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금룡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시대를 거쳐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배재학당과 조선배우학교를 거쳐 1926년 조선키네마에 입사하여 영화계에 데뷔했다. 나운규프로덕션의 창립작 《잘 있거라》에서 조연으로 출연했으며, 《아리랑》에도 참여했다. 이후 《들쥐》, 《사랑을 찾아서》 등 반일 성향의 영화에 출연했고, 1930년에는 《어사 박문수전》을 연출했으나 흥행에 실패했다. 1930년대 후반 배우로 복귀하여 활동했으며, 무성 영화 배우 출신으로 발성 영화 시대까지 활동했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친일 영화에 출연하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춘향전》 등에 출연했으며, 마지막 출연작인 《열애》 촬영 중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금룡상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영화 각본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각본가 - 이규환 (영화 감독)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활동한 이규환은 《임자 없는 나룻배》로 데뷔하여 문예봉을 스타덤에 올리고, 해방 후에는 《춘향전》을 연출하여 전후 한국 영화 부흥을 이끈 영화 감독으로, 그의 영화는 민족주의, 서정적 리얼리즘, 향토색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감독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감독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문예봉
문예봉은 일제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배우로, 영화 《임자 없는 나룻배》로 데뷔하여 《춘향전》에서 춘향 역을 맡아 스타덤에 올랐으며, 월북 후 북한에서 공훈배우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 이금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이금룡 |
| 출생일 | 1906년 6월 16일 |
| 출생지 | 대한제국 한성부 |
| 사망일 | 1955년 4월 3일 (향년 48세) |
| 사망지 | 대한민국 |
| 국적 | 대한제국→대한민국 |
2. 생애
배재학당을 수료하고 조선배우학교에서 연기 공부를 시작했다. 1926년 조선키네마에 입사해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1927년 나운규가 설립한 나운규프로덕션의 창립작 《잘 있거라》에서 부호이자 색마인 민범식 역으로 데뷔했다. 나운규와는 《아리랑》(1926)을 찍은 조선키네마 시절부터 인연이 있었다.[2]
《들쥐》(1927)[3]와 《사랑을 찾아서》(1928) 등 반일 정서가 담긴 영화에 출연했으며, 《사랑을 찾아서》에서 나팔수 역을 맡은 후 노역 전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나운규프로덕션의 핵심 배우였으나, 1929년 경영 악화로 인한 나운규와의 불화로 프로덕션을 탈퇴했다. 1930년에는 《어사 박문수전》을 연출했으나 흥행에 실패해 배우로만 활동했다.
1932년부터 약 3년간 공백기를 가진 뒤 안종화의 《역습》으로 복귀, 1930년대 후반을 대표하는 배우로 활약했다. 무성 영화에서 발성 영화로의 전환기에도 살아남은 배우 중 한 명으로, 박기채는 그를 겸손하고 온후하며 과묵한 성품이라고 평가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지원병》(1941), 《젊은 모습(若き姿일본어)》(1943), 《병정님》(1944) 등 친일 영화에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2]
해방 후 이규환의 《춘향전》(1955)에서 변사또 역을 맡았고, 홍성기의 《열애》(1955)가 마지막 작품이다. 《열애》 촬영 중 사망하자 동료 배우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금룡상을 제정했다.[2]
2. 1. 초기 활동 (1926년 ~ 1930년대 초)
배재학당을 수료하고 조선배우학교에서 연기 공부를 시작했다. 조선배우학교가 폐교한 뒤 1926년에 조선키네마에 입사해 본격적으로 영화계에서 일하기 시작했다.[2]1927년 나운규가 나운규프로덕션을 세우고 창립작으로 제작한 《잘 있거라》(1927)에서 부호이자 색마인 민범식 역으로 데뷔하여 나운규프로덕션에서 활동했다. 나운규와는 《아리랑》(1926)을 찍은 조선키네마 시절부터 함께한 사이였다. 《아리랑》에 단역으로 출연했다는 기록도 있으나, 본인의 회고에서는 《아리랑》이 개봉된 뒤 조선키네마에 입사한 것으로 되어 있다.[2]
반일 정서를 담아 정치색이 짙은 영화였던 《들쥐》(1927)[3]와 《사랑을 찾아서》(1928)에 출연했으며, 《사랑을 찾아서》에서 노역인 나팔수 역을 맡은 이래 노역을 전담했다. 이금룡은 나운규프로덕션의 전 작품에 출연한 핵심 배우였다.
그러나 1929년 경부터 불황과 함께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중심 인물인 나운규와 동인들 사이의 불화가 불거졌다. 이때 이금룡을 비롯한 여러 동인들이 나운규를 비판하고 나운규프로덕션을 탈퇴하였다. 1930년에는 자신이 시나리오를 쓴 《어사 박문수전》을 연출했으나, 이 영화가 흥행에 실패한 이후 영화 배우로만 활동했다.
2. 2. 공백기와 복귀 (1930년대 초 ~ 1930년대 후반)
1926년 조선키네마에 입사하여 영화계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32년부터 약 3년 동안 공백기를 가졌다가 안종화의 《역습》에 출연하면서 복귀했다. 이후 활발하게 활동하여 1930년대 후반을 대표하는 배우 중 한 명이 되었다. 무성 영화 배우 가운데 발성 영화 등장 이후까지 살아남은 배우이기도 하다. 박기채는 이금룡을 겸손하고 온후한 성품이며 과묵하다고 평했다.2. 3. 친일 행적 논란 (1940년대)
일제 강점기 말기에 《지원병》(1941), 《젊은 모습(若き姿일본어)》(1943), 《병정님》(1944) 등 친일 영화에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2]2. 4. 해방 이후 (1945년 ~ 1955년)
이규환 감독의 흥행작 《춘향전》(1955)에서 변사또 역을 맡았고, 마지막 출연작은 홍성기 연출의 멜로 영화 《열애》(1955)이다.[2] 《열애》 촬영 도중 사망하여 동료들이 그를 기리는 민간영화상인 금룡상을 제정해 수여했다.참조
[1]
서적
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민족문제연구소
2004-12-27
[2]
뉴스
무성영화 시기 한국영화가 풍부했던 까닭은? - [한국영화스타10-②] 재정적 후원 아끼지 않았던 극장경영자 박승필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03-20
[3]
웹인용
들쥐(野鼠)
http://www.art.go.kr[...]
예술로
2008-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