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반 유마셰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유마셰프는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자 소련 해군 제독으로, 태평양 함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1895년 트빌리시에서 태어나 발트 함대에서 복무하며 혁명과 내전에 참전했다. 이후 흑해 함대와 태평양 함대를 지휘했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일본 전쟁에서 태평양 함대를 이끌고 관동군 격파 및 남사할린, 쿠릴 열도 해방에 기여했다. 유마셰프는 소련 영웅 칭호와 레닌 훈장을 비롯한 다수의 훈장을 받았으며, 전후 소련 해군 총사령관과 해군 장관을 역임했다. 그의 이름은 도시와 군함에 명명되어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해군 대장 - 블라디미르 마소린
    블라디미르 마소린은 러시아 해군 장교로 임관하여 구축함 함장, 해군 여단장, 카스피해 함대 및 흑해 함대 사령관을 거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러시아 해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며, 재임 기간 동안 해군 전력 강화와 미국 및 NATO와의 협력 증진에 기여했다.
  • 소련의 국방상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의 국방상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 적성훈장 수훈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적성훈장 수훈자 - 파벨 그라초프
    파벨 그라초프는 소련군 공수부대에서 복무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고 러시아 연방 국방장관을 역임했으며, 체첸 전쟁에서의 부실한 지휘로 해임된 군인이다.
이반 유마셰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반 유마셰프
1944년의 유마셰프
본명이반 스테파노비치 유마셰프
출생1895년 10월 9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트빌리시
사망1972년 9월 2일 (76세)
사망지소련 레닌그라드
묻힌 곳세라피모프스코예 묘지
군 복무
소속러시아 제국 해군, 소련 해군
복무 기간1912년 – 1957년
최종 계급해군 원수
지휘소련 태평양 함대, 소련 해군
참전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수상
훈장소비에트 연방 영웅
훈장 내역레닌 훈장 6회
적기훈장 3회
적성훈장
소속 정당
정당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정치 경력
직책해군 대신
임기 시작1950년 2월 25일
임기 종료1951년 7월 20일
기타 정보
서훈소비에트 연방 영웅

2. 초기 생애 및 경력

이반 유마셰프는 1895년 10월 9일 러시아 제국 트빌리시에서 사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1910년 학교 5학년을 마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 15세부터는 구두 수선공, 시멘트 공장 노동자, 자캅카스 철도청의 배달부 등 여러 직업을 거쳤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에는 어머니와 함께 아스트라한주의 카푸스틴 야르 마을로 이주하여 볼로스트 정부의 서기로 일했다.

1912년 9월, 그는 크론시타트의 사관 및 견습 학교에 입학하며 해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발트 함대에 배치되어 순양함 ''보가티르''에서 복무했으며, 처음에는 화부와 기관사로 일하다가 부사관으로 진급했다. 이후 러시아 혁명러시아 내전을 거치며 본격적인 군 경력을 쌓아나갔다.

2. 1. 러시아 혁명과 내전

1917년 2월 혁명 직후, 유마셰프는 레발의 해안 포병대 수병 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917년 9월, 질병으로 인해 해군에서 해임되어 고향인 크라스니 야르로 돌아갔다. 10월 혁명 이후에는 지역 가난한 농민 위원회 위원장과 셀소비에트 위원장을 맡아 활동했다. 1918년 8월, 그는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적 자원 부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1919년 2월, 유마셰프는 자발적으로 적군 해군에 다시 입대하여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그는 아스트라한-카스피 군사 함대와 볼가-카스피 군사 함대 소속 함선에서 복무하며 포수, 선임 포수, 포대 지휘관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볼가강카스피해에서의 전투에 참여했으며, 특히 아스트라한 방어 작전에 기여했다.

1920년 8월부터는 발트 함대에서 복무를 시작했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전함 ''마라트''의 포병 부대 지휘관과 부지휘관을 역임했다. 1921년 3월 발생한 크론시타트 반란 당시에는 반군에게 체포되어 적군이 요새를 점령할 때까지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2. 2. 함대 복무 및 지휘관 경력

1919년 2월, 적군 해군에 자원 입대하여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아스트라한-카스피 군사 함대와 볼가-카스피 군사 함대 소속 함선에서 포수, 선임 포수, 포대 지휘관으로 복무하며 볼가강카스피해 전투 및 아스트라한 방어전에 참여했다.

1920년 8월부터는 발트 함대에서 복무했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전함 마라트의 포병 부대 지휘관과 부지휘관을 역임했다. 1921년 3월 크론시타트 반란 당시에는 반란군에게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으나, 적군이 요새를 공격하면서 풀려났다.

1924년에는 ''보로프스키'' 연락선이 아르한겔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항해하는 소련 함대의 첫 장거리 순항에 참여했다. 1925년에는 함대 지휘관 특별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발트 함대 소속 구축함 ''레닌''과 ''보이코프''에서 복무했으며, 전함 ''마라트''의 지휘관 보좌관으로도 근무했다.

1926년 흑해 함대로 전속되었다. 순양함 ''코민테른''과 ''프로핀테른''의 함장을 맡았고, 구축함 함대를 지휘하기도 했다. 1932년에는 해군 아카데미에서 함선 지휘관을 위한 전술 과정을 이수했다.

소련에서 개인 군 계급이 도입된 후, 1935년 11월 28일 명령에 따라 2급 기함(Flagman 2nd Rank) 계급을 받았다. 1937년 9월에는 흑해 함대 참모장으로 임명되었고, 1938년 1월에는 흑해 함대 사령관이 되었다.

3.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일본 전쟁

1939년 3월, 이반 유마셰프는 태평양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47년까지 함대를 지휘했다.[1] 그는 소련 극동 지역에 해군 기지, 비행장, 해안 방어 시설 등을 건설하며 태평양 함대의 발전과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1] 함대 사령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그의 계급도 꾸준히 상승하여, 1940년 6월 4일에는 중장으로 진급했고,[1] 1943년 5월 31일에는 제독 계급을 받았다.[1]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8월, 소련일본 제국을 상대로 선전포고하면서 소련-일본 전쟁이 발발하자, 유마셰프는 태평양 함대를 직접 지휘하여 전쟁에 참전했다.[1] 그의 지휘 아래 태평양 함대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1. 소련-일본 전쟁 참전

1945년 8월부터 9월까지 이반 유마셰프는 소련-일본 전쟁 중 8월 폭풍 작전에서 태평양 함대를 지휘했다. 그의 지휘 아래 태평양 함대는 제1 극동 전선 및 제2 극동 전선 병력과 협력하여 관동군 격파를 성공적으로 지원했다. 또한, 태평양 함대는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작전에 참여했다.

특히 유마셰프는 한반도 북부에서 청진 상륙 작전을 지휘했다. 이 작전은 청진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몰아내고 한반도 북부 지역의 해방에 기여했다.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함대를 성공적으로 지휘한 공로를 인정받아, 유마셰프는 1945년 9월 14일 소련의 최고 영예인 소련 영웅 칭호와 함께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

4. 전후 경력

1947년 1월, 군사 차관 겸 소련 해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2] 1950년 2월에는 해군상이 되었으나, 1년 후인 1951년에 니콜라이 게라시모비치 쿠즈네초프에게 교체되었다.[1][2] 1951년 8월부터는 해군 아카데미의 원장을 역임했다.[1][2] 정치적으로는 1941년부터 1956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였으며, 제2기 소련 최고 회의 대의원을 지냈다.[2] 유마셰프는 1957년에 퇴역했으며,[1][2] 1972년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1]

5. 평가 및 유산

순양함 아드미랄 유마셰프


이반 유마셰프는 소련 해군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태평양 함대 사령관으로서 소련 극동 지역의 해군력을 강화하고 소련-일본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 세바스토폴, 예카테린부르크의 거리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또한, 소련 해군의 크레스타 II형 미사일 순양함 "아드미랄 유마셰프"와 러시아 해군의 호위함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서훈 내역

'''소련 훈장 및 메달'''
훈장 이미지훈장 이름수여 횟수 / 날짜
소련 영웅1945년 9월 14일
레닌 훈장6회 (1943년 5월 31일, 1945년 2월 21일, 1945년 8월 10일, 1945년 9월 14일, 1955년 10월 8일, 1965년 10월 9일)
적기 훈장3회 (1938년 2월 22일, 1944년 11월 3일, 1949년 6월 10일)
적성 훈장1935년 12월 23일
독일과의 대 조국 전쟁 승리 기념 메달1945년
일본에 대한 승리 기념 메달1945년
대 조국 전쟁 20주년 승리 기념 메달1965년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1969년
노농 적군 20주년 기념 메달1938년
소비에트 육군 및 해군 30주년 기념 메달1948년
소련군 40주년 기념 메달1957년
소련군 50주년 기념 메달1967년



'''외국 훈장'''
훈장 이미지훈장 이름국가
중소 우호 훈장중국
국기 훈장 1급북한
조국 해방 기념 메달북한
폴란드 재건 훈장 대십자장폴란드


참조

[1] 영웅
[2] 뉴스 訃報欄 아사히 신문 1972-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