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강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강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대에 설치되어 한나라, 위나라,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 걸쳐 존재했다. 진나라 때는 안후이성, 장시성 일대에 위치했으며, 전한 시대에는 회남나라에 속하기도 했다. 삼국 시대에는 위나라의 회남국, 초국, 회남군으로 변동되었고, 수나라 때는 강주로 개명되어 주장 시가 만들어졌다. 당나라 시대에는 강주로 개명되어 구강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역대 태수로는 전한 시대의 신도유, 후한 시대의 양통 등이 있었다.

2. 진

진나라 때 구강군이 설치되었다.

2. 1. 속현 (진)

진나라 시황제 26년(기원전 221년) 당시 존재한 36군 중 하나로, 옛 초나라 영토에 설치되었으며 대략 지금의 안후이성화이허 남쪽, 장시성 대부분에 해당했다. 그 영역이 지나치게 광활하여 이후 형산군, 여강군이 분할되어 나갔다.[6] 유물과 문헌자료에서 확인되는 속현들은 다음과 같다.[7]

구강군 속현 (진나라 시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춘壽春안후이성 서우현 고성(古城)진나라 봉니 “수춘승인”(壽春丞印)
곡양曲陽안후이성 화이난시진나라 전세 관인 “곡양좌위”(曲陽左尉)
신감新淦장시성 장수시진나라 봉니 “신감승인”(新淦丞印)
안후이성 훠산현 북동시안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 “첨승지인”(灊丞之印)
파양番陽장시성 포양현 북동
역양歷陽안후이성 허현진나라 봉니 “역양승인”(歷陽丞印)
우루雩婁허난성 상청현 북동 (혹 안후이성 훠산현 서)진나라 봉니 “우루승인”(雩婁丞印)
안풍安豊허난성 구시현·안후이성 루안시·훠산현 일부분(치소는 구시현 남동부로 추정)진나라 봉니 “안풍승인”(安豊丞印)
안후이성 수청현시안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 “서승지인”(舒丞之印)
교양鄡陽장시성 두창현전세 전국 초나라 계통 관새인(官璽印) “효양??”
음릉陰陵안후이성 벙부시
동성東城안후이성 밍광시
종리鍾離안후이성 펑양현 소변장고성(小卞莊古城)소변장고성에서 출토된 “종리승인”(鍾離丞印)
건양建陽안후이성 추저우시
안후이성 루안시 서 고성전국 초나라 관인 “육행부지새”(六行府之璽)
여릉廬陵장시성 타이허현 성 남서 3미터 간강 남안 백구고성(白口古城)
거소居巢안후이성 안칭시 북서
안평安平장시성 안푸현 남동


3. 전한

진나라 때 설치된 구강군은 초한쟁패기를 거쳐 영포가 다스리는 회남국의 일부가 되었다. 기원전 122년, 회남왕 유안이 모반 혐의로 자결하고 회남국이 폐지되면서 최종적으로 전한의 직할 군현으로 편입되었다.[8] 전한 시대 구강군은 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5만 52호, 78만 525명이 거주했다. 군에는 피관(陂官)과 호관(湖官)이라는 관직이 있었다. 왕망신(新)을 건국한 후에는 연평군(延平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 1. 속현 (전한)

기원전 206년, 항우가 제후왕국을 세우면서 구강군은 영포가 다스리는 구강나라에 속하게 되었다. 영포가 모반을 일으켜 전한 편에 섰다가 항우에게 패배하고 한나라로 달아나자, 구강군은 초나라의 직할령이 되어 주은이 수비했다. 이후 전한은 영포를 회남나라 왕에 봉하여 옛 구강나라 땅을 다시 다스리게 했고, 주은이 유고의 설득으로 전한에 투항하면서 구강군은 다시 영포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영포가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망하자, 고제의 서자 회남여왕 유장이 부임했으나 그 역시 모반 혐의로 사로잡히면서 회남나라의 군들은 모두 전한의 직할령이 되었다. 후에 회남나라가 다시 설치되면서 구강군은 회남나라의 봉토가 되었다.

기원전 122년에 회남왕 유안이 반란 혐의로 자결을 명받고 회남나라가 폐지되면서, 구강군은 최종적으로 한나라의 직할 군현이 되었다.[8] 구강군은 양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5만 52호, 78만 525명이 있었다. 군에는 피관(陂官)과 호관(湖官)이 설치되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 · 수화 연간(기원전 8년경)의 현황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목록의 첫 번째 현이 군의 치소(治所)이다. 구강군의 영역은 대략 현대 안후이성화이허 이남, 차오후 이북 지역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춘읍壽春邑화이베이시 서우현초 고열왕이 진(陳)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준추현浚遒縣허페이시 페이둥현 동
성덕현成德縣화이베이시 서우현 남
탁고현橐皋縣허페이시 차오후시 북서
음릉현陰陵縣추저우시 딩위안현 북서
역양현歷陽縣마안산시 허현도위가 다스린다.
당도후국當塗侯國벙부시 화이위안현 남
종리현鍾離縣추저우시 펑양현
합비현合肥縣허페이시
동성현東城縣추저우시 딩위안현 남동
박향후국博鄕侯國루안시 서
곡양후국曲陽侯國화이난시 동
건양현建陽縣추저우시 라이안현
전초현全椒縣추저우시 취안자오현
부릉현阜陵縣마안산시 허현 서

[10]

왕망신(新)을 건국한 후에는 연평군(延平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4. 신

때 다음 현들의 이름이 바뀌었다.

전한
성덕(成德)평아(平阿)
음릉(陰陵)음륙(陰陸)
역양(歷陽)명의(明義)
당도(當塗)산취(山聚)
종리(鍾離)잠부(蠶富)
동성(東城)무성(武城)
박향(博鄕)양륙(揚陸)
곡양(曲陽)연평정(延平亭)
부릉(阜陵)부륙(阜陸)


5. 후한

후한이 건국되면서 왕망 시대의 연평군(延平郡)이라는 명칭에서 다시 구강군으로 되돌아왔다. 후한 시대 구강군에 속했던 현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건안 2년(197년), 원술황제를 참칭하고 구강태수를 회남윤(淮南尹)으로 고치면서 군이 일시적으로 폐지되기도 했다.[11]

5. 1. 속현 (후한)

후한이 건국되면서 연평군(延平郡)에서 다시 구강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다. 후한 시기 구강군은 다음 14개 현을 관할했다.[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음릉현陰陵縣
수춘현壽春縣《한관》에 따르면 자사의 치소였다.
준추현浚遒縣
성덕현成德縣
서곡양현西曲陽縣
합비후국合肥侯國
역양후국歷陽侯國양주자사 치소가 있었다.
당도현當塗縣
(當嵞縣[9])
마구취(馬丘聚), 서봉반(徐鳳反)이 있었다.
전초현全椒縣
종리후국鍾離侯國
부릉현阜陵縣
하채현下蔡縣원래 패국의 속현이었다.
평아현平阿縣원래 패국의 속현이었으며, 도산(塗山)이 있다.
의성현義成縣원래 패국의 속현이었다.



건안 2년(197년), 황제를 참칭한 원술이 구강태수를 회남윤(淮南尹)으로 고치면서 군이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다.[11]

6. 삼국시대 (위)

221년 ( 황초 2년)에 조옹이 회남공(淮南公)에 봉해지면서 구강군을 관할하는 회남국(淮南國)이 설치되었다. 223년 (황초 4년) 조옹이 진왕(陳王)으로 옮겨 봉해지자 회남국은 폐지되고 다시 구강군으로 돌아갔다. 232년 (태화 6년)에는 조표가 초왕(楚王)에 봉해지면서 구강군 지역에 초국(楚國)이 세워졌다. 251년 (가평 3년) 조표가 자살하자 초국은 폐지되었고, 구강군은 회남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7. 수

수 양제 시기인 607년(대업 3년)에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기존의 강주(江州)가 '''구강군(九江郡)'''으로 개명되었다.[4] 이 조치로 현재 장시성의 주장 시 지역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621년(무덕 4년), 당나라임사홍을 평정하면서 구강군은 다시 강주로 개명되었고, 구강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5]

7. 1. 속현 (수)

수 양제 시기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기존의 강주(江州)가 '''구강군(九江郡)'''으로 개명되었다. 이는 현재의 장시성 주장 시 지역에 해당하며, 수나라 때 구강군은 2개 현, 7,617호를 거느렸다.[12]

수나라 시기 구강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분성현湓城縣주장 시여남현(汝南縣)과 시상현(柴桑縣)이 통폐합되어 설치된 심양현(尋陽縣)이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팽려현(彭蠡縣)으로 개명되었다가, 대업 초기에 분성현으로 다시 개명되었다. 현 내에 소호(巢湖), 팽려호(彭蠡湖), 여산(廬山), 망부산(望夫山)이 있었다.
팽택현彭澤縣주장 시 펑쩌 현남조 시기 교치되었던 태원군(太原郡)을 폐지하고 그 자리에 용성현(龍城縣)을 두었다가, 598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 내에 낚시터(釣磯)가 있었다.


8. 당

621년 (무덕 4년), 임사홍을 평정한 후 구강군을 강주로 개명하면서 구강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9. 역대 태수 (목록)

구강군의 태수전한 시대와 후한 시대에 걸쳐 임명되었다. 각 시대별 태수의 상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1. 전한

기원전 206년, 항우가 제후왕국을 세우면서 구강군은 구강나라에 속해 영포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후 영포가 전한에 투항하자 구강군은 초나라의 직할령이 되었고 주은이 수비하였다. 전한은 영포를 회남나라의 왕으로 봉하여 옛 구강나라 지역을 다스리게 했고, 주은이 유고의 설득으로 전한에 투항하면서 구강군은 다시 영포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영포가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망하자, 고제는 서자 회남여왕 유장을 보내 다스리게 했다. 유장마저 모반 혐의로 사로잡히면서 회남나라의 군들은 모두 전한의 직할령이 되었다. 이후 회남나라가 다시 세워지면서 구강군은 회남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기원전 122년, 회남왕 유안이 반란 혐의로 자결을 명받고 회남나라가 폐지되면서 구강군은 최종적으로 전한의 직접 통치를 받게 되었다.[8] 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서기 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5만 52호, 78만 525명이 거주했다. 군에는 피관(陂官)과 호관(湖官)이 설치되었다. 아래는 한서 지리지에 기록된 속현 목록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경)의 상황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목록의 첫 번째 현이 군의 치소이다. 구강군의 영역은 대략 현대 안후이성화이허 이남, 차오후 이북 지역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춘읍壽春邑화이베이시 서우현초 고열왕이 진(陳)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준추현浚遒縣허페이시 페이둥현 동쪽
성덕현成德縣화이베이시 서우현 남쪽
탁고현橐皋縣허페이시 차오후시 북서쪽
음릉현陰陵縣추저우시 딩위안현 북서쪽
역양현歷陽縣마안산시 허현도위가 다스린다.
당도후국當塗侯國
當嵞侯國[9]
벙부시 화이위안현 남쪽
종리현鍾離縣추저우시 펑양현
합비현合肥縣허페이시
동성현東城縣추저우시 딩위안현 남동쪽
박향후국博鄕侯國루안시 서쪽
곡양후국曲陽侯國화이난시 동쪽
건양현建陽縣추저우시 라이안현
전초현全椒縣추저우시 취안자오현
부릉현阜陵縣마안산시 허현 서쪽

[10]

'''역대 태수'''


  • 신도유 (? ~ 기원전 116년)
  • 아무개 (기원전 74년 ~ ?): 소제 사후 조정의 낭(郎)이었으나, 곽광에게 광릉여왕 유서를 황제로 추대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올렸다. 곽광이 이를 받아들여 그를 구강태수로 승진시켰다.[13]
  • 대성 (성제 시기)
  • 왕가 (? ~ 기원전 10년)
  • 마궁 (성제 말기? 또는 애제 시기?)
  • 방봉 (기원전 5년 ~ ?)

9. 2. 후한

건안 2년(197년), 황제를 참칭한 원술이 구강태수를 회남윤(淮南尹)으로 고치면서 폐지되었다.[11]

아래는 후한 시대 구강군에 속했던 현들의 목록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음릉현陰陵縣
수춘현壽春縣《한관》에서는 이곳이 자사의 치소라 했다.
준추현浚遒縣
성덕현成德縣
서곡양현西曲陽縣
합비후국合肥侯國
역양후국歷陽侯國양주자사의 치소가 있다.
당도현當塗縣
當嵞縣|당도현중국어[9]
마구취(馬丘聚)와 서봉반(徐鳳反)이 있다.
전초현全椒縣
종리후국鍾離侯國
부릉현阜陵縣
하채현下蔡縣원래는 패국의 속현이었다.
평아현平阿縣원래는 패국의 속현이었다. 도산(塗山)이 있다.
의성현義成縣원래는 패국의 속현이었다.



다음은 후한 시대 구강군 태수를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이다.


  • 양통 (광무제 시기)
  • 종균 (광무제 시기)
  • 구등(丘騰, ? ~ 144년 9월)
  • 등현(鄧顯, 144년 9월): 구등의 후임이다.
  • 양구 (영제 시기)
  • 변양 (영제 말기)
  • 복건 (중평 말기)
  • 유막(劉邈, 190년 ~ ?)
  • 주앙 (? ~ 193년)

참조

[1] 서적 한서
[2] 서적 후한서
[3] 서적 삼국지
[4] 서적 수서
[5] 서적 구당서
[6] 저널 秦始皇三十六郡新考 http://w3.pku.edu.cn[...] 2016-04-05
[7] 서적 진대정구지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8] 서적 한서 https://wikisource.o[...]
[9] 서적 설문해자
[10] 서적 한서
[11] 서적 후한서
[12]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