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족은 고대 중국에 존재했던 민족으로,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춘추 시대부터 산시성, 간쑤성 남부 지역에 거주하며 자체적인 왕을 옹립했다. 후한 시대에는 마초를 따라 조조에게 반기를 들었으나 실패했고, 오호십육국 시대에는 성한, 전진, 후량, 구지 등의 국가를 세웠다. 특히 부견이 세운 전진은 화북을 통일했으나 비수대전 패배로 멸망했다. 580년 구지가 멸망한 후 저족은 한족과 동화되어 역사에서 사라졌다.

2. 역사

저족은 위략에 따르면, 옷 색깔이 같아 종족의 이름을 삼았다고 하며, 토템으로 하는 강족이나 백적과는 달랐다.[18]

후한 말기 건안 연간(196년~220년) 흥국저왕 아귀와 백항저왕 양천만은 각각 1만여 부락을 거느리고 있었다.[18] 211년 이들은 마초를 따라 조조에 맞서 봉기를 일으켰으나(동관 전투), 하후연에게 패하여 아귀는 멸망당했고, 양천만은 익주망명하였다.[18] 부족 대다수는 조조군에게 항복하였고, 217년 조조는 조홍을 시켜 음평군의 저족 추장 강단과 맹약을 맺고 촉한오란뇌동을 격파했다. 219년 조조는 저족 5만여 부락을 부풍군·천수군 경계지역에 분산·이주시켰고, 이후 저족은 한족과 섞여 살면서 점차 동화되었다.[18]

오호십육국 시대에 저족은 흉노, 선비, 강, 과 함께 중국 영내로 진출하여 성한, 전진, 후량, 구지 등의 나라를 세웠다.[18] 전진부견은 화북을 통일했으나, 비수대전에서 동진에게 대패하면서 전진은 붕괴되어 394년에 멸망하였다.

남북조 시대 말기인 580년, 마지막 저족 국가였던 구지수나라의 양견에게 멸망하였다. 이후 저족은 한족과 동화되어 정사 기록에서 사라졌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저족은 단일 종족은 아니었지만, 중국의 여러 벌레(蟲)가 저족이 입는 옷의 색깔과 같아서 종족의 이름을 삼았다고 한다.[18] 저족은 토템으로 하는 강족과는 달랐으며, 백적과도 달랐다.

춘추 시대 초기에 저족은 현재의 간쑤성, 칭하이성, 쓰촨성, 산시성 지역에 거주했다. 이들은 문화적으로 강족과 관련이 있었지만, 강 유역에서 농사를 짓고 진흙 벽으로 된 나무틀 가옥에서 살았다.[3][4][5] 강족 설화에 나오는 거지(戈基)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 백마저(白馬氐)와 백항저(白項氐)와 같이 저족 내에는 여러 부족이 있었으며, 각 부족은 자체적인 추장 또는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

3세기 동안 바-디(巴氐)로 알려진 저족의 한 분파가 등장했다. 바-디는 처음에 쓰촨성 출신의 총(Cong)족이었으며, 중국 북서부로 이주하여 현지 저족과 혼합되었다. 바-디의 "바"는 그들의 조상이 기원한 파 지역을 가리킨다. 이들은 스스로를 옛 반호의 후예라고 칭하며, 춘추 전국 시대부터 현재의 산시성에서 간쑤성 남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살면서 스스로의 왕을 옹립했다. 파나라라는 나라는 저족에 의해 세워진 나라로 진에 의해 멸망한 후, 현재의 산시성에서 간쑤성 남부 일대나 무릉 등으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2. 2. 한나라 시대

기원전 111년, 한나라는 현재 간쑤성 룽난 시 일대에 무두군을 설치하여 현지 저족을 격파했다.[18] 이로 인해 일부 저족은 칭하이호 방면으로 도망쳐 계곡에서 살았고, 다른 저족은 한나라에 항복하여 중원 각지로 흩어졌다.[18] 기원전 108년, 저족이 한나라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한 무제는 그들 중 일부를 주취안군으로 이주시키기도 했다.[18] 처음에는 저항이 있었지만, 이후 3세기 동안 한나라와 저족 사이의 관계는 비교적 평화로웠다.

후한 말기 건안 연간(196년~220년) 흥국저왕(興國氐王) 아귀(阿貴)와 백항저왕(白項氐王) 양천만(楊千萬)은 각각 1만여 부락을 거느리고 있었다.[18] 211년, 그들은 마초를 따라 조조에 맞서 봉기를 일으켰다(동관 전투).[18] 그러나 조조대장 하후연에게 패하여 아귀는 멸망당했고, 양천만은 서남쪽으로 달아나 익주망명하였다.[18] 그 부족 대다수는 조조군에게 항복하였다.[18] 217년유비법정의 진언으로 한중군으로 진격하자 조조는 일족 조홍에게 명하여 음평군에 있던 저족 추장 강단과 맹약을 맺고 촉한의 장수 오란뇌동을 쳐부수게 했다.

219년, 조조는 저족의 5만여 부락을 부풍군·천수군의 경계지역에 분산·이주시켰다.[18] 이는 그들이 자신의 경쟁자 유비와 동맹을 맺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이후 저족은 한족과 섞여 살면서 점차 동화되었다.

2. 3. 오호십육국 시대와 남북조 시대

오호십육국 시대에 저족은 흉노, 선비, 강, 과 함께 중국 영내로 진출하여 성한, 전진, 후량, 구지 등의 나라를 세웠다.[18] 이 중 전진부견전연 등 여러 나라를 흡수하여 일시적으로 화북을 통일했으나, 동진과의 비수대전에서 크게 패하면서 전진은 붕괴되어 394년에 멸망하였다.[18]

남북조시대 말기인 580년, 마지막 저족 국가였던 구지수나라의 양견에게 멸망하였다. 이후 저족은 한족과 동화되어 정사 기록에서 사라졌다.

2. 3. 1. 성한 (304-347)

서진에 반기를 든 이특의 아들 이웅304년 성도를 점령하고 성(成)나라를 건국했다. 성나라는 오호 십육국 시대 최초의 국가 중 하나이자, 중국 북부가 아닌 지역을 기반으로 한 유일한 국가였다.

이웅은 북부의 전쟁을 피해 온 난민들을 받아들였고, 이 지역에 널리 퍼져 있던 도교의 영향으로 도교 은둔자인 범장생을 초대 재상으로 임명했다. 그는 처음에는 왕을 칭하다가 306년에 황제로 즉위했다. 338년, 이웅의 사촌 이수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위를 빼앗고 국호를 한(漢)으로 바꾸었다. 성과 한은 모두 이(李)씨 가문이 통치했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이 두 나라를 합쳐 성한(成漢)이라고 부른다.

성한은 347년 동진의 장군 환온에게 멸망당했다.

2. 3. 2. 전진 (351-394)

오호십육국 시대에 저족은 흉노, 선비, 강, 과 함께 중국 영내로 진출하여, 구지, 성한, 전진, 후량 등의 나라를 세웠다.[18] 이 시대에 저족은 전진 (351–394)과 후량 (386–403)을 통치했고, 바-저족은 성한 (304–347)을 통치했다.

서진이 붕괴되자 관중의 저족은 이 지역을 자유롭게 지배하게 되었다. 310년, 한 저족 추장 부홍은 스스로를 략양 공작으로 칭하고 319년까지 독립적으로 이 지역을 지배하다가 한(전조)에 복속되었다. 그는 나중에 329년 후조에 복속되었고, 거기서 고위 장군이 되어 통치자 석호 아래의 저족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 석호가 사망하고 뒤이어 후조가 붕괴되자 부홍은 관중으로 돌아가 성을 부(苻)씨로 바꾸고 삼진왕을 칭하면서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351년, 그의 아들 부견이 그의 뒤를 이어 장안을 점령하고 스스로 (전)진의 천왕을 선포했다.

357년, 부견은 사촌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의 재상인 한족 출신 왕맹의 초창기 도움을 받아 전진은 잠시 북중국을 통일하고 십육국 중 가장 큰 세력이 되어 376년까지 전연, 仇池, 전량, 대를 정복했을 뿐만 아니라 사천을 동진으로부터 빼앗았다.

그러나 천하통일을 노리고 일으킨 원정군동진에게 대패하면서(비수대전)[18], 부견은 385년 반란 장군 요장에게 암살되었고, 394년 전진의 마지막 통치자가 살해되었다.

2. 3. 3. 후량 (386-403)

여광은 전진의 지배하에 있던 저족 출신의 유력한 장군이었다. 383년, 비수 전투의 여파를 피하기 위해 서역 원정을 떠났고, 385년 불교 승려 구마라집의 조언에 따라 쿠차에서 돌아와 량주를 점령하고 고장(姑臧, 현재의 우웨이시)을 수도로 삼았다.[1] 그는 386년에 새로운 연호를 사용했고, 389년에 산하의 왕을 자칭했으며, 396년에는 (후)량의 천왕을 자칭했다.[1]

후량은 백성들을 폭력적으로 탄압하고 서진 왕조에 끊임없이 공격하는 등 매우 군사적인 정권이었다.[2] 397년, 서진 침략에 실패한 후, 후량에서 일련의 반란이 일어났다.[2] 선비족인 토발-선비가 분리되어 남량을 건국했고, 한족 지사 단업이 저수호의 거취씨족의 지원을 받아 북량을 건국했다.[2] 후량은 이러한 반란을 막을 수 없었고, 403년에는 경쟁 량 국가들의 압력에 직면하여, 마지막 통치자인 여륭은 스스로와 그의 모든 영토를 후진에 항복했다.[2]

2. 3. 4. 구지 (296-580)

296년 기만년의 반란을 피해 양모수가 이끌던 백경(白頸) 저족은 뤼양(略陽)에서 현재의 간쑤성 동남부 지역으로 이주하여 구지를 건국하였다.[7][8][9] 구지는 전저, 후저, 무도, 음평, 오성의 다섯 시기로 나뉜다.[7][8][9]

  • 전저: 371년 전진에 복속되었다.[7][8][9]
  • 후저: 385년 양정에 의해 부활했으나, 443년 북위에 정복되었다.[7][8][9]
  • 무도: 443년 양문덕이 저족을 재건하여 시작되었으며, 477년 양문두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7][8][9]
  • 오성/음평: 무도 이후 양씨 가문의 두 분파인 오성과 음평으로 나뉘었다. 오성 정권은 553년 서위에 정복되었고, 음평 정권은 그 무렵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7][8][9]


580년, 사주(沙州)의 저족 족장 양영안이 왕천과 함께 수 문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대희장유에게 패배하면서 구지는 멸망하였다.[7][8][9]

2. 4. 남북조 시대 이후

남북조 시대 말기인 580년, 마지막 저족 국가였던 구지가 양견에 의해 멸망하였다. 이후 저족은 한족과 동화되어 정사기록에서 사라졌다.[7][8][9]

저족은 오호십육국 시대에 구지, 성한, 전진, 후량 등의 나라를 세웠다. 그 중에서도 부견이 세운 전진은 화북을 통일하였으나, 비수대전에서 동진에게 대패하여 몰락하였고, 결국 394년에 멸망하였다.

남북조 시대 말기인 580년, 사주(沙州)의 저족 족장인 양영안은 왕천과 합세하여 훗날의 수 문제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대희장유에게 패배했다.

마지막 저족 국가가 멸망하면서, 저족은 결국 다른 민족에게 문화 동화되었다.[7][8][9] 현재 간쑤성 동남부와 쓰촨성 북서부에 거주하는 백마인은 저족의 후예일 수 있다.

3. 문화와 풍습

저족은 하나의 종족이 아니라 청저, 백저, 뱀저 등으로 나뉘었으며, 씨족 토템이나 옷 색깔 등에 따라 부족 이름을 사용했다. 이들은 스스로를 "합치"(盍稚, 盍稚|gài zhì중국어)라고 불렀으며, 각자 왕후가 있었고 중국으로부터 많은 봉작을 받았다.[18] 춘추 시대 초기에 디족은 현재의 간쑤성, 칭하이성, 쓰촨성, 산시성 지역에 거주했다. 이들은 문화적으로 강족과 관련이 있었지만, 강 유역에서 농사를 짓고 진흙 벽으로 된 나무틀 가옥에서 살았다.[3][4][5] 백마 디(白馬氐)와 백항 디(白項氐)와 같이 디족 내에는 여러 부족이 있었다.[6]

3세기 동안 바-디로 알려진 디족의 한 분파가 등장했다. 바-디는 처음에 쓰촨성 출신의 총(Cong)족이었으며, 중국 북서부로 이주하여 현지 디족과 혼합되었다. 바-디의 "바"는 그들의 조상이 기원한 파 지역을 가리킨다.

저족은 각각 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국의 성과 유사했다.[18] 저족의 성씨는 다음과 같다.

성씨관련 국가 및 인물
이(李)성한
양(楊)구지
부(苻)전진 (350년 이전에는 포(蒲))
여(呂)후량
영호(令狐)구지의 초대 군주 양무수(楊茂搜)의 원래 성씨
강(强)약양군 출신, 전진의 초대 황제 부건황후인 명덕황후(明德皇后)의 일족



저족은 모두 머리를 땋았고, 옷 색깔은 청색이나 홍색이었다. 베를 짜는 기술이 있었고, 농업을 하면서 돼지, 소, 말, 당나귀, 노새를 길렀다. 이들의 언어는 중국어와는 달랐으며, 강족이나 잡호(雜胡)와 같았지만,[17] 많은 사람들이 중국어를 이해하고 있었고, 중국에 섞여 사는 사람들도 있었다.

부인은 시집갈 때 임로(衽露)를 입는다. 임로는 중국의 포(袍)와 비슷한 점이 있다. 많은 점에서 강족과 유사하므로, 아마도 두 종족 모두 가(街), 기(冀), 환도(豲道)에 있던 서융의 자손일 것으로 보인다.

4. 주요 인물

저족은 오호십육국 시대에 흉노, 선비족, 강족, 갈족과 함께 중국 영내로 진출하여 여러 나라를 세웠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성씨국가
이 (李)성한
부/푸 (蒲/苻)전진
여 (呂)후량
양 (楊)구지


  • 기만년: 서진 반란군 (299년 사망)
  • 산 황후: 흉노족 한조의 황후 (310년 사망)
  • 두충: 전진의 군사 장군이자 반란군 (368년 ~ 394년 활동)
  • 부송아 (404년 사망)와 부순영 (407년 사망): 선비족 후연의 자매 황후

4. 1. 후한 말기

후한 말기 건안 연간(196년 ~ 220년)에 흥국저왕(興國氐王) 아귀(阿貴)와 백항저왕(白項氐王) 양천만(楊千萬)은 각각 1만여 부락을 거느리고 있었다.[18]

건안 16년, 이들은 마초를 따라 조조에 맞서 봉기를 일으켰다(동관 전투).[18] 그러나 하후연에게 패하여 아귀는 전사했고, 양천만은 익주로 망명하였다.[18] 이들 부족의 대다수는 조조군에게 항복하였고, 조조는 저족 5만여 부락을 부풍·천수 경계 지역에 분산·이주시켰다.[18]

217년, 유비법정의 진언으로 한중으로 진격하자 조조는 조홍에게 명하여 음평군에 있던 저족 추장 강단과 맹약을 맺고 촉한의 장수 오란뇌동을 쳐부수게 했다.

; 아귀

: 후한 말기 흥국저왕으로, 양천만과 함께 마초의 반란에 가담했다. 하후연에게 패사했다.

; 양천만

: 후한 말기 백항저왕으로, 아귀와 함께 마초의 반란에 가담했다가 익주로 망명했다.

; 강단

: 후한 말기 음평 저족 추장으로, 218년 한중군 공방전에서 조조군 조홍과 협력하여 유비군과 싸웠다.

4. 2. 오호십육국 시대 및 남북조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에 저족은 전진(351년 건국 ~ 394년 멸망)과 후량(386년 건국 ~ 403년 멸망)을 건국하였다. 바-저족은 성한(304년 건국 ~ 347년 멸망)을 건국했다. 구지(296년 건국 ~ 580년 멸망)는 십육국 시대와 남북조 시대에 걸쳐 존재했던 저족이 이끈 국가였다.

  • 성한: 304년, 이특의 아들 이웅성도를 점령하고 건국했다. 이웅은 처음에는 왕을 칭했으나, 306년에 황제로 즉위했다. 338년, 이수가 쿠데타로 왕위를 찬탈하고 국호를 한(漢)으로 바꾸었다. 성과 한은 모두 이(李)씨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이들을 묶어 성한(成漢)이라고 부른다. 성한은 347년 동진환온에 의해 멸망했다.[7]
  • 전진: 310년, 저족 추장 부홍은 략양 공작을 칭하고, 319년까지 이 지역을 다스리다가 한(전조)에 복속되었다. 그는 나중에 329년 후조에 복속되었고, 통치자 석호 아래에서 저족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 석호 사후, 부홍은 관중으로 돌아가 성을 부(苻)씨로 바꾸고 삼진왕을 칭했다. 351년, 그의 아들 부견이 장안을 점령하고 (전)진의 천왕을 선포했다.[8] 357년, 부견이 사촌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한족 출신 재상 왕맹의 도움으로 전진은 북중국을 통일하고, 376년까지 전연, 구지, 전량, 대를 정복하고 사천을 동진으로부터 빼앗았다. 그러나 383년 비수 전투에서 동진에게 패배한 후, 제국은 붕괴되었다. 부견은 385년 반란 장군 요장에게 암살되었고, 394년 전진의 마지막 통치자가 살해되었다.[9]
  • 후량: 전진의 장군이었던 여광은 383년 서역 원정을 이끌었다. 385년, 구마라집의 조언에 따라 쿠차에서 돌아와 량주를 점령하고 고장(현재의 우웨이시)을 수도로 삼았다. 386년에 새로운 연호를 사용했고, 389년에 산하의 왕을 자칭했으며, 396년에 (후)량의 천왕을 자칭했다. 397년, 선비족인 토발-선비가 분리하여 남량을 건국했고, 한족 지사 단업이 저수호의 거취씨족의 지원을 받아 북량을 건국했다. 후량은 403년, 마지막 통치자인 여륭후진에 항복하면서 멸망했다.[9]
  • 구지: 간쑤성 동남부에 위치한 작은 국가였다. 296년 기만년의 반란을 피해 양모수가 백경(白頸) 저족을 이끌고 돌아와 건국했다. 전저는 371년에 전진에 복속되었다. 385년에는 양정에 의해 후저로 부활했고, 이는 다시 443년에 북위에 정복되었다. 양문덕은 저족을 재건하여 477년 양문두가 죽을 때까지 지속된 무도 시대를 시작했다. 그 후, 이 나라는 양씨 가문의 두 분파, 즉 오성과 음평으로 나뉘었다. 오성 정권은 553년에 서위에 의해 정복되었고, 음평 정권은 그 무렵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580년, 사주(沙州)의 저족 족장인 양영안은 왕천과 합세하여 수 문제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대희장유에게 패배했다.[9]

5. 저족의 성씨

저족은 각자 성씨를 지니고 있었는데, 그들의 성씨는 중국의 성씨와 같았다고 한다.[18]


  • 이(李) : 성한
  • 양(楊) : 구지
  • 부(苻) : 전진 - 350년 이전에는 포(蒲)였다.
  • 여(呂) : 후량
  • 영호(令狐) : 구지의 초대 군주 양무수(楊茂搜)의 원래 성씨로, 자녀가 없었던 외숙인 저왕 양비룡(楊飛龍)의 양자가 되어 양씨로 개성하였다.
  • 강(强) : 약양군 출신의 저족 성씨로, 전진의 초대 황제 부건황후인 명덕황후(明德皇后)의 일족이다. 218년 당시 음평(陰平)의 저족 수령이었던 강단(强端)이 이 성씨의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6. 언어

저족어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오래된 중국 서적에는 저족 고유의 이름과 지명 몇 개만 보존되어 있다.[10][11][12] 저족은 원시 티베트어 기원으로 여겨지지만,[13][14][15] 중국 학자들 사이에서는 저족이 튀르크어를 사용했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다.[16]

그들의 언어는 중국어와는 달랐으며, 강(羌)족이나 잡호(雜胡)[17]와 같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중국어를 이해하고 있었고, 중국에 섞여 사는 자들도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汉典 http://www.zdic.net/[...]
[2]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웹인용 先秦巴蜀地区百濮和氐羌的来源 http://www.bswh.net/[...] 2018-09-08
[4] 뉴스 四川三星堆之謎新解:平武發現"縱目人"後裔?-搜狐IT http://it.sohu.com/2[...]
[5] 문서 汉晋时期藏彝走廊中的“氐” http://www.zangx.com[...]
[6] 문서 “羌戈大战”与岷江上游古羌人的族群认同 http://www.zangx.com[...]
[7] 웹인용 羌族族源及其文化多样性成因研究 http://www.qiangzu.c[...] 2012-05-10
[8] 문서 浅说黑水民族源流 http://www.heishui.o[...]
[9] 뉴스 华夏文化-西南夷——氐羌、笮人及炯人 - 国际在线 http://gb.cri.cn/360[...]
[10] 웹사이트 用麗江白族語試讀趙整歌謠"阿得脂" https://web.archive.[...] 2013-08-25
[11] 웹사이트 古羌族派分之民族 五 川西北地区的氐类 https://web.archive.[...] 2013-08-25
[12] 문서 The Baima Tibetans and the Di people of Chinese historical records http://hal.archives-[...]
[13] 서적 Chinese Steles: Pre-Buddhist and Buddhist Use of a Symbolic For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4] 서적 Political Frontiers, Ethnic Boundaries and Human Geographies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웹인용 A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4-29
[16] 서적 Guo Ji Zhongguo Yu Yan Xue Ping Lun https://books.google[...] J. Benjamins
[17] 문서 戎系の民族を指すのか、それとも匈奴人を指すのかは分からない。
[18] 문서 위략 서융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