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류 (성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류는 파저족 출신으로, 오호 십육국 시대 성한의 건국자 이특의 동생이다. 형 이특과 함께 촉으로 이주하여 거병,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이특 사후 군대를 이끌다 나상에게 항복하려 했다. 조카 이웅의 만류와 범장생의 지원으로 군대를 유지했으나, 303년 9월 병사하여 이웅에게 군사 지휘권을 넘겨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한 - 이특 (성한)
이특은 파저족 출신으로 후한 말 유랑민들을 이끌고 촉 지역에서 세력을 키웠으며, 서진 조정에 대항하다 뤄상과의 전투에서 패하여 사망했고, 아들 이웅이 성한을 건국하여 사후 경황제로 추존되었다. - 248년 출생 - 사마유
사마유는 서진 시대의 인물로, 사마의의 손자이자 사마소의 차남이며, 사마염의 동복 동생으로, 총명하고 온화한 인품을 가졌으나 정치적 모함으로 청주 제군사로 임명되어 귀국 후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이 팔왕의 난의 시초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 248년 출생 -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아내이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이며, 기독교로 개종하여 성지 순례, 교회 건립, 유물 발견에 기여했고,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던 십자가를 발견한 인물이다. - 303년 사망 - 성 게오르기우스
성 게오르기우스는 3~4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순교한 로마 군 장교로, 용을 물리치는 전설로 기사도의 상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조지아 등의 수호성인으로 4월 23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 303년 사망 - 육기
육기는 동오 황실과 관련된 인물로, 오나라 멸망 후 서진에서 문인 관료로 활동하며 문학적 재능을 발휘했고, 팔왕의 난 시기에는 군 지휘관으로 활동하다 모함으로 처형당했다.
이류 (성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류 |
한자 | 李流 |
로마자 표기 | I Ryu |
시대 | 성한 |
재위 기간 | 기원후 303년 3월 - 기원후 303년 10월 (추정) |
칭호 | 대장군, 대도독, 익주 목 |
생애 | |
출생 연도 | 기원후 248년 |
사망 연도 | 기원후 303년 (추정)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모 |
즉위 및 통치 | |
즉위 | 이특의 뒤를 이어 즉위 |
묘호 | 없음 |
시호 | 진 문왕 |
연호 | 건초 (기원후 303년) |
후계자 | 이웅 |
2. 생애
이류는 파저족 출신으로 이특의 동생이다. 이특과 함께 유랑민을 이끌고 촉(蜀)으로 이주하였다. 303년 2월, 이특이 나상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자 뒤를 이어 군대를 이끌었다. 한때 나상의 군대에 압도되어 항복을 생각하였으나 조카 이웅의 만류로 그만두었다. 이웅이 군사를 이끌어 나상의 군대에 맞서고 익주(益州)의 현자 범장생이 식량을 원조하여 주자 기세를 회복하여 나상의 군대를 압박하였다. 9월에 병에 걸려 이웅에게 후사를 맡기고 죽었다.
2. 1. 초기 생애와 이주
이류는 파저족 출신으로 이특의 동생이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활과 말 타기에 능숙했다. 동강교위 하반은 이류가 맹분과 하육같은 용맹함을 지녔다고 칭찬하며 동강독에 임명했다.[4]원강 6년(296년), 저족의 제만년이 서진에 반란을 일으키자 약양·천수를 시작으로 6군의 백성들은 식량을 찾아 이주로 피난했다. 이류도 형제들과 함께 이주로 이주했는데, 도중에 병과 기아에 시달리는 자가 많았지만 이들을 잘 돕고 보호하여 크게 인망을 얻었다.[4]
2. 2. 이특 휘하에서의 활약
이류는 파저족 출신으로 이특의 동생이다. 어릴 적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숙했으며, 동강교위 하반은 이류의 용맹함을 칭찬하며 동강독에 임명했다.[4]원강 6년(296년), 저족의 제만년이 서진에 반란을 일으키자, 이류는 형제들과 함께 익주로 피난했다. 이들은 피난민들을 잘 도왔기 때문에 크게 인망을 얻었다.[4] 익주자사 조심은 이류를 비범한 인물로 칭찬하고 후대하며 자신의 심복으로 삼았다.[4]
태안 원년(302년) 1월, 조심이 난을 일으키자 이류는 형 이상과 함께 반란에 참여했다. 그러나 조심은 이샹을 죽였고, 이특과 이류는 이에 분노하여 조심을 공격해 성도에서 몰아냈다.[5]
이특은 익주를 장악했지만, 낙상이 이끄는 진나라 군대가 접근하자 우호 관계를 맺으려 했다. 이류는 면죽에서 뤄상에게 소와 술을 보내는 임무를 맡았고, 뤄상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류는 조심을 진압한 공로로 용맹장군에 임명되었다.[6]
그러나 낙양 조정이 피난민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특은 뤄상에게 체류 연장을 간청했지만, 뤄상은 결국 피난민들을 돌려보내기로 결정했고, 이특은 전쟁을 준비했다. 이류는 형을 도와 병력을 모으고 난민들을 훈련시켰다.[7]
301년, 이특이 첫 승리를 거두자, 이류는 동방을 지키는 대장군으로 임명되어 여러 작전에 참여했다. 302년, 이류는 비교 공격에 참여하여 뤄상의 정예 부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8]
303년 초, 이특은 청두에 도달했고, 뤄상은 강화를 요청했다. 이류는 이를 경계했지만, 이특은 항복을 받아들이는 척했다. 전쟁이 시작될 때, 촉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요새로 이동하여 스스로를 방어했다. 이특은 그들을 친절하게 대했지만, 이류는 이특에게 이들이 충성스럽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인질을 받을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특은 이를 무시했고, 결국 뤄상에게 매복되어 살해당했다.[8]
2. 3. 군대 지휘권 승계와 한계
303년 2월, 이특이 나상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자, 파저족 출신이자 이특의 동생인 이류는 뒤를 이어 군대를 이끌었다.[9] 이류는 촉(蜀)으로 유랑민을 이끌고 이주하여 이특과 함께 거병,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였다. 이특이 갑자기 죽자 군대는 당황했고, 이류는 급히 형의 뒤를 이었다. 낙상은 대규모 병력을 보내 이류의 진영을 공격했고, 저족 지도자 부성과 외백의 배신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특의 미망인 낙 부인이 직접 방어전에 참전할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이었으나, 이류는 침략자와 배신자 모두를 몰아내고 청두를 포위하여 낙상에게 압박을 가했다.[9]간신히 살아남은 이류는 반란을 계속해야 할지 고민했다. 진나라의 증원군이 접근하고 있었고, 그의 형제 이한은 항복을 주장했다. 조카 이웅과 이상은 반대했지만, 이류는 항복하려 했다. 그는 아들 이식과 이한의 아들 이호를 인질로 보냈으나, 이웅과 이리는 이류의 명령에 반하여 증원군을 격파했다. 이류는 이웅의 조언을 따르지 못한 것에 부끄러움을 느꼈고, 이웅에게 군사 문제를 맡기기로 결정했다.[10]
이류는 진영을 피현으로 옮겼으나, 보급품이 부족했다. 다행히 범장생이 청성산에서 식량과 보급품을 제공하여 전쟁을 버틸 수 있게 되었다.[11]
이류는 9월에 병에 걸려 이웅에게 후사를 맡기고 죽었다. 이웅은 이류를 진문왕(秦文王)으로 추시하였다.
2. 4. 범장생과의 동맹과 죽음
303년 2월, 이특이 나상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자, 이류는 뒤를 이어 군대를 이끌었다. 대장군, 대도독, 익주목을 칭했다.[12] 한때 나상의 군대에 압도되어 항복을 생각하였으나 조카 이웅의 만류로 그만두었다. 이웅이 군사를 이끌어 나상의 군대에 맞서고 익주(益州)의 현자 범장생(范長生)이 식량을 원조하여 주자 기세를 회복하여 나상의 군대를 압박하였다.[12]형주자사 종대(宗岱)가 이류 토벌을 위해 수군 3만 명을 전강(墊江)으로 진출시키자, 손부(孫阜)는 덕양(德陽)을 공략하여 이특이 세운 수장 견석(寋碩)을 사로잡았다. 태수 임장(任臧) 등은 철수하여 부릉(涪陵)에 주둔했다.
3월, 라상은 독호 상심(常深)을 비교(毗橋)로 파견하고, 황홍(黃訇)·하충(何沖)을 파견하여 삼도에서 북영을 공격했다. 이류는 약신을 격파하고 상심의 진을 공격하여 승리했고, 상심의 사졸들은 흩어졌다.
이류는 군사를 진격시켜 성도(成都)에 육박하자, 라상은 문을 닫고 방비를 굳게 했다. 이류는 이특·이탕이 잇따라 전사한 데다 종대·손부의 군사가 가까이 오자 매우 두려워했다. 이함(李含)이 이류에게 항복을 권하자, 이류는 이를 따르려 했다. 그러나 이웅과 이상은 이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이류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5월, 이류는 아들 이세(李世)와 이함의 아들 이호(李胡)를 손부의 군대에 인질로 보냈다.
이웅은 독단적으로 손부 군을 공격하여 대승했고, 종대 역시 전강에서 죽었기에 형주군은 철수했다. 이류는 자신의 판단이 잘못되었음을 반성하고 이웅의 재능을 인정하게 되었으며, 그에게 군사를 맡기게 되었다.
7월, 이류는 진영을 옮겨 비성(郫城)을 거점으로 삼았다. 그러나 식량을 얻을 수 없어 사졸들은 굶주림에 시달렸다. 이때, 범장생(范長生)은 천여 가를 이끌고 청성산(青城山)에 근거지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류는 서여(徐轝)를 안서장군으로 임명했다. 서여는 범장생 등을 설득하여 이류에게 군량을 공급하게 했기에, 이류 군은 숨통을 트게 되었다.
이류는 일이 있을 때마다 이웅에게 장자(長者)의 덕이 있다고 말하며 그를 중히 여겼다. 또한 "우리 집을 일으킬 자는 반드시 이 사람이다"라고 말하며, 여러 아들들에게 명하여 이웅을 존봉하게 했다.
9월, 이류는 병이 깊어져 이웅에게 후사를 맡기고 사망하였다. 향년 56세였다.[12] 여러 장수들은 모두 이웅을 세워 군주로 삼았다.
3.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303-09-28
[2]
서적
Zizhi Tongjian
303-03-05
[3]
서적
Zizhi Tongjian
304-11-14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Book of Jin
[6]
서적
Zizhi Tongjian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Huayang Guozhi
[9]
서적
Zizhi Tongjian
[10]
서적
Huayang Guozhi
[11]
서적
Book of Jin
[12]
서적
Annals of the Sixteen Kingdoms
[13]
문서
後に献帝と追号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