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조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와 대화형 컴퓨터 시스템 개발을 통해 등장하여, 1970년대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 발전했다. DSS는 데이터베이스, 모델베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와의 관계, 지원 방식, 범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의학, 경영, 농업, 산림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경영 대시보드, 정밀 농업 등에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식공학 - 시맨틱 웹
시맨틱 웹은 컴퓨터가 정보를 스스로 처리하도록 웹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차세대 웹 기술로, RDF, OWL, XML 등의 표준 기술과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 통합, 정보 검색, 지식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웹 3.0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지식공학 - 온톨로지
온톨로지는 철학의 존재론에서 유래하여 정보기술 분야에서 지식의 위치와 관계를 명확히 하는 연구 분야로 사용되며, 시맨틱 웹 구현의 핵심 도구로서 웹 자원 관리 및 정보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정보 시스템 -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알고리즘과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정확도와 개인화 수준을 높이고 있으며, 여러 서비스에서 활용되면서 정확도 외 다양성,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 정보 시스템 - 정보 관리
정보 관리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데이터, 정보,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적 과정으로, 정보 기술 발전과 함께 전략적으로 진화했으며, 의사결정, 정보 시스템 구축, 프레임워크 활용, 조직 설계 등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복합적인 관리 활동이다. - 사무용 소프트웨어 - 판매 시점 정보 관리
판매 시점 정보 관리(POS)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거래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시스템이며, 소매, 요식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판매 처리, 재고 관리, 고객 관리, 보고서 생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및 모바일 POS로 발전해 보안이 중요한 시스템이다. - 사무용 소프트웨어 - 창고 관리 시스템
창고 관리 시스템(WMS)은 창고 내 재고 및 자재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IoT, AI 등의 기술 통합을 통해 실시간 가시성,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며, ERP, SCM 등과 통합되어 공급망 효율성을 높이고 영구 라이선스에서 SaaS 모델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정보 시스템 |
지원 기능 | 의사결정 |
관련 분야 | 운영 연구, 경영 과학 |
시스템 구성 요소 | |
데이터 관리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모델 관리 | 모델 및 분석 도구 관리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사용자 상호 작용 및 디스플레이 |
주요 기능 | |
데이터 분석 |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
모델링 |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 및 예측을 위한 모델 개발 |
시뮬레이션 | 의사결정 결과 예측 및 분석 |
보고 | 의사결정 결과 요약 및 시각화 |
개발 및 구축 | |
접근 방식 | 빠른 응용 프로그램 개발 최종 사용자 개발 프로토타이핑 |
사용 기술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웨어하우스 온라인 분석 처리 데이터 마이닝 인공지능 |
응용 분야 | |
금융 | 투자 분석, 포트폴리오 관리 |
마케팅 | 고객 분석, 시장 조사 |
운영 | 재고 관리, 생산 계획 |
인사 | 채용, 인력 관리 |
공공 정책 | 환경 규제, 사회 프로그램 평가 |
의료 | 진단 지원, 환자 관리 |
발전 역사 | |
초기 단계 | 1970년대, 정보 시스템 및 운영 연구 발전 |
주요 발전 | 1980년대, PC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전 |
최근 동향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통합 |
주요 연구 분야 | |
그룹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여러 사용자의 협업 및 의사결정 지원 |
지능형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인공지능 기술 기반 의사결정 지원 |
모바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모바일 기기 기반 의사결정 지원 |
참고 문헌 | |
연구 관점 | Decision support systems : a research perspective |
관련 기술 | |
추천 시스템 | 추천 시스템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
2. 역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의 개념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카네기 공과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조직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1960년대 MIT에서 수행된 대화형 컴퓨터 시스템 구현 작업에서 발전했다.[3][30] 1970년대 중반, DSS는 독자적인 연구 분야가 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3]
1980년대 중후반에는 단일 사용자 및 모델 중심 DSS에서 경영 정보 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EIS), 집단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Group Decision Support System, GDSS), 조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Organizational Decision Support System, ODSS)이 발전했다.[4] Sol(1987)에 따르면,[4] DSS의 정의와 범위는 수년에 걸쳐 변화해 왔다. 1970년대에는 DSS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설명되었고,[4][31] 1970년대 초, 칠레의 사이버신 계획(CyberSyn Project)에서 유사한 사상에 기반한 생산 관리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DSS 운동이 "의사결정자들이 데이터베이스와 모델을 활용하여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형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4][31] 1980년대에는 DSS가 "관리 및 전문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해야 했고, 1980년대 말에는 지능형 워크스테이션 설계에 대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4][31]
1987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는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을 위해 게이트 배정 디스플레이 시스템(GADS) 개발을 완료했다.[5][32] 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시카고(Chicago)의 오헤어 국제공항(O'Hare International Airport)과 콜로라도주 덴버(Denver)의 스테이플턴 공항을 시작으로 여러 공항에서 지상 운영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여행 지연을 크게 줄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5][33] 1990년경부터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와 온라인 분석 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OLAP)가 DSS의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 밀레니엄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웹 기반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었다.
DSS는 하이퍼텍스트와도 약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의 PROMIS 시스템(의료 의사결정을 위해)과 카네기멜론의 ZOG/KMS 시스템(군사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해)은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에서도 중요한 돌파구였다. 또한 하이퍼텍스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정보 과부하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특히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와 같은 특정 연구자들은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은 보고 기술의 출현으로 DSS는 경영(management) 설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는 교육 환경에서 DSS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서 볼 수 있다.[29]
2. 1.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기원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의 개념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카네기 공과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조직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1960년대 MIT에서 수행된 대화형 컴퓨터 시스템 구현 작업에서 발전했다.[3] 1970년대 중반, DSS는 독자적인 연구 분야가 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3]1980년대 중후반에는 단일 사용자 및 모델 중심 DSS에서 경영 정보 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EIS), 집단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GDSS), 조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ODSS)이 발전했다.[4] Sol(1987)에 따르면, DSS의 정의와 범위는 수년에 걸쳐 변화해 왔다.[4] 1970년대에는 DSS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설명되었고,[4][31] 1970년대 초, 칠레의 사이버신 계획(CyberSyn Project)에서 유사한 사상에 기반한 생산 관리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DSS 운동이 "의사결정자들이 데이터베이스와 모델을 활용하여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형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4][31] 1980년대에는 DSS가 "관리 및 전문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해야 했고, 1980년대 말에는 지능형 워크스테이션 설계에 대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4][31]
1987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는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을 위해 게이트 배정 디스플레이 시스템(GADS) 개발을 완료했다.[5][32] 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시카고(Chicago)의 오헤어 국제공항(O'Hare International Airport)과 콜로라도주 덴버(Denver)의 스테이플턴 공항을 시작으로 여러 공항에서 지상 운영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여행 지연을 크게 줄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5][33] 1990년경부터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와 온라인 분석 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OLAP)가 DSS의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 밀레니엄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웹 기반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었다.
DSS는 하이퍼텍스트와도 약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의 PROMIS 시스템(의료 의사결정을 위해)과 카네기멜론의 ZOG/KMS 시스템(군사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해)은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에서도 중요한 돌파구였다. 또한 하이퍼텍스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정보 과부하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특히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와 같은 특정 연구자들은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은 보고 기술의 출현으로 DSS는 경영(management) 설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는 교육 환경에서 DSS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서 볼 수 있다.[29]
2. 2.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의 발전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카네기 공과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조직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1960년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수행된 구현 작업을 기반으로 발전하였다.[3][30] 1970년대 중반, DSS는 독자적인 연구 분야가 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3]1980년대 중후반에는 단일 사용자 및 모델 중심 DSS에서 경영 정보 시스템(EIS), 집단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GDSS), 조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ODSS)이 발전했다.[4] Sol (1987)에 따르면,[4] DSS의 정의와 범위는 수년에 걸쳐 변화해 왔다. 1970년대에는 DSS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설명되었고,[4][31] 1970년대 후반에는 DSS 운동이 "의사결정자들이 데이터베이스와 모델을 활용하여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형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4] 1980년대에는 DSS가 "관리 및 전문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해야 했고,[4][31] 1980년대 말에는 지능형 워크스테이션 설계에 대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4]
1987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는 유나이티드항공을 위해 게이트 배정 디스플레이 시스템(GADS) 개발을 완료했다.[32] 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시카고의 오헤어 국제공항과 콜로라도주 덴버의 덴버 국제공항(스테이플턴 공항)을 시작으로[32] 여러 공항에서 지상 운영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여행 지연을 크게 줄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5][33] 1990년경부터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온라인 분석 처리(OLAP)가 DSS의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 밀레니엄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웹 기반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었다.
DSS는 하이퍼텍스트와도 약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버몬트 대학교의 PROMIS 시스템(의료 의사결정을 위해)과 카네기멜론의 ZOG/KMS 시스템(군사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해)은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에서도 중요한 돌파구였다. 또한 하이퍼텍스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정보 과부하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특히 더글러스 엥겔바트와 같은 특정 연구자들은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은 보고 기술의 출현으로 DSS는 경영 설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는 교육 환경에서 DSS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서 볼 수 있다.[29]
2. 3. 데이터 웨어하우스 및 OLAP의 등장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의 개념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카네기 공과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조직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1960년대 MIT에서 수행된 대화형 컴퓨터 시스템 구현 작업에서 발전했다.[3] 1970년대 중반 DSS는 독자적인 연구 분야가 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3]1980년대 중후반에는 단일 사용자 및 모델 중심 DSS에서 경영 정보 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EIS), 집단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Group Decision Support System, GDSS), 조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Organizational Decision Support System, ODSS)이 발전했다.[4] 1970년대에는 DSS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설명되었고, 1970년대 후반에는 "의사결정자들이 데이터베이스와 모델을 활용하여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형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4][31] 1980년대에는 DSS가 "관리 및 전문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해야 했고, 1980년대 말에는 지능형 워크스테이션 설계에 대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4][31]
1987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는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을 위해 게이트 배정 디스플레이 시스템(GADS) 개발을 완료했다. 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시카고(Chicago)의 오헤어 국제공항(O'Hare International Airport)과 콜로라도주 덴버(Denver)의 스테이플턴 공항을 시작으로 여러 공항에서 지상 운영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여행 지연을 크게 줄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5][32][33]
1990년경부터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와 온라인 분석 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OLAP)가 DSS의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으며, 2000년경에는 새로운 웹 기반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었다.
DSS는 하이퍼텍스트와도 약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의 PROMIS 시스템(의료 의사결정을 위해)과 카네기멜론의 ZOG/KMS 시스템(군사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해)은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에서도 중요한 돌파구였다. 또한 하이퍼텍스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정보 과부하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특히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와 같은 특정 연구자들은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은 보고 기술의 출현으로 DSS는 경영(management) 설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는 교육 환경에서 DSS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서 볼 수 있다.
2. 4. 한국에서의 DSS 발전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의 개념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카네기 공과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조직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1960년대 MIT에서 시작된 대화형 컴퓨터 시스템의 기술적 성과에 기반을 두고 발전하였다.[3][30] 1970년대 중반 DSS는 독자적인 연구 분야가 되었고, 1980년대에는 산업에 응용되기 시작했다.[3]1980년대 중후반에는 단일 사용자 및 모델 중심 DSS에서 경영 정보 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EIS), 집단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GDSS), 조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ODSS)이 발전했다.[4] Sol (1987)에 따르면,[4] DSS의 정의와 범위는 수년에 걸쳐 변화해 왔는데, 1970년대에는 DSS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설명되었고, 1970년대 후반에는 "의사결정자들이 데이터베이스와 모델을 활용하여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형 컴퓨터 기반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4][31] 1980년대에는 DSS가 "관리 및 전문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해야 했고, 1980년대 말에는 지능형 워크스테이션 설계에 대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4][31]
1987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는 유나이티드항공(United Airlines)을 위해 게이트 배정 디스플레이 시스템(GADS) 개발을 완료했다.[5] 이 시스템은 시카고(Chicago)의 오헤어 국제공항(O'Hare International Airport)과 콜로라도주 덴버(Denver)의 스테이플턴 공항을 시작으로 여러 공항에서 지상 운영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여행 지연을 크게 줄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5][32][33]
1990년경부터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와 온라인 분석 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OLAP)가 DSS의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으며, 밀레니엄이 다가오면서 새로운 웹 기반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도입되었다.
DSS는 하이퍼텍스트와도 약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는데,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의 PROMIS 시스템(의료 의사결정을 위해)과 카네기멜론의 ZOG/KMS 시스템(군사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해)은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에서도 중요한 돌파구였다.[29] 또한 하이퍼텍스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정보 과부하에 관심을 가져왔지만, 특히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와 같은 특정 연구자들은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은 보고 기술의 출현으로 DSS는 경영(management) 설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교육 환경에서 DSS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서 볼 수 있다.
3. 구성요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17][18][19][20][21][34][35][39][40][41]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조직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외부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경영관리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된다.
모델베이스 시스템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모델등을 저장하고 있는 모델베이스와 이들을 관리하는 모델베이스 관리시스템(MBMS : Model 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된다.[17][18][19][20][21][34][35][39][40][41] 특히 모델베이스 시스템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모델을 개발하고 수정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지원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모델은 의사 결정 맥락 및 사용자 기준을 포함한다.[17][21][34][4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그리고 다양한 분석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 모듈이다. 주로 메뉴 방식이나 그래픽 처리 형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대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대화 생성 및 관리 소프트웨어(DGMS : Dialogue Generation and Management Software)라고도 한다.[17][18][19][20][21][34][35][39][40][41]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17][18][19][20][21]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사용자는 주로 기업경영의 주요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경영관리자들이다. 이들은 당면한 의사결정에 가장 적절한 모델을 모델베이스로부터 선정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거나 직접 입력한 다음, 대안들을 평가하고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을 수행한다.
3.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17][18][19][20][21][34][35][39][40][41]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조직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외부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경영관리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된다.3. 2. 모델베이스 시스템
모델베이스 시스템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모델등을 저장하고 있는 모델베이스와 이들을 관리하는 모델베이스 관리시스템(MBMS : Model 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된다.[17][18][19][20][21][34][35][39][40][41] 특히 모델베이스 시스템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모델을 개발하고 수정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지원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모델은 의사결정 맥락 및 사용자 기준을 포함한다.[17][21][34][41]3. 3.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그리고 다양한 분석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 모듈이다. 주로 메뉴 방식이나 그래픽 처리 형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대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대화 생성 및 관리 소프트웨어(DGMS : Dialogue Generation and Management Software)라고도 한다.[17][18][19][20][21][34][35][39][40][41]3. 4. 지식베이스 시스템 (선택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17][18][19][20][21]4. 분류
Hättenschwiler는[17][34] 사용자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을 수동적, 능동적, 협력적 DSS로 구분한다. 수동적 DSS는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지만 명시적인 의사결정 제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능동적 DSS는 그러한 의사결정 제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협력적 DSS는 인간과 시스템 간의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통합된 해결책을 도출한다. 의사결정자는 시스템이 제공한 제안을 수정, 완성, 개선하여 시스템에 다시 보내 검증받고, 시스템은 이를 다시 개선하여 의사결정자에게 보내는 과정을 반복한다.[17]
D. 파워는[22] 지원 방식에 따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을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18]
- '''커뮤니케이션 기반 DSS''': 여러 사람이 하나의 작업을 공유하는 상태를 지원한다. 예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NetMeeting과 Groove가 있다.[36]
- '''데이터 기반 DSS'''(또는 데이터 중심 DSS): 시계열 데이터의 조작 및 접근에 중점을 둔 것이다.
- '''문서 기반 DSS''': 다양한 전자화된 형태의 비정형 정보를 조작 및 관리한다.
- '''지식 기반 DSS''':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한 사실, 규칙, 절차 등으로 구성된다.[35]
- '''모델 기반 DSS''': 통계적 모델, 금융 모델, 최적화 모델, 시뮬레이션 모델의 조작 및 접근에 중점을 둔 것이다. 모델 구동형 DSS는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나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지만, 데이터가 반드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모델 구동형 DSS 생성기의 예로는 오픈소스 Dicodess가 있다.[37]
D. 파워는[25] 범위를 기준으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을 전사적 DSS와 데스크톱 DSS로 구분한다.[38] 전사적 DSS는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연결되어 회사의 많은 관리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데스크톱 DSS는 개별 PC에서 실행되는 작은 시스템이다.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 애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어떤 DSS가 반드시 특정 범주에 완전히 속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아키텍처가 혼합될 수도 있다.
Holsapple과 Whinston[42]는 DSS를 다음 6가지 프레임워크로 분류했다. 텍스트 지향 DSS, 데이터베이스 지향 DSS, 스프레드시트 지향 DSS, 문제 해결 지향 DSS, 규칙 지향 DSS, 혼합 DSS이다.
혼합 DSS(compound DSS)가 가장 일반적이며, 다른 5가지 기본 구조 중 일부를 통합한 것을 가리킨다.[42]
DSS에 의한 지원은 상호 관련된 세 가지 유형, 개인 지원, 그룹 지원, 조직 지원으로 분류된다.[43]
DSS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도 있다.
# '''입력''' - 분석해야 할 요인, 수치, 특징
# '''사용자의 지식과 기술''' - 입력은 사용자의 수동 분석을 필요로 한다.
# '''출력''' - DSS의 "의사 결정"이 생성한 변환된 데이터
# '''의사 결정''' - 사용자가 자신의 기준에 따라 DSS에서 생성한 결과
인공 지능과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의사 결정 지원을 수행하는 DSS는 지능형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IDSS)이라고 불린다.[44] IBM이 자연어를 지원하는 질의응답 시스템인 왓슨을 개발하고 있다.
발전 초기 단계에 있는 의사결정 엔지니어링에서는 의사 결정 자체를 공학적 객체로 취급하고, 의사 결정 구성 요소의 명시적 표현에 디자인과 품질 보증과 같은 공학적 원리를 적용한다.
4. 1. 사용자와의 관계에 따른 분류 (Hättenschwiler)
Hättenschwiler는[17][34] 사용자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을 수동적, 능동적, 협력적 DSS로 구분한다. 수동적 DSS는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지만 명시적인 의사결정 제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능동적 DSS는 그러한 의사결정 제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협력적 DSS는 인간과 시스템 간의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통합된 해결책을 도출한다. 의사결정자는 시스템이 제공한 제안을 수정, 완성, 개선하여 시스템에 다시 보내 검증받고, 시스템은 이를 다시 개선하여 의사결정자에게 보내는 과정을 반복한다.[17]4. 2. 지원 방식에 따른 분류 (Power)
D. 파워는[22] 지원 방식에 따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을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18]- 커뮤니케이션 기반 DSS: 마이크로소프트 쉐어포인트 워크스페이스와 같은 통합 도구를 사용하여 공유 작업을 수행하는 여러 사람 간의 협업을 지원한다.[23]
- 데이터 기반 DSS: 내부 회사 데이터 및 때로는 외부 데이터의 시계열에 대한 접근 및 조작을 강조한다.
- 문서 기반 DSS: 다양한 전자 형식의 비정형 정보를 관리, 검색 및 조작한다.
- 지식 기반 DSS: 사실, 규칙, 절차 또는 대화형 의사결정 트리 및 흐름도와 같은 유사한 구조로 저장된 전문적인 문제 해결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18]
- 모델 기반 DSS: 통계, 재무, 최적화 또는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접근 및 조작을 강조한다.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와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의사결정자가 상황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데이터 집약적일 필요는 없다. Dicodess는 오픈소스 모델 기반 DSS 생성기의 한 예이다.[24]
파워는[25] 또한 범위를 기준으로 DSS를 전사적 DSS와 데스크톱 DSS로 구분했다. 전사적 DSS는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연결되어 회사의 많은 관리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데스크톱 DSS는 개별 관리자의 PC에서 실행되는 소규모 시스템이다.
한편, 하엣텐슈빌러[17]는 사용자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DSS를 수동적 DSS, 능동적 DSS, 협력적 DSS로 구분한다. 수동적 DSS는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지만 명시적인 의사결정 제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다. 능동적 DSS는 그러한 의사결정 제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협력적 DSS는 통합된 해결책 달성을 위해 인간과 시스템 간의 반복적인 과정을 허용한다.
4. 3. 범위에 따른 분류 (Power)
D. 파워는[22] 범위를 기준으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을 전사적 DSS와 데스크톱 DSS로 구분한다.[25]전사적 DSS는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연결되어 회사의 많은 관리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데스크톱 DSS는 개별 관리자의 PC에서 실행되는 소규모 시스템이다.[25]
5. 적용 분야
의학 분야에서는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6] 이론적으로 어떤 지식 영역에서든 구축될 수 있으며, 의료 진단을 위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그 예이다.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의 발전에는 네 단계가 있는데, 초기 버전은 독립형이며 통합을 지원하지 않고, 두 번째 세대는 다른 의료 시스템과의 통합을 지원하며, 세 번째는 표준 기반이고, 네 번째는 서비스 모델 기반이다.[6]
경영 및 관리 분야에서 DSS는 광범위하게 사용된다.[7] 경영 대시보드 및 기타 비즈니스 성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더 빠른 의사결정, 부정적 추세 파악 및 비즈니스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이 가능해진다. 조직의 모든 정보가 차트, 그래프 등 요약된 형태로 표현되어 경영진이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복잡한 테러 방지 시스템의 관리 및 개발,[7] 은행 대출 담당자의 대출 신청자 신용도 확인, 엔지니어링 회사의 프로젝트 입찰 및 비용 경쟁력 확인 등에 활용된다.
농업 분야에서는 농업 생산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마케팅에 DSS가 활용되며, 1990년대부터 개발 및 홍보되기 시작했다.[8]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재정 지원을 통해 개발된 DSSAT4 패키지는[9][10] 전 세계 여러 농업 생산 시스템에 대한 신속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농장 및 정책 수준의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했다.[45][46] 정밀 농업은 농장의 특정 부분에 맞게 의사결정을 조정하려고 하지만, 농업에서 DSS의 성공적인 채택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11][47]
산림 관리는 장기적인 계획 기간과 계획 문제의 공간적 차원 때문에 특별한 요구 사항을 가지며, DSS가 널리 사용된다.[12] 통나무 운송, 수확 일정부터 지속 가능성 및 생태계 보호에 이르기까지 산림 관리의 모든 측면이 현대 DSS에 의해 다루어진다. 거래되거나 거래되지 않는 재화 및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단일 또는 다중 관리 목표를 고려하고, 종종 자원 제약 및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한다. 산림 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커뮤니티 오브 프랙티스(Community of Practice)는 관련 지식을 담은 방대한 저장소를 제공한다.[12]
캐나다 국영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 시스템은 장비를 정기적으로 테스트하는 데 DSS를 사용한다. 철도가 직면하는 문제는 마모되거나 결함이 있는 레일로 인한 탈선 발생인데, DSS를 통해 캐나다 국철은 탈선 발생률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DSS는 댐, 탑, 대성당, 석조 건물과 같은 대형 공학 구조물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위험 평가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Mistral은 1990년대 이탈리아 Ismes가 개발한 댐 안전 모니터링 전문가 시스템으로,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댐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다. 1992년 이탈리아 리드라콜리(Ridracoli) 댐에 설치된 최초 복사본은 현재까지 작동 중이며,[13] 이탈리아와 브라질 이타이푸 댐(Itaipu Dam) 등 해외 여러 댐과[14] Kaleidos라는 이름으로 기념물에도 설치되었다.[15] Mistral은 CESI의 등록 상표이다. 지리정보시스템(GIS)는 90년대부터 DSS와 함께 사용되어 이탈리아 발 폴라 재난 지역에서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위험 평가를 지도에 표시해 왔다.[16]
5. 1. 경영 및 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은 비즈니스와 관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7] 경영 대시보드 및 기타 비즈니스 성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더 빠른 의사결정, 부정적 추세 파악 및 비즈니스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이 가능해진다. DSS 덕분에 조직의 모든 정보가 차트, 그래프 즉, 요약된 형태로 표현되어 경영진이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DSS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는 복잡한 테러 방지 시스템의 관리 및 개발이다.[7] 다른 예로는 은행 대출 담당자가 대출 신청자의 신용도를 확인하거나 여러 프로젝트에 입찰을 하고 비용 경쟁력을 알고 싶어하는 엔지니어링 회사가 있다.DSS는 농업 생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마케팅 분야에도 적용된다.[8] 농업 DSS는 1990년대에 개발 및 홍보되기 시작했다.[8] 예를 들어, DSSAT4 패키지는[9]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재정 지원을 통해 개발되어[10] 전 세계 여러 농업 생산 시스템에 대한 신속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농장 및 정책 수준에서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했다. 정밀 농업은 농장의 특정 부분에 맞게 의사결정을 조정하려고 한다. 그러나 농업에서 DSS의 성공적인 채택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11]
산림 관리에서도 DSS가 널리 사용되는데, 장기 계획 기간과 계획 문제의 공간적 차원이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통나무 운송, 수확 일정부터 지속 가능성 및 생태계 보호에 이르기까지 산림 관리의 모든 측면이 현대 DSS에 의해 다루어졌다. 산림 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커뮤니티 오브 프랙티스(Community of Practice)는 산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구축 및 사용에 대한 지식을 담은 방대한 저장소를 제공한다.[12]
특정 예로, 장비를 정기적으로 테스트하는 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캐나다 국영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 시스템이 있다. 모든 철도가 직면하는 문제는 마모되거나 결함이 있는 레일로, 이로 인해 매년 수백 건의 탈선이 발생할 수 있다. DSS에 따라 캐나다 국영 철도 시스템은 다른 회사들이 증가를 경험하는 동안 탈선 발생률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5. 2. 의료
의학 분야에서는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6] 의료 진단을 위한 컴퓨터 지원 진단이 그 예시 중 하나이다.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은 초기 버전은 독립형으로 통합을 지원하지 않았지만, 이후 다른 의료 시스템과의 통합을 지원하고, 표준 기반, 서비스 모델 기반으로 발전해왔다.[6]5. 3. 농업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은 농업 생산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되며, 1990년대부터 개발 및 홍보되기 시작했다.[8]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재정 지원을 통해 개발된 농업기술 이전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인 DSSAT4 패키지는[9][10] 전 세계 여러 농업 생산 시스템에 대한 신속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농장 및 정책 수준의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했다.[45][46] 정밀 농업은 농장의 특정 부분에 맞게 의사결정을 조정하려고 한다. 그러나 농업에서 DSS의 성공적인 채택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11][47]5. 4. 임업
산림 관리는 장기적인 계획 기간과 계획 문제의 공간적 차원 때문에 특별한 요구 사항을 가지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이 널리 사용된다.[12] 통나무 운송, 수확 일정부터 지속 가능성 및 생태계 보호에 이르기까지 산림 관리의 모든 측면이 현대 DSS에 의해 다루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거래되거나 거래되지 않는 재화 및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단일 또는 다중 관리 목표를 고려하고, 종종 자원 제약 및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한다.[12] 산림 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커뮤니티 오브 프랙티스(Community of Practice)는 산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구축 및 사용에 대한 지식을 담은 방대한 저장소를 제공한다.[12]5. 5. 기타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은 이론적으로 어떤 지식 영역에서든 구축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로 의료 진단을 위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이 있다.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의 발전에는 네 단계가 있다. 초기 버전은 독립형이며 통합을 지원하지 않고, 두 번째 세대는 다른 의료 시스템과의 통합을 지원하며, 세 번째는 표준 기반이고, 네 번째는 서비스 모델 기반이다.[6]DSS는 비즈니스와 관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경영 대시보드 및 기타 비즈니스 성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더 빠른 의사결정, 부정적 추세 파악 및 비즈니스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이 가능해진다. DSS 덕분에 조직의 모든 정보가 차트, 그래프 즉, 요약된 형태로 표현되어 경영진이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DSS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는 복잡한 테러 방지 시스템의 관리 및 개발이다.[7] 다른 예로는 은행 대출 담당자가 대출 신청자의 신용도를 확인하거나 여러 프로젝트에 입찰을 하고 비용 경쟁력을 알고 싶어하는 엔지니어링 회사가 있다.
농업 생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마케팅에서 DSS 응용, 개념, 원리 및 기술의 성장 분야는 농업 DSS는 1990년대에 개발 및 홍보되기 시작했다.[8] 예를 들어, DSSAT4 패키지,[9]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재정 지원을 통해 개발된 농업기술 이전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10]은 전 세계 여러 농업 생산 시스템에 대한 신속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농장 및 정책 수준에서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했다. 정밀 농업은 농장의 특정 부분에 맞게 의사결정을 조정하려고 한다. 그러나 농업에서 DSS의 성공적인 채택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11]
DSS는 또한 장기 계획 기간과 계획 문제의 공간적 차원이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산림 관리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통나무 운송, 수확 일정부터 지속 가능성 및 생태계 보호에 이르기까지 산림 관리의 모든 측면이 현대 DSS에 의해 다루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거래되거나 거래되지 않는 재화 및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단일 또는 다중 관리 목표를 고려하고, 종종 자원 제약 및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한다. 산림 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커뮤니티 오브 프랙티스(Community of Practice)는 산림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구축 및 사용에 대한 지식을 담은 방대한 저장소를 제공한다.[12]
특정 예로는 장비를 정기적으로 테스트하는 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캐나다 국영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 시스템이 있다. 모든 철도가 직면하는 문제는 마모되거나 결함이 있는 레일로, 이로 인해 매년 수백 건의 탈선이 발생할 수 있다. DSS에 따라 캐나다 국영 철도 시스템은 다른 회사들이 증가를 경험하는 동안 탈선 발생률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DSS는 댐, 탑, 대성당 또는 석조 건물과 같은 대형 공학 구조물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위험 평가에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Mistral은 1990년대에 이탈리아의 Ismes가 개발한 댐 안전 모니터링 전문가 시스템이다.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댐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다. 1992년 이탈리아 리드라콜리(Ridracoli) 댐에 설치된 최초의 복사본은 여전히 연중무휴 24시간 작동 중이다.[13] 이탈리아와 해외(예: 브라질 이타이푸 댐(Itaipu Dam))[14]의 여러 댐과 Kaleidos라는 이름으로 기념물에 설치되었다.[15] Mistral은 CESI의 등록 상표이다. 지리정보시스템(GIS)는 90년대부터 DSS와 함께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이탈리아 발 폴라 재난 지역에서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위험 평가를 지도에 표시해 왔다.[16]
6. 발전 프레임워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은 구조적인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사람, 기술, 그리고 개발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19]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초기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네 단계로 구성된다.
- 정보 수집(Intelligence) –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을 탐색한다.
- 설계(Design) – 가능한 대안적인 해결 방안을 개발하고 분석한다.
- 선택(Choice) – 그 중에서 하나의 행동 방침을 선택한다.
- 구현(Implementation) – 의사결정 상황에서 선택된 행동 방침을 채택한다.
DSS 기술 수준(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사용자가 사용할 실제 응용 프로그램이다. 이는 의사결정자가 특정 문제 영역에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사용자는 특정 문제에 대해 행동할 수 있다.
- 생성기(Generator): 사람들이 특정 DSS 응용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이다. 이 수준에서는 Crystal, 애널리티카(Analytica), iThink와 같은 케이스 도구나 시스템을 사용한다.
- 도구(Tools): 하위 수준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특수 언어, 함수 라이브러리 및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DSS 생성기이다.
반복적인 개발 접근 방식을 통해 DSS를 다양한 간격으로 변경하고 재설계할 수 있다. 시스템이 설계되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에 따라 테스트하고 수정해야 한다.[39]
7. 미래 전망
참조
[1]
논문
Decision support systems : a research perspective
Cambridge, Massachusetts : Center f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lfred P. Sloan School of Management
[2]
논문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s
http://citeseerx.ist[...]
[3]
서적
Decision support systems: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 Co.
[4]
서적
Expert syste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cision support systems: proceedings of the Second Mini Euroconference, Lunteren, The Netherlands, 17–20 November 1985
Springer
[5]
서적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Intelligent Systems
[6]
논문
A framework and model for evaluat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architectures q
2008
[7]
논문
An evolutionary real options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projects and systems with complex real options and exercising conditions
https://www.research[...]
[8]
논문
The Harrow Expert System for Greenhouse Vegetables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995-07-01
[9]
웹사이트
DSSAT4 (pdf)
http://www.aglearn.n[...]
2006-12-29
[10]
웹사이트
Official Home of the DSSAT Cropping Systems Model
http://dssat.net/
2021-08-19
[11]
서적
Why has the uptake of Decision Support Systems been so poor?
Wallingford:CABI
[12]
웹사이트
Community of Practice Forest Management Decision Support Systems
http://www.forestdss[...]
[13]
논문
Applying AI to structural safety monitoring and evaluation
http://www.computer.[...]
2014-03-05
[14]
웹사이트
Integrated approach to dam safety
http://beta.cbdb.org[...]
2020-12-16
[15]
논문
Diagnosing Ancient Monuments with Expert Software
http://dinamico2.uni[...]
[16]
논문
Embedd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Landslide Hazard Monitoring
https://dinamico2.un[...]
1999
[17]
서적
Neues anwenderfreundliches Konzept der Entscheidungsunterstützung
https://books.google[...]
Zurich, vdf Hochschulverlag AG
[18]
서적
Decision support systems: concepts and resources for managers
https://books.google[...]
Westport, Conn., Quorum Books
[19]
서적
Building effective decision support system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0]
서적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For The Information Age
McGraw-Hill Ryerson Limited
[21]
서적
Decision support systems in the twenty-first centur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2]
웹사이트
Decision Support Systems (DSS) Articles On-Line
http://dssresources.[...]
[23]
서적
Get in the Groove: Building Tools and Peer-to-Peer Solutions with the Groove Platform
https://dl.acm.org/c[...]
Wiley
2019-10-30
[24]
서적
Building Model-Driven Decision Support Systems with Dicodess
https://books.google[...]
Zurich, VDF
[25]
간행물
What is a DSS?
[26]
서적
Decision Support Systems: A Knowledge-Based Approach
St. Paul: West Publishing
[27]
논문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Personal Computing in Decision Support Systems
https://www.jstor.or[...]
[28]
서적
Handbook on Decision Support Systems
Berlin: Springer Verlag
[29]
참고자료
[30]
참고자료
[31]
참고자료
[32]
서적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Intelligent Systems
[33]
뉴스
Gate Delays at Airports Are Minimised for United by Texas Instruments' Explorer
http://www.cbronline[...]
1987-11-26
[34]
참고자료
[35]
참고자료
[36]
논문
2002
[37]
논문
2004
[38]
논문
1997
[39]
논문
1982
[40]
논문
2000
[41]
논문
1999
[42]
논문
1996
[43]
논문
1981
[44]
논문
2001
[45]
웹사이트
DSSAT4
http://www.aglearn.n[...]
[46]
웹사이트
Th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
http://www.icasa.net[...]
[47]
서적
Why has the uptake of Decision Support Systems been so poor?
CABI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