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남석은 1925년 여주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서울로 이주한 한국의 무술가로, 가라테를 독학하여 창무관을 창립하고 태권도 발전에 기여했다. 2차 세계 대전 전 가라테를 독학으로 시작해, 1946년 윤병인과 함께 창무관을 설립하여 쇼토칸 가라테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기술 체계를 구축했다. 한국 전쟁 이후 창무관을 재건하고 태권도 통합 과정에 참여했으며, 대한태권도협회 초대 총재를 역임했다. 1960~70년대에는 해외에서 창무관을 보급했으며, 1980년대 미국으로 이주하여 전통 창무관 부활에 힘썼다. 2000년 사망했으며, 그의 제자들이 전통 창무관의 가르침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남자 무술가 - 최용술
최용술은 합기도의 창시자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무술가로,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다이토류 아이키주주츠를 수련하고 귀국 후 합기도를 보급했으며, 그의 무술은 여러 제자들을 통해 현대 합기도의 뿌리가 되었다. - 한국의 남자 무술가 - 이행웅
이행웅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미국 태권도 협회를 설립하여 태권도 보급에 기여한 인물로, 육군 복무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ATA 공동 설립, 송암 태권도 수련 체계 개발, 그랜드 마스터 칭호 수여 등 태권도 발전에 헌신하며 한미 우정의 상징으로 기념되기도 했다. - 여주시 출신 - 이범관 (1943년)
이범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주요 요직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제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이천오층석탑 환수 문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 여주시 출신 - 임화수
임화수는 이정재와 함께 동대문파의 2인자이자 이승만 정권의 비호 아래 영화계 대부로 활동하며 반공예술인단을 조직하여 자유당 정권의 선전 도구로 활용하고 정치 테러에 개입했으나 4.19 혁명 이후 몰락하여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당한 정치 깡패이자 영화 제작자이다. - 대한민국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존 유
존 유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 미국 법학자이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 교수로,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법무부에서 테러 용의자 고문 허용 등의 법률 해석을 주도하여 논란을 일으켰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 교육과학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이남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5년 6월 28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여주 |
사망일 | 2000년 8월 29일 |
사망지 |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토런스 |
직업 | |
직함 | 최고 사범 |
활동 분야 | 무술 |
소속 | 창무관 |
2. 초기 생애 및 무술 입문
이남석은 1925년 여주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에 서울로 이주하였다. 어린 시절 남동생을 병으로 잃었다.[1] 학창 시절에는 축구를 좋아하고 학급 활동에서 리더십을 발휘했다.[1]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한국이 해방되면서 무술 수련이 다시 가능해졌다. 1946년 윤병인은 서울 YMCA에서 창무관을 창립했고, 이남석은 초대 지도자가 되었다.[2] 윤병인은 만주에서 소년 시절을 보내며 배운 중국 권법의 영향을 받았으며,[2] 도야마 간켄의 수도관에서 가라테를 수련하기도 했다. 이남석은 후나코시 기친의 쇼토칸 가라테를 독학했다.
1953년 한국 전쟁 직후, 이남석은 통신부에서 근무하며 창무관을 재건하고 제자 양성에 힘썼다. 1953년 12월에는 제13회 정기 승급 심사가 열렸고, 이미 수백 명의 학생들이 창무관에서 수련하고 있었다. 1950년대는 도장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시범을 통해 태권도가 널리 알려지던 시기였다.
후나코시 기친의 저서 "가라테 술(唐手術)"의 중국어 번역본을 보고 가라테를 독학하며 무술에 입문했다.[1] 당시 한국은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에, 일본 경찰의 감시를 피해 몰래 훈련해야 했다. 훈련하는 모습이 발각되었다면 죽음을 맞이했을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다.[1]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이남석은 책에 실린 흑백 사진들을 보며 기술을 익혔고, 이는 훗날 창무관의 기초가 되었다.[1] 훗날 그의 제자 존 위덴만(Jon Wiedenman)은 이남석의 생일에 고단샤에서 재출간한 "가라테 술"을 선물했다.
3. 창무관 창립 및 발전
초기 창무관은 중국식 단추가 달린 상의를 착용하기도 했으나,[3] 점차 일본식 도복으로 변화했다. 이는 이남석이 쇼토칸의 철학, 기술, 전통을 창무관에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948년 11월 3일 서울 YMCA에서 제3회 정기 승급 심사가 진행되었고,[3] 12월 21일에는 체신부 창무관부에서 제1회 승급 심사가 열렸다. 이남석은 쇼토칸을 기반으로 창무관의 독자적인 기술 체계를 확립해 나갔다. 창무관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사회 재건에 기여하였다.[4]
4. 창무관 확장 및 태권도 통합 노력
1955년 여러 무술 유파들이 모여 '태권도(跆拳道)'라는 명칭으로 통합될 때 이남석도 참여했다.[6] 1961년 9월 대한태권도협회(KTA)가 창립되었고, 이남석은 초대 총재를 역임했으나 1962년 1월 사임했다.[7]
이후 1967년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1969년 부회장을 역임했다. 1973년 세계태권도연맹(WTF) 창설에 참여하여 집행위원을 지냈다.[7]
4. 1. 해외 진출 및 국제 교류
1970년대 초, 이남석은 한국과 해외의 창무관 도장을 방문하며 창무관 보급에 힘썼다. 1976년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창무관은 약 900개의 도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거의 400개가 해외에 있었다.[8]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이남석은 독일, 브라질, 베네수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와 미국을 순방하며 태권도 및 창무관을 알렸다.[9]
5. 미국 이주와 전통 창무관 부활
1980년대 중반, 이남석은 가족과 함께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 페드로로 이주하였다. 1997년, 전통 창무관 제자들인 존 위덴만, 조지 풀러턴(George Fullerton), 토니 반스(Tony Barnes) 등과 교류하며 창무관 부활에 힘을 쏟았다. 이들은 모두 전통 창무관에서 25년 동안 수련한 사범들이었다.[10]
이남석은 위덴만과 풀러턴에게 전통 창무관의 기술과 철학을 전수하며 제자 양성에 매진했다. 위덴만과 풀러턴은 이남석에게서 가르침을 받기 위해 200명에 가까운 제자와 40명의 검은띠 유단자들에게 이남석의 가르침과 전통을 따르도록 요청하였다. 위덴만은 이남석에게 자신과 제자들이 "잔을 비우고" 그의 가르침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했다.[11]
이남석은 샌 페드로 YMCA에서 다시 도장을 열고 창무관의 명맥을 이어갔다. 그는 위덴만과 풀러턴에게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을 창무관의 근본을 가르쳐 달라는 요청을 받고, 사망할 때까지 이들과 함께 형, 격투 기술, 원스텝 등을 전수했다. 위든만은 이남석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창무관 로고를 재설계하고 철학을 정립했다.[10]
이남석은 2000년 8월 29일 수면 중 사망하기 전까지, 자신이 창시하고 사랑했던 무술을 가르치고 수련했다. 창무관은 1946년 대한민국 서울 YMCA에서 시작되었고, 이남석의 고향인 샌 페드로 YMCA에서 부활하여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해졌다.[12]
6. 이남석의 유산과 평가
이남석은 태권도 발전과 창무관 창립 및 보급에 평생을 헌신한 무술가이다. 그의 노력으로 창무관은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무술 유파로 성장했다. 특히, 민주주의와 인권 존중 정신을 바탕으로 제자들을 지도하고 소외 계층에게도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했다.[1]
2000년 8월 29일, 뇌졸중으로 타계하였으며, 사후 제자 존 위덴(John Wieden)에 의해 "최고 그랜드마스터"로 추대되고 10단 검은띠가 수여되었다.[1] 현재 그의 제자들은 캘리포니아 남부와 애리조나 등지에서 전통 창무관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1]
참조
[1]
논문
Grandmaster Nam Suk Lee: Patriarch of the Chang Moo Kwan (Part 1)
1993-10
[2]
논문
Grandmaster Nam Suk Lee: Patriarch of the Chang Moo Kwan (Part 1)
1993-10
[3]
논문
Taekwondo Changmookwan
1976-09-01
[4]
논문
WTF's Foundation: The Chang Moo Kwan
2000-07
[5]
서적
Martial Arts: Tradition, History, People
https://archive.org/[...]
Gallery Books
[6]
논문
Grandmaster Nam Suk Lee Patriarch of Chang Moo Kwan Part I
1993-10
[7]
논문
Grandmaster Nam Suk Lee: Patriarch of the Chang Moo Kwan (Part II)
1993-12
[8]
논문
Taekwondo Changmookwan
1976-09-01
[9]
논문
Taekwondo Changmookwan
1976-09-01
[10]
논문
Passing the Torch
2002-01
[11]
논문
Passing the Torch
2002-01
[12]
논문
Passing the Torch
2001-01
[13]
논문
Passing the Torch
2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