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진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진섭은 1955년 충남 예산 출생으로, 홍익대학교와 호주 웨스턴시드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그는 광주비엔날레 큐레이터,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 및 창원조각비엔날레 총감독,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 호남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하며 미술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90여 회의 국내외 전시를 기획하고, 현대미술 및 행위예술 관련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행위 예술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였으며,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당선, 월간미술 대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스턴시드니 대학교 동문 - 모니카 라둘로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으로 호주로 이민 간 모니카 라둘로비치는 웨스턴 시드니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미스 투어리즘 인터내셔널 2위, 미스 유니버스 오스트레일리아 우승 후 2015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서 톱 5에 진출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안 서바이버 시리즈에 출연했다.
  • 대한민국의 학예사 - 김홍남
    김홍남은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이자 박물관 관장으로, 서울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스미스소니언 협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에서 활동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국립민속박물관 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학예사 - 박규리
    박규리는 1995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2007년 걸 그룹 카라의 리더로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16년부터는 연기자로 전향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윤진섭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1955년에 태어났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고, 호주 웨스턴시드니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광주비엔날레 큐레이터,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와 창원조각비엔날레 총감독,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 호남대학교 교수 및 시드니 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3. 주요 활동

윤진섭은 미술 평론가, 큐레이터, 행위 예술가로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1977년 이건용과 함께 서울화랑에서 2인 이벤트 쇼 <조용한 미소>를 개최하고, 홍익대 교정에서 이벤트 쇼 <어법>을 진행하며 행위 예술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견지화랑에서 열린 제6회 S.T그룹전에서 퍼포먼스 <서로가 사랑하는 우리들(We stroke)>을 발표했다.

1982년에는 대성리 화랑포 강변에서 열린 '겨울, 대성리 35인전'에서 <강변을 달리는 선>이라는 제목의 퍼포먼스 및 설치작업을 발표했다. 1986년에는 '1986, 여기는 한국전'에서 퍼포먼스 <태동>(대학로)과 <갇혀진 선>(대구역 광장)을 발표했고, KBS TV '카메라 동서남북'을 통해 명동에서 거리 행위전을 진행했다.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린 '서울 ‘86행위설치미술제'에서는 퍼포먼스 <숨쉬는 조각Ⅰ>을 발표했다.

1987년에는 바탕골미술관('80년대 퍼포먼스-전환의 장'), 쌍인미술관('87대전 행위미술제', 퍼포먼스 <두 번째의 죽음Ⅰ>), 대전문화예술회관('대전트리엔날레', 퍼포먼스 <숨쉬는 조각Ⅱ>), 부산시립미술관('부산청년작가비엔날레' 오프닝, 퍼포먼스 <두 번째의 죽음Ⅱ>) 등에서 행위 예술을 선보였다.

1988년 호암갤러리에서 열린 '한국화랑미술제'에 초청되어 퍼포먼스 <거대한 눈Ⅱ>를 발표했고, 독일문화원에서 '평화의 祭-장벽을 넘어서전'을 기획하고 퍼포먼스를 발표했다. 1989년 국립현대미술관('‘89청년작가전', 퍼포먼스 <180개의 계란투척>)과 나우갤러리('예술과 행위, 그리고 인간, 그리고 삶, 그리고 소통전', 퍼포먼스 <신체와 인식>)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1994년 터갤러리에서 <유선전화-이건용과의 대화:전화하시겠어요?>라는 300초 스파트 행위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1998년 호남대학교 교정에서 퍼포먼스 <우주의 소리Ⅰ>를, 2000년 강원도 정선 '탄광촌미술관전'에서 퍼포먼스 <우주의 소리Ⅱ>를 발표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씨어터제로에서 '밀레니엄 난장 퍼포먼스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발표했다.

이 외에도 다수의 개인전 및 단체전에 참여하여 행위 예술을 선보였다.

3. 1. 전시 기획

연도전시명역할장소
2018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2부, 한국 행위미술 50년 : 1967-2017협력 큐레이터대구미술관
2018한국의 후기단색화초빙 큐레이터리안갤러리(서울, 대구)
2017Spoon Art Show 특별전, 한국 현대미술의 풍경전-서사와 형식일산 KINTEX Hall
2017실험과 도전의 전사들, 한국 행위예술 50주년기념자료전KIAF
2017특별전2016 창원조각비엔날레총감독
2014Digital Triangle-한중일 미디어 아트의 오늘공동감독대안공간루프
2014여름, 7일간의 난장 퍼포먼스큐레이터쿤스트독갤러리
2014단색화의 예술전국제갤러리
2014K-P.O.P-Korean Contemporary Art총감독MOCA TAIPEI
2012한국의 단색화전초빙 큐레이터국립현대미술관
2010새만금 깃발축제국내 및 국제전 커미셔너
2009제3회 인사미술제 커미셔너
2009경기도세계도자비엔날레 특별전 <국제도자퍼포먼스-Ceramic Passion>예술감독
2008가상의 경계:한중미디어아트전예술감독중국 베이징, 한지연 컨템포러리 스페이스
2008제2회 인사미술제커미셔너
2007제1회 인사미술제커미셔너
2006제4회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 특별전 <메르츠의 방>초빙 큐레이터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분관
2006중국심양시 세계 빛 엑스포 <빛과 환경>전예술감독심양, 중국
2005제1회 포천아시아미술제조직위원장 겸 예술총감독포천, 반월아트홀
2005<메이드 인 광주>전커미셔너광주시립미술관
2005세계 빛 엑스포 <빛과 환경>전예술감독빛 엑스포 특설전시장, 일산
2005세계전북서예비엔날레 국제전커미셔너소리의 전당, 전주
2004베니스 영화제 기념 <오픈아시아2004>큐레이터베네치아
2004인도 트리엔날레국제 커미셔너뉴델리, 인도
2004서울 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미디어시티 서울2004)전시총감독
2003세계전북서예비엔날레 <세계미술가서예전>커미셔너소리의 전당, 전주
2003베니스 영화제 기념 <오픈2003>큐레이터베네치아
2002베니스 영화제 기념 <오픈2002>큐레이터베네치아
2002서울-부에노스아이레스 깃발미술제커미셔너아르헨티나 국립현대미술관
2002한일월드컵공식문화행사 <깃발미술제>예술감독상암동 월드컵공원
2002<2002 서울국제행위예술제>조직위원장 겸 예술총감독인사동, 서울
2002<제25회 상파울루 비엔날레>국제 커미셔너상파울루, 브라질
2000<제3회 광주비엔날레>전시기획위원 겸 특별전 큐레이터
2000<2000 서울국제행위예술제>운영위원장 겸 예술총감독인사동, 서울
1998<제1회 부산국제아트페스티발>커미셔너부산시립미술관
1997<동방으로부터의 제안Proposta D'orient>카살소예릭미술관, 마요르카, 스페인
1995<공간의 반란:한국의 입체,설치, 퍼포먼스 1967-1995>큐레이터서울시립 미술관 정도600주년 기념관
1995<제1회 광주비엔날레>조직위원 겸 특별전 큐레이터
1995New Asian Art Show커미셔너일본, 재팬 파운데이션 미술관
1994지금 동(東)의 꿈(夢)(Now Dream of East)-한국, 중국, 일본수도사범대학 미술관, 중국
1993장안문에서 천안문까지-한국현대미술의 육성전커미셔너중국미술관, 중앙미술학원미술관
1992창작과 인용전무역센터 현대미술관
1992일본현대미술의 단면전무역센터 현대미술관
1992-4구상회화의 재조명전 5부작(풍경화, 인물화, 풍자화, 초현실주의, 실내정경 등)압구정 현대백화점 현대미술관
1987<평화의 祭-장벽을 넘어서>독일문화원



윤진섭은 1987년 독일문화원에서 열린 <평화의 祭-장벽을 넘어서> 전시 기획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90여 회의 국내외 전시를 기획했다.

3. 2. 저술 활동

출판 연도제목출판사
2018Dansaekhwa 1960-2010 : Primary Documents on Korean Abstract PaintingKorea Management Service
2017Asian Art Criticism Forum 2005-2007KACA
2017Brilliant Critics-10 Curators, 10 Artistsartasiapacific
2016글로컬리즘과 아시아의 현대미술사문난적
2016해프닝과 이벤트 : 1960-70년대 행위예술ACC
2016글로벌 아트마켓 크리틱미메시스
2016Resonance of Dansaekhwa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2015단색화-미학을 말하다아트북스
2014한국 현대미술의 형성과 전개한국미술평론가협회, 도서출판 신원
2014Art Criticism in a Labyrinth-AICA Anthology Book of Keynote SpeakersAICA International
2012행위예술의 이론과 현장진경
2012Performance Art Platform in SeoulSymposium
201233 Korean Artists by 33 Best Critics김달진미술연구소
2011Korean Artists TodayArts Council Korea
2010점심, 마음에 점을 찍다신원
2010오늘의 미술가를 말하다 1, 2, 3학고재
2009한국의 팝아트에이엠아트
2009몸의 언어터치아트
2009한국의 현대미술가 100인사문난적
2007한국 현대미술 새로보기미진사
2005한국 현대미술의 단층삶과 꿈
2000한국 모더니즘 미술연구도서출판 재원
200021세기 한국의 작가 21인재원
1997현대미술의 쟁점과 현장미진사
1997미술관에는 문턱이 없다도서출판 재원
1997한국 추상미술 40년재원
1995행위예술감상법대원사
1995공간의 반란-한국의 입체, 설치, 퍼포먼스 1967-1995미술문화
1995한국현대미술의 새로운 이해시공사
1993현대미술의 구조:환원과 확산API
1993오늘의 한국미술가나아트
(출판 연도 미상)30인의 작가 30개의 시선한국미술평론가협회


3. 3. 행위 예술

윤진섭은 평론가이자 큐레이터로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직접 행위 예술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

연도주요 활동 및 작품
1977년
1982년대성리 화랑포 강변에서 열린 겨울, 대성리 35인전에서 퍼포먼스 및 설치작업 <강변을 달리는 선> 발표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4년터갤러리에서 300초 스파트 행위 <유선전화-이건용과의 대화:전화하시겠어요?> 퍼포먼스 진행
1998년호남대학교 교정에서 퍼포먼스 <우주의 소리Ⅰ> 발표
2000년강원도 정선에서 열린 탄광촌미술관전에서 퍼포먼스 <우주의 소리Ⅱ> 발표
1999년-2000년씨어터제로에서 밀레니엄 난장 퍼포먼스 페스티벌 기획 및 발표



이 외에도 다수의 개인전 및 단체전에 참여하여 행위 예술을 선보였다.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90년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당선
1995년월간미술 <90년대 베스트 큐레이터 11인> 선정
1995년‘미술의 해’ 유공 국무총리 표창
1996년‘광주비엔날레’ 유공 대통령 표창
2000년제5회 월간미술대상 전시기획부문 대상 수상
2008년제8회 하종현미술상 평론가상 수상
2009년제23회 예총예술문화상 미술부문 대상 수상
2013년‘1900년 이후 충남을 빛낸 문화예술인’ 100인 선정(충청남도)
2014년국제미술평론가협회(AICA) 명예공로상 수상
2015년대학교육 유공 국무총리 표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