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브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나브 전투는 1149년 6월 29일, 안티오키아 공국과 누르 앗 딘이 이끄는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전투 배경은 누르 앗 딘이 아버지의 사망 이후 알레포를 장악하고 안티오키아 공국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면서 시작되었다. 안티오키아 공작 레몽은 아사신 지도자 알리 이븐 와파와 동맹을 맺고 이나브를 구원하려 했으나, 누르 앗 딘의 위장 퇴각 전술에 걸려 패배하였다. 전투 결과, 레몽 공작과 알리 이븐 와파가 전사하고 안티오키아 공국군은 괴멸되었으며, 누르 앗 딘은 이슬람 세계의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이 전투는 안티오키아 공국에 큰 타격을 입혔고, 누르 앗 딘이 십자군 국가들을 압박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십자군의 전투 - 하틴 전투
하틴 전투는 1187년 7월 4일 하틴 언덕에서 십자군과 살라딘의 이슬람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와 예루살렘 함락을 야기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발했다. - 십자군의 전투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7월 16일 스페인에서 벌어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는 기독교 연합군이 무와히드 왕조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 쇠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이나브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이나브 전투 |
다른 이름 | 아르타흐 전투 |
부분 | 십자군 전쟁 |
날짜 | 1149년 6월 29일 |
장소 | 시리아 이나브 요새 근처 |
좌표 | 36.073056, 36.636667 |
원인 | 불명 |
결과 | 장기 왕조의 승리 |
영토 변화 | 변화 없음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안티오키아 공국 니자리 이스마일파 |
교전국 2 | 장기 왕조 부리 왕조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푸아티에의 레몽† 알리 이븐 와파† |
교전국 2 지휘관 | 누르 앗 딘 나즘 앗 딘 아이유브 다마스쿠스의 우누르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기병 4,000명, 보병 1,000명 또는 1,400명 |
교전국 2 병력 | 6,000명 |
사상자 및 손실 | |
교전국 1 사상자 | 막대한 손실 |
교전국 2 사상자 | 불명 |
시각 자료 | |
![]() | |
관련 캠페인 | |
관련 전투 목록 | 십자군 관련 레반트 지역 전투 (1096년–1303년) |
2. 배경
1146년 아버지 장기가 사망한 후, 누르 앗 딘은 알레포(Aleppo)의 지배권을 획득하고 안티오키아 공국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4] 1144년 장기에게 에데사 백작령의 수도를 빼앗긴 것에 대한 복수를 위해 조직된 제2차 십자군의 다마스쿠스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었다.
1149년 6월, 누르 앗딘은 제2차 십자군 당시 연합으로 부리 왕조의 무이누딘 우누르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북시리아에서 그의 권위를 확고히 하기 위해 안티오키아를 침략하여 이나브 요새를 포위했다.[12][13] 누르 알딘은 먼저 하림과 아파메아를 공격하여 안티오키아 공국에 압력을 가한 후, 이나브 요새를 포위하여 안티오키아의 라몽을 전장으로 끌어냈다.[14]
당시 안티오키아의 라몽 공자와 그의 기독교 이웃인 에데사의 조슬랭 2세는 1146년 라몽이 포위된 에데사를 구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는 것을 거부한 이후 적대적인 관계였다. 조슬랭은 심지어 라몽에 대항하기 위해 누르 앗딘과 동맹 조약을 맺었다. 한편, 트리폴리의 라몽 2세 백작과 예루살렘의 멜리센데 여왕은 안티오키아 공자를 돕기를 거부했다.
2. 1. 당시 군사력
1149년 7월 누르 앗 딘은 다마스쿠스의 우누르(Unur of Damascus)와 투르크만(Turcomans)족 군대의 지원을 받아 안티오키아를 공략하여 이나브 요새를 공략했다. 누르 앗 딘은 이들의 지원으로 기병 위주의 6,000명 가량의 군대를 지휘할 수 있었다.[12][13]이 전투에는 누르 알딘이 이끄는 장기 왕조 군대 외에도 우누르가 파견한 사르하드의 아미르, 무자히드 앗딘 부잔이 이끄는 부리 왕조 군대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기병만 6,000명에 달했다.[15][13][16]
한편, 안티오키아 공국 군대는 쿠르드족 알리 이븐 와파가 이끄는 니자리파 병사들과 연합하여 보병 1,000명, 기사 400명을 갖추고 이나브로 향했다.[16][17]
3. 전투
1149년 6월 28일, 안티오키아 공국의 레몽 공작은 하시신파의 지도자 알리 이븐 와파와 동맹을 맺고 이나브를 구원하기 위해 출정했다. 누르 앗 딘은 이 소식을 듣고 일시적으로 포위를 풀고 퇴각하는 척했다. 레몽은 안전한 성벽 근처에 진영을 설치하는 대신, 병력을 이끌고 개활지로 나와 야영했다. 그러나 누르 앗 딘은 근처에 잠복하고 있다가 적의 수와 진지를 파악하고 밤에 다시 돌아왔다.
다음 날인 6월 29일 새벽, 누르 앗 딘은 기습 공격을 개시했다. 포위된 데다 기습까지 당한 안티오키아 공국군은 수적으로도 열세였기에 누르 앗 딘 군에게 쉽게 격파당했다. 이 전투로 레몽 공작과 알리 이븐 와파가 모두 전사했고, 안티오키아 공국군은 괴멸했다. 레몽 공작은 목이 잘려 은 상자에 담겨 바그다드로 보내졌다고 한다.[18]
이 전투의 패배로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이 누르 앗 딘의 공세에 노출되었고, 특히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는 중요한 경로를 잃게 되었다. 누르 앗 딘은 해안으로 진격하여 자신의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바닷물에 몸을 담그기도 했다.
어떤 역사가들은 이나브 전투의 패배를 한 세대 전에 일어난 아제르 상귀니스 전투의 패배와 비교할 만큼 재앙적인 사건으로 평가하기도 한다.[23] 이 전투의 여파로 하림(Harim)과 아파미야(Afamiya)의 성채가 함락되었고, 십자군은 1157년에 하림을 일시적으로 탈환했으나 1164년에 완전히 상실했다.
누르 앗 딘은 이 여세를 몰아 안티오키아 공국을 공격했지만,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레몽 공작의 전사로 안티오키아는 혼란에 빠졌지만, 그의 미망인 콘스탄스와 아이메리 주교가 방어전을 펼쳤고, 예루살렘의 보두앵 3세가 구원군을 이끌고 북상하자 누르 앗 딘은 군대를 물릴 수밖에 없었다.
3. 1. 전술
레몽 공작은 하샤신의 지도자이자 누르 앗 딘의 적인 알리 이븐 와파와 동맹을 맺었다. 레몽 공작과 그의 동맹 군대는 가용 병력을 전부 집결시키기도 전에 이나브 구원에 나섰고, 적군이 다가오자 누르 앗 딘은 성에 대한 포위를 풀고 퇴각하였다. 레몽 공작과 이븐 와파는 성벽 근처 대신 넓은 벌판에 진영을 설치하였다. 누르 앗 딘의 정찰병들은 레몽과 이븐 와파가 노출된 지형에 진영을 설치하였고, 아직 지원군과 합류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에 누르 앗 딘은 밤중에 재빠르게 움직여 신속하게 적진을 포위하였다.[22]6월 29일, 누르 앗 딘은 공격을 개시했고, 안티오키아 공국군을 격파하였다. 레몽 공작과 이븐 와파 둘 다 난전 중에 전사하였다. 누르 앗 딘은 알-카르 와 알-파르(공격과 도주)라고 불리는 일종의 위장 퇴각과 반전 공세를 특기로 했으며[19], 이나브 전투는 이 전술을 대규모로 사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4. 전투의 결과
레몽 공작과 하샤신의 지도자 알리 이븐 와파가 이나브 전투에서 전사하면서,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한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이 누르 앗 딘의 공세에 노출되었다.[22] 누르 앗 딘은 해안으로 가서 그의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바닷물에 몸을 담갔다.
어떤 작가는 이나브에서의 십자군의 패배를 한 세대 전에 일어난 아제르 상귀니스의 패배와도 비교할 만한 재난으로 평가하였다.[23] 이 전투의 영향으로 하림(Harim)과 아파미야(Afamiya)의 성채가 함락되었다. 십자군은 하림을 1157년에 탈환하였으나, 1164년에 결국 완전히 상실하였다.
누르 앗 딘은 안티오키아 공국을 공격했으나, 콘스탄스와 주교의 방어, 보두앵 3세의 구원으로 실패했다. 이나브 전투의 승리로 누르 앗딘은 아르타, 하림, 그리고 안티오크로 가는 길을 방어하는 요새를 점령했다. 하림은 1157년까지 회복되지 못했고, 1164년에 영구적으로 상실되었다. 그는 아파미아를 포위하고 약탈한 후, 안티오크를 포위했다. 그러나 예루살렘의 발두인 3세가 템플 기사단과 함께 북쪽으로 진군하자, 누르 앗딘은 협상을 통해 안티오크와 알레포 사이의 국경을 유리하게 재조정하고 군대를 철수했다.[10]
이나브에서의 승리로 누르 앗딘은 이슬람 세계에서 영웅이 되었고, 십자군 국가 파괴와 ''지하드''를 통한 이슬람 강화를 목표로 했다. 그는 시아파를 포함한 이단자들을 추방하고, 에데사 백작령의 잔재를 점령했으며, 1154년에는 다마스쿠스를 지배하에 두었다.
누르 알딘은 이 전투를 통해 아파메아와 하림 점령을 확고히 했으며, 지중해에서 목욕을 했다. 이는 이슬람 세력이 지중해에 도달했음을 나타냈다. 또한 군주와 영토를 잃은 안티오키아 공국은 이후 잔기 왕조와 부리 왕조의 다마스쿠스를 둘러싼 공방전에 관여할 수 없게 되었고, 누르 알딘은 다마스쿠스로의 남진을 위한 교두보를 얻었다.[20]
이븐 와실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시르쿠는 누르 알딘의 신뢰를 얻었다고 한다.[21]
5. 영향
이나브 전투 이후 누르 앗 딘은 이슬람 세계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그는 지하드를 강화하여 십자군 국가들을 멸망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0] 누르 앗 딘은 알레포에 종교 학교와 새로운 모스크를 세우고, 시아파 등 자신이 이단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을 추방했다.[10]
누르 앗 딘은 에데사 백국의 잔존 영토를 점령하고, 1154년에는 다마스쿠스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어 십자군 국가들을 더욱 약화시켰다.[10] 이나브 전투는 누르 앗 딘이 다마스쿠스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해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20]
이븐 와실은 이 전투에서 시르쿠가 큰 공을 세워 누르 앗 딘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고 기록했다.[21]
5. 1. 안티오키아 공국에 미친 영향
레몽 공작과 하샤신의 지도자 알리 이븐 와파가 이나브 전투에서 전사하면서,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한 안티오키아 공국의 영토 대부분이 누르 앗 딘의 공격에 노출되었다. 누르 앗 딘은 해안으로 가서 바닷물에 몸을 담가 정복을 기념했다.어떤 작가는 이나브에서의 십자군의 패배를 아제르 상귀니스 전투의 패배와 비교할 만한 재난으로 평가했다.[23] 이 전투의 영향으로 하림(Harim)과 아파미야(Afamiya)의 성채가 누르 앗 딘에게 함락되었다. 십자군은 1157년에 하림을 되찾았지만, 1164년에 결국 완전히 잃었다.
누르 앗 딘은 안티오키아 공국을 공격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했다. 레몽 공작이 전사하여 안티오키아가 혼란에 빠졌지만, 레몽의 미망인 콘스탄스와 리모주의 아이메리 주교가 방어전을 펼쳤고, 예루살렘의 보두앵 3세가 구원을 위해 북쪽으로 진군하자 누르 앗 딘은 군대를 물렸다.
이나브 전투 승리 후, 누르 앗딘은 아르타, 하림, 그리고 안티오크로 가는 길을 방어하는 '임' 요새를 점령했다. 하림은 1157년까지 회복되지 못했고, 1164년에 영구적으로 상실되었다. 그는 군대의 주력을 아파미아 포위에 보냈다.[10] 그 지역을 약탈한 후, 그는 안티오크를 포위했는데, 이는 왕자와 군대의 손실로 사실상 방어가 불가능했다. 도시는 항복 측과 저항 측으로 나뉘었다. 항복측은 레몽의 미망인인 콘스탄스와 총대주교인 리모주의 아메리가 이끌었고, 누르 앗딘은 매수되었으며, 일부 보물은 총대주교의 소유에서 나왔다. 누르 앗딘이 승리의 표시로 바다에서 목욕을 하기 위해 내려가는 동안, 증원군이 도시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소규모 부대가 남겨졌다. 그는 성 시메온 수도원 주변의 땅을 약탈한 후, 아파미아를 점령하기 위해 그의 군대에 합류했다.[10]
예루살렘의 발두인 3세가 템플 기사단과 함께 북쪽으로 진군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누르 앗딘은 협상을 시작했다. 안티오크와 알레포 사이의 국경은 누르 앗딘에게 유리하게 다시 그려졌고, 군대는 집으로 돌아갔다.[10]
누르 알딘은 이 전투를 통해 아파메아와 하림 점령을 확고히 했으며, 지중해에서 목욕을 했다. 이는 이슬람 세력이 지중해에 도달했음을 나타냈다. 또한 군주와 영토를 잃은 안티오키아 공국은 이후 잔기 왕조와 부리 왕조의 다마스쿠스를 둘러싼 공방전에 관여할 수 없게 되었다(한편, 누르 알딘은 다마스쿠스로의 남진을 위한 교두보를 얻었다).[20]
참조
[1]
서적
The Crusader States and Their Neighbours: A Military History, 1099–118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2]
서적
The Crusades: The War for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12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