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예는 사회 집단 내에서 개인의 의무를 규정하는 사회적 행동 규범으로, 존엄성, 체면 등과 구별된다. 명예는 개인의 양심이나 법치주의와 같은 현대적 가치관에 의해 점차 대체되었지만, 군대나 스카우트 단체와 같은 조직, 그리고 파슈툰족, 남부 이탈리아인 등 전통적인 문화권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명예는 가족의 명예로 확장되어 사회적 규범 준수를 강화하기도 하며, 명예 문화는 자원 부족, 법 집행의 부재 등 특정 조건에서 나타난다. 대한민국 법체계에서는 명예권이 헌법과 판례를 통해 인정되며,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구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명예는 사회적 지위, 철수, 표창 등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과 명예 칭호로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예 - 의형제
의형제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동맹, 우정, 형제애를 맺는 의식이나 행위를 통해 형성되는 특수한 관계를 의미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혈액 의식, 맹세 등을 통해 맺어지고, 부족 간 동맹, 정치적 목적, 개인 간 유대 관계를 위해 활용된다. - 명예 - 자기조절
자기조절은 개인이 행동, 감정, 사고를 스스로 통제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으로, 절제, 자제력, 의지력과 관련되며 학업 성취, 사회 적응, 신체 건강 등 삶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명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명예 |
영어 | honour |
일본어 | 名誉 |
개념 | |
정의 | 도덕적, 사회적 존경이나 존엄성의 의미를 가지는 추상적인 개념 |
사회적 역할 | 개인의 행동을 규제 사회적 지위와 정체성을 형성 |
중요성 | 사회적 유대 강화 규범 준수 동기 부여 사회적 평가 및 인정의 기준 |
관련 개념 | 존경 평판 위신 인격 정의 도덕 윤리 |
명예의 종류 | |
개인적 명예 | 개인의 도덕적 가치나 성품에서 비롯되는 명예 |
사회적 명예 | 사회적 지위나 역할에서 비롯되는 명예 |
직업적 명예 | 특정 직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명예 |
국가적 명예 | 국가 또는 민족이 가지는 명예 |
가족 명예 | 가족 구성원 전체에 적용되는 명예 |
명예의 특징 | |
가변성 | 문화, 사회,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와 중요성을 가짐 |
상대성 | 개인과 집단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음 |
주관성 | 개인의 인식과 평가에 크게 좌우됨 |
경쟁적 성격 |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받을 수 있음 |
불안정성 | 행동과 평판에 따라 쉽게 변할 수 있음 |
명예와 문화 | |
서양 문화 | 고대 그리스: 영웅적 행위와 연관 중세 시대: 기사도 정신과 연관 근대 시대: 개인의 도덕적 가치와 연관 |
동양 문화 | 유교 문화권: 효, 충, 예와 연관 일본: 무사도 정신과 연관 인도: 카스트 제도와 연관 |
지중해 문화권 | 남성 중심적인 문화에서 여성의 순결과 가족 명예 중요시 |
명예의 상실 | |
원인 | 부정직한 행위 약속 불이행 범죄 행위 배신 행위 비윤리적인 행동 사회적 규범 위반 |
결과 | 사회적 비난 고립 불이익 가족 및 공동체에서 배척 심리적 고통 및 좌절 수치심 |
명예와 법 | |
법률적 보호 | 명예훼손으로부터 보호받음 |
명예훼손 | 형사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음 민사적 손해배상 책임 발생 |
명예 관련 주요 쟁점 | |
명예와 평판 | 명예는 사회적 평가를 넘어 개인의 내면적 가치와 연결됨 |
명예와 여성 | 일부 문화권에서 여성의 행동에 대한 규범적 제약으로 작용 |
명예와 폭력 | 명예를 지키기 위해 폭력적인 행동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함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존엄성 명예 살인 자기 존중 자기 긍정 자긍심 자존감 수치심 평판 위신 인격 정의 도덕 윤리 |
2. 사회적 맥락
사회적 행동 규범으로서 명예는 사회 집단 내 개인의 의무를 정의하며, 법적 규범과는 달리 명시적이지 않고 암묵적인 형태로 존재한다.[1] 명예는 개인의 존엄성 및 사회적 체면과 관련된다.
군대(복무 중인 장교들은 명예 법정을 열 수 있음)나 스카우트 단체(역시 "명예 법정"을 가지고 있음)[6]와 같이 군대 정신을 가진 조직에서 명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파슈툰족, 남부 이탈리아, 폴란드인, 페르시아인, 터키, 아랍인, 이베리아, "구 남부" 또는 디크시와 같은 전통적인 문화에서 명예가 더 중요하게 남아있다는 대중적인 고정관념이 있는데, 이는 오리엔탈리즘과 유사한 인식이다. 전근대 사회는 현대 산업 사회보다 명예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4]
근대 초기 독일 사회에서 무두장이, 사형 집행인, 묘지기, 목동, 이발사 외과의, 제분사, 마직물 직조공, 암퇘지 거세꾼, 인분 수거인, 집달리와 그 가족들은 "불명예스러운 사람들"(''unehrliche Leute'')에 속했다.[9]
2. 1. 명예와 존엄성
사회적 행동 규범으로서의 명예는 사회 집단 내 개인의 의무를 정의한다. 마가렛 비서(Margaret Visser)는 명예 사회에서 "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춰진 그대로의 존재"라고 지적한다.[1] 명예는 명시적이고 객관화되기보다는 암묵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정의되고 정의에 관심을 가지는 법적 규범과는 다르다.명예는 존엄성과 구별될 수 있다. 워즈워스(Wordsworth)는 존엄성이 공동체의 판단이 아니라 개인의 양심에 따라 측정된다고 평가했다.[2] 사회학적 개념인 "체면"과도 비교해 볼 수 있다.
새뮤얼 존슨은 명예에 대해 "영혼의 고결함, 관용, 비열함에 대한 경멸"이라고 정의했다. 명예 문화는 세계 곳곳에서 독립적으로 생겨났지만, 이러한 명예는 많은 문화에서 존중받고 있다.[34] 또한 개인의 정직함과 성실성이 오늘날 명예의 주요 의미에 포함되어 있다. 명예 문화의 구성원들에게는 우위, 지위, 명성을 지키기 위해 폭력도 불사할 각오가 되어 있다.[34] 모욕과 그것에 대항할 필요성은 명예 문화에서 중요시된다.
명예 문화는 여러 지역의 고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명예와 보복이 전사의 행동 원리로 묘사되어 있다.[35]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등에서 명예와 불명예(치욕)가 덕이나 분노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논하고 있다.[36] 키케로의 『스키피오의 꿈』이나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은 명예의 허무함을 설파하고 있다.[37]
중국과 일본에서는 "명예"(honor)의 유사어로 "名"(나, 이름), "체면", "체면"(면자)이 있으며, 『노자』 등이 명예의 허무함을 설파하고 있다.[38] 루스 베네딕트는 『국화와 칼』에서 일본 문화를 명예와 체면을 행동 원리로 하는 "수치 문화"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2. 2. 명예의 역사적 변천
초기 중세 시대에 영주(lord) 또는 영부인(lady)의 명예는 그들이 소유한 영지 또는 토지 집단을 의미했다. "이 단어는 처음 사용될 때, 소유자에게 존엄성과 지위를 부여하는 재산을 나타냈다."[3] "내 명예를 걸고"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히 그의 또는 그녀의 성실성과 지위를 확인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말 뒤에 있는 진실성은 그가 또는 그녀가 재산을 담보와 보증으로 제공할 의향이 있음을 의미했다.명예 개념은 현대 서구 세계에서 중요성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 맥락에서는 양심이 명예를 대체했고,[4] 사회적 맥락에서는 법치주의(그 안에 정의된 권리와 의무)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2. 3. 명예 문화와 법 문화
명예 문화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준수해야 하는 법률 체계와 위반자에 대한 처벌을 갖춘 법 문화와 대조된다.[1] 법 문화는 사회 계약을 포함하며, 사회 구성원은 사회가 위반자를 체포하고 처벌한다는 이해 하에 자신을 방어하고 피해에 대한 보복을 할 자유의 일부를 포기한다.[4]명예 문화에서는 평판이 중요하며, 계약 위반은 공동체에서의 배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계약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무력 사용을 승인하는 법원이 없는 시스템에서, 명예로운 평판은 거래 파트너 간의 신뢰를 증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계약을 파기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파괴적일 수 있는데, 미래의 잠재적 거래 파트너가 거짓말을 하거나 돈이나 물건을 훔치거나, 빚을 갚지 않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더 이상 신뢰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불명예스러운 사람은 나쁜 행동을 처벌하고 다른 사람들이 명예를 유지하도록 유인하기 위해 공동체에서 배척될 수 있다.
2. 4. 가족 명예
개인의 명예는 가족의 명예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규범 준수에 대한 유인을 강화한다.[10] 극단적인 경우, 명예 살인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강한 명예 문화에서는 규범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에게 순응을 강요하거나 압력을 가하고, 범법자에게 신체적 또는 심리적으로 처벌을 가할 수 있다. 폭력 사용은 여러 친척들이 함께 행동하는 집단적 성격을 띨 수 있다.[10] 가족 수준의 결투와 복수는 지속적인 피의 복수로 이어질 수 있다.
성과 관련된 명예는 역사적으로 종종 정절과 관련이 있다. "명예"의 보존은 주로 독신의 처녀성 유지와 나머지 인구의 배타적인 일부일처제 유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명예에 대한 개념은 문화에 따라 크게 다르다. 일부 문화에서는 가족의 "명예를 더럽힌" 가족 구성원(대부분 여성)에 대한 명예 살인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본다. 이때 "명예를 더럽힌" 행위는 보통 가족의 뜻에 반하여 결혼하거나(예: 중매 결혼을 거부하거나), 결혼 외의 성관계를 갖거나,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방식으로 옷을 입거나, 동성애 관계를 맺거나, 심지어 강간 피해자가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서구 관찰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명예 살인을 남성들이 명예 문화를 이용하여 여성의 성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본다.[7] 인도에서는 하층 카스트 남성에 대한 명예 살인 사례가 있었다.[8]
3. 명예 문화의 특징
명예 문화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준수해야 하는 법률 체계와 위반자에 대한 처벌을 갖춘 법 문화와 대조된다. 법 문화는 사회 계약을 통해 구성원들이 자신을 방어하고 피해에 대한 보복을 할 자유의 일부를 포기하는 대신, 사회가 위반자를 체포하고 처벌하는 것을 보장한다.
명예는 평판을 통해 작동하며, 계약 이행을 보장하는 법원이 없는 시스템에서 명예로운 평판은 거래 파트너 간의 신뢰를 증진하는 데 중요하다. 계약을 파기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파괴적일 수 있으며, 불명예스러운 사람은 공동체에서 배척될 수 있다. 명예가 의심받는 경우, 결투와 같은 수단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기도 했다.
명예는 자녀 양육, 군 복무, 지역 공동 프로젝트 기여, 복수 등 특정 행동을 수행할 의무를 의미하기도 한다. 플라톤부터 몽테뉴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상가들이 명예 문화에 필요한 사고방식에 대해 언급했다.
인류학자들은 명예 문화가 유목민, 특히 귀중한 재산을 가지고 다니며 도난당할 위험이 있는 목축민들 사이에서 나타난다고 본다. 이들은 법 집행 기관이나 정부의 도움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신속하고 과도한 복수를 할 수 있다는 평판을 만들어 자신과 재산을 보호한다.[15] 리처드 니스벳은 명예 문화가 자원 부족, 절도 및 범죄의 이익이 위험보다 큰 상황, 충분한 법 집행의 부재라는 세 가지 조건이 존재할 때 종종 발생한다고 보았다.[16] 역사적으로 명예 문화는 목축이 경제를 지배하는 곳에서 존재했지만, 현대 빈민가와 같은 곳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18세기 문학가 새뮤얼 존슨은 명예를 "영혼의 고결함, 관용, 비열함에 대한 경멸"이라고 정의했다. 명예 문화는 세계 곳곳에서 독립적으로 생겨났지만, 이러한 명예는 많은 문화에서 존중받고 있다.[34] 개인의 정직함과 성실함은 오늘날 명예의 주요 의미에 포함되며, 명예 문화의 구성원들은 우위, 지위, 명성을 지키기 위해 폭력도 불사한다.[34] 모욕과 그것에 대항할 필요성은 명예 문화에서 중요시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명예와 보복이 전사의 행동 원리로 묘사되어 있으며,[35]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등에서 명예와 불명예(치욕)가 덕이나 분노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논하고 있다.[36]
중국과 일본에서는 "명예"(honor)의 유사어로 "名"(나, 이름), "체면" 등이 있으며, 루스 베네딕트는 『국화와 칼』에서 일본 문화를 명예와 체면을 행동 원리로 하는 "수치 문화"로 평가했다.[39]
3. 1. 명예 문화의 지속성
한번 형성된 명예 문화는 법 문화로 전환하기 어렵다. 명예 문화의 관점에서 보면, 개인이 자제하는 것은 약점과 유화 정책을 반영하는 굴욕적인 행동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12] 이러한 인식은 즉각적인 보복을 거부하고 물러서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한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 캐나다인 중 역사적으로 왕립 캐나다 기마경찰의 손이 닿지 않는 지역 사회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주도하는 폭력적인 명예 규범을 물려받는 것으로 보인다.[17]
4. 명예와 관련된 개념
명예는 역사적으로 정절과 같은 성과 관련된 개념과 연관되어 왔다. "명예"를 지킨다는 것은 주로 결혼하지 않은 여성의 처녀성을 유지하고, 결혼한 여성의 경우 일부일처제를 지키는 것을 의미했다.[7]
이러한 명예 개념은 문화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일부 문화에서는 가족의 "명예를 더럽힌" 여성 가족 구성원에 대한 명예 살인을 정당화하기도 한다. "명예를 더럽힌" 행위에는 가족의 뜻에 반하는 결혼, 결혼 외 성관계, 부적절한 옷차림, 동성애 관계, 심지어 강간 피해자가 되는 것까지 포함될 수 있다.[7] 서구의 관찰자들은 이러한 명예 살인이 남성이 여성의 성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명예 문화를 이용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7] 인도에서는 하층 카스트 남성에 대한 명예 살인 사례도 있었다.[8]
5. 역사 속 명예
사회적 행동 규범으로서의 명예는 사회 집단 내 개인의 의무를 정의한다. 마가렛 비서(Margaret Visser)는 명예 사회에서 "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춰진 그대로의 존재"라고 지적한다.[1] 명예 규범은 사회적으로 정의되고 정의에 관심을 가지는 법적 규범과는 다르다. 명예는 명시적이고 객관화되기보다는 암묵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명예는 존엄성과 구별될 수 있다. 워즈워스(Wordsworth)는 존엄성이 공동체의 판단이 아니라 개인의 양심에 따라 측정된다고 평가했다.[2] 사회학적 개념인 "체면"과도 비교해 볼 수 있다.
초기 중세 시대에 영주(lord) 또는 영부인(lady)의 명예는 그들이 소유한 영지 또는 토지 집단을 의미했다. "이 단어는 처음 사용될 때, 소유자에게 존엄성과 지위를 부여하는 재산을 나타냈다."[3] "내 명예를 걸고"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히 그의 또는 그녀의 성실성과 지위를 확인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말 뒤에 있는 진실성은 그가 또는 그녀가 재산을 담보와 보증으로 제공할 의향이 있음을 의미했다.
명예 개념은 현대 서구 세계에서 중요성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 맥락에서는 양심이 명예를 대체했고,[4] 사회적 맥락에서는 법치주의(그 안에 정의된 권리와 의무)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대중적인 고정관념은 파슈툰, 남부 이탈리아, 폴란드인, 페르시아인, 터키, 아랍인, 이베리아, "구 남부" 또는 디크시)과 같은 전통적인 문화에서 명예가 더 확실하게 남아 있다고 여기는데, 이는 오리엔탈리즘과 유사한 인식이다. 전근대 사회는 현대 산업 사회보다 명예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4] 캔터베리의 성 안셀무스()는 그의 봉건 사회의 명예 개념을 확장하여 하느님의 명예를 상정했다.[5]
군대(복무 중인 장교들은 명예 법정을 열 수 있음)나 스카우트 단체(역시 "명예 법정"을 가지고 있음)[6]과 같이 군대 정신을 가진 조직에서는 명예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성과 관련된 명예는 역사적으로 종종 정절과 관련이 있었다. "명예"의 보존은 주로 독신의 처녀성 유지와 나머지 인구의 배타적인 일부일처제 유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명예에 대한 개념은 문화에 따라 크게 다르다. 일부 문화에서는 가족의 "명예를 더럽힌" 가족 구성원(대부분 여성)에 대한 명예 살인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본다. 이때 "명예를 더럽힌" 행위는 보통 가족의 뜻에 반하여 결혼하거나(예: 중매 결혼을 거부하거나), 결혼 외의 성관계를 갖거나,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방식으로 옷을 입거나, 동성애 관계를 맺거나, 심지어 강간 피해자가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서구 관찰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명예 살인을 남성들이 명예 문화를 이용하여 여성의 성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본다.[7] 인도에서는 하층 카스트 남성에 대한 명예 살인 사례가 있었다.[8]
무두장이, 사형 집행인, 묘지기, 목동, 이발사 외과의, 제분사, 마직물 직조공, 암퇘지 거세꾼, 인분 수거인, 집달리와 그 가족들은 근대 초기 독일 사회에서 "불명예스러운 사람들"(''unehrliche Leute'')에 속했다.[9]
18세기 문학가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은 명예에 대해 "영혼의 고결함, 관용, 비열함에 대한 경멸"이라고 정의했다. 명예 문화는 세계 곳곳에서 독립적으로 생겨났지만, 이러한 명예는 많은 문화에서 존중받고 있다.[34] 또한 개인의 정직함과 성실함이 오늘날 명예의 주요 의미에 포함되어 있다. 명예 문화의 구성원들에게는 우위, 지위, 명성을 지키기 위해 폭력도 불사할 각오가 되어 있다.[34] 모욕과 그것에 대항할 필요성은 명예 문화에서 중요시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명예와 보복이 전사의 행동 원리로 묘사되어 있으며,[35]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등에서 명예와 불명예(치욕)가 덕이나 분노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논하고 있다.[36] 키케로의 『스키피오의 꿈』이나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은 명예의 허무함을 설파하고 있다.[37]
중국에서는 "명예"(honor)의 유사어로 "名"(나, 이름), "체면", "체면"(면자)이 있으며, 『노자』 등이 명예의 허무함을 설파하고 있다.[38]
5. 1. 일본의 명예
중세 일본에서는 개인이나 가계, 소속 집단의 명예를 지키는 것이 중요시되었으며, 명예가 훼손된 경우 결투나 전쟁 등의 해결 수단이 취해졌다. 무가 사회에서는 할복이나 원수 갚기가 명예 회복의 수단이었다.에도 시대에는 “영예벌(栄誉罰)”, “명예벌(名誉罰)” 등의 단어가 사용되었지만, 이는 책임을 다하지 못했을 때 제재를 받는다는 성격의 “명예”였으며, 각 개인의 “영예”는 법으로 보호되어야 할 이익이라는 개념은 없었다.
메이지 시대에 “명예”를 법으로 보호해야 할 이익 중 하나라는 개념이 확립되었다. 瀬川信久에 따르면, 1882년(메이지 15년) 이전에는 일본에서 명예 회복을 요구하는 소송은 없었고, 1883년(메이지 16년)에 행해진 명예 회복을 요구하는 소송에서는 고소나 보도에 의한 권리 침해로 빼앗긴 이익을 “명예”라고 부르고 있었는데, 이는 명예라는 개념의 존재, 즉 법으로 보호되어야 할 이익이라는 개념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고 있다.
6. 법률
명예는 생명, 신체와 함께 매우 중요한 보호법익이고, 인격권으로서의 명예권은 배타성을 가지는 권리이다. 사람의 품성, 덕행, 명성, 신용 등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로부터의 객관적인 평가인 명예를 위법하게 침해당한 자는 손해배상 또는 명예회복을 위한 처분을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격권으로서 명예권에 기초하여 가해자에 대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침해행위를 배제하거나 장래에 생길 침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침해행위의 금지를 구할 수도 있다.[41]
6. 1. 명예권 (대한민국)
명예권은 인격권의 일부로, 자신의 명예(평판)를 보호받을 권리이다. 대한민국 법체계에서는 명예권에 대한 명문 규정이 없지만, 헌법 제10조(인격권 존중) 및 관련 판례를 통해 인정되고 있다.[41] 민법 제750조 등을 통해 명예를 보호받을 수 있다.타인을 비방하거나 중상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이라 한다. 명예훼손은 범죄이며,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해당한다. 손해배상을 명령받을 수도 있다. 명예훼손이 발생했을 때, 이를 방치하지 않고 명예(평판)를 어떤 방법으로든 회복하는 수단·절차를 명예회복이라고 한다.
6. 2. 명예훼손 (대한민국)
타인을 비방하거나 중상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이라고 한다. 명예훼손은 범죄이며,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해당한다.[41] 손해배상을 명령받을 수도 있다. 명예훼손이 발생했을 때, 이를 방치하지 않고 명예(평판)를 어떤 방법으로든 회복하는 수단·절차를 명예회복이라고 한다.6. 3. 명예 회복 방법 (대한민국)
대한민국 법체계에서는 명예권에 대한 명문 규정이 없으며, 대한민국 헌법 제10조(인격권 존중) 및 관련 판례를 통해 인정되고 있다.[41] 명예권은 인격권의 일부로 이해되며, 자신의 명예(평판)를 보호할 권리는 대한민국 민법 제750조(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 등을 통해 인정되고 보호받는다.타인을 비방하거나 중상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이라 한다. 명예훼손은 범죄이며, 대한민국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해당한다. 손해배상을 명령받을 수도 있다. 명예훼손이 발생했을 때, 이를 방치하지 않고 명예(평판)를 어떤 방법으로든 회복하는 수단·절차를 명예회복이라고 한다.
명예가 훼손된 경우, 민사소송을 통해 법적 구제를 받을 수 있다. 민사소송에서는 손해배상, 사과 광고, 금지 명령 등을 청구할 수 있다.
미디어에 의한 명예훼손의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정정 방송,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의한 분쟁 해결 등, 대한민국 방송법에 의한 해결책도 구할 수 있다.
7. 판례
대한민국 대법원은 명예를 "사람의 품성, 덕행, 명성, 신용 등의 인격적 가치에 관하여 사회로부터 받는 객관적인 평가"로 정의한다.[41] 명예훼손 시 손해배상뿐만 아니라 명예권에 기초하여 침해행위의 금지를 구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41]
8. 명예와 관련된 표현
18세기 문학가 새뮤얼 존슨은 명예에 대해 "영혼의 고결함, 관용, 비열함에 대한 경멸"이라고 정의했다. 명예는 세계 곳곳의 문화에서 존중받고 있으며,[34] 개인의 정직함과 성실함 또한 오늘날 명예의 주요 의미에 포함된다.
- 지위와 명예: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와 명성, 명망이 있는 것.
- 명예로운 철수: 대의 있는 철수를 의미함.
- 명예로운 일: 표창을 받는 경우, 답례로서 말하는 것. “영광스러운 일”과 동의어.
9. 명예 칭호
명예 칭호는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형식적으로 수여하는 직위나 직책명 앞에 붙이는 말이다.[1] 예를 들어 명예시민, 명예회장, 명예교수 등이 있다.[1]
어떤 직위나 직책을 수여하고 싶지만, 실제로 직무를 맡길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1] 이는 해당 직위에 있는 것처럼 대우하는 것이며, 실질적인 권한은 없는 경우가 많다.[1] 예를 들어, 명예시민은 시에서 존경의 의미를 표하는 것이지만, 실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시민으로서의 권리나 납세 의무는 없다.[1]
직책의 경우 "명예직"이나 "영예직"이라고도 하며, 실질적인 직무나 권한은 거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1] 예를 들어, 오랫동안 회장직을 맡았던 인물이 고령으로 인해 물러나게 될 때, 조직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원활한 세대교체를 위해 "명예회장" 직위를 주는 경우가 있다.[1]
명예 칭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
종류 |
---|
참조
[1]
뉴스
A conversation with Margaret Visser: diagnosing that feeling of helplessness
http://findarticles.[...]
2011-03-10
[2]
서적
Left upon a Seat in a Yew-tree, which stands near the lake of Esthwaite, on a desolate part of the shore, commanding a beautiful prospect
https://www.bartleby[...]
[3]
서적
A Dictionary of Medieval Terms and Phrases
D.S. Brewer
[4]
서적
The Warrior's Honour: Ethnic War and the Modern Conscience
Henry Holt and Co.
[5]
서적
A Brief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12-30
[6]
서적
Scouting For Boys: A Handbook for Instruction in Good Citizenship Through Woodcraft
https://books.google[...]
Scout Association
1991
[7]
뉴스
Honour killings of girls and women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3-12-03
[8]
뉴스
India Dalit man hacked to death in 'honour killing'
https://www.bbc.com/[...]
2016-03-14
[9]
서적
Defiled Trades and Social Outcasts – Honor and Ritual Pollution in Early Modern Germany
https://catdir.loc.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뉴스
Kollektivistiska strukturer
http://www.hedersfor[...]
2017-11-15
[11]
multiref
From virility to virtue: the psychology of apology in honor cultures
https://edition.cnn.[...]
CNN
2022
[12]
multiref
Honor & Slavery: Lies, Duels, Noses, Masks, Dressing as a Woman, Gifts, Strangers, Humanitarianism, Death, Slave Rebellions, the Proslavery Argument, Baseball, Hunting, and Gambling in the Old South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저널
Honor, shame and the politics of sexual embodiment among South Asian Muslims in Britain and beyond: An analysis of debates in the public sphere
[14]
저널
Honor as a value in Finland, Estonia, Italy, Russia, and Switzerland
[15]
저널
The Evolutionary Basis of Honor Cultures
2015-11-25
[16]
서적
Culture of Honor
[17]
뉴스
Canada's History of Violence
https://www.nytimes.[...]
2016-05-22
[18]
저널
1812: Conservatives, War Hawks and the Nation's Honor
[19]
저널
The metaphor of force in prowar discourse: The case of 1812
[20]
서적
The causes of the War of 1812: National honor or national interest?
Holt, Rinehart, and Wilson
[21]
서적
Injured Honor: The Chesapeake-Leopard Affair, June 22, 1807
Naval Institute Press
[22]
저널
Congressman Ezekiel Bacon of Massachusetts and the Coming of the War of 1812
[23]
저널
Ohio's Congressmen and the War of 1812
[24]
multiref
War Sentiment in Western Pennsylvania: 1812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5]
저널
Martial Sons: Tennessee Enthusiasm for the War of 1812
[26]
저널
The Coming of the War of 1812 in Michigan Territory
[27]
서적
The American Military Tradition: From Colonial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7
[28]
서적
The Jeffersonian Persuasion: Evolution of a Party Ideology
https://books.google[...]
Cornell UP
[29]
서적
What So Proudly We Hailed: Essays on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War of 1812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30]
multiref
Reputation and Status as Motives for War
https://www.bostongl[...]
2014-05-11
[31]
사전
명예
広辞苑
[32]
사전
명예
大辞泉
[33]
판례
대판 明治38년 12월 8일 민록 11輯 1665頁, 최대판 昭和61년 6월 11일 민집 40巻 4号 872頁
[34]
서적
명예와 폭력: 미국의 남부 문화와 심리
북대로서방
[35]
저널
인간과 인간을 초월하는 것 ──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명예와 보복의 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
[36]
논문
アリストテレス倫理学におけるアイドース(恥)
[37]
서적
キケロ-ヨーロッパの知的伝統
岩波書店
[38]
서적
「名」と「恥」の文化
講談社
[39]
논문
『菊と刀』にみる「恥の文化」
法政大学国際日本学研究所
[40]
판례
北方ジャーナル事件判決文
最高裁
[41]
법원판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