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달고(Hidalgo)는 12세기 무렵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기원한 귀족 계급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원래는 세금을 면제받는 무관 계급을 의미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혈통, 특권, 공훈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달고는 레콘키스타 시대의 전사들로부터 기원했으며, 문헌에 따라 기사, 하급 귀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 키호테》의 주인공이 있으며, 문학 작품에서 몰락한 귀족의 상징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12세기 초기 카스티야 왕국과 포르투갈에서는 귀족을 뜻하는 낱말로 피조달고(fijo D'algo, 아무개의 자손)의 줄임말인 피달고(fidalgo)가 쓰였다. 훗날 카스티야 왕국과 함께 스페인 왕국을 이루는 아라곤 왕국에서는 같은 의미를 지닌 말로 인판소네즈(Infanzones)를 사용하였다. 중세 시기를 거치면서 포르투갈에서는 작위 없는 귀족을 의미하는 낱말로 동계어인 피달고(fidalgo)가 사용되었지만, 스페인에서는 f가 묵음이 되면서 철자가 변화하여 이달고(Hidalgo)로 바뀌었다.[26] 중세 시대 말, 단어 시작 위치의 f- 소리가 h- 소리로 바뀌면서 hidalgoes[3]( '스페인어의 역사' 참조) 또는 일부 공식적인 맥락에서 "hijo-dalgo"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달고es는 레콘키스타의 전사들로부터 기원한다. 10세기 무렵 레온 왕국의 문헌에는 레콘키스타에 참전한 전사를 이달기아(hidalguía) 또는 인판손(infanzón)으로 기록하였다. 아스투리아스-레오네스 문서에서 infanzónan이라는 용어는 스페인어와 중세 라틴어 용어인 caballeroes와 mileses(둘 다 "기사")의 동의어로 나타난다. 이들 인판손은 거대한 영주와 고위 성직자의 봉신이었으며, 그들을 위해 영지를 운영하는 하급 귀족이었다. 이 초기 시대에는 기병 군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용을 감당할 수만 있다면 mileses가 되는 것이 여전히 가능했다.[4]
이달고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달고 데 상그레(Hidalgos de sangre, 기록없는 귀족)는 역사적이나 법률적인 기록이 불분명한 경우를 말하며, 이들은 종종 귀족 신분을 의심받아 재판정에 세워지기도 하였다. 반면, 4대조가 모두 이달고였다는 것이 기록에서 확인되는 귀족은 이달고 솔라리에고(hidalgo solariego, 유서깊은 귀족)이라 불렸다. 법적으로 신분 세습이 허용되는 일곱 아들 가운데 한 명인 경우에는 이달고 데 브라게타(Hidalgo de bragueta, 코트를 입는 귀족)이라 불렸다.
Hidalgos de sangrees (혈통에 따른 이달고)는 그 기원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고 왕의 수여에 관해 언급하는 문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즉 기억되지 않는 귀족을 의미한다.[5] 이들은 지역 사회와 관습에 의해 인정받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바야돌리드 왕립 고등법원 또는 그라나다에서 자신의 귀족 신분을 인정하는 사법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 이 경우 그의 귀족 신분을 증명하는 법적 문서는 carta ejecutoria de hidalguiaes (귀족 특허장)라고 불렸다.[6][7]
2. 어원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세금을 면제받는 무관 계급, 즉 귀족의 무관의 하위 계층인 하위 랭크의 향사를 포함하게 되었다. Siete Partidases (Leyes de Partidases)는 hidalgoes라는 단어가 완전한 로마 시민권을 가진 남자, itálicoes("이탈리아인")에서 유래했다고 시사한다.
3. 기원
카스티야 왕국이 형성된 뒤 이들은 기사로서 하급 귀족 계층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마을의 치안 유지와 전투 참전 이외에도 의회에 마을을 대표하여 출석하는 역할을 하였다. 12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기사 계급이 이론상 혈통에 의해 폐쇄되기 시작했다. 기독교 왕국이 이슬람 영토로 진출하면서 만들어진 국경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영주가 아니라 caballeroses가 정치, 사회 및 문화 후원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들의 계급에서 또한 왕이 코르테스es를 소집했을 때 도시와 시의 대표가 선출되었다. 12세기에 이 계급은 상위 귀족과 함께 hidalgoses라고 불리기 시작했다.[4][27]
4. 유형
Hidalgos de privilegioes (왕의 특권에 따른 이달고)와 hidalgos de Real Provisiones (공훈에 따른 이달고)는 스페인 국왕이 군주로서, 또는 군사 교우 단체나 헤르만다드의 보호자로서 부여하는 귀족 작위를 의미한다.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및 스페인의 다른 지역에서는 국왕이 7년마다 인구를 hidalgos nobleses와 pecheroses로 분류하는 padronesan ("등록") 작성을 명령했다.[9] hidalgos nobleses는 군사적 지위로 인해 과세가 면제되었고, pecheroses는 estado llanoes ("하위 계급")에 속하여 군 복무에서 제외되는 대신 세금을 내야 했다. 이 padroneses는 오늘날 인구 계보 및 분포, 그리고 특정 경우 귀족 신분에 대한 증거 자료로 활용된다.
시간이 흐르면서, 특히 스페인에서 이달고 작위는 그 의미를 잃었다. 왕들은 개인적인 호의를 대가로 작위를 수여하는 것을 일상적으로 행했다. 부르봉 왕가 통치 시대에는 5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세금 면제 혜택을 누렸는데, 이는 왕실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다. 당시 왕실은 군 복무를 요청하는 대신 전문적인 군대와 비용이 많이 드는 용병에 더 의존했기 때문이다.
19세기 초, 프랑스의 정책에 영향을 받아 모든 hidalgoses는 이전 작위의 특권 없이 모든 시민과 함께 징병 대상이 되었고, pecheroses(납세자)가 되었다. 귀족과 왕족은 이전의 특권과 면제를 유지했지만, 두 신분 (사회 계급)은 강제로 국가에 봉사하고 세금을 내면서 결합되었다.[10][11]
스페인 북부에서는 귀족의 수가 많았고 서민과의 차이는 적었다. 아스투리아스에서는 이달고가 인구의 거의 80%에 달했고, 칸타브리아의 경우 16세기에는 83%, 1740년경에는 90%를 넘었다.[22][23] 비스카이아와 기푸스코아에서는 "이달기아의 보편적 권리"가 있어 모든 주민이 이달고 출신이었다. 16세기에는 푸에로가 바스크 지방의 주민들에게 자동으로 이달고 지위를 부여하여 군대나 행정직에 취업할 수 있게 했는데, 이는 무어인이나 유대인의 피가 섞이지 않았다고 간주되었기 때문이다.[24]
4. 1. 이달고 데 상그레 (Hidalgos de sangre)
역사적이나 법률적인 기록이 불분명한 이달고는 이달고 데 상그레(Hidalgos de sangre, 기록없는 귀족)라고 불렸다.[28] 이들은 종종 귀족 신분을 의심받아 재판정에 세워지기도 하였다.[29]
Hidalgos de sangrees(혈통에 따른 이달고)는 "그 기원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고 왕의 수여에 관해 언급하는 문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 즉 그 기원을 아는 귀족보다 보편적으로 더 칭찬받는 불명예스러운 사람들" 또는 달리 말해, 기억되지 않는 귀족이다.[5]
만약 이달고 데 상그레가 자신의 귀족 신분에 대해 이의가 제기될 경우, 지역 사회와 관습에 의해 인정받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바야돌리드 왕립 고등법원 또는 그라나다에서 자신의 귀족 신분을 인정하는 사법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 이 경우 그의 귀족 신분을 증명하는 법적 문서는 carta ejecutoria de hidalguiaes (귀족 특허장)라고 불린다.[6][7]
4대조가 모두 이달고였다는 것이 기록에서 확인되는 귀족은 이달고 솔라리에고(hidalgo solariego, 유서깊은 귀족)이라 불렸고,[30] Hidalgos solariegoses는 가장 고귀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가장 존경받았다.
4. 2. 이달고 솔라리에고 (hidalgo solariego)
기록상 4대조 모두 이달고로 확인되는 귀족은 이달고 솔라리에고(hidalgo solariegoes, 유서깊은 귀족)라 불렸다.[30] 이달고 솔라리에고는 가장 고귀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가장 존경받았다.
이달고 솔라리에고(hidalgo solariegoes, "조상 대대로 내려온 이달고")의 자격을 얻으려면, 네 명의 조부모가 모두 이달고(hidalgoses)임을 증명해야 했다.
4. 3. 이달고 데 프리빌레히오 (Hidalgos de privilegio)
Hidalgos de privilegioes (왕의 특권에 따른 이달고)와 hidalgos de Real Provisiones (공훈에 따른 이달고)는 스페인 국왕이 군주로서, 또는 군사 교우 단체나 헤르만다드의 보호자로서 부여한 귀족 작위를 의미한다.
4. 4. 이달고 데 브라게타 (Hidalgo de bragueta)
이달고 데 브라게타(Hidalgo de bragueta, 코트를 입는 귀족)는 법적으로 신분 세습이 허용되는 일곱 아들 가운데 한 명인 경우에 해당되었다.[30] 이달고 데 브라게타[8] (바지 앞섶 이달고)는 적법한 결혼으로 7명의 아들을 낳아 세금 면제를 받았다.[20]
5. 사회적 지위와 변화
hidalgo solariegoes ("조상 대대로 내려온 이달고") 자격을 얻으려면 네 명의 조부모가 모두 hidalgoses임을 증명해야 했다. 이들은 가장 고귀한 것으로 여겨졌다.
Hidalgos de privilegioes (왕의 특권에 따른 이달고)와 hidalgos de Real Provisiones (공훈에 따른 이달고)는 스페인 국왕이 부여하는 귀족 작위를 의미한다. Hidalgo de braguetaes[8] ("바지 앞섶 이달고")는 적법한 결혼으로 7명의 아들을 낳아 세금 면제를 받았다.
아스투리아스, 칸타브리아 및 스페인의 다른 지역에서는 국왕이 7년마다 인구를 조사하여 군역으로 인해 세금이 면제되는 hidalgos nobleses와 세금을 내야 하는 pecheroses로 분류했다.[9]
시간이 흐르면서 이달고 작위는 그 의미를 잃었고, 부르봉 왕가 통치 시대에는 5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세금 면제를 누려 왕실 재정에 부담을 주었다. 19세기 초, 프랑스의 정책에 영향을 받아 모든 이달고는 pecheroses(납세자)가 되었고, 이전의 특권 없이 모든 시민과 함께 징병 대상이 되었다. 귀족과 왕족은 이전의 특권과 면제를 유지했다.[10][11]
5. 1. 스페인 북부 지역의 특수성
스페인 북부에서는 귀족의 수가 많았고 서민과의 차이는 적었다. 이는 역사적, 인구 통계적 이유로 민병대가 왕을 지지하기 위해 조직되었기 때문이다. 아스투리아스에서는 이달고가 인구의 거의 80%에 달했다. 칸타브리아의 경우 16세기에 83%, 1740년경에는 90%를 넘는 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22][23] 비스카이아와 기푸스코아에서는 "이달기아의 보편적 권리"가 있어 모든 비스카이아인과 기푸스코아인은 이달고 출신이었다.
16세기에는 푸에로가 바스크 지방 주민들에게 자동적으로 이달고 지위를 부여하여 군대나 행정직에 취업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스페인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이들이 무어인이나 유대인의 피가 섞이지 않았다고 (Limpieza de sangre) 간주되었기 때문이다.[24] 다른 이달고와 달리 이들은 수작업을 거부했다.
6. 문학 속 이달고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문학 속 이달고의 대표적인 예이다.[31]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영리한 이달고'라는 별칭을 붙인 돈 키호테는 전형적인 소설 속 이달고es이다. 세르반테스는 소설에서 돈 키호테가 hidalgo de sangrees(명문 귀족)로 자처하며 경제적 여건이 진정으로 기사도 생활을 할 수 없게 함에도 불구하고 방랑 기사의 삶을 살고 싶어 하는 모습을 풍자적으로 묘사한다.[12] 돈 키호테의 재산은 그가 독서에 몰두하는 비참한 삶을 살도록 했지만, 그의 명예관은 그가 방랑 기사를 모방하도록 이끌었다.
풍자 소설 ''라사리요 데 토르메스의 생애''에는 식사를 한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옷에 빵 부스러기를 뿌릴 정도로 가난한 이달고es가 등장한다. 그의 이달고es 명예는 육체 노동을 금하지만, 그에게 생계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우의 ''길가 여인숙의 이야기''에는 이달고es가 두 딸을 대심문관에게 배신하는 비극을 묘사하는 "신학자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달고es는 스스로 불을 지른 다음, 탑에서 절망의 심연으로 몸을 던진다.
참조
[1]
웹사이트
hidalgo, ga
https://dle.rae.es/?[...]
Real Academia Española
2019-10-16
[2]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https://archive.org/[...]
Wordsworth Editions
[3]
서적
Hijo
Editorial Gredos
[4]
문서
España y el feudalismo carolingio
[5]
간행물
"''Examen de ingenios para las ciencias''"
Cátedra
[6]
간행물
"''La carta ejecutoria de hidalguía: Un espacio gráfico privilegiado''"
http://dialnet.uniri[...]
2009-05-30
[7]
간행물
"''Sala de los Hijosdalgo: Catálogo de todos sus pleitos, expedientes y probanzas''"
Ediciones Hidalguía, Instituto Internacional de Genealogía y Heráldica
[8]
웹사이트
hidalgo
http://buscon.rae.es[...]
[9]
문서
Suárez Fernández, 144
[10]
서적
Historia de Cantabria
Editorial Cantabria S.A.
[11]
웹사이트
La Hidalguia en el pueblo Cantabro
http://www.anievas.o[...]
Valle de Anievas
[12]
간행물
"''El 'Quijote' y la picaresca: la figura del hidalgo en el nacimiento de la novela moderna''"
http://cvc.cervantes[...]
2009-06-02
[13]
웹사이트
hidalgo, ga
https://dle.rae.es/?[...]
Real Academia Española
2019-10-16
[14]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https://archive.org/[...]
Wordsworth Editions
[15]
문서
España y el feudalismo carolingio
[16]
문서
España y el feudalismo carolingio
[17]
간행물
"''Examen de ingenios para las ciencias''"
Cátedra
[18]
간행물
"''La carta ejecutoria de hidalguía: Un espacio gráfico privilegiado''"
http://dialnet.uniri[...]
2009-05-30
[19]
간행물
"''Sala de los Hijosdalgo: Catálogo de todos sus pleitos, expedientes y probanzas''"
Ediciones Hidalguía, Instituto Internacional de Genealogía y Heráldica
[20]
웹사이트
hidalgo
http://buscon.rae.es[...]
[21]
문서
Suárez Fernández, 144
[22]
서적
Historia de Cantabria
Editorial Cantabria S.A.
[23]
웹사이트
La Hidalguia en el pueblo Cantabro
http://www.anievas.o[...]
Valle de Anievas
2021-05-21
[24]
문서
Corografía de la muy noble y muy leal provincia de Guipúzcoa
[25]
간행물
"''El 'Quijote' y la picaresca: la figura del hidalgo en el nacimiento de la novela moderna''"
http://cvc.cervantes[...]
2009-06-02
[26]
문서
Hijo
[27]
문서
España y el feudalismo carolingio
[28]
문서
Examen de ingenios para las ciencias
[29]
문서
La carta ejecutoria de hidalguía: Un espacio gráfico privilegiado
[30]
웹사이트
hidalgo
http://buscon.rae.es[...]
[31]
문서
El 'Quijote' y la picaresca: la figura del hidalgo en el nacimiento de la novela moder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