | 서불랑(西不羹)이 있다. |
언현 | 郾縣 | 뤄허시 옌청 구 남 | |
겹현 | 郟縣 | 핑딩산시 자 현 | |
무양현 | 舞陽縣 | 뤄허시 우양 현 서 | 응소에 따르면 무수(舞水)가 남쪽에서 발원한다. |
영음현 | 潁陰縣 | 쉬창시 | |
숭고현 | 崇[20]高縣 | 정저우시 덩펑 시 | 무제가 설치해 태실산(太室山) 곧 중악(中岳)을 받들게 했다. 태실(太室)·소실산묘(小室山廟)가 있다. |
허현 | 許縣 | 쉬창시 쉬창 현 동 | 옛 허나라다. 강성(姜姓)으로 사악(四岳)의 후예 태숙(太叔)이 봉해졌다. 24세를 전하다 초나라에 망했다. |
언릉현 | 傿陵縣 | 쉬창시 옌링 현 북서 | 4만 9101호, 26만 1418명이 있었다. |
임영현 | 臨潁縣 | 뤄허시 린잉 현 서 | |
부성현 | 父城縣 | 핑딩산시 바오펑 현 동 | 응향(應鄕)이 있는데 옛 응나라로, 주 무왕의 아우가 봉해졌다. |
성안후국 | 成安侯國 | 핑딩산시 루저우 시 남동 | 한연년과 곽충의 후국이다. |
주승휴후국 | 周承休侯國 | 핑딩산시 루저우 시 동 | 원제가 설치했고 원시 4년(4년)에 정공(鄭公)으로 고쳤다. |
양성현 | 陽城縣 | 정저우시 덩펑 시 남동 | 양성산(陽城山)에서 유수(洧水)가 발원해 동남쪽으로 장평(長平)에 이르러 영수(潁水)로 흘러드는데 영천·하남·회양·여남 네 군을 지나 5백 리를 간다. 양간산(陽乾山)에서 영수(潁水)가 발원해 동쪽으로 하채(下蔡)에 이르러 회수(淮水)에 이르는데 영천·여양·패 세 군을 지나 천오백 리를 간다. 철관(鐵官)이 있다. |
윤씨현 | 綸氏縣 | 정저우시 덩펑 시 서 |
3. 2. 후한 (17현)
낙양에서 동남쪽으로 500리 거리에 있었으며, 17개 현, 263,440호, 1,436,513명을 거느렸다.[23]현명 | 한자 | 비고 |
---|---|---|
양책현 | 陽翟 | 고씨정(高氏亭)과 옹씨성(雍氏城)이 있었다. |
양현 | 襄 | 양음리(養陰里)가 있었다. |
양성현 | 襄城 | 서불랑(西不羹), 사성(汜城), 분구(汾丘), 어치산(魚齒山)이 있었다. |
곤양현 | 昆陽 | 담수(湛水)가 있었다. |
정릉현 | 定陵 | 동불랑(東不羹)이 있었다. |
무양읍 | 舞陽 | |
언현 | 郾 | |
임영현 | 臨潁 | |
영양현 | 潁陽 | |
영음현 | 潁陰 | 호종향(狐宗鄕)이 있었는데, 혹자가 말하길 과거 호인정(狐人亭)이었다고 한다. 안정(岸亭)이 있었다. |
허현 | 許 | 196년(건안 원년)에 조조가 동탁에 의해 파괴된 낙양을 대신해 이곳으로 후한의 수도를 옮기고 허창(許昌)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신급현 | 新汲 | |
언릉현 | 焉陵 | |
장사현 | 長社 | 장갈성(長葛城), 향향(向鄕), 촉성(蜀城), 촉진(蜀津)이 있었다. |
양성현 | 陽城 | 숭고산이 있고 유수(洧水), 영수(潁水)가 나왔다. 철관, 부서취(負黍聚)가 있었다. |
부성현 | 父城 | 응향(應鄕)이 있었다. |
윤씨현 | 輪氏 | 79년(건초 4년)에 신설되었다. 현재 허난성 덩펑시 서남쪽에 있다. |
3. 3. 서진 (9현)
266년(태시 2년), 양성군이 영천군 서부에 신설되었다. 서진 시대 영천군은 9현 28,3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으로 화북 지방이 석륵에게 정복되면서 영천군 또한 석륵의 휘하에 들어갔다.[24]분리 이전 | 분리 이후 | ||
---|---|---|---|
영천군 | 허창현, 장사현, 영음현, 임영현, 언현, 소릉현, 언릉현, 신급현, 장평현 | 영천군 | 허창현, 장사현, 영음현, 임영현, 언현, 소릉현, 언릉현, 신급현, 장평현 |
양성현, 번창현, 겹현, 정릉현, 부성현, 곤양현, 무양현 | 양성군 | 양성현, 번창현, 겹현, 정릉현, 부성현, 곤양현, 무양현 |
서진 시대 영천군은 허창, 장사, 영음, 임영, 언, 소릉(邵陵), 언릉, 신급, 장평(長平)의 9개 현을 관할했다.
3. 4. 북위 (3현)
천평 초, 서진대의 영천군 지역에 정주(鄭州)가 설치되었고, 534년(천평 원년)에 허창 일대에 허창군, 양책군이 신설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 축소된 영천군은 3현 22,044호 105,909명을 거느렸다.[25] 동위 때 정주(鄭州)로 소속이 바뀌었다.[26]현명 | 한자 | 비고 |
---|---|---|
장사현 | 長社 | 장갈성(長葛城), 장평성(長平城), 망마대(望馬臺), 계명성(雞鳴城), 종호묘(鍾皓墓), 백안릉(白雁陵)이 있었다. 정주의 자사부가 있었다. |
임영현 | 臨潁 | 은탕성(殷湯城)이 있었다. 446년(태평진군 7년)에 영음현을 통폐합했다. |
영음현 | 潁陰 | 446년 영음현에 흡수되었다가 539년(원상 2년)에 복구했다. 순상묘(荀爽墓)와 박망성(博望城)이 있었다. |
3. 5. 수나라 (14현)
개황 초기에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영주(潁州)로 개편되었다. 영천군은 총 14개 현, 195,640호를 거느렸다.[2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천현 | 潁川縣 | 쉬창 시 | 북제 때 장사현(長社縣)에 영음현(潁陰縣)이 통폐합되었고, 동위 때 설치된 황태현(黃台縣)이 있었는데 대업 초기에 장사현에 통폐합되었다. |
양성현 | 襄城縣 | 쉬창 시 샹청 현 | 북주 때 여주(汝州)가 설치되었는데, 개황 초기에 양성군이 폐지되었고 대업 초기에 여주가 폐지되었다. 은수(溵水)가 현 내에 있었다. |
여분현 | 汝墳縣 | 핑딩산 시 셰 현 구현향(旧县乡) | 북제 때 한광군(漢廣郡)이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수산(首山)이 현 내에 있었다. |
섭현 | 葉縣 | 핑딩산 시 셰 현 | 북제 때 양주(襄州)가 설치되었지만 북주 때 폐지되었고 남양성군(南襄城郡)이 설치되었다. 개황 초기에 남양성군이 폐지되었다. 동위 때 정남군(定南郡)이 신설되었으나 북주 때 정남현으로 격하되었고 대업 초기에 폐지되었다. |
북무현 | 北舞縣 | 뤄허 시 우양 현 북무도진(北舞渡镇) | 개황 초기에 정릉군(定陵郡)이 폐지되었다. 백척구(百尺溝)가 현 내에 있었다. |
언성현 | 郾城縣 | 뤄허 시 옌청 구 | 개황 초기에 신설된 현으로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도주(道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기에 주가 폐지되면서 영천군의 현으로 내속되었다. 북제 때 영천군이 임영군(臨潁郡)으로 개명되었는데 개황 초기에 군이 폐지되었다. 대업 초 소릉현(邵陵縣)이 통폐합되었다. 은수(溵水)가 현 내에 있었다. |
번창현 | 繁昌縣 | 뤄허 시 린잉 현 번성회족진(繁城回族镇) 일대 | |
임영현 | 臨潁縣 | 뤄허 시 린잉 현 | |
위씨현 | 尉氏縣 | 카이펑 시 웨이스 현 | 북제 때 폐지되었는데,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복구되었다. |
장갈현 | 長葛縣 | 쉬창 시 창거 시 북동 | 586년에 신설되었다. |
허창현 | 許昌縣 | 쉬창 시 창거 현 고교진(古橋鎭) 일대 | |
은강현 | 氵隱強縣 | 596년 도성현(陶城縣)이란 이름으로 신설되었고 대업 초기에 은강현으로 개명되었다. | |
부구현 | 扶溝縣 | 주마뎬 시 푸거우 현 | |
언릉현 | 鄢陵縣 | 쉬창 시 옌링 현 | 동위 때 설치된 허창군(許昌郡)의 속현이었는데, 북제 때 폐지되었고 개황 초기에 군이 폐지되었다. 587년(수 문제 개황 7년) 복구되었다. 596년 유주(洧州)로 분리되었으나 대업 초기에 주가 폐지되면서 영천군의 속현이 되었다. 또한 596년 채피현(蔡陂縣)이 신설되었다가 대업 초기에 폐지되었다. |
4. 인물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Sui
[5]
서적
New Book of Tang
[6]
서적
漢書
[7]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8]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三国志
[11]
서적
三国志
[12]
서적
晋書
[13]
서적
魏書
[14]
서적
隋書
[15]
서적
旧唐書
[16]
서적
사기
[17]
서적
사기
[18]
서적
한서
[19]
논문
漢初 郡國制와 지방통치책
2004
[20]
문서
[21]
서적
한서
[2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3]
서적
후한서, 권110 군국지
[24]
서적
진서, 권14 지리지
[25]
서적
위서, 권106 中 지형지中
[26]
서적
수서
[27]
서적
수서
[28]
서적
한서
[29]
서적
수신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