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론시타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론시타트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 코틀린 섬에 위치한 도시로, 1703년 북방 전쟁 중 러시아 제국이 스웨덴으로부터 섬을 점령한 후 표트르 대제에 의해 요새 건설이 시작되었다. 발트 함대의 주력 기지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방어를 위한 요새로 발전했으며, 1723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세기 초에는 혁명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1921년에는 볼셰비키 정권에 대항하는 크론시타트 반란이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레닌그라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해군 대성당, 요새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사 - 데카브리스트의 난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1825년 러시아 제국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추구하며 입헌 군주제와 농노제 폐지를 요구한 군 장교들이 알렉산드르 1세 사망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일으킨 봉기로, 실패로 끝났지만 러시아 자유주의 운동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사 - 크론시타트 반란
    크론시타트 반란은 1921년 러시아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에서 발생한 반볼셰비키 봉기로, 볼셰비키의 정책에 반발한 수병들이 자유로운 선거 등을 요구하며 일어났지만 무력 진압되었고 레닌의 권력 강화와 신경제정책 도입의 배경이 되었다.
  • 레닌그라드주의 도시 - 가치나
    가치나는 레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가치나 궁전으로 유명하며, 여러 지배를 거쳐 러시아 황실의 거처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박물관이자 레닌그라드주의 주도이며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레닌그라드주의 도시 - 콜피노
    콜피노는 1722년 설립되어 1912년 도시가 된 러시아 도시로, 주요 제철소와 성 니콜라스 성상이 있는 삼위일체 교회가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재건을 거쳐 산업 도시로 발전했고, 콜핀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로서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크론시타트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Kronshtadt
러시아어 표기Кроншта́дт
IPAkrɐnˈʂtat
위치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30 떨어진 곳
설립일1704년
행정 구역
연방 주체상트페테르부르크
행정 구역 명칭크론시타트스키 군
지리
인구 통계
2010년 인구 조사43,005명
2023년 인구45,000명 (추정)
식별 번호
전화 지역 번호812
OKATO 번호40280501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크론시타트 행정부 웹사이트

2. 역사

북방전쟁이 한창이던 1703년, 러시아 제국군은 스웨덴코틀린섬을 점령했다. 표트르 대제페테르부르크 방어를 위한 요새를 건설했고, 1720년대에는 발트 함대의 주력 기지가 되었다. 1723년 독일어에서 유래한 현재 지명으로 바뀌었다.

1724년 크론시타트 항구와 인근 요새 지도


도시를 세운 표트르 대제 기념비


상트페테르부르크 행정 지도에 크론시타트가 있는 코틀린 섬


러시아 해군의 수호성인인 성 안드레아 대성당(1817–1932), 1932년 소비에트 정권에 의해 파괴됨.


최초의 요새는 에 착공되었으며, Кроншлотru (크론슐로트)로 알려졌다.[2] 겨울 동안 핀란드 만이 완전히 얼어붙는 점을 이용하여, 총독 알렉산드르 다닐로비치 멘시코프의 지휘 아래 얼어붙은 바다를 건너 돌로 채워진 상록수 통나무 구조물(케이슨)을 설치하고 요새를 건설했다.[2] 이 요새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로의 해상 접근을 사실상 차단했으며, 단 두 개의 좁은 해협만이 남았고 요새가 이를 지켰다.[2]

19세기 중반, 에두아르트 토틀레벤에 의해 크게 개축되어 마을은 성벽으로 둘러싸였다.[2] 이전의 3층짜리 요새 5개는 중요성이 떨어졌고, 새로운 요새인 콘스탄틴 요새와 4개의 포대가 주요 접근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856–1871).[2] 또한, 7개의 포병 포대가 얕은 북쪽 해협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2]

크론시타트의 초대 총독 중 한 명은 로열 스코츠 해군 출신의 토머스 고든 제독이었다.[2] 그는 스코틀랜드 연합에서 러시아로 망명했으며, 1727년부터 1741년까지 크론시타트 항구의 사령관을 역임했다.[2]

크론시타트가 요새화되면서 해양 강대국, 특히 네덜란드, 영국, 독일의 상인들이 몰려들었다.[2] ''잉글리시 팩토리''로 알려진 영국 상인 공동체는 크론시타트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정착했으며, 특히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 국내 및 해외 무역을 지배했다.[2] 이들은 런던의 무역 위원회를 통해 영국 무역 및 외교 정책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많은 영국 정착민들이 귀화했다.[2] 그러나 무역 동맹은 크림 전쟁 (1854년) 발발로 중단되었다.[2]

1891년 여름, 프랑스 함대가 크론시타트에서 공식적으로 환영받았다.[2] 이는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첫걸음이었다.[2]

20세기 초에는 혁명 운동이 일어나 1905년 혁명에서 황실에 대한 수병들의 큰 반란이 일어났다.

1905년 혁명 당시, 크론시타트에서는 황실에 대한 수병들의 큰 반란이 일어났다.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혁명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크론시타트는 이러한 흐름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917년 2월 혁명 동안, 페트로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수병들은 혁명에 동참하여 장교들을 처형했고, 헌신적인 혁명가라는 명성을 얻었다.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수병들은 1921년까지 '적군' 편에 참여했다.[6]

1921년 3월 7일, 크론시타트 수병들은 볼셰비키 정권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이들은 자유 선거 보장, 언론·출판의 자유, 정치범 석방, 개인 재산 소유권 등을 요구했다.[7] 당시 붉은 군대를 지휘하던 트로츠키는 이 반란을 중대한 위협으로 판단하고 즉시 군대를 보내 진압했다. 지노비예프는 즉시 크론시타트에 군대를 보내, 투하체프스키의 지휘 아래 이 봉기를 진압했다. 이는 10월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일어난 마지막이자 최대 규모의 반정부 반란이었다.

트로츠키는 후일 "크론시타트 봉기는 아무런 전망도 가지지 않은 반혁명 봉기였다. 나는 소비에트 정부에 의한 진압을 옹호하며, 그 의미에서 이 진압의 모든 책임을 진다"고 말했다.

1941년 6월 21일, 발트 함대 사령관 부제독 V. 트리부츠는 해군 인민 위원 아드미랄 N.G. 쿠즈네초프의 명령에 따라 함대 작전 준비 태세 1호를 발표했고, 몇 시간 후 독일 항공기가 크론시타트 외곽 운하에 기뢰를 투하하며 공격을 개시했다. 1등 해군 중위 S. 쿠슈네레프는 대공 포대에 사격을 명령, 여러 대의 항공기가 격추되거나 손상되었다. 첫 공격에 참여한 27대의 독일 항공기 중 3대가 남쪽 요새에 위치한 1st 발트 함대 방공 연대의 대공포에 의해 파괴되었다.

1942년 6월 1일, 크론시타트의 독일 공중 정찰 사진


1937년 스핏헤드 함대 검열에서의 소련 전함 마라트


1941년 8월부터 독일 공군은 크론시타트를 반복적으로 폭격했으며, 특히 슈투카 에이스 한스 울리히 루델이 전함 ''마라트''를 격침시킨 사건이 유명하다. 적의 상륙을 막기 위해 크론시타트에는 13개, 코틀린 섬에는 9개의 포병대가 설치되었고, 주요 감시 초소는 ''해군 대성당''에 위치하여 45km의 시계 범위를 확보했다. 해안 방어 부대는 2개 보병 연대로 구성되었다.

8월 말, 탈린이 위험에 처하자 발트 함대는 크론시타트로 이동했다. 탈린 철수 이후 크론시타트에 잠수함 사단이 조직되어 1941년 말까지 82건의 해상 작전이 수행되었다. 1942년에는 29척의 독일 선박이 소련 잠수함에 의해 침몰했다. 소련 잠수함은 핀란드만의 기뢰 방어선을 돌파했고, 독일군은 포르칼라에서 나이싸르까지 이중 잠수함 그물을 설치하여 핀란드만을 봉쇄했다. 1944년 핀란드가 소련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면서 발트 해에서의 잠수함 전쟁은 마지막 단계에 도달했다.

발트 함대는 125,000명 이상을 전선 육상 근무에 투입했고, 83,000명이 레닌그라드 전선에서 직접 전투를 벌였다. 레닌그라드 방어를 위해 크론시타트에서는 해군 보병 10개 여단, 4개 연대, 40개 이상의 독립 대대 및 중대가 편성되었다.

독일 공군과 독일 포병의 공습으로 해군 조선소와 아스날 공장이 손상되었지만, 해군 조선소는 포위 공격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이 하루 18~20시간을 일하며 작업을 계속했다. 크론시타트 요새는 레닌그라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009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한 투쟁에서 도시 방어자들이 보여준 용기, 지구력, 대중적 영웅주의"를 기리며 "군사 영광의 도시" 칭호를 수여했다.

이후 수도 페테르부르크의 외항으로서 군사적, 상업적으로 중요한 항구로 발전했다. 요새는 페테르부르크 중심가의 유적들과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지구와 관련 기념물군의 일부를 이루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 1. 건설 배경

1703년, 러시아 제국은 북방전쟁 중 스웨덴코틀린섬을 점령했다.[2] 표트르 1세상트페테르부르크 방어를 위한 요새 건설을 명했고, 1720년대에는 발트함대의 주력 기지가 되었다. 1723년에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현재의 지명인 크론시타트로 개칭되었다.[2]

최초의 요새는 1704년 5월 18일에 착공되었으며, Кроншлотru (크론슐로트)로 알려졌다. 핀란드 만이 완전히 얼어붙는 겨울 동안, 노동자들은 얼어붙은 바다를 건너 돌로 채워진 상록수 통나무 구조물(케이슨)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작은 섬을 만들고 요새를 세웠다. 이를 통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의 해상 접근이 차단되었고, 단 두 개의 좁은 해협만이 요새에 의해 보호되었다.

크론시타트의 초대 총독 중 한 명은 로열 스코츠 해군 출신의 토머스 고든 제독이었다. 그는 1707년 연합법으로 영국과 스코틀랜드가 합쳐지자 러시아로 망명하여 1727년부터 1741년까지 크론시타트 항구의 사령관을 역임했다.

크론시타트는 해양 강국, 특히 네덜란드, 영국, 독일 상인들의 한자동맹을 통한 무역 거점이 되었다. 특히 영국 상인 공동체는 ''잉글리시 팩토리''로 알려졌으며,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 국내외 무역을 지배했다. 그러나 크림 전쟁 (1854년) 발발로 인해 무역 동맹은 중단되었다.

19세기에 크론시타트는 에두아르트 토틀레벤에 의해 재요새화되었다. 콘스탄틴 요새와 4개의 포대가 주요 접근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고(1856–1871), 7개의 포병 포대는 북쪽 해협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도시는 성벽으로 둘러싸였다.

1891년 여름,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첫걸음으로 프랑스 함대가 크론시타트에서 공식적인 환영을 받았다.

2. 2. 러시아 제국 시대

북방전쟁 중인 1703년, 러시아 제국군은 스웨덴 영토였던 코틀린섬을 점령했다. 표트르 대제페테르부르크 방어를 위한 요새를 건설했고, 1720년대에는 발트 함대의 주력 기지가 되었다. 1723년 독일어에서 유래한 현재 지명으로 바뀌었다.

최초의 요새는 에 착공되었으며, Кроншлотru (크론슐로트)로 알려졌다.[2] 겨울 동안 핀란드 만이 완전히 얼어붙는 점을 이용하여, 총독 알렉산드르 다닐로비치 멘시코프의 지휘 아래 얼어붙은 바다를 건너 돌로 채워진 상록수 통나무 구조물(케이슨)을 설치하고 요새를 건설했다.[2] 이 요새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로의 해상 접근을 사실상 차단했으며, 단 두 개의 좁은 해협만이 남았고 요새가 이를 지켰다.[2]

19세기 중반, 에두아르트 토틀레벤에 의해 크게 개축되어 마을은 성벽으로 둘러싸였다.[2] 이전의 3층짜리 요새 5개는 중요성이 떨어졌고, 새로운 요새인 콘스탄틴 요새와 4개의 포대가 주요 접근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856–1871).[2] 또한, 7개의 포병 포대가 얕은 북쪽 해협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2]

크론시타트의 초대 총독 중 한 명은 로열 스코츠 해군 출신의 토머스 고든 제독이었다.[2] 그는 스코틀랜드 연합에서 러시아로 망명했으며, 1727년부터 1741년까지 크론시타트 항구의 사령관을 역임했다.[2]

크론시타트가 요새화되면서 해양 강대국, 특히 네덜란드, 영국, 독일의 상인들이 몰려들었다.[2] ''잉글리시 팩토리''로 알려진 영국 상인 공동체는 크론시타트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정착했으며, 특히 예카테리나 2세 통치 기간 동안 국내 및 해외 무역을 지배했다.[2] 이들은 런던의 무역 위원회를 통해 영국 무역 및 외교 정책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많은 영국 정착민들이 귀화했다.[2] 그러나 무역 동맹은 크림 전쟁 (1854년) 발발로 중단되었다.[2]

1891년 여름, 프랑스 함대가 크론시타트에서 공식적으로 환영받았다.[2] 이는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첫걸음이었다.[2]

20세기 초에는 혁명 운동이 일어나 1905년 혁명에서 황실에 대한 수병들의 큰 반란이 일어났다.

2. 3. 혁명 운동과 크론시타트 반란

1905년 혁명 당시, 크론시타트에서는 황실에 대한 수병들의 큰 반란이 일어났다.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혁명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크론시타트는 이러한 흐름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917년 2월 혁명 동안, 페트로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수병들은 혁명에 동참하여 장교들을 처형했고, 헌신적인 혁명가라는 명성을 얻었다.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수병들은 1921년까지 '적군' 편에 참여했다.[6]

1921년 3월 7일, 크론시타트 수병들은 볼셰비키 정권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이들은 자유 선거 보장, 언론·출판의 자유, 정치범 석방, 개인 재산 소유권 등을 요구했다.[7] 당시 붉은 군대를 지휘하던 트로츠키는 이 반란을 중대한 위협으로 판단하고 즉시 군대를 보내 진압했다. 지노비예프는 즉시 크론시타트에 군대를 보내, 투하체프스키의 지휘 아래 이 봉기를 진압했다. 이는 10월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일어난 마지막이자 최대 규모의 반정부 반란이었다.

트로츠키는 후일 "크론시타트 봉기는 아무런 전망도 가지지 않은 반혁명 봉기였다. 나는 소비에트 정부에 의한 진압을 옹호하며, 그 의미에서 이 진압의 모든 책임을 진다"고 말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6월 21일, 발트 함대 사령관 부제독 V. 트리부츠는 해군 인민 위원 아드미랄 N.G. 쿠즈네초프의 명령에 따라 함대 작전 준비 태세 1호를 발표했고, 몇 시간 후 독일 항공기가 크론시타트 외곽 운하에 기뢰를 투하하며 공격을 개시했다. 1등 해군 중위 S. 쿠슈네레프는 대공 포대에 사격을 명령, 여러 대의 항공기가 격추되거나 손상되었다. 첫 공격에 참여한 27대의 독일 항공기 중 3대가 남쪽 요새에 위치한 1st 발트 함대 방공 연대의 대공포에 의해 파괴되었다.

1941년 8월부터 독일 공군은 크론시타트를 반복적으로 폭격했으며, 특히 슈투카 에이스 한스 울리히 루델이 전함 ''마라트''를 격침시킨 사건이 유명하다. 적의 상륙을 막기 위해 크론시타트에는 13개, 코틀린 섬에는 9개의 포병대가 설치되었고, 주요 감시 초소는 ''해군 대성당''에 위치하여 45km의 시계 범위를 확보했다. 해안 방어 부대는 2개 보병 연대로 구성되었다.

8월 말, 탈린이 위험에 처하자 발트 함대는 크론시타트로 이동했다. 탈린 철수 이후 크론시타트에 잠수함 사단이 조직되어 1941년 말까지 82건의 해상 작전이 수행되었다. 1942년에는 29척의 독일 선박이 소련 잠수함에 의해 침몰했다. 소련 잠수함은 핀란드만의 기뢰 방어선을 돌파했고, 독일군은 포르칼라에서 나이싸르까지 이중 잠수함 그물을 설치하여 핀란드만을 봉쇄했다. 1944년 핀란드가 소련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면서 발트 해에서의 잠수함 전쟁은 마지막 단계에 도달했다.

발트 함대는 125,000명 이상을 전선 육상 근무에 투입했고, 83,000명이 레닌그라드 전선에서 직접 전투를 벌였다. 레닌그라드 방어를 위해 크론시타트에서는 해군 보병 10개 여단, 4개 연대, 40개 이상의 독립 대대 및 중대가 편성되었다.

독일 공군과 독일 포병의 공습으로 해군 조선소와 아스날 공장이 손상되었지만, 해군 조선소는 포위 공격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이 하루 18~20시간을 일하며 작업을 계속했다. 크론시타트 요새는 레닌그라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009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한 투쟁에서 도시 방어자들이 보여준 용기, 지구력, 대중적 영웅주의"를 기리며 "군사 영광의 도시" 칭호를 수여했다.

2. 5. 현대

1703년 북방전쟁 중 러시아 제국군이 스웨덴코틀린섬을 점령했다. 표트르 대제페테르부르크 방어를 위한 요새를 건설했고, 1720년대에는 발트함대의 주력 기지가 되었다. 1723년 독일어에서 유래한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후 수도 페테르부르크의 외항으로서 군사적, 상업적으로 중요한 항구로 발전했다. 19세기 중반 에두아르도 토들레벤에 의해 크게 개축되어 마을은 성벽으로 둘러싸였다. 20세기 초에는 혁명 운동이 일어나 1905년 혁명 당시 황실에 대한 수병들의 큰 반란이 발생했다.

1921년 3월 7일, 크론시타트 수병들은 볼셰비키 정권에 자유 선거 보장, 언론·출판의 자유, 정치범 석방, 개인 재산 소유권 등을 요구하며 봉기했다. 트로츠키는 이 반란을 중대한 위협으로 판단, 즉시 군대를 보내 진압했다. 이는 10월 혁명 이후 마지막으로 일어난 반란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크론시타트 요새는 레닌그라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요새는 페테르부르크 중심가의 유적들과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지구와 관련 기념물군의 일부를 이루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3. 인구

크론시타트의 인구는 역사적 변화에 따라 해군 기지와 조선소의 확장과 쇠퇴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아 정점과 저점을 보였다.

연도인구
185453,000
189759,525
192631,197
193938,071
195940,303
197039,477
197940,308
198945,053
200243,385
201043,005



''참고'' 1897년 인구 조사에는 군인이 포함되어 있다

4. 주요 시설 및 유적

크론시타트시는 평평한 땅에 건설되어 홍수에 취약하며, 특히 1824년에 큰 피해를 입었다.[8] 항구는 12월 초부터 4월까지 140~160일 동안 얼어붙는다.[8] 주민의 상당수는 선원이다.[8] 도시 남쪽에는 세 개의 항구가 있는데, 서쪽의 대형 상업 항구는 섬 전체를 가로지르는 요새에 연결된 거대한 부두로 형성되어 있다.[8] 중간 항구는 주로 선박의 장비 설치 및 수리에 사용되었고,[8] 동쪽 또는 군사 항구는 러시아 해군의 선박을 정박하는 데 사용되었다.[8] 표트르와 예카테리나 운하는 도시를 가로질러 상업 항구 및 중간 항구와 연결되어 있었다.[8]

우회 운하


크론시타트 해군 대성당 외부


창고


그 사이에는 멘시코프 공작의 옛 "이탈리아 궁전"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는 나중에 조종사 학교가 들어섰다.[8] 18세기 후반에는 이전 이탈리아 궁전 건물이 다양한 군사 훈련 기관에서 사용되었다.[8] 1771년부터 1798년까지 해군 사관학교가 그곳에 있었고,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전되었다.[8] 1798년부터 1872년까지 항해 학교가 이전 궁전에 있었다.[8] 크론시타트 조위표는 이전 이탈리아 궁전 근처에 위치해 있다.[8]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해수면 관측은 이미 1703년에 시작되었고, 코틀린 섬에서는 1707년에 관측을 시작했다.[8] 핀란드만의 수위 변동으로 인한 해운 문제와 연례 홍수 때문에 수위 관측이 필요했다.[8] 크론시타트 해양 관측소는 발트해 높낮이 시스템의 영점 레벨이며, 러시아와 옛 러시아 제국 일부 국가의 모든 깊이와 고도는 이곳을 기준으로 측정된다.[8] 유리 가가린은 1967년에 이곳을 "우주의 중심"이라고 말했다.[8]

현대 도시의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는 성 니콜라스에게 헌정된 해군 대성당으로, 1908년에서 1913년 사이에 앵커 광장에 건설되었으며, 많은 군사 기념물이 있다.[8] 이 대성당은 러시아 신 비잔틴 건축의 정점으로 여겨진다.[8] 표트르 대제의 기념비를 둘러싼 표트롭스키 정원과 "네덜란드 키친", 옛 "이탈리아 궁전"과 같은 역사적인 건물들도 있다.[8]

콘스탄틴 요새


그 외 공공 건물로는 해군 병원, 영국 선원 병원(1867년 설립), 시민 병원, 해군성(1785년 설립), 무기고, 조선소 및 주물 공장, 해양 공학 학교, 영국 교회 등이 있다.[8]

크론시타트 항구는 한때 세계에서 가장 요새화된 항구로 여겨졌으며,[8] 여전히 작은 요새화된 인공 섬에 오래된 "요새"의 일부가 남아 있다.[8] 원래 핀란드만의 남쪽과 북쪽 해안선과 일직선으로 22개의 요새가 있었고, 일부는 도시 내부에, 다른 하나는 주요 항해 채널 반대편인 크론슬로트 섬의 서쪽 해안에 있었다.[8]

상트페테르부르크 방조제 건설로 인해 일부 요새가 철거되었지만,[8] "제방-도로-해상 게이트 조합"인 이 댐으로 인해 크론시타트와 일부 요새는 육로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8] 가장 중요한 생존 요새로는 콘스탄틴 요새,[8] 섬 서쪽 해안의 ''리프 요새''와 특히 잘 보존된 알렉산더 1세 요새,[8] 에두아르트 톳레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20세기 초에 건설된 가장 크고 새로운 요새인 ''토틀레벤 요새''가 있다.[8]

상트페테르부르크 댐 계획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크론시타트까지 매일 버스와 수상 투어가 있다.[8]

4. 1. 요새

4. 2. 종교 시설

성 안드레아 성당(1817)은 크론시타트의 주요 랜드마크였으나 1932년 공산주의 명령에 따라 파괴되었다.[9] 크론시타트의 성 요한은 1855년부터 1908년까지 성 안드레아 성당에서 사제로 봉사했다.[9]

4. 3. 기타

30년(1980–2011)이 걸려 건설된 상트페테르부르크 방파제는 현재 북쪽과 남쪽에서 코틀린섬과 본토를 연결하며, 홍수 방어의 일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해운을 통과시키고 섬을 가로질러 상트페테르부르크 순환도로 시스템을 완성한다. 이는 제방-둑길과 해상 게이트를 결합한 해양 공학의 위업이다. 핀란드만의 얕은 여울에 건설하면서 역사적인 요새의 일부가 철거되었다.

5. 자매 도시

크론시타트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0]



2022년 3월 1일, 폴란드 도시 피와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반발로 크론시타트와의 자매 도시 관계를 중단했다.[11]

참조

[1] 참고자료 2010Census
[2] 서적 Kaplan, 1995
[3] 서적 Russian Overseas Commerce with Great Britain During the Reign of Catherine II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4] 웹사이트 Kronshtadt https://www.britanni[...]
[5] 잡지 Rebellion in a Naval Fortress 2006-03-01
[6] 문서 Operation Kronstadt
[7] 웹사이트 The Kronstadt Rebellion, Feb 28 – Mar 18, 1921 http://web.jjay.cuny[...] 2009-03-08
[8] 웹사이트 Boat tour to Kronstadt http://www.tourmandu[...] 2011-08-14
[9] 서적 Jean de Cronstadt, médiateur entre Dieu et les hommes Éditions du Cerf 2001
[10] 웹사이트 Города-партнёры http://visitkronshta[...] Visit Kronshtadt 2020-02-05
[11] 웹사이트 Miasto Piła zawiesza współpracę z rosyjskimi miastami partnerskimi. Co na to poseł Marcin Porzucek? https://pila.naszemi[...] 2022-03-05
[12] 웹사이트 Кульчицкий Никола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http://www.hrono.inf[...]
[13] 웹사이트 Ендогуров Иван Иванович http://www.art-catal[...]
[14] 웹사이트 Собенников Петр Петрович http://encyclopedia.[...]
[15] 웹사이트 population hub https://population-h[...] 2023-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