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사벨 2세 (예루살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사벨 2세는 1212년 이탈리아에서 예루살렘 여왕 마리아 몬페라토와 브리엔의 장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예루살렘 여왕으로 즉위했으며, 1225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했다. 이사벨은 1228년 아들 콘라트 4세를 낳고 사망했으며, 콘라트 4세가 예루살렘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엔가 - 장 드 브리엔
    샹파뉴 출신 프랑스 기사이자 예루살렘 왕국의 왕이었던 장 드 브리엔은 마리아 몽페라트와의 결혼으로 예루살렘 왕이 되었고, 5차 십자군 참여와 라틴 제국 공동 황제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방어에 기여했다.
  • 1212년 출생 - 김방경
    김방경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몽골의 침입과 삼별초의 난을 진압하고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에 참여했으며, 1307년 사망 후 충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212년 출생 - 고호리카와 천황
    고호리카와 천황은 조큐의 난 이후 가마쿠라 막부에 의해 옹립된 일본의 제86대 천황으로, 10세에 즉위하여 고타카쿠라인 모리사다 친왕이 섭정하였으며, 시조 천황에게 양위 후 23세에 붕어하였다.
이사벨 2세 (예루살렘)
기본 정보
칭호예루살렘 여왕 (1212년 - 1228년 5월 4일)
신성 로마 황후 (1225년 - 1228년 5월 4일)
시칠리아 왕국 여왕 배우자
독일 왕국 여왕 배우자
이사벨라 여왕의 죽음
이사벨라 여왕의 죽음 (티레의 윌리엄의 Historia와 Old French Continuation MS, 아크레에서 그림, 13세기. Bib. Nat. Française)
재위1212년 – 1228년 5월 4일 (예루살렘 여왕)
대관식1225년
배우자프리드리히 2세
자녀콘라트 2세
가문브리엔 가문
아버지장 드 브리엔
어머니마리아
출생일기원후 1212년경
사망일1228년 5월 4일
사망 장소시칠리아 왕국, 안드리아
매장 장소안드리아 대성당
이전마리아
계승자콘라트 2세
섭정장 드 브리엔 (1212년–1225년)
프리드리히 (1225년–1228년)
섭정 유형공동 통치자

2. 유년 시절과 예루살렘 여왕 즉위

이사벨 2세는 안드리아에서 예루살렘 여왕 마리아 몬페라토와 브리엔의 장의 외동딸로 태어났다.[2] 어머니 마리아는 예루살렘의 이사벨라 1세와 콘라트 1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었다. 마리아는 1212년에 이사벨을 출산한 후 산욕열로 사망했다.[3] 이로 인해 이사벨 2세는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예루살렘 여왕으로 즉위했고, 아버지 장은 섭정이 되었다.

2. 1. 출생과 혈통

이사벨 2세는 이탈리아 남부 안드리아에서 태어났으며, 예루살렘 여왕 마리아 몬페라토와 브리엔의 장의 외동딸이었다.[2] 마리아는 예루살렘의 이사벨라 1세 여왕과 그녀의 두 번째 남편 콘라트 1세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었으며, 어머니가 죽은 후 예루살렘 왕국의 상속녀가 되었다.

마리아는 1212년 이사벨 2세를 낳은 직후 사망했는데,[3] 아마도 산욕열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이사벨 2세는 태어난 지 불과 며칠 만에 예루살렘 여왕으로 선포되었다. 아버지 장은 왕위에 대한 직접적인 주장을 할 수 없었기에 섭정으로 통치했다.

2. 2. 어머니의 죽음과 즉위

이사벨 2세는 이탈리아 남부 안드리아에서 예루살렘 여왕 마리아 몬페라토와 브리엔의 장의 외동딸로 태어났다.[2] 마리아는 예루살렘의 이사벨라 1세와 콘라트 1세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어머니 이사벨 1세가 사망한 후 예루살렘 왕국의 상속녀가 되었다.

마리아는 1212년 이사벨 2세를 낳은 직후 산욕열로 추정되는 병으로 사망했다.[3] 이로 인해 이사벨 2세는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예루살렘 여왕으로 선포되었다. 아버지 장은 왕위에 대한 직접적인 주장을 할 수 없었기에 섭정으로 통치했다.

3.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와의 결혼

이사벨 2세 여왕


1222년 교황 호노리오 3세의 주선으로 이사벨 2세는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하기로 했다. 이들은 아녜스 폰 바이플링겐을 통해 혈연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이 결혼에는 교황의 특별 허가가 필요했다. 1225년 11월 9일, 이사벨은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했고, 프리드리히 2세는 결혼식 당일부터 예루살렘 왕을 칭했다.

3. 1. 정략 결혼

1223년 페렌티노에서 브리엔의 장, 교황 호노리오 3세, 프리드리히 2세 간의 회의에서 이사벨의 운명이 결정되었다. 프리드리히는 십자군에 참여하기로 했지만, 예루살렘의 왕으로서만 가능했고, 이는 이사벨 2세를 아내로 맞이하는 경우에만 가능했다.[4] 이 결혼은 황제를 제6차 십자군에 묶어두려는 교황에 의해 계획되었다. 약혼이 확정되었지만 황제는 1225년 8월까지 출발을 미뤘고, 이사벨과 그는 아크레에서 대리 결혼으로 결혼했다.[5] 며칠 후, 이사벨 2세는 예루살렘의 여왕으로 즉위했다.

이사벨은 프리드리히 2세가 보낸 20척의 갤리선을 타고 이탈리아에 도착하여 아버지에게 갔고, 1225년 11월 9일 브린디시 대성당에서 프리드리히 2세와 직접 결혼했다.[6] 결혼식에서 프리드리히는 스스로를 예루살렘의 왕으로 선언하고, 즉시 장인 브리엔의 장의 권리를 자신에게 이양했다.

3. 2. 결혼식과 권력 변화

1223년 페렌티노에서 장 드 브리엔, 교황 호노리오 3세, 프리드리히 2세 간의 회의에서 이사벨의 운명이 결정되었다. 프리드리히는 십자군에 참여하기로 했지만, 예루살렘의 왕으로서만 가능했고, 이는 이사벨 2세를 아내로 맞이하는 데 동의해야만 했다.[4] 이 결혼은 황제를 제6차 십자군에 묶어두려는 교황에 의해 계획되었다. 약혼이 확정되었지만 황제는 1225년 8월까지 출발을 미뤘고, 이사벨과 프리드리히 2세는 아크레에서 대리 결혼을 했다.[5] 며칠 후, 이사벨 2세는 예루살렘의 여왕으로 즉위했다.

이사벨은 프리드리히 2세가 보낸 20척의 갤리선을 타고 이탈리아에 도착하여 아버지에게 갔고, 1225년 11월 9일 브린디시 대성당에서 프리드리히 2세와 직접 결혼했다.[6] 결혼식에서 프리드리히는 스스로를 예루살렘의 왕으로 선언하고, 즉시 장인인 장 드 브리엔을 몰아내고 그의 권리를 자신에게 이양했다.

4. 황후 시절과 죽음

1222년에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희망에 따라 여왕 이사벨과의 결혼과 십자군 참전에 동의했다. 이사벨과 프리드리히는 아녜스 폰 바이플링겐을 통해 혈연관계에 있었고, 이 결혼은 교황의 특면장을 필요로 했다. 1225년 11월 9일에 이사벨은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했고, 프리드리히 2세는 결혼식 당일부터 예루살렘 왕을 칭했다. 이사벨 사후, 아들 콘라트 4세가 예루살렘 왕위를 계승했다.[6]

4. 1. 황후 시절

결혼 후 이사벨은 남편에 의해 팔레르모에 유폐되었다.[6] 1226년 11월, 14세였던 그녀는 첫 아이인 딸(일부 자료에서는 마가렛이라고 함)을 낳았으나, 아기는 1227년 8월에 사망했다. 1228년 4월 25일 이사벨은 안드리아 바리에서 아들 콘라트를 낳았지만, 며칠 후인 5월 4일 출산 합병증으로 사망했다.[6] 그녀는 안드리아 대성당에 묻혔다.

4. 2. 콘라트 4세 출산과 죽음

결혼 후 이사벨은 남편에 의해 팔레르모에 유폐되었다.[6] 1226년 11월, 14세였던 그녀는 첫 아이인 딸(일부 자료에서는 마가렛이라고 함)을 낳았으나, 아기는 1227년 8월에 사망했다. 1228년 4월 25일 이사벨은 안드리아, 바리에서 아들 콘라트를 낳았지만, 며칠 후인 5월 4일 출산 합병증으로 사망했다.[6] 그녀는 안드리아 대성당에 묻혔다.

5. 가계

이사벨 2세의 어머니 예루살렘 여왕 마리아는 콘라드 1세와 예루살렘 여왕 이사벨 1세의 장녀였다. 마리아는 1210년 십자군에서 활약한 장 드 브리엔과 결혼했다. 1212년 마리아는 이사벨을 낳은 후 산욕열로 사망했고, 이사벨은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예루살렘 여왕으로 즉위했다. 아버지 장은 이사벨의 섭정이 되었다.

이사벨은 1222년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에 동의했고, 1225년 11월 9일 결혼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결혼식 당일부터 예루살렘 왕을 칭했다. 1228년 4월 25일 이사벨은 아들 콘라트 4세를 낳고 같은 날 사망하여 안드리아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이사벨의 사후 아들 콘라트 4세가 예루살렘 왕위를 계승했다.

5. 1. 조상

1세2세3세4세
1. 이사벨 2세2. 라틴 제국 황제 요한4. 브리엔의 에라르 2세8. 브리엔 백작 발터 2세
3. 예루살렘 여왕 마리아5. 몽포콩의 아그네스9. 수아송의 아델
6. 예루살렘 국왕 콘라드 1세10. 몽포콩의 아마데우스 2세
7. 예루살렘 여왕 이사벨 1세11. 그랑송-조인빌의 베아트리체
12. 몬페라토 변경백 빌헬름 5세
13. 바벤베르크의 유디트
14. 예루살렘 국왕 아모리
15. 마리아 콤네네


참조

[1] 논문 Isabella II or Yolanda? The Name of the Queen of Jerusalem and Spouse of the Emperor Frederick II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II: The Kingdom of Acre and the Later Crusa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John of Brienne: King of Jerusalem, Emperor of Constantinople, c.1175-1237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Frederick II: A Medieval Emperor Oxford University Press
[5] 기타
[6] 서적 Crusader Art in the Holy Land, From the Third Crusade to the Fall of Ac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