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교도 대군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교도 대군세(Great Heathen Army)는 9세기 후반 잉글랜드를 침략한 바이킹 군대를 지칭하는 명칭이다. 8세기 후반부터 바이킹은 잉글랜드 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이는 점차 대규모 군사 조직으로 발전했다. 860년대에 바이킹은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잉글랜드를 침략했는데, 앵글로색슨 연대기에는 이들을 "대 이교도 군대"로 묘사했다. 이 군대는 프랑크 왕국에서의 약탈을 통해 규모를 키웠으며, 865년 잉글랜드를 침략하여 동앵글리아, 노섬브리아, 머시아 왕국을 차례로 공격했다. 웨섹스의 알프레드 대왕의 저항으로 인해 878년 에딩턴 전투에서 패배하고, 웨드모어 조약을 통해 이스트앵글리아로 물러났다. 대군세의 규모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상당한 규모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레프턴의 성 위스탄 교회와 히스 우드 묘지 등에서 바이킹 관련 유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잉글랜드 -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앵글로색슨 잉글랜드는 5세기부터 11세기까지 게르만 부족들이 브리튼 섬에 정착하여 여러 왕국을 건설하고 기독교 전파, 왕국 간 다툼, 바이킹 침략 등을 겪으며 발전했지만 1066년 노르만 정복으로 막을 내린 시기로, 고대 영어 발전과 독특한 문화, 정치 체제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9세기 잉글랜드 - 에딩턴 전투
    878년 알프레드 대왕이 이끄는 웨스트 색슨 군대와 구스룸이 이끄는 데인족 간에 벌어진 에딩턴 전투는 웨식스를 지켜내고 잉글랜드 통일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구스룸의 개종과 웨드모어 조약 체결, 앨프레드의 군사 개혁으로 이어졌다.
  • 이스트앵글리아 왕국 - 서퍽주
    서퍽주는 잉글랜드 동부에 위치하며 앵글로색슨족의 대규모 정착지이자 이스트앵글리아 왕국이었고, 서퍽 핑크 건축물, 서튼 후 유적, 올드버러 음악제와 같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며, 입스위치, 로우스토프트, 버리 세인트 에드먼즈 등의 주요 도시가 있는 곳이다.
  • 이스트앵글리아 왕국 - 노퍽주
    잉글랜드 동부에 위치한 노퍽주는 북해와 접한 저지대 평야 지형으로, 농업, 모직물, 관광업, 에너지 산업이 발달했으며 노리치를 주도로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교도 대군세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대이교도 군세
다른 명칭대군세
이교도 대군세
영어 명칭Great Heathen Army
앵글로색슨어 명칭mycel hæþen here
전투 정보
일부바이킹의 잉글랜드 침략
시기865년–878년
장소잉글랜드, 영국
결과웨드모어 조약
노르드인에 의한 잉글랜드 북부 및 동부 정복
웨식스 왕국의 독립 유지
교전 세력
교전국 1바이킹
교전국 1 상세데인인
노르웨이인
스웨덴인
노르드게일인
프리지아인
교전국 2앵글로색슨 왕국
교전국 2 상세웨식스 왕국
머시아 왕국
노섬브리아 왕국
이스트앵글리아 왕국
켄트 왕국
스트라스클라이드 왕국
알바 왕국
지휘관 및 지도자
바이킹 측 지휘관할프단 라그나르손
이바르 힌 베이늘라우시
웁바
구스룸
바그세크
여러 백작
앵글로색슨 측 지휘관에드마운드 순교왕
애설레드
알프레드 대왕
에알라
부르그레드
히어먼드 주교
버크셔의 애설울프
데번의 오다
규모
바이킹 측 규모알 수 없음
앵글로색슨 측 규모알 수 없음
사상자 및 피해
바이킹 측 사상자알 수 없음
앵글로색슨 측 사상자알 수 없음
기타
865년부터 878년까지 대이교도 군세의 진로
865년부터 878년까지 대이교도 군세의 진로

2. 배경

8세기 후반부터 바이킹의 잉글랜드 습격이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수도원을 목표로 삼았다.[9] 793년 린디스판의 수도원이 습격당했고,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이들을 "이교도"라고 묘사했다. 860년대까지 이러한 습격은 계속되었으나, 이후 바이킹은 단순한 습격 대신 잉글랜드를 침략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파견했다. 이 군대는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 "대 이교도 군대"(고대 영어: ''mycel hæþen here'' 또는 ''mycel heathen here'')로 불렸다.[19][20][28][21]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대이교도군의 침략 동기에 대해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라그나르의 아들들의 이야기(''Ragnarssona þáttr'')』에서는 대이교도군의 침공이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노섬브리아 왕에게 살해된 것에 대한 복수였다고 전한다.[75] 바이킹 사가에 따르면 라그나르는 엘라 왕에게 붙잡혀 뱀 구덩이에 던져져 처형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가 역사적 사실이라는 증거는 부족하다.[76][77] 캐서린 홀먼은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Vikings』(2003년)에서 "라그나르의 아들들은 역사적 인물이지만, 라그나르 자신이 실존했다는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대이교도군"이라는 이름은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865년 항목에서 유래했다.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들들인 뼈 없는 이바르, 할프단 라그나르손, 혹은 용감한 뵤른이 지도자였다고 한다. 정확한 병력 규모는 알 수 없지만, 14년에 걸친 잉글랜드 침공은 비슷한 침략 중에서는 최대 규모로 여겨진다.

2. 1. 바이킹의 잉글랜드 공격

8세기 후반부터 바이킹은 잉글랜드 해안 지역, 특히 수도원을 중심으로 약탈을 시작했다.[9]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787년 기록은 잉글랜드에서 바이킹과의 첫 대면을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10][11]

787년 - 이 해에 버트릭 왕은 오파 왕의 딸인 에드버가를 아내로 맞이했고, 그의 시대에 세 척의 북방인 배가 헤레다-랜드[덴마크]에서 처음으로 왔다. 그리고 그 후 리브가 그곳으로 가서 그들이 누구인지 몰랐기 때문에 그들을 왕의 마을로 몰아내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거기에서 그를 죽였습니다. 이것이 잉글랜드 민족의 땅을 찾은 최초의 덴마크인 배였습니다.



이 사건은 잉글랜드에 대한 최초의 습격으로 간주된다.[12] 에델워드의 연대기 버전인 연대기(Chronicon Æthelweardi)는 베두하드라는 사람이 방문객들에게 "권위 있는 어조"로 말했기 때문에 그들이 그를 죽였다고 기록하고 있다.[12]

793년 린디스판의 수도원이 바이킹에게 습격당했고,[14]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바이킹을 "이교도"라고 묘사했다.[14] 수도원과 민스터 교회는 부유하고 귀중하며 휴대 가능한 물건이 많았기 때문에 인기 있는 목표였다.[15] 840년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웨섹스의 에설울프가 서머셋의 카햄프턴에서 35척의 바이킹 배가 그 지역에 상륙한 후 패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16] 성 베르틴 연대기는 이 사건을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노르만인들이 브리튼 제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 3일에 걸친 전투 끝에 노르만인이 승리하여 각지에서 약탈과 살인을 자행했다. 그들은 그들이 원하는 땅에서 맹위를 떨쳤다.[17]



에설울프는 바이킹에 대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앵글로색슨 연대기에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샤이어의 사람들과 함께 ''엘더먼''이 거둔 승리에 대한 언급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18] 그러나 860년대까지 영국의 습격은 간헐적으로 계속되었고, 바이킹은 습격 대신 전술을 바꾸어 영국을 침략하기 위해 대군을 파견했다. 이 군대는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의해 "대 이교도 군대"(OE: ''mycel hæþen here'' 또는 ''mycel heathen here'')로 묘사되었다.[19][20][28][21]

2. 2. 대륙에서의 바이킹의 동향

바이킹은 잉글랜드뿐만 아니라 프랑크 왕국 등 유럽 대륙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카롤링거 제국에 침입한 바이킹은 황제 루트비히 1세와 그의 아들들 간의 권력 다툼을 틈타 세력을 확장했다. 로타르 1세는 심지어 바이킹 함대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여 내전에 이용하기도 했다.[95]

바이킹은 강을 거슬러 올라가 수도원이나 마을을 습격하면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845년에는 파리를 공격하여 서프랑크 왕 샤를 2세로부터 막대한 배상금을 얻어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바이킹 선단은 서프랑크 왕국의 강들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각지를 습격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95]

그러나 862년, 샤를 2세가 강과 도시의 방어 시설을 강화하면서 프랑스 내륙에서의 약탈은 점차 어려워졌다. 바이킹은 방어가 허술한 작은 강들을 공격했지만, 수도원 등이 내륙 깊숙한 곳으로 이전하면서 이마저도 여의치 않게 되었다. 결국, 바이킹은 서프랑크 왕국에서의 활동을 포기하고 잉글랜드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95]

3. 잉글랜드 침략

9세기 중반, 바이킹 지도자들은 상호 이익을 위해 연합하여 앵글로색슨 잉글랜드를 구성하는 네 개의 왕국을 정복하고자 대규모 군대를 결성했다. 이 군대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아일랜드 등에서 온 바이킹들과 대륙에서 활동하던 바이킹들까지 포함했다.[25] 앵글로색슨 역사가 에델워드는 "바이킹 폭군 이바르의 함대가 북쪽에서 잉글랜드에 상륙했다"고 기록했다.[33][34]

851년, 바이킹은 웨섹스 왕 에설울프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동앵글리아로 향했다.[19][33][35] 전설에 따르면, 이 군대는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세 아들인 할프단 라그나르손, 이바르 뼈 없는 자, 우바가 이끌었다고 한다.[19][33][35] 노르드 사가에서는 이들의 침공을 865년 노섬브리아의 앨라에게 죽은 아버지에 대한 복수로 여기지만, 역사적 사실 여부는 불확실하다.[36][37]

웨섹스 왕 애설레드 1세 (865–871)의 은화

3. 1. 대이교도군의 진격

865년 후반, 이교도 대군세는 타넷 섬에 진을 쳤고 켄트인들은 평화를 대가로 데네겔드를 약속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킹은 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동부 켄트를 휩쓸었다.[38]

바이킹은 동앵글리아를 침략의 거점으로 삼았다. 동앵글리아인들은 바이킹에게 말을 제공하여 침략자들과 평화를 맺었다.[39] 바이킹은 866년 말 노섬브리아로 출발하기 전에 동앵글리아에서 겨울을 보냈고, 요크에 자리를 잡았다. 867년, 노섬브리아인들은 데네겔드를 지불했고, 바이킹 군대는 노섬브리아에 꼭두각시 지도자를 세운 후 머시아 왕국으로 향했으며, 867년에는 노팅엄을 점령했다. 머시아의 버그레드는 바이킹과 싸우기 위해 웨섹스 왕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웨섹스와 머시아 연합군은 노팅엄 시를 포위했지만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고, 결국 머시아인들은 바이킹에게 돈을 지불하기로 결정했다. 바이킹은 868년 가을 노섬브리아로 돌아와 요크에서 겨울을 보냈고, 869년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그들은 동앵글리아로 돌아가 테트퍼드에서 869-870년 겨울을 보냈다. 테트퍼드에서 그들은 평화 협정을 맺지 않은 순교자 에드먼드 동앵글리아 왕의 공격을 받았다. 바이킹 군대는 이 전투에서 승리했고, 에드먼드는 포로로 잡혀 고문을 받고 살해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나중에 순교자 에드먼드로 알려지게 되었다.[40]

871년, 스칸디나비아에서 바그세그가 이끄는 대여름 군대가 도착했다.[41] 강화된 바이킹 군대는 웨섹스에 주목했지만, 웨섹스의 애설레드 왕의 동생 알프레드가 이끄는 웨스트 색슨족은 871년 1월 8일 애시다운 전투에서 그들을 물리치고, 그 과정에서 바그세그를 죽였다. 3개월 후, 애설레드가 사망하고 알프레드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는 바이킹에게 돈을 지불하여 시간을 벌었다.[42] 871-872년 동안, 이교도 대군세는 런던에서 겨울을 보낸 후 노섬브리아로 돌아갔다. 노섬브리아에서 꼭두각시 통치자에 대한 반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들은 권력을 회복하기 위해 돌아갔다. 그들은 872-873년 겨울을 린지 왕국 (현재 링컨셔의 일부)의 토크시에 정착했다.[43][44] 머시아인들은 다시 평화를 대가로 돈을 지불했고, 873년 말 바이킹은 더비셔의 렙턴에서 겨울을 맞이했다.[45]

874년, 렙턴에서 겨울을 보낸 후 이교도 대군세는 머시아 왕을 추방하고 마침내 머시아를 정복했다. 추방된 머시아 왕은 머시아의 켈울프 2세로 교체되었다. 아서에 따르면, 바이킹은 두 무리로 나뉘었다.[46][47] 할프단 라그나르손은 한 무리를 이끌고 북쪽 노섬브리아로 가서 타인 강에서 겨울을 보냈다(874–875). 875년, 그는 더 북쪽 스코틀랜드로 쳐들어가 픽트족과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브리튼족과 싸웠다.[48] 876년 국경 남쪽으로 돌아와 노섬브리아 땅을 자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그들은 "땅을 갈고 스스로를 부양했다." 이 땅은 데인로의 일부가 되었다.[47]

3. 2. 알프레드 대왕의 저항과 승리

871년 애시다운 전투에서 알프레드는 바이킹에게 승리했지만, 이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다.[108] 알프레드는 반격하여 878년 에딩턴 전투에서 바이킹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46][49] 이후 웨드모어 조약이 체결되어 구스룸은 세례를 받기로 하고, 그의 군대와 함께 웨섹스를 떠나기로 합의했다.[50] 얼마 후 알프레드와 구스룸의 조약이 체결되어 알프레드와 구스룸 사이의 영토 경계, 평화로운 무역, 백성의 베어겔드 가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51]

4. 군세의 규모

머시아의 레프턴 출신 바이킹 재건 모형. 이 모형은 현재 더비 박물관에 있다.


이교도 대군세의 정확한 규모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당시로서는 상당히 큰 규모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대이교도군의 규모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131]

피터 소여를 비롯한 일부 '미니멀리스트' 학자들은 이 군대가 전통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작았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32][133] 소여는 865년의 ''앵글로색슨 연대기''가 바이킹 군대를 고대 영어로 '"hæþen here"' (이교도 군대)로 지칭했다고 언급한다.[132][134]

694년경에 발행된 웨섹스 왕국의 이네의 법전은 ''here''를 "35명 이상의 남자로 구성된 침략군 또는 약탈대"로 정의하여, 침략 바이킹 군대와 ''fyrd''라고 불리는 앵글로색슨 군대를 구분했다.[132][135] ''앵글로색슨 연대기''의 필경사들은 바이킹 군대를 'here'로 묘사했으며, 역사학자 리처드 아벨스는 이것이 바이킹 군사 집단과 국가 또는 왕실이 조직한 군사력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라고 제안했다. 10세기 후반과 11세기 초에는 ''here''가 바이킹 여부와 관계없이 군대를 지칭하는 용어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131]

소여는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기록된 바이킹 선박 수를 토대로 각 선박이 32명 이하의 병력을 수송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군대 규모가 1,000명 이하일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32]

반면, 로랑 마제-하로프 등 다른 학자들은 센 강 지역 침략에 수천 명이 연루되었다고 보며 더 큰 규모를 제시한다. 다만, 마제-하로프는 이러한 대규모 군대를 수용할 군사 기지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음을 인정한다.[136][137] 가이 헬설은 1990년대에 여러 역사학자들이 대이교도군 규모를 수천 명으로 추정했으며,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많다"고 보고했다.[133]

5. 이후

878년 후반, 구스룸의 군대는 머시아의 사이렌세스터로 철수했다.[118] 그리고 아마 879년 후반에 이스트앵글리아로 옮겨[119], 여기서 구스룸(세례명 애설스탄)은 890년에 사망할 때까지 왕위에 올랐다.[120]

구스룸에게서 떠난 일부 데인인은 노섬브리아나 요르비크로 이주했다. 또한 일부는 머시아에 정착했을 가능성도 있다. 현재 레프턴과 헤러스우드에는 각각 바이킹 묘지가 남아 있으며, 매장자는 대 이교도 군의 관계자였다고 생각된다.[78]

879년, 대 이교도 군과 대 하군에 이은 제3의 바이킹 군세가 템스 강에 집결했다. 그러나 그들은 구스룸의 패배와 알프레드의 신장을 보고 기세가 꺾인 것으로 보이며, 대륙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서프랑크 왕국에서는 877년에 루이 2세가 샤를 2세를 계승하여 즉위했지만 불과 2년 만에 사망했고, 후계자를 둘러싼 다툼으로 왕국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바이킹은 눈 깜짝할 사이에 우위를 되찾을 수 있는 상황에 있었다. 템스 강의 바이킹은, 이 새로운 표적을 향해, 880년에 잉글랜드를 떠났다.[121][122]

알프레드는 바이킹 전역을 교훈 삼아, 잇달아 웨섹스 방어를 위한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해군을 창설하고, 육군을 재편성했으며, 도시를 요새화하여 버러(Burh)라고 불렀다. 알프레드는 고대 로마 이후의 도시를 개조하여 부르흐로 만들었다.[121][123] 또한 지금까지의 잉글랜드에서는 긴급 시에 자유인이 소집되어 나라를 방위하는 군제가 일반적이었지만, 이것은 바이킹의 일격 이탈 공격에 도저히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알프레드는 일종의 상비군을 부르흐에 배치하여, 적의 습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농촌의 사람들은 거의 부르흐의 24km 권역 내에 살게 되었기 때문에, 국내 어디에서든 필요할 때 군대가 출동할 수 있게 되었다.[124] 부르흐와 상비군을 유지하기 위해, 알프레드는 세제 개혁을 실시했으며, 버럴 히데이지(Burghal Hidage)라는 문서로 알려진 징병제도 도입했다.[125] 각 부르흐 사이에는 히어패스(Herepath, 군도)가 정비되어, 유연하게 군대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 역사가 중에는, 이 때 더욱 기동력을 늘려 바이킹을 격퇴할 수 있도록 기병대가 창설되었다고 하는 자도 있다.[126] 버글 하이디지에 따르면, 2만 7000명이었던 웨섹스의 남성 인구 중 5명 중 1명을 동원할 수 있었다.[127] 바이킹의 기본 전략은, 먼저 도시의 중심이 되는 요새를 점령하여 물자를 보급한 다음, 주변 지역을 약탈하는 것이었지만, 알프레드의 개혁은, 884년 이후의 웨섹스에서, 이러한 공격의 저지에 큰 성과를 거두었다.[127]

아직 노섬브리아나 이스트앵글리아로 철수하지 않았던 일부 바이킹도, 896년까지는 요새화된 알프레드의 왕국을 공격하는 것을 포기하고,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무일푼으로 배를 타고 센 강으로 떠났다.[128][129] 잉글랜드에서의 바이킹 세력은 북·동 잉글랜드에 남았지만, 알프레드는 웨섹스에서의 앵글로색슨 지배를 확고하게 했다.[130]

6. 유적

레프턴의 성 위스탄 교회 터에는 9세기에 앵글로색슨 수도원과 교회가 있었다. 1974년부터 1988년까지 진행된 발굴 조사에서 교회 동쪽 강가에 'D'자 모양의 솟아오른 지형이 발견되었다. 이는 원래 있던 건물을 허물고 만든 바이킹식 묘지로, 적어도 249구의 유해가 교회를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묻혀 있었다.[70] 집단 묘지의 중앙에서는 큰 석관이 발견되었지만, 개인 관은 남아 있지 않았다. 유골 조사를 통해 유해의 80% 이상이 남성이었고, 나이는 15세에서 45세 사이였다.[70] 이 남성 골격 조사를 통해 매장자는 분명히 현지인과는 다른 스칸디나비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해의 대부분이 폭력에 의한 상처를 입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반면, 여성 유해는 현지인에 가까웠으며, 앵글로색슨계로 추정된다. 이 집단 묘지는 873년부터 874년까지 이교도 대군세가 레프턴을 점령했을 때 역병이 발생하여 사망자가 집단 매장된 것으로 보인다. 묘지에서는 뼈와 함께 은으로 만든 묠니르 등 다양한 바이킹적인 부장품이 발견되었다.[70]

초기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서는 유해가 수 세기에 걸쳐 계속 묻힌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2018년 2월 브리스톨 대학교의 재조사 결과, 모든 유해가 9세기 후반에 매장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바이킹이 데르비셔에 주둔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이 조사 결과의 차이는 바이킹이 주로 섭취했던 어패류가 원인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지구 해양의 방사성 탄소는 지상에서 생산된 물질에 비해 오래된 경향이 있으며, 그로 인해 방사능이 감소하여 실제보다 오래된 연대가 포함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 현상은 Marine reservoir effect영어라고 불린다.[71][72]

히스 우드 묘지 근처에서는 매장 흔적보다 많은 60개 정도의 화장 흔적이 발견되었다. 브리튼 제도에서는 화장이 드물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교도 대군세의 구성원들의 흔적일 가능성이 있다.[5]

머시아 레프턴에서 바이킹과 함께 부장된 검 (더비 박물관 소장)

참조

[1] 논문 "The Winter Camp of the Viking Great Army, AD 872–3, Torksey, Lincolnshire" Antiquaries Journal
[2] 서적 Anglo-Saxon Keywords
[3] 서적 The Making of Christian Myths in the Periphery of Latin Christendom (c. 1000–1300)
[4] 서적 Norse Mythology: Legends of Gods and Heroes
[5] 간행물 Excavations at the Viking barrow cemetery at Heath Wood, Ingleby, Derbyshire http://eprints.white[...]
[6] 웹사이트 The Saga of Ragnar Lodrok and his Sons Ragnars Saga Loðbrókar ok sona hans http://www.germanicm[...] germanicmythology.com 2021-09-18
[7] 서적 History of the Vikings and Norse Culture
[8]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etymonline.co[...] 2014-01-27
[9]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s
[10] 서적 The Vikings
[11] 서적 Six Old English Chronicles: Æthelweard's Chronicle
[12] 서적 Viking Empires
[13] 서적 Analysis of the Scandinavian Loanwords in the Aldredian Glosses to the Lindisfarne Gospels https://books.google[...] Universitat de València
[14] 웹사이트 ASC 793 – English translation at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3-01-16
[15] 서적 The Monarchy of England
[16] 웹사이트 ASC 840 – English translation at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3-01-18
[17] 서적 The Annals of St-Bertin
[18] 웹사이트 Æthelwulf (d. 858),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18
[19] 웹사이트 ASC 865 – English translation at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3-01-16
[20] 서적 Vikings: A History
[21] 웹사이트 The Anglo-Saxon Chronicle. Manuscript B: Cotton Tiberius A.vi http://asc.jebbo.co.[...] 2013-08-20
[22] 서적 Alfred the Great
[23] 서적 King Alfred the Great
[24] 서적 Alfred the Great: War. Kingship, and Culture in Anglo-Saxon England
[25] 간행물 Alfred the Great, the micel hæðen here and the Viking threat Alfred the Great
[26] 서적 The Age of Vikings
[27] 서적 Warfare and Society in the Barbarian West 450–900
[28] 웹사이트 Corpus Christi College, Cambridge, MS 173, ff. 1v-32r. http://asc.jebbo.co.[...] 2013-04-17
[29] 웹사이트 The laws of the earliest English kings https://archive.org/[...]
[30] 문서 The five Viking ships – The Skuldelev Ships Vikinges Kibs Museet
[31] 간행물 The Incursion of the Vikings into th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of upper Normandy Viking Trade and Settlement in Western Europe
[32] 서적 Charlemagne's Early Campaigns (768–777): A Diplomatic and Military Analysis Brill
[33]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s
[34] 서적 Æthelweard's Chronicle
[35] 서적 The Vikings
[36] 서적 Norse Mythology: Ragnar Lodbrok and His Sons
[37]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38] 서적 Kent through the years Batsford
[39] 서적 The Royal Saints of Anglo-Saxon England
[40] 서적 Alfred the Great
[41]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Alfred the Great
[43] 간행물 Haldenby The Viking Great Army and its Legacy: plotting settlement shift using metal-detected finds https://dx.doi.org/1[...] 2016-12-13
[44] 서적 The Viking Great Army Thames & Hudson
[45] 서적 Alfred the Great
[46] 서적 Life of Alfred
[47]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
[48] 서적 The A to Z of the Vikings
[49] 서적 Anglo-Saxon England
[50] 서적 The Medieval Life of Alfred
[51] 서적 King Alfred the Great
[52] 문서 ASC 878 http://www.gutenberg[...] 2013-01-16
[53] 문서 ASC 879 http://www.gutenberg[...] 2013-01-16
[54] 문서 ASC 890 http://www.gutenberg[...] 2013-01-16
[55]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57]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59] 문서 The Anglo-Saxon Chronicle
[60] 서적 The Viking Wahlstrom and Widstrand
[61] 서적 Fortifications in Wessex c. 800–1066
[62]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63] 서적 Monarchy
[64] 서적 Anglo-Saxon England
[65] 서적 Why Alfred Burnt the Cakes
[66]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768–1487
[67] 서적 Kings and Vikings
[68] 문서 ASC 897 http://www.gutenberg[...] 2013-01-16
[69]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70] 논문 Repton and the Vikings
[71] 웹사이트 Radiocarbon dating reveals mass grave did date to the Viking age https://www.eurekale[...] Eurekalert 2018-02-02
[72] 간행물 The Viking Great Army in England: new dates from the Repton charnel https://www.cambridg[...] 2018-02-02
[73] 서적 The Vikings
[74] 서적 The beginning of Scandinavian settlement in England
[75] 웹사이트 The Great Heathen Army: Viking Coalition Becomes an Anglo-Saxon Nightmare http://www.ancient-o[...]
[76] 서적
[77] 서적
[78] 간행물 Excavations at the Viking barrow cemetery at Heath Wood, Ingleby, Derbyshire http://eprints.white[...]
[79]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etymonline.co[...] 2014-01-27
[80]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s
[81] 서적 Six Old English Chronicles: Æthelweard's Chronicle
[82] 서적 Viking Empires
[83]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84] 웹사이트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3-01-16
[85] 서적 The Monarchy of England
[86] 웹사이트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3-01-18
[87]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88] 서적 The Annals of St-Bertin
[89]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90] 웹사이트 Æthelwulf (d. 858)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91] 서적 The Vikings
[92] 웹사이트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2013-01-16
[93] 서적 Vikings: A History
[94] 웹사이트 The Anglo-Saxon Chronicle. Manuscript B: Cotton Tiberius A.vi http://asc.jebbo.co.[...] 2013-08-20
[95]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s
[96] 서적 Æthelweard's Chronicle
[97] 서적 Norse Mythology: Ragnar Lodbrok and His Sons
[98]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99] 서적 The Royal Saints of Anglo-Saxon England
[100]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101] 서적 The beginning of Scandinavian settlement in England
[102] 서적 The beginning of Scandinavian settlement in England
[103]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104] 서적 The beginning of Scandinavian settlement in England
[105]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106] 서적 Alfred the Great
[107]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8]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109]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110] 간행물 Haldenby The Viking Great Army and its Legacy: plotting settlement shift using metal-detected finds https://doi.org/10.1[...] Internet Archaeology 42 2016-12-13
[111] 서적 Alfred the Great
[112] 서적 Alfred the Great
[113]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
[114] 서적 The A to Z of the Vikings
[115] 서적 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
[116] 서적 Anglo-Saxon England
[117] 서적 The Medieval Life of Alfred
[118] 웹사이트 ASC 878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3-01-16
[119] 웹사이트 ASC 879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3-01-16
[120] 웹사이트 ASC 890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3-01-16
[121]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Viking
[122]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123] 서적 Monarchy
[124] 서적 Anglo-Saxon England
[125] 서적 Why Alfred Burnt the Cakes
[126] 서적 Fortifications in Wessex c. 800–1066
[127]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768–1487
[128] 서적 Kings and Vikings
[129] 웹사이트 ASC 897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3-01-16
[130] 서적 The Earliest English Kings
[131] 서적 Alfred the Great, the micel hæðen here and the Viking threat
[132] 서적 The Age of Vikings
[133] 서적 Warfare and Society in the Barbarian West 450–900
[134] 웹사이트 Corpus Christi College, Cambridge, MS 173, ff. 1v-32r http://asc.jebbo.co.[...] 2013-04-17
[135] 웹사이트 The laws of the earliest English kings
[136] 서적 The Incursion of the Vikings into th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of upper Normandy
[137] 서적 Charlemagne's Early Campaigns (768–777): A Diplomatic and Military Analysis BRILL
[138] 학술지 Repton and the Vikings
[139] 웹사이트 Radiocarbon dating reveals mass grave did date to the Viking age https://www.eurekale[...] Eurekalert 2018-02-02
[140] 학술지 The Viking Great Army in England: new dates from the Repton charnel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2-02
[141] 웹사이트 海洋リザーバー効果 https://www.radiocar[...] Beta Analytic 2018-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