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낙상은 넘어지는 행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과 위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신체적 특징, 약물 복용, 사고, 노화, 질병 등이 낙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고령자와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낙상은 산업재해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예방을 위해 개인적, 환경적, 작업 환경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낙상으로 인한 부상은 낙하 높이, 신체 부위, 표면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며, 심각한 경우 골절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세계적으로 낙상은 사망과 부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통계적으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고 - 추락
    "추락"은 문학, 영화, TV, 음악 등 다양한 매체에서 여러 작품의 제목으로 사용되며, 작품마다 서로 다른 의미와 맥락을 지닌다.
  • 사고 - 가스 폭발
    가스 폭발은 가연성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점화원에 의해 급격히 연소하는 현상으로, 가연성 가스 농도가 적정 범위 내에 있을 때 발생하며, 다양한 원인과 형태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여 안전 점검 강화 등의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
  • 안전 - 난간
    난간은 추락 방지, 보행 보조,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 설치 방향과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여러 재료로 제작되고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건축 및 대중교통 분야에서 안전을 확보하는 데 사용되며, 높이, 간격, 재질 등에 대한 규격이 존재한다.
  • 안전 - 생물학적 위험
    생물학적 위험은 감염성 물질이나 유전자 변형 생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으로, 실험실 감염 사고와 생물 무기 연구를 거쳐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위험도에 따라 분류되어 관리되고, 안전 관리를 위한 생물 안전 수준과 봉쇄 방법, 바이오시큐리티 대책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 외상 - 감전
    감전은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으로,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위험성이 달라지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지만, 의료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윤리적 논란의 여지도 있다.
  • 외상 - 칼부림
    칼부림은 인류 역사에서 발생해 온 사건으로, 암살에 사용되기도 하며, 칼에 찔릴 경우 내부 출혈, 쇼크, 감염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낙상
개요
질병 종류부상 또는 사망 원인
일반 정보
영어Falling
증상 및 합병증
증상해당사항 없음
합병증두부 손상
뇌진탕
골절
찰과상
타박상
발생 및 통계
빈도 (2015년)2억 2600만 건
사망 (2015년)52만 7000명
원인 및 위험 요소
원인해당사항 없음
위험 요소경련
시력 장애
보행 어려움
가정 내 위험 요소
진단 및 치료
진단해당사항 없음
감별 진단해당사항 없음
예방해당사항 없음
치료해당사항 없음
약물해당사항 없음
예후해당사항 없음

2. 원인

낙상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의 건강 상태, 환경적 요인, 활동 등 여러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사고, 노화에 따른 신체 기능 저하, 특정 질병의 영향, 산업 재해, 그리고 드물게는 의도적인 행위 등이 있다.

낙상에 대한 정의는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연구 목적이나 기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주요 정의는 다음과 같다.


  • '''FICSIT''' (Frailty and Injuries: Cooperative Studies of Intervention Techniques, 취약성 및 상해: 중재 기술 협력 연구): 의도하지 않게 땅, 바닥 또는 기타 낮은 수준에서 멈추는 것을 의미하며, 가구나 벽 등에 기대는 경우는 제외한다.
  • '''Kellogg International Work Group''' (켈로그 국제 실무 그룹): 사람이 의도치 않게 땅에 멈추게 되는 사건으로 정의한다. 다만, 연구나 예후 등 특정 목적을 위해서는 의식 상실, 마비 발병, 간질 발작 또는 교통사고로 인한 경우는 정의에서 제외하기도 한다.


두 정의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실신'''의 포함 여부이다. FICSIT 정의는 실신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Kellogg 그룹 정의는 특정 상황에서 이를 제외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의 차이는 낙상 관련 연구나 통계 분석 시 고려될 필요가 있다.

2. 1. 사고

사고는 성인에게 발생하는 낙상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인이다.[5] 구체적인 원인으로는 ‘얼음 또는 눈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넘어짐’[53], ‘미끄러짐, 걸림 및 헛디딤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넘어짐’[54], ‘계단에서의 낙상’[55], ‘빌딩 또는 구조물에서의 낙상’[56] 등이 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에도 안정된 표면이나 계단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 부적절한 신발 착용, 어두운 환경, 고르지 못한 지면, 운동 부족 등이 낙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5][6] 연구에 따르면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낙상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7]

미국에서는 낙상이 응급실 방문의 가장 흔한 부상 원인이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낙상과 관련된 응급실 방문 건수는 약 790만 건으로, 전체 방문 건수의 35.7%에 달했다.[40] 19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매일 약 8,000건의 낙상 관련 응급실 방문이 기록된다.[41]

산업 현장에서도 낙상은 주요 사고 원인 중 하나이다. 2000년 미국에서는 사다리, 비계, 건물 또는 기타 높은 곳에서 떨어진 낙상으로 인해 717명의 근로자가 사망했으며,[42] 2011년 데이터에 따르면 낙상은 그 해 미국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의 14%를 차지했다.[43]

넘어지는 사람의 특징은 '''“실내·보행·넘어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실내에서 넘어지는 경우가 60% 이상이며, 그 중 60%는 보행 중 넘어지는 동작으로 인해 발생한다. 그 외 요인으로는 일어설 때 미끄러짐이나 보행 중 또는 서 있는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넘어짐을 유발하기 쉽다.

넘어지는 방향에 따라서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넘어지는 방향주요 대상특징주요 합병증
비교적 젊은 사람 | 보행 속도가 저하되지 않은 사람 | 요골 원위단 골절
보행 속도가 저하된 고령자~후기 고령자 | - | 요추 압박 골절, 대퇴골 경부 골절


2. 2. 노화

낙상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게서 발생률이 높다. 대한민국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21%가 연간 한 번 이상 낙상을 경험하며, 이 중 36% 이상이 약 2주 이상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실제로 노인에게 발생하는 신체 손상의 절반 이상은 낙상이 원인이다.[57] 미국에서도 65세 이상 노인 중 3분의 1 이상이 매년 낙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7]

노인이 낙상 위험에 더 취약한 이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노화에 따른 근력 감소, 균형 장애, 청력과 시력 감퇴, 인지 기능 저하 등이 있다.[58][10][11][12][13] 또한, 복용 중인 약물이나 음주 상태도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58][10][11] 감염이나 탈수 상태 역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10][11] 특히 치매를 앓는 노인의 경우, 인지 및 운동 기능의 저하로 인해 낙상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8][9]

2. 3. 질병

뇌졸중 병력이 있는 경우, 보행 장애, 근긴장도 저하 및 근력 약화, 저혈당, 저혈압, 시력 상실, 뇌졸중 치료 약물의 부작용 등으로 인해 낙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14][15]

파킨슨병 환자는 보행 장애, 운동 조절 능력 상실(보행 동결, 움찔거림 등), 자율신경계 기능 부전으로 인한 기립성 저혈압, 실신, 체위성 기립성 빈맥 증후군 등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높다. 또한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하지 근력 약화, 심부 감각 장애, 발작, 인지 장애, 시각 장애, 균형 장애 및 파킨슨병 치료 약물의 부작용도 낙상 위험을 증가시킨다.[16][17]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보행 장애, 발 처짐(족하수), 운동실조, 고유 수용성 감각 저하, 보조기구(보행보조기 등)의 부적절하거나 감소된 사용, 시력 감소, 인지 변화, 다발성 경화증 치료 약물의 부작용 등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있다.[18][19][20][21]

낙상 예방 홍보 포스터

2. 4. 산업 재해

직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는 일반적으로 미끄러짐, 걸려 넘어짐, 추락(Slips, Trips, and Falls|STFseng)이라고 한다.[23] 낙상은 산업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지며, 모든 보행 및 작업 표면은 잠재적인 낙상 위험을 가지고 있다.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기준에 따르면, 보호되지 않은 측면이나 가장자리가 주변보다 1.8m 이상 높은 곳에서는 난간 시스템, 안전망 시스템 또는 개인용 추락 방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업자를 보호해야 한다.[22]
적절한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위험한 건설 현장 작업자


대한민국에서는 낙상이 주요 산업 재해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2013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분석에 따르면, 건설업 사망 재해의 68%가 낙상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특히 3m에서 10m 사이 높이에서 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59] 미국에서도 상황은 유사하다. 2011년 미국 노동통계국 조사 결과, 낙상은 해당 연도 미국 전체 산업 재해의 14%를 차지했다.[60]

이러한 산업 현장의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하위 규정인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통해 사업주에게 안전 조치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작업 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 등 추락 위험 장소에는 안전난간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61]

미국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은 직장 환경에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는 위험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23] 이러한 요인들은 주로 같은 높이에서 넘어지는 사고(미끄러짐, 걸려 넘어짐)와 관련이 깊지만, 추락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3]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에서 제시한 낙상 위험 요인[23]
구분주요 요인
작업장 요인걷는 표면의 유출물, 얼음, 강수(/진눈깨비/), 헐거운 매트 또는 깔개, 정리되지 않은 상자/용기, 열악한 조명, 고르지 않은 걷는 표면
작업 조직 요인빠른 작업 속도 요구, 액체 또는 그리스를 취급하는 작업
개인 요인나이, 직원 피로, 시력 저하 또는 이중 초점 안경 사용, 부적절하거나 헐렁하거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 착용
예방 조치경고 표지판 설치 및 작업 환경 정비



한편, 스턴트 배우나 스케이트보더와 같이 특정 직업군에서는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상황에 대처하는 기술을 배우는 것이 업무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24]

뉴욕 콜먼 스케이트파크에서 열린 스케이트보드 대회 중 넘어진 후 일어서는 선수 스타린 폴란코(Starlin Polanco)

2. 5. 의도적 발생

낙상은 의도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그 예로는 창밖 투척, 투신 등이 있다. 또한 고의적인 추락은 추락사나 고의적인 뛰어내림과 같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3. 위험 요인

낙상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크게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상태와 관련된 개인적 요인과 주변 환경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노화에 따른 근력 및 균형 감각 저하, 시력·청력 감퇴, 인지 기능 저하 등이 대표적이다. 특정 질병(뇌졸중 등)의 병력이나 낙상 경험, 특정 약물 복용 역시 낙상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44] 특히 여러 약물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다.

환경적 요인에는 미끄럽거나 고르지 못한 바닥, 어두운 조명, 집안의 장애물, 계단 등이 포함된다. 실내에서의 활동 중 넘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일어서거나 방향을 바꿀 때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노면 결빙과 같은 외부 환경 조건도 낙상의 주요 원인이 된다.[45]

이러한 위험 요인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특히 노인이나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낙상을 경험할 확률이 더 높은 경향이 있다.

3. 1. 개인적 요인

낙상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게서 발생률이 높다. 미국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중 3분의 1 이상이 매년 한 번 이상 낙상을 경험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21%가 낙상을 경험하며, 이 중 36% 이상은 약 2주 이상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노인 신체 손상의 절반 이상은 낙상이 원인이다.[57]

낙상의 주요 개인적 위험 요인으로는 근력 감소, 균형 감각 장애, 청력 및 시력 감퇴, 인지 기능 저하 등이 있다. 특정 약물 복용이나 음주 상태도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58] 특히 치매를 앓는 노인의 경우, 낙상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8][9] 노인은 사고, 보행 및 균형 장애, 시각·감각·운동·인지 기능 저하에 따른 반사 신경 변화, 약물 및 알코올 섭취, 감염, 탈수 등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높다.[10][11][12][13]

특정 질환을 가진 경우 낙상 위험이 더 높아진다.

  • 뇌졸중: 병력이 있는 경우 보행 장애, 근긴장도 저하, 저혈당, 저혈압, 쇠약, 시력 상실 등으로 인해 낙상이 발생하기 쉽다.[14][15]
  • 파킨슨병: 환자는 보행 장애, 운동 장애(보행 동결(freezing), 움찔거림(jerking) 등), 자율신경계 기능 부전으로 인한 기립성 저혈압, 실신, 체위성 기립성 빈맥 증후군,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하지 근력 약화, 심부 감각 장애, 발작, 인지 장애, 시각 장애, 균형 장애 및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크다.[16][17]
  •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보행 장애, 족하수(足下垂), 운동실조, 고유 수용성 감각 저하, 보조기구(보행보조기 등)의 부적절한 사용, 시력 감소, 인지 변화 및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있다.[18][19][20][21]


일본의 경우,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약 20%가 1년에 1회 이상 낙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입원·입소자의 경우 약 40%, 뇌졸중 환자의 경우 약 60%로 낙상률이 더 높아진다. 낙상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며, 낙상으로 인한 외상은 경미한 경우를 포함하여 약 50~70%에서 발생하고, 골절과 같은 중대한 외상은 약 10% 미만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한 연구(이가라시 등, 1995)에서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 2000명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약 85%(1689명)가 낙상으로 인한 것이어서 낙상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낙상이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는 입원·입소자의 경우 오전 6~7시(화장실 이용, 식사 등 활동 증가 시간대),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우 오전 10~11시(외출 시간대)로 나타났다.

주요 신체적 위험 요인과 상대적 위험도는 다음과 같다.

구분위험 요인위험도 지표
지역 사회 거주 고령자근력 저하오즈비: 4.4
낙상 병력오즈비: 3.0
보행 장애오즈비: 2.9
균형 장애오즈비: 2.9
시설 입소자근력 저하상대 위험도: 6.2
균형 장애상대 위험도: 4.6
보행 장애상대 위험도: 3.6
보행 보조기 사용상대 위험도: 3.3



약물 복용 역시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과거에는 3가지 이상 약물 복용이 위험 요인으로 간주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특정 약물 종류가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44] 특히 '이뇨제'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 '안정제/수면제' 조합은 낙상 위험을 크게 높여 오즈비가 1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 환경적 요인

낙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건강한 성인의 경우 사고로 인한 것이다. 안정되지 않은 바닥이나 계단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 발에 맞지 않는 신발 착용, 어두운 환경, 울퉁불퉁한 지면 등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개인의 운동 부족도 영향을 미친다.[5][6] 연구에 따르면,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낙상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

일본의 경우, 65세 이상 지역 거주 노인의 약 20%가 매년 1회 이상 낙상을 경험하며, 이 비율은 병원 입원 환자나 시설 입소자의 경우 약 40%, 뇌졸중 환자의 경우 약 60%까지 증가한다. 낙상 경험자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 낙상으로 인한 부상은 가벼운 경우를 포함하여 약 50~70%에서 발생하며, 골절과 같은 심각한 부상은 약 10% 미만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1995년 이가라시 등의 연구에 따르면,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 2000명 중 약 85%(1689명)가 낙상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밝혀져 낙상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낙상이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는 입원·입소자의 경우 활동량이 많아지는 오전 6시에서 7시 사이(화장실 이용, 식사 시간 등), 지역 거주 노인의 경우 외출이 잦은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이다. 낙상 사고의 특징은 '''“실내·보행·넘어짐”'''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낙상 사고의 60% 이상이 실내에서 발생하며, 그중 60%는 보행 중 넘어지는 경우이다. 이 외에도 일어설 때 미끄러지거나, 걷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방향을 바꿀 때 낙상이 발생하기 쉽다.

낙상 방향에 따라서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낙상 방향특징발생하기 쉬운 합병증
전방비교적 젊은 연령, 보행 속도가 느려지지 않은 사람에게서 주로 발생한다.요골 원위단 골절
측방 또는 후방보행 속도가 느려진 고령자에게서 자주 발생한다.요추 압박 골절, 대퇴골 경부 골절


3. 3. 작업 조직 요인

직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낙상 사고는 일반적으로 미끄러짐, 걸려 넘어짐, 추락(Slips, Trips, and Falls, STFs)으로 불린다.[23] 이러한 낙상은 산업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뤄진다.[23]

미국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은 직장 환경에서 발생하는 STF의 원인이 되는 여러 위험 요소를 정리했는데, 그중 하나가 작업 조직 요인이다.[23] NIOSH가 지목한 작업 조직 요인에는 빠른 작업 속도, 액체 또는 그리스와 관련된 작업 등이 포함된다.[23] 이러한 요인들은 주로 같은 높이에서 발생하는 낙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4. 예방

낙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은 개인적 차원, 환경적 차원, 그리고 병원이나 요양원과 같은 시설 및 작업 환경 개선 등 다방면으로 이루어진다.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어 임상 현장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STRATIFY
  • 모스 낙상 위험 평가 척도(Morse Falls Scale)
  • 기능적 팔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 Test)
  •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 Go test)
  •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 동적 보행 지수(Dynamic Gait Index)


이 외에도 수많은 평가 방법이 존재하며,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이 중요하다.

낙상은 의학계에서도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특히 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의 효과 등에 대한 연구[27][28][29]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보행 중 다른 과제를 동시에 수행할 때 낙상 위험이 높아지는 현상(이중 과제)에 대한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4. 1. 개인적 예방



노인의 경우, 장기간의 운동은 낙상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7] 특히 무릎을 꿇거나, 일어서거나, 기어 다니는 동작을 포함한 운동은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023년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에 따르면, 노인이 낙상 예방을 위해 운동을 할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낙상 확률이 감소하지만, 운동을 중단하면 그 효과는 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상생활 환경에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바닥재 선택도 중요하다. 특히 물기가 많거나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 예를 들어 수영장 데크나 야외 경사로 등에는 젖은 상태에서도 미끄럼 저항성이 높은 바닥재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신뢰할 수 있는 바닥 미끄럼 저항 테스트 방법을 활용하면 적합한 바닥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자신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 도구들이 있다.

  • STRATIFY
  • 모스 낙상 위험 평가 척도(Morse Falls Scale)
  • 기능적 팔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 Test)
  •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 Go test)
  •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 동적 보행 지수(Dynamic Gait Index)


이 외에도 다양한 평가 방법이 존재한다.

또한, '이중 과제(dual task)' 상황에서의 낙상 위험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97년 Lundin 등의 연구에서는 걷고 있는 노인에게 나이를 묻는 등 다른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게 했을 때, 멈추거나 걷는 속도가 느려지는 사람은 이후 낙상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를 'Stops Walking When Talking test'라고 하며, 일상생활 중 보행과 같은 활동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일본 교토 대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이중 과제와 낙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병원이나 요양원과 같은 시설에서의 낙상 예방 노력도 중요하다. 병원에서는 여러 중재를 통해 노인의 낙상률을 줄일 수 있으며[28], 요양원에서는 다양한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재발하는 낙상을 막을 수 있다.[29] 이러한 기관에서는 다양한 직종 간의 협력이 낙상 위험 감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4. 2. 환경적 예방



낙상을 예방하는 환경적 방법 중 하나는 바닥재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다. 바닥재는 사용 목적에 맞는 미끄럼 저항성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물기가 많을 수 있는 수영장 데크나 야외 경사로는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상점 바닥보다 더 높은 미끄럼 저항성이 요구된다. 신뢰할 수 있는 바닥 미끄럼 저항 테스트 방법을 활용하면, 특히 바닥이 젖거나 다른 물질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미끄러짐과 낙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3. 작업 환경 개선

2013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낙상은 건설업 사망자의 6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9] 이 자료에 따르면 낙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작업 높이는 3m에서 10m 사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59] 2011년 미국 노동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의 조사에서도 낙상은 2011년에 발생한 미국산업재해 중 14%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60]

대한민국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은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난간 설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61]

직업 환경에서 낙상 사고는 일반적으로 미끄러짐, 걸려 넘어짐, 추락(Slips, Trips, and Falls, STFs)으로 분류된다.[23] 낙상은 산업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며, 모든 보행 및 작업 표면은 잠재적인 낙상 위험을 내포한다. 특히 1.8m 이상 높이의 보호되지 않은 측면이나 가장자리는 난간 시스템, 안전망 시스템 또는 개인용 추락 방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낙상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22]

미국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은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낙상(STF)의 주요 위험 요인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23] 이러한 요인들은 주로 동일 높이 수준에서 발생하는 낙상의 원인이 된다.[23]

NIOSH가 밝힌 낙상 위험 요인[23]
구분주요 요인
작업장 요인보행 표면의 유출물, 얼음, 강수(눈/진눈깨비/비), 느슨한 매트 또는 깔개, 방치된 상자/용기, 부족한 조명, 고르지 않은 보행 표면
작업 조직 요인빠른 작업 속도 요구, 액체 또는 그리스 관련 작업
개인 요인고령, 직원 피로, 시력 저하 또는 이중 초점 안경 사용, 부적절하거나 헐렁한 신발 착용



이러한 위험 요인 외에도 위험 구역에 경고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의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한편, 스턴트 배우나 스케이트보더와 같이 넘어지는 기술 자체가 중요한 직업도 존재한다.[24]

5. 부상

낙상으로 인한 부상의 정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주요 요인으로는 떨어지는 높이, 땅에 부딪힐 때의 속도, 먼저 닿는 신체 부위, 바닥 표면의 특성, 충격 시 힘이 분산되는 정도, 충돌 지속 시간 등이 있다.[62] 낙상의 심각성은 떨어지는 높이에 비례하지만, 신체 및 표면의 특징, 신체가 표면에 부딪히는 방식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25]

일반적으로 추락 높이가 높을수록 부상은 더 심각해진다. 건물 1층이나 2층 높이에서의 추락은 부상을 입을 수 있지만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3층부터는 높이가 증가할수록 사망 위험이 커진다.[62] 특히 어린이의 경우, 낙상으로 인한 사망의 절반가량이 4층에서 5층 사이(약 12m~15m) 높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3] 다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망의 50%가 발생하는 높이를 지상 5~6 높이 사이로 보기도 한다.[26] 참고로 건물의 층수를 세는 방식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2층(미국식 영어)은 1층(영국식 영어 및 유럽 대륙 언어)에 해당한다.[26]

2012년 인구 100만명당 낙상으로 인한 사망자 수(세계보건기구 발표)


어떤 부위로 떨어지는지도 부상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람의 신체 중 머리가 가장 무겁기 때문에 머리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흔하며, 이는 가장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62]

바닥 표면의 성질 역시 중요한 변수이다. 바닥이 단단할수록 부상 위험이 커진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 따르면 잔디밭에 떨어졌을 때는 두개골 골절 발생률이 33%였지만, 시멘트 바닥의 경우 69%까지 증가했다.[62] 반대로 눈이나 물처럼 충격을 흡수하며 변형될 수 있는 표면에 떨어지면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25]

6. 통계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평균 낙상으로 사망하는 인구는 약 646,000명이며, 이 중 80% 이상이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52] 또한 매년 37,300,000명이 낙상으로 부상을 입는 것으로 추산된다.[52]

Global burden of disease 연구에 따르면, 1990년 전 세계적으로 비의도적인 낙상으로 사망한 인구는 341,000명이었으나, 2013년에는 556,000명으로 증가했다.[64][37] 낙상은 자동차 충돌 사고 다음으로 의도하지 않은 부상으로 인한 사망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이다.[38]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낙상 사고는 7,270건이다.[65]

일본의 경우, 65세 이상 지역 거주 고령자의 약 20%가 1년에 1회 이상 낙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율은 입원·입소자의 경우 약 40%, 뇌졸중 환자의 경우 약 60%로 더 높아진다. 또한 낙상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낙상으로 인한 외상은 경미한 경우를 포함하여 약 50~70%에서 보고되며, 골절과 같은 중대한 외상이 발생하는 비율은 약 10% 미만이다.

그러나 이가라시 등의 1995년 연구에 따르면,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 2000례 중 1689건(약 85%)이 낙상을 원인으로 하고 있어 낙상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낙상이 발생하기 쉬운 시간대는 입원·입소자의 경우 오전 6~7시(화장실 이용이나 식사 준비 등 활동성이 높아지는 시간),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우 오전 10~11시(외출 시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mportant Facts about Falls – Home and Recreational Safety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01-25
[2]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4] 웹사이트 Fact sheet 344: Fall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10
[5] 웹사이트 Prevention of Slips, Trips and Falls : OSH Answers http://www.ccohs.ca/ 2019-08-03
[6] 웹사이트 Risks of Physical Inactivity https://www.hopkinsm[...]
[7] 논문 Falls in young, middle-aged and older community dwelling adults: perceived cause, environmental factors and injury. 2005
[8] 논문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the story of a Cochrane review. 2013
[9] 서적 Ambulatory geriatric care. Mosby Inc. 1993
[10] 논문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falls and injurious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1993
[11] 논문 Biomechanical walking pattern changes in the fit and healthy elderly. 1990
[12] 논문 Stride-dependent changes in gait of older people. 1991
[13] 논문 Neurological gait disorders in elderly people: clinical approach and classification. 2007
[14] 논문 Falls in stroke patients: risk factors and risk management. 2010
[15] 논문 Falls in individuals with stroke. 2008
[16] 논문 An algorithm for the management of Parkinson's disease: treatment guidelines 2001
[17] 논문 Medication improves balance and complex gait performance in Parkinson disease. 2012
[18] 논문 Risk factors for falling among people aged 45 to 90 years with multiple sclerosis. 2006
[19] 논문 Evaluation of Clinical Gait Analysis parameters in patients affected by Multiple Sclerosis: Analysis of kinematics. 2017
[20] 논문 Risks of falls in subjects with multiple sclerosis 2002
[21] 논문 Fatigue in multiple sclerosis 2001
[22] 웹사이트 NIOSH Falls from Elevations https://www.cdc.gov/[...]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7-11-04
[23] 간행물 Preventing Slips, Trips, and Falls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Establishments https://www.cdc.gov/[...] DHH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ublication No. 2013-100 2012-10
[24] 웹사이트 Skaters Want a Better Image https://www.nytimes.[...] 2004-01-25
[25] 논문 Level of total injury severity as a possible parameter for evaluation of height in fatal falls
[26] 논문 Ten years of experience with falls from a height in children
[27] 논문 Association of Long-term Exercise Training With Risk of Falls, Fractures,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12-28
[28] 논문 Preventing delirium: should non-pharmacological,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be us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2015-03
[29] 논문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fall prevention programs in nursing h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5-02
[30] Webarchive Notes and figures on free fall http://www.greenharb[...] 2016-07-31
[31] Webarchive Free Fall http://www.greenharb[...]
[32] 웹사이트 Vesna Vulovic: how to survive a bombing at 33,000 feet https://web.archive.[...]
[33] 서적 Their Darkest Day: The Tragedy of Pan Am 103 1992
[34] 뉴스 Survivor still haunted by 1971 air crash http://www.cnn.com/2[...] CNN 2009-07-02
[35] 뉴스 Jumper survives 6,000ft free fall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5-18
[36] 뉴스 US skydiver jumps without parachute into net from 25,000ft https://www.bbc.co.u[...] BBC News 2016-07-31
[37]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4-12-17
[38] 저널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s://zenodo.org/r[...] 2020-06-04
[39]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s://www.who.int/[...] 2009-11-11
[40] 간행물 Causes of Injuries Treat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2010 http://hcup-us.ahrq.[...]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3-05
[41] 웹사이트 Accident Statistics https://www.stanford[...] Stanford Children's Health 2019-11-29
[42] 보도자료 STRATEGIC PRECAUTIONS AGAINST FATAL FALLS ON THE JOB ARE RECOMMENDED BY NIOSH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1-01-02
[43] 웹사이트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2011 http://www.bls.gov/i[...]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2013-01-07
[44] 문서 Granek, 1989
[45] 뉴스 凍結路面では「ペンギン歩き」を、ドイツ医師会が注意喚起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7-01-06
[46] 웹사이트 Rising up from a fall https://www.health.h[...] 2023-09-01
[47] 문서 "Exercise for falls prevention in aged care: systematic review and trial endpoint meta-analyses" https://pubmed.ncbi.[...] 2023-12-01
[48]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49]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50] 문서 낙상 떨어져 다침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다듬은 말
[51] 문서 낙상 https://ko.dict.nave[...] 네이버 국어사전
[52] 웹인용 Fact sheets > Falls http://www.who.int/e[...] 2018-01-16
[53] 문서 얼음 또는 눈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넘어짐 https://terms.nave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 통계청
[54] 문서 미끄러짐, 걸림 및 헛디딤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넘어짐 https://terms.nave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 통계청
[55] 문서 계단에서의 낙상 https://terms.nave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 통계청
[56] 문서 빌딩 또는 구조물에서의 낙상 https://terms.naver.[...]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 통계청
[57] 웹인용 낙상 http://health.cdc.go[...] 2018-05-03
[58] 문서 한국 노인의 낙상 실태와 위험요인: 일부 지역의 인구비례 할당 표본 조사 https://synapse.kore[...] 대한노인병학회
[59] 뉴스 안전보건公 "건설현장 사망 재해 '낙상 사고' 가장 많아" http://www.sisamail.[...] 시사매일
[60] 웹인용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2011 http://www.bls.gov/i[...]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2013-01-07
[61] 문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 http://www.law.go.kr[...]
[62] 문서 추락 환자의 손상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http://www.riss.kr/l[...] 대한응급의학회 1999
[63] 저널 Ten years of experience with falls from a height in children 1983
[64]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4-12-17
[65] 문서 사고발생현황 http://kosis.kr/stat[...] 국가통계포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