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타는 힌두교의 중요한 개념으로, 부와 권력 추구를 포함한 인생의 목표를 의미한다. 아르타는 다르마, 카마, 모크샤와 함께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네 가지 목표인 푸루샤르타 중 하나로, 물질적 번영, 경제적 안정, 세속적 성공을 포괄한다. 아르타의 중요성은 시대와 학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다르마, 카마와의 상대적인 중요성 또한 논쟁의 대상이 된다. 고대 인도 문헌에서는 다르마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지만, 아르타샤스트라에서는 아르타가 다르마와 카마의 기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 아르타는 개인의 경제적 성공과 사회 발전을 연결하는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루샤르타 - 카마
    카마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감각적 즐거움, 정서적 매력, 미적 쾌락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힌두교에서는 삶의 네 가지 목표 중 하나이며, 불교에서는 깨달음의 장애물로 여겨진다.
  • 힌두 철학 개념 - 간디주의
    간디주의는 마하트마 간디의 사상을 따르는 철학으로, 비폭력, 진리 추구, 자급자족 경제, 사회 정의를 핵심 가치로 삼고, 사티아그라하와 아힘사를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하며,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철학 개념 - 아바타라
    아바타라는 신이나 초월적 존재가 인간이나 동물의 형태로 강림하는 것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로, 힌두교에서는 특히 비슈누의 화신을 지칭하며 다르마 회복과 악의 소멸을 위해 나타나는 존재를 뜻한다.
아르타
일반 정보
이름아르타
로마자 표기Arta
산스크리트어 표기अर्थ
의미목표, 목적, 뜻, 의미, 재산, 부, 번영, 복지, 경제적 활동
힌두교에서의 의미
설명힌두교 철학에서 인간 삶의 네 가지 올바른 목표 중 하나
다른 목표다르마 (정의, 윤리)
카마 (욕망, 감각적 즐거움)
모크샤 (해탈, 해방)
중요성다르마, 카마, 모크샤와 함께 인간 삶의 완전성을 위한 필수 요소
특징삶을 영위하고, 생계를 유지하며, 번성하는 데 필요한 수단과 활동을 포괄
넓은 의미경제적 번영, 안보, 건강을 포함한 모든 것
불교에서의 의미
설명불교에서 사용되는 용어
팔리어 표기attha
의미의미, 이유, 재산, 이익
자이나교에서의 의미
설명자이나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미목적, 의미, 재산
참고 문헌
도서고대 인도 경제, 닐칸타 사스트리 저
힌두교 윤리 사전, 하워드 카워드, 줄리어스 리퍼, 다니엘 마가렛 저
고대 인도 생활, 로마시오 타파르 저
힌두교, 린다 존슨 저
종교와 도덕 백과사전, 제임스 헤이스팅스 저
불교 윤리 소개, 피터 하비 저
고대 인도 정치 사상사, 우마 차크라바티 저
철학 사전, 토머스 머윈 저
세계 문화 백과사전, 멜빈 엠버, 캐롤 엠버 저
인도의 고대 법, 율리우스 졸리 저
자이나교, 나타샤 발소라 저

2. 정의 및 의미

아르타는 여러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르타, 다르마, 카마, 모크샤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하나의 영어 단어로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다.[8]

아르타는 부와 권력 추구를 포함하며, 일부 전통에서는 마누 법전(2.224)에서 언급된 것처럼 주요한 인간의 목표로 간주된다. 아르타샤스트라(1.7.6)에서 카우틸랴는 물질적 이득이 삶의 세 가지 목표 중 가장 중요하며, 다르마와 카마의 실현을 돕는다고 강조한다.[9] 아르타는 단순한 돈 축적을 넘어, 생존, 번영, 안전, 건강 등 삶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수단과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이다.[10]

2. 1. 다양한 관점

제임스 로흐테펠트는[1] ''아르타''를 삶의 수단으로 묘사하며, 물질적 번영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칼 포터는[10] 아르타를 생계를 유지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태도와 능력으로 설명하며, 경제적 번영, 안전, 건강을 포함한다고 하였다.[11] 존 콜러는[3] 아르타를 인간 삶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로 보았으며, 즐겁고 기쁨을 주는 삶을 위한 활동과 수단 추구로 설명하였다.

다야 크리슈나는[12] ''아르타''와 푸루샤르타 개념이 학파와 고대 문헌에 따라 다양한 견해를 가지며,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바차야나는 카마 수트라에서 ''아르타''를 예술, 토지, 가축, 부, 장비, 친구의 획득, 보호, 증가로 정의하였다.[13] 개빈 플러드는[14] 아르타를 다르마, 카마, 모크샤를 위반하지 않는 "세속적 성공"으로 설명하며, 인간의 생존과 번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3. 역사

아르타는 인도 초기 경전에서 '목적', '목표'를 의미하는 용어로 등장했으며, 우파니샤드 시대에 더 광범위한 개념으로 발전했다.

3. 1. 발전 과정

아르타(Artha)는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에 등장하는 단어이다. 그러나 이 용어는 어떤 것의 '목적', 목표를 의미하며, 종종 의식적 희생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르타는 우파니샤드 시대에 더 광범위한 개념으로 발전했다. 처음에는 '트리바르가'(인간 삶의 세 가지 범주 - 다르마, 아르타, 카마)의 일부로 포함되었으며,[15] 나중에는 '차투르바르가'(목샤를 포함한 네 가지 범주)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차투르바르가'는 푸루샤르타(Puruṣārtha)라고도 불린다.[16]

미맘사 힌두교 학파는 푸루샤르타와 크라트바르타를 대조하여 아르타, 다르마, 카마를 설명했다. 푸루샤르타는 야즈나의 인간적 목적이고, 크라트바르타는 야즈나의 희생적 목적이다. 미맘사 학파는 모든 인간 행동이 두 가지 효과, 즉 행위 자체의 영향과 행위의 인간적 의미, 희망, 욕망에 따른 개인적 영향을 갖는다고 보았다.[16] 자이미니는 기원전 3세기에 인간의 의미는 목표와 분리될 수 없으며, 희생의 '팔라'(결과)는 희생의 '아르타'(목적)에 내재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미맘사 학파는 인간이 베다의 명령(아푸루세야)에 따른 행위를 통해 천국에 도달한다고 주장했다.[16] 반면 요가 및 베단타 학파와 같은 다른 힌두교 학파는 의례와 희생은 수단일 뿐 목적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의례보다는 노력과 지식을, 천국보다는 현세의 자유(목샤)를 강조하며, 인간을 우주의 톱니바퀴가 아닌 그 자체로 목적으로 보았다.

이후 아르타와 인간의 다른 목표에 대한 샤스트라 문헌이 발전했다. 다르마는 다르마샤스트라, 아르타는 아르타샤스트라, 카마는 카마샤스트라(카마수트라는 이 편람의 일부)에서 다루어졌다.[16] 힌두교의 여러 학파는 다르마, 카르마, 목샤와 마찬가지로 아르타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기원전 5세기경 이후 고대 인도의 대부분의 역사 문헌은 인간의 네 가지 목표를 함께 다루었다. 많은 우파니샤드와 두 인도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다르마, 아르타, 카마, 목샤를 주제의 일부로 논의한다. 1세기와 2천년의 잠언적이고 교훈적인 인도 문학인 수바시타스도 아르타와 인간 삶의 다른 세 가지 목표를 통합한다.[18]

4. 다르마, 카마와의 상대적 중요성

고대 인도 문학은 다르마를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며, 다르마를 무시하면 아르타와 카마, 즉 이익과 쾌락이 사회적 혼란을 초래한다고 경고한다.[19]

일부 고대 인도 문헌에서는[13][21] 아르타, 카마, 다르마의 상대적 우선 순위가 사람과 연령대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언급한다. 예를 들어 아기나 어린이에게는 교육과 카마가, 청년기에는 카마와 아르타가, 노년기에는 다르마가 우선시된다.

4. 1. 다양한 입장

고타마 다르마수트라, 아파스탐바 다르마수트라, 야즈나발키야 스므리티는 다르마가 아르타와 카마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한다.[20] 바차야나는 카마수트라에서 다르마, 아르타, 카마 순으로 중요하다고 보았다.[13] 카우틸리야는 아르타샤스트라에서 아르타가 다르마와 카마의 기초라고 주장하며, 세 가지 모두 상호 연결되어 있다고 강조한다.[19]

마하바라타에서는 다르마, 아르타, 카마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대한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논쟁이 나타난다.[22] 비두라는 다르마를, 아르주나는 아르타를, 비마는 카마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디슈티라는 다르마가 우선이지만, 세 가지의 균형이 어렵다고 말한다.[19] 마하바라타의 다른 책에서는 다르마, 아르타, 카마가 모두 행복을 위해 함께 가야 한다고 제안한다.[23]

5. 현대적 의의

푸루샤르타에 내재된 개념들은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력을 반영하며, 모든 인간이 직면하는 갈등을 반영한다. 이는 인간 삶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부정하거나 특정 교훈과 규칙을 강요하기보다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해하도록 장려하며 사람들 사이의 일관성을 추구하려는 시도이다.[24][25]

아르타, 카마, 다르마힌두교 연구를 넘어 널리 적용될 수 있는 인간의 목표이다. 이는 자이나교불교 문학에서도 공유되는 인간 삶의 본질에 대한 인도적 관점이다.[26]

참조

[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2002
[2] 웹사이트 Sanskrit English Dictionary http://spokensanskri[...] 2009
[2] 서적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4 Motilal Banarsidass 1998
[3] 논문 Puruṣārtha as Human Aims 1968-10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induism 1997
[5]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2007
[6] 간행물 Artha Encyclopædia Britannica 1992
[7] 서적 The Puruṣārthas: a study in Hindu axiology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2
[7] 논문 The Puruṣārthas: An Axiological Exploration of Hinduism https://www.jstor.or[...] 1999
[7]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Routledge 2001
[8]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1996
[9]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8
[10] 서적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2002
[11] 논문 Applying the Hindu four stage life cycle model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2013
[12] 서적 The myth of the purusarthas Taylor & Francis
[13] 웹사이트 The Kama Sutra of Vatsyayana https://archive.org/[...] 1925
[14]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1996
[15] 서적 Kautilya Arthashastra Penguin Classics 1987
[15] 논문 Methodology of Kautilya's Arthashastra 2004
[16]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1996
[17] 논문 Early Trends in the Indian Understanding of Man https://www.jstor.or[...] 1972
[18] 서적 Subhasitas, Gnomic and Didactic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Germany 1974
[19]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1996
[20] 서적 Dharmasutras - The Law Codes of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Dharmasutras - The Law Codes of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The Sacred Books of Hindus https://archive.org/[...] 1918
[20] 서적 Dharmasutras - The Law Codes of Ancient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History of Dharmashastr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941
[22] 문서 1962
[23] 웹사이트 Book 9:Calya Parva https://archive.org/[...]
[24]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1996
[25] 논문 Menschsein und Lebensziele: Beobachtungen zu den puruṣārthas 1994
[26] 논문 Being Hindu or Being Human: A Reappraisal of the Puruṣārthas 2004
[27] 문서
[28] 논문 Puruṣārtha as Human Aims 1968-10
[29]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2002
[3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induism 1997
[31]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2007
[32] 간행물 Artha Encyclopædia Britannica 1992
[3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