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안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안국은 전한 시대에 설치된 중국의 옛 제후국이다. 기원전 121년 구강군을 분할하여 육안공왕 유경을 왕으로 삼았으며, 《사기》에는 회남국에 이어, 《사기집해》에서는 구강군에서 분할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시 2년(2년)에는 38,345호, 178,616명이 거주했다. 육안국에는 육안현, 요현, 안풍현, 양천현, 안풍현이 있었으며, 이후 왕망에 의해 안풍군으로 개편되었다.
기원전 122년, 회남왕 유안의 모반 사건으로 회남나라가 폐지되고 구강군(회남나라의 내사지)이 설치되었다.[1] 원수 2년(기원전 121년), 구강군을 분할하여 육안국을 설치하고 유기의 애첩의 아들 유경을 육안공왕으로 봉했다.[1]
2. 역사
육안국의 설치 배경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사기》에는 회남국 다음에 육안국이 나오고, 《사기집해》에서는 구강군이 육안국이 되었다고 하여 구강군 분할설을 주장한다. 반면 《한서》 지리지에서는 형산국이 폐지된 후 육안국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육안국의 속현이 모두 구강군의 동쪽에 위치하므로, 구강군 서쪽의 형산군에서 분할되었다는 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1]
육안국의 이후 자세한 사항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1. 전한 시대
기원전 122년, 회남왕 유안의 모반 사건 이후 회남나라가 폐지되고 구강군(회남나라의 내사지)이 설치되었다.[1] 원수 2년(기원전 121년), 구강군을 분할하여 육안국을 설치하고 유기의 애첩의 아들 유경을 육안공왕으로 봉했다.[1]
육안국 설치 배경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사기》에는 회남국 다음에 육안국이 나오고, 《사기집해》에서는 구강군이 육안국이 되었다고 하여 구강군 분할설을 주장한다. 반면 《한서》 지리지에서는 형산국이 폐지된 후 육안국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육안국의 속현이 모두 구강군의 동쪽에 위치하므로, 구강군 서쪽의 형산군에서 분할되었다는 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1]
원시 2년(2년) 기준, 육안국에는 38,345호, 178,616명이 거주했다.[2][3]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총 6개의 현이 있었으며, 서울은 육현이었다.[2][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육안현 | 六安縣 | 루안시 | 옛 육나라. 고요의 후예로 언성(偃姓)이며, 초나라에 멸망했다. 여계수(如溪水)가 비수(沘水)에서 갈려나와 북동으로 수춘읍에 이르러 작피로 들어간다. |
요현 | 蓼縣 | 신양시 구스 현 북 | 옛 요나라. 고요의 후예로 언성(偃姓)이며, 초나라에 멸망했다. |
안풍현 | 安豊縣 | 신양시 구스 현 남동 | 《우공》의 대별산(大別山)이 남서쪽에 있다. |
안풍현 | 安風縣 | 루안시 훠추 현 남서 | |
양천현 | 陽泉縣 | 루안시 훠추 현 북서 |
육안왕국에서 갈려나온 왕자후국은 총 4개국이다. 용향후국은 《한서》 지리지의 현황인 기원전 8년 이후 봉해졌다.[4][5][6]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송자(松玆) | 시원 5년(기원전 82년) 6월 신축일 | 시건국 원년(9년) | 여강군 | |
부양(富陽) | 원강 2년(기원전 64년) 병술일 | 건소 2년(기원전 37년) | ||
박향(博鄕) | 경녕 원년(기원전 33년) 4월 정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구강군 | |
용향(庸鄕) | 수화 3년(기원전 6년) 7월 경오일 | 시건국 원년(9년) |
부양후국은 800호밖에 되지 않아 폐지된 후 향으로 격하된 것으로 추정된다.
2. 2. 신나라 시대
王莽|왕망중국어이 육안국을 폐지하고 안풍군(安風郡)으로 이름을 바꿨다. 현의 이름도 일부 변경하였다.전한 | 신 |
---|---|
안풍 | 안풍정(安風亭) |
주산부(? ~ 기원전 70년)
구강군(회남나라의 내사지)의 일부였다가, 원수 2년(기원전 121년)에 회남왕 유안이 모반으로 죽자 회남나라가 폐지되고 그 영토를 구강군으로 되돌렸다가 분할되어 육안국이 만들어졌다. 육안국의 모체에 대해서는 구강군이라는 설과 형산국이라는 설이 있는데, 육안국의 속현이 모두 구강군의 동쪽에 있으므로 구강군 서쪽의 형산군에서 분할되었다는 것은 잘못으로 보인다.[1]
3. 역대 왕
4. 행정 구역
4. 1. 전한 시대
원수 2년(기원전 121년), 구강군을 분할해 육안국을 만들고 유경을 왕으로 삼았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8,345호, 178,616명이 있었다. 한서 지리지의 내용에 따르면[2][3]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총 6현이며, 서울은 육현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육안현 | 六安縣 | 루안시 | 옛 육나라로, 고요(皋繇)의 후예며 언성(偃姓)이다. 초나라에 멸망했다. 여계수(如溪水)가 비수(沘水)에서 갈려나와 북동으로 수춘읍에 이르러 작피로 들어간다. |
요현 | 蓼縣 | 신양시 구스현 북 | 옛 요나라로, 고요의 후예며 언성이다. 초나라에 멸망했다. |
안풍현 | 安豊縣 | 신양시 구스현 남동 | 《우공》의 대별산(大別山)이 남서쪽에 있다. |
안풍현 | 安風縣 | 루안시 훠추현 남서 | |
양천현 | 陽泉縣 | 루안시 훠추현 북서 |
다음은 육안왕국에서 갈려나온 왕자후국이다. 총 4국인데, 용향후국은 한서 지리지의 현황인 기원전 8년 이후 봉해진 후국이다.[4][5][6]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송자(松玆) | 시원 5년(기원전 82년) 6월 신축일 | 시건국 원년(9년) | 여강군 | |
부양(富陽) | 원강 2년(기원전 64년) 병술일 | 건소 2년(기원전 37년) | ||
박향(博鄕) | 경녕 원년(기원전 33년) 4월 정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구강군 | |
용향(庸鄕) | 수화 3년(기원전 6년) 7월 경오일 | 시건국 원년(9년) |
부양후국은 800호밖에 되지 않으므로 폐지된 후 향으로 격하된 것으로 보인다.
오씨 육안왕 | |||
---|---|---|---|
대 | 성명 | 시호 | 재위 기간 |
초대 | 유경 | - | - |
제2대 | 유록 | 육안이왕 | - |
제3대 | 유정 | 육안묘왕 | - |
제4대 | 유광 | 육안경왕 | - |
제5대 | 유육 | - | - |
4. 2. 신나라 시대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 전한의 제후국이었던 육안국을 폐지하면서, 안풍현을 안풍정(安風亭)으로 고쳤다.[2]5. 국상
참조
[1]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2]
서적
한서
[3]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4]
서적
한서
[5]
서적
한서
[6]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