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로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곡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도로이다. 조선 시대에는 경복궁 교차로에서 창덕궁 교차로 구간에만 도로가 있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창덕궁과 종묘 사이를 관통하는 도로가 개설되었다. 1966년 '중앙청옆~수의대' 구간을 율곡로로 지정했고, 이후 여러 구간이 율곡로에 편입되었다. 2009년에는 창덕궁 교차로~원남동 사거리 구간을 복개 및 확장하는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2010년에는 훈련원로 일부가 율곡로에 편입되었다. 율곡로는 사직로와 직결되어 경복궁, 안국동사거리, 창덕궁, 흥인지문 등을 지나 청계천을 건너 장충단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이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이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서울 종로구의 교통 - 청계천로
청계천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로로, 청계천 복개, 청계고가도로 건설 및 철거, 청계천 복원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청계광장에서 시작하여 신답철교까지 이어진다. - 서울 종로구의 교통 - 대학로 (서울)
대학로는 종로구 종로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르는 길과 그 주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과거 성균관과 서울대학교가 위치했던 대학가에서 마로니에 공원 주변 소극장들을 중심으로 공연 문화가 발달한 "한국판 브로드웨이"로 변모하였다. - 서울 도심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 도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율곡로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도로 정보 |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
| 노선명 | 율곡로 |
| 노선 번호 및 명칭 |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의 일부 (안내용) 서울특별시도 제C1호선의 일부 (관리용) |
| 총 연장 | 3,149 m |
| 기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현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권농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남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충신동 |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 |
2. 역사
조선 시대에는 현재 율곡로의 일부인 경복궁 교차로부터 창덕궁 교차로까지의 길만 존재했으며, 큰 도로는 아니었다. 일제 강점기인 1910년대에 이 구간이 확장되었고, 1932년 4월 22일에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왕조의 맥을 끊으려는 의도로 창덕궁과 종묘 사이를 관통하는 도로(현재 창덕궁 교차로~원남동 사거리)를 개설하였다.[1]
해방 이후인 1966년 11월 26일, '중앙청옆~수의대' 구간이 '''율곡로'''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정되었다.[2] 이후 도로 구간이 확장되어 1975년에는 이화사거리~흥인지문 교차로 구간이 개설되었고,[3] 1981년에는 원남동 사거리~흥인지문 교차로 구간이 율곡로에 편입되었다.[4] 2009년 2월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일제에 의해 단절된 창덕궁~종묘 구간을 복원하고 도로를 확장하는 계획을 발표했으며,[5] 2010년에는 흥인지문 교차로~청계6가 교차로 구간이 추가로 편입되었다. 같은 해 4월 22일 종로구 도로명 주소가 고시되었다.
2. 1.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현재 율곡로 구간 중 경복궁 교차로(광화문 앞)에서 창덕궁 교차로(돈화문 앞)까지에 해당하는 길만 존재했다. 하지만 이 길은 당시 큰 도로는 아니었다.2. 2. 일제강점기
1910년대에 일제는 광화문 앞부터 돈화문 앞까지의 구간 도로를 확장하였다. 이후 1932년 4월 22일, 조선총독부는 조선왕조의 정기를 끊으려는 의도로 창덕궁과 종묘 사이를 관통하는 도로를 개설하였다.[1] 이 도로는 현재의 창덕궁 교차로부터 원남동 사거리까지의 구간에 해당한다.2. 3. 해방 이후
1966년 11월 26일, '중앙청옆(종로구 중학동 68)~수의대(종로구 연건동 128)' 구간이 '''율곡로'''(栗谷路)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정되었다.[2] 이후 도로 구간이 점차 확장되었다. 1975년 12월 26일에는 이화사거리~흥인지문 교차로 구간이 개설되었고,[3] 1981년 1월 21일에는 원남동 사거리~흥인지문 교차로 구간이 율곡로에 편입되었다.[4]2009년 2월, 서울특별시는 일제강점기인 1932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단절되었던 창덕궁과 종묘 사이 구간(창덕궁 교차로~원남동 사거리)을 복개하여 지하화하고, 이를 통해 역사성을 회복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기존 왕복 4차선 도로를 6차선으로 확장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5] 2010년에는 기존 훈련원로의 일부였던 흥인지문 교차로~청계6가 교차로 구간이 율곡로에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4월 22일에는 종로구 도로명 주소가 고시되었다.
2. 4. 율곡로 복원 및 개선 사업
일제 강점기인 1932년 4월 22일, 조선총독부는 민족정기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창덕궁과 종묘 사이를 관통하는 도로(현재의 창덕궁 교차로~원남동 사거리 구간)를 개설하여 궁궐과 종묘의 연결을 끊었다.[1] 이로 인해 훼손된 역사성을 회복하고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2009년 2월 서울특별시는 해당 구간을 지하화하여 상부를 공원으로 복원하고, 기존 왕복 4차선 도로를 6차선으로 확장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5]3.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4. 노선
율곡로는 종로구에 위치하며, 서쪽의 사직로에서 시작하여 경복궁, 안국동사거리, 창덕궁, 원남동사거리, 이화사거리, 흥인지문교차로 등을 거쳐 동쪽의 장충단로와 직결되는 도로이다. 전 구간이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에 해당한다.
4. 1. 주요 교차로 및 교량
- 연한 파란색 배경은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구간을 나타낸다.
| 교차로 · 교량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사직로와 직결 | ||||
| 경복궁 | 사직로 | 종로구 | 종로1·2·3·4가동 | rowspan="3" | |
| 삼청로 | ||||
| 종로1길 | ||||
| 안국동사거리 | 우정국로 | rowspan="3" | | ||
| 인사동길 | ||||
| 율곡로3길 | ||||
| 윤보선길 | 교차로 이름 없음 | |||
| 안국역 | 삼일대로 | rowspan="2" | | ||
| 북촌로 | ||||
| 계동길 | 교차로 이름 없음 | |||
| 창덕궁길 | ||||
| 창덕궁 | 돈화문로 | |||
| 서순라길 | 교차로 이름 없음 | |||
| rowspan="2" | | 동순라길 | |||
| 창경궁로21길 | ||||
| 원남동사거리 | 창경궁로 | |||
| 이화사거리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대학로 | 이화동 | ||
| 율곡로19길 | 종로5·6가동 | 교차로 이름 없음 | ||
| 김상옥로 | ||||
| 흥인지문교차로 | 국도 제6호선 종로 | |||
| 청계6가 | 청계천로 | |||
| 오간수교 (청계천) | ||||
| 장충단로와 직결 | ||||
4. 2. 접속 노선
- 연한 파란색(■):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구간
| 교차로 · 교량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사직로와 직결 | ||||
| 경복궁 | 사직로 | 종로구 | 종로1·2·3·4가동 | rowspan="3"| |
| 삼청로 | ||||
| 종로1길 | ||||
| 안국동사거리 | 우정국로 | rowspan="3"| | ||
| 인사동길 | ||||
| 율곡로3길 |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윤보선길 | 교차로 이름 없음 | ||
| 안국역 | 삼일대로 | rowspan="2"| | ||
| 북촌로 |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계동길 | 교차로 이름 없음 |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창덕궁길 | |||
| 창덕궁 | 돈화문로 |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서순라길 | 교차로 이름 없음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동순라길 | |||
| 창경궁로21길 | ||||
| 원남동사거리 | 창경궁로 | |||
| 이화사거리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대학로 | 이화동 |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율곡로19길 | 종로5·6가동 | 교차로 이름 없음 |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김상옥로 | |||
| 흥인지문교차로 | 국도 제6호선 종로 | |||
| 청계6가 | 청계천로 | |||
| 오간수교 (청계천) | ||||
| 장충단로와 직결 | ||||
5. 부속도로
- ● : 전 구간 해당
- ▲ : 일부 구간 해당
- ✖ : 해당 없음
| 도로명 | 기점 | 종점 | 총연장 (m) | 차량 통행 가능 | 일방통행 | 소재지 | |
|---|---|---|---|---|---|---|---|
| 율곡로1길 | 중학동 32-1 | 소격동 137-1 | 507 | ● | ✖ | 종로구 | 삼청동 |
| 율곡로2길 | 중학동 1-8 | 중학동 50-3 | 237 | ● | ✖ | 종로1.2.3.4가동 | |
| 율곡로3길 | 송현동 71-1 | 화동 138-36 | 456 | ● | ● | 삼청동 | |
| 율곡로4길 | 송현동 49-2 | 청진동 1-1 | 428 | ● | ● | 종로1.2.3.4가동 | |
| 율곡로5길 | 경운동 95 | 안국동 104-1 | 157 | ▲ | ✖ | 삼청동 | |
| 율곡로6길 | 운니동 14-1 | 운니동 65-4 | 209 | ● | ✖ | 종로1.2.3.4가동 | |
| 율곡로8길 | 와룡동 8 | 묘동 90-3 | 559 | ✖ | ✖ | ||
| 율곡로10길 | 와룡동 2-79 | 묘동 18-1 | 568 | ▲ | ✖ | ||
| 율곡로13길 | 연건동 202-5 | 연건동 288-1 | 217 | ● | ✖ | 이화동 | |
| 율곡로13가길 | 연건동 288-1 | 연건동 288-1 | 182 | ▲ | ✖ | ||
| 율곡로14길 | 이화동 178-1 | 충신동 205-4 | 330 | ● | ✖ | ||
| 종로5.6가동 | |||||||
| 율곡로16길 | 이화동 200-1 | 충신동 85-2 | 224 | ● | ▲ | ||
| 이화동 | |||||||
| 율곡로17길 | 충신동 57-2 | 이화동 82-4 | 157 | ● | ✖ | ||
| 종로5.6가동 | |||||||
| 율곡로19길 | 충신동 57-2 | 이화동 9-336 | 308 | ● | ✖ | ||
| 이화동 | |||||||
| 율곡로19가길 | 충신동 50-2 | 충신동 120-1 | 117 | ▲ | ✖ | 종로5.6가동 | |
| 율곡로20길 | 충신동 36 | 충신동 120-1 | 162 | ● | ✖ | ||
| 율곡로22길 | 충신동 55-4 | 충신동 180-2 | 222 | ● | ✖ | ||
| 율곡로22가길 | 충신동 32-3 | 충신동 120-1 | 160 | ● | ✖ | ||
| 율곡로22나길 | 충신동 30-4 | 충신동 188-4 | 157 | ▲ | ✖ | ||
| 율곡로23길 | 충신동 120-1 | 이화동 23-1 | 210 | ✖ | ✖ | ||
| 율곡로23가길 | 충신동 5-50 | 충신동 1-34 | 100 | ✖ | ✖ | ||
| 율곡로25길 | 충신동 27-39 | 충신동 25-29 | 135 | ✖ | ✖ | ||
| 율곡로27길 | 충신동 27-39 | 충신동 25-29 | 129 | ✖ | ✖ | ||
| 율곡로29길 | 종로6가 28-1 | 종로6가 8-1 | 116 | ● | ✖ | ||
| 율곡로30길 | 종로6가 28-1 | 종로6가 139 | 155 | ● | ● | ||
참조
[1]
뉴스
宗廟貫通道路(종묘관통도로) 明日(명일)부터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2-04-21
[2]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1093호
http://event.seoul.g[...]
1966-11-30
[3]
뉴스
제1순환道路(도로) 완공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5-12-26
[4]
문서
서울특별시공고 제15호
[5]
뉴스
일제가 끊어놓은 창경궁~종묘 녹지, 2011년까지 복원된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