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호노리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노리오 3세는 1216년부터 122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사벨리 가문 출신이다. 그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뒤를 이어 제5차 십자군을 추진하고 교회의 영적 쇄신을 목표로 했으며, 도미니코회, 프란치스코회, 가르멜회를 인가했다. 또한, 프리드리히 2세의 십자군 참여를 지속적으로 촉구했으나, 십자군 원정은 그의 생전에 성사되지 못했다. 저술 활동을 통해 《로마 교회의 징벌서》를 편찬했으며, 성직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8년 출생 - 오에노 히로모토
    오에노 히로모토는 가마쿠라 막부의 창업 공신으로, 막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호조씨의 권력 장악을 도왔으며 조큐의 난에서 막부의 승리에 기여했다.
  • 1148년 출생 - 테르켄 카툰
    테르켄 카툰은 13세기 초 호라즘 제국의 실질적인 공동 통치자이자 유력한 정치가로서, 아들의 통치 기간 동안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독자적인 행정 기구와 군대를 거느렸지만, 몽골 제국 침략기에 권력 투쟁과 잔혹한 행위를 보이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 제5차 십자군 기독교인 - 장 드 브리엔
    샹파뉴 출신 프랑스 기사이자 예루살렘 왕국의 왕이었던 장 드 브리엔은 마리아 몽페라트와의 결혼으로 예루살렘 왕이 되었고, 5차 십자군 참여와 라틴 제국 공동 황제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방어에 기여했다.
  • 제5차 십자군 기독교인 - 필리프 2세
    필리프 2세는 프랑스 카페 왕조의 왕으로, 왕권 강화, 영토 확장, 파리 정비, 문화 부흥에 기여하여 '존엄왕' 칭호를 얻었다.
  • 1227년 사망 - 주치 칸
    주치 칸은 칭기즈 칸의 장남으로 몽골 제국 초기에 활약하며 서방 원정에 참여하여 중앙아시아 북부를 정복했으나, 동생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고, 1225년경 사망 후 그의 영토는 아들 바투에게 상속되어 킵차크 한국의 기반이 되었다.
  • 1227년 사망 - 아와노쓰보네 (호조 도키마사의 딸)
    아와노쓰보네는 호조 도키마사의 딸이자 미나모토노 사네토모의 유모로서 가마쿠라 막부 내 주요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호조 씨와 미나모토 씨 사이의 권력 다툼 속에서 사네토모를 보호한 여성이다.
교황 호노리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교황 정보
그리스도 발치에 무릎 꿇는 호노리오 3세, 성 바울로 대성전의 앱스 모자이크
그리스도 발치에 무릎 꿇는 호노리오 3세, 성 바울로 대성전의 앱스 모자이크
이름호노리오 3세
직책로마 주교
재임 시작1216년 7월 18일
재임 종료1227년 3월 18일
선임자인노첸시오 3세
후임자그레고리오 9세
서품1216년 7월 24일
서품자우골리노 디 콘티
추기경 임명1193년 2월 20일
추기경 임명자첼레스티노 3세
출생 이름첸치오 사벨리
교회가톨릭교회
출생일1150년경
출생지로마, 교황령
사망일1227년 3월 18일 (76–77세)
사망지로마, 교황령
이전 직책산타 루치아 인 오르페아 성당 추기경 (1193–1200)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성당 추기경 사제 (1200–1216)
추기경단 교황청 камерленго (1198–1216)
교황청 부총장 (1194–1198)
교황청 камерленго (1188–1198)
기타호노리오

2. 초기 활동

호노리오 3세는 로마의 유서 깊은 사벨리 가문 출신으로 아이메리코의 아들로 태어났다.[31]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서 오랫동안 의전사제로 봉직했다.[14] 1188년 1월 교황 궁무처장(재무 담당)이 되었으며,[4] 1193년 2월 20일에는 산타 루치아 인 실리체 성당의 추기경 부제로 서임되었다.[2] 교황 클레멘스 3세교황 첼레스티노 3세 치하에서 로마 교회의 재정을 담당하며 ''Liber Censuum''을 편찬했다. 1194년부터 1198년까지 교황청 상서원장을 역임했다.

1197년, 훗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되는 프리드리히 2세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1200년,[32]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성당의 추기경 사제로 서임되었다.[5] 1198년에 궁무처장직에서 잠시 해임되었으나, 거의 같은 시기에 추기경단 재무 직을 맡아 1216년까지 재임했다.[6]

3. 교황 선출

1216년 7월 18일, 교황 인노첸시오 3세페루자에서 선종하자 17명의 추기경들이 모여 새 교황 선출을 위한 회의를 열었다.[14] 당시 이탈리아는 혼란스러웠고, 타타르족의 위협과 교회 분열에 대한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타협을 통해 교황을 선출하기로 결정했다.[14] 오스티아의 우골리노 추기경(훗날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과 귀도 파파레스키 추기경에게 새 교황 지명 권한이 주어졌고, 이들은 첸시오 사벨리를 지명했다.[14] 첸시오 사벨리는 이를 수락하여 호노리오 3세로 명명되었다.[14]

호노리오 3세는 1216년 7월 24일에 주교로 서임되었고,[14] 같은 해 8월 31일에는 로마에서 교황 대관식을 거행했으며,[14] 9월 3일에는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로마 주교좌에 착좌했다.[14] 로마 시민들은 로마 출신인 호노리오 3세의 선출을 크게 환영했고, 그의 온화한 성품은 많은 이들에게 호감을 샀다.[14]

4. 교황으로서의 활동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1216년 7월 16일에 사망한 후, 17명의 추기경들은 새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모였다. 이탈리아의 불안정한 상황과 분열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추기경들은 타협을 통해 새 교황을 선출하기로 합의했다. 오스티아의 우골리노 추기경(후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과 귀도 파파레시 추기경이 새 교황을 임명할 권한을 위임받았고, 그들은 첸치오 사벨리를 선택했다. 첸치오 사벨리는 교황 관을 받아들여 호노리오 3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호노리오 3세는 1216년 7월 24일 페루자에서 서임되었고, 1216년 8월 31일 로마에서 대관식을 거행했으며, 1216년 9월 3일 라테란을 점령했다. 로마 시민들은 호노리오 3세가 로마 출신이고 그의 친절함에 모든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았기에 그의 선출을 크게 기뻐했다.[14]

호노리오 3세는 전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 마찬가지로 제5차 십자군을 통한 성지 회복과 교회의 영적 쇄신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그는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친절과 관용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13세기 바이센아우 수도원의 필사본에 묘사된 호노리오 3세


교황 칙서


호노리오 3세는 성지 해방 외에도 프랑스 남부의 카타리파 이단 진압, 이베리아 반도의 레콩키스타, 발트해 연안을 대상으로 한 그리스도교 포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세워진 라틴 제국 유지 등 굵직한 현안들을 도맡았다. 이들 현안 중에서도 그가 가장 신경 쓴 문제는 바로 이단의 뿌리를 뽑는 일이었다.

4. 1. 제5차 십자군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제5차 십자군 원정이 결의된 후, 호노리오 3세는 1217년부터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십자군 원정 자금 마련을 위해 교황과 추기경들은 3년간 수입의 10분의 1을, 나머지 성직자들은 20분의 1을 헌납하기로 했다.[7][14]

1217년 4월, 호노리오 3세는 쿠르트네이의 피에르 2세를 라틴 제국 황제로 즉위시켰으나, 피에르 2세는 동방으로 가던 중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의 테오도로스 콤네노스 두카스에게 사로잡혀 사망했다.

호노리오 3세는 프리드리히 2세에게 십자군 원정을 지속적으로 촉구했으나, 프리드리히 2세는 계속해서 원정을 미루었다.[14] 1220년 11월 22일, 프리드리히 2세는 로마에서 황제 대관식을 거행했지만, 십자군 원정은 여전히 지연되었다.

1221년 9월 8일, 이집트 원정은 다미에타 함락 실패로 끝났다. 헝가리의 언드라시 2세와 일부 십자군 함대가 성지로 떠났지만, 지도부 간의 불화와 교황 특사 펠라기우스와의 갈등으로 실패했다.[14]

1225년 6월 24일, 프리드리히 2세의 십자군 원정 출발이 확정되었고, 호노리오 3세는 그와 이사벨라 2세의 혼인을 추진했다. 1225년 7월, 산 제르마노 조약으로 십자군 원정은 2년 더 연기되었다.

호노리오 3세는 1227년 3월 18일, 프리드리히 2세의 십자군 원정을 보지 못하고 로마에서 선종했다.

4. 2. 이단 및 타 종교와의 관계

호노리오 3세는 프랑스 남부의 카타리파 이단을 뿌리뽑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시몽 드 몽포르 5세가 툴루즈 백작 레몽 6세의 땅을 소유하는 것을 인정하고, 프랑스 왕실을 끌어들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14]

1226년 아비뇽 공방전에서 호노리오 3세와 프랑스 국왕 루이 8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아비뇽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을 무시했다.[14]

또한 호노리오 3세는 스페인레콩키스타를 지원하고, 발트해 연안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것을 장려했다.[14]

4. 3. 수도회 인가 및 기타 활동

호노리오 3세는 1216년에 도미니코회를 인가하였고,[33] 1223년에는 프란치스코회를,[34] 1226년에는 가르멜회를 인가하였다.[35]

1219년 호노리오 3세는 도미니코와 그를 따르는 수도자들을 로마의 산타 사비나 성당에 거주하도록 초청했고, 그들은 1220년 초에 그렇게 하였다. 그 전까지 수도사들은 로마에 있는 산 시스토 베키오 수도원에 임시로 거주했는데, 호노리오 3세는 1218년경 도미니코에게 그 수도원을 주어 도미니코의 지시에 따라 로마의 수녀 개혁을 위한 수도원이 되도록 했다. 산타 사비나의 ''수도원 연구소''(studium conventuale)는 도미니코 수도회의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에 있는 ''

''성 프란치스코가 호노리오 3세 앞에서 설교하다'': 조토 디 본도네의 프레스코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1217년 호노리오 3세는 스테판 네마니치에게 세르비아 국왕의 칭호를 수여했다.[13]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제3수도회가 생겨났다. 그는 1221년 교황 칙서 ''기억된 제안서''를 통해 프란치스코회의 참회 형제자매회 규칙을 승인했다. 그는 또한 파리 대학교의 네 명의 경건한 신학 교수들이 세운 수도회인 발 데 제콜리에("학자들의 계곡")를 승인했다.[14]

학식이 풍부한 사람이었던 호노리오 3세는 성직자들이 철저한 교육, 특히 신학 교육을 받을 것을 주장했다. 샤르트르의 장이 주교로 선출한 어떤 휴의 경우, 그는 주교 후보가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즉 교황이 1219년 1월 8일자 서한에서 밝힌 바와 같이, ''문학에 결함이 있는'' (quum pateretur in litteratura defectum) 그에 대한 승인을 보류했다. 그는 심지어 문맹을 이유로 또 다른 주교를 해임했다. 호노리오 3세는 당대 최고의 학문 중심지였던 파리 대학교볼로냐 대학교에 다양한 특권을 부여했다. 그는 학문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교구에서 신학 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칙서 ''주님의 거울''에서 재능 있는 젊은이들을 인정받는 신학 학교로 보내 신학을 공부하고, 그 후 그들의 교구에서 가르치도록 명령했다.[14]

5. 저술 활동

호노리오 3세는 여러 저술을 남겼는데, 그 중에서도 《로마 교회의 징벌서》(Liber Censuum Romanae Ecclesiae)가 대표적이다. 이 책은 중세 교회의 재정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로, 교황청의 수입 내역, 기부 목록, 특권 부여, 그리고 다른 도시 국가나 군주들과 맺은 계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37] 이 책은 교황 클레멘스 3세 때부터 집필이 시작되어 1192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 때 완성되었다. 《로마 교회의 징벌서》 원본은 바티칸 라틴어 문서(Vaticanus latinus 8486)로 남아있다.[37]

호노리오 3세는 교황 첼레스티노 3세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전기를 집필했으며, 《로마 전례 예식서》(Ordo Romanus)를 통해 교회의 여러 전례 예식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34편의 강론을 남겼다.[38]

6. 평가 및 영향

호노리오 3세는 중세 교황으로서 교회 개혁과 제5차 십자군 원정 추진에 힘썼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온화한 성품과 외교적 노력으로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를 조정하고 십자군 원정을 독려했지만, 당시 유럽의 복잡한 정치 상황과 십자군 내부 분열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미니코회, 가르멜회, 프란치스코회 등 주요 수도회를 인가하고 성직자 교육을 강조하는 등 중세 교회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베긴회도 승인하여 기독교 포교 활동을 지원했다.[27] 또한, 저술 활동을 통해 교회법을 집대성한 칙령집 『제5집령』을 편찬하는 등 교회 행정에도 기여했다.[27]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호노리오 3세가 종교 간 화합보다는 기독교 세력 확장을 우선시한 점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알비 십자군 참가를 요청하는 등[24] 이단 억압에 적극적이었던 점은 종교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현대적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러나 교회 개혁과 사회 통합을 위한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6. 1. 긍정적 평가

호노리오 3세는 온화하고 자비로운 성품으로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평가받는다. 도미니코회, 프란치스코회, 가르멜회 등 주요 수도회를 인가하여 중세 교회 영성 발전에 기여했다.[33][34][35] 도미니코와 그 수도자들에게 산타 사비나 성당을 거처로 제공하였고,[36] 이는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의 도미니코회 대학교(studium generale)의 전신이 되었다.[12]

성직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파리 대학교볼로냐 대학교를 지원하여 학문 발전에 공헌했다.[14] 특히 신학 분야에서 철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주교 후보가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했을 때 승인을 보류하기도 하였다.

《로마 교회의 징벌서》 등 저술을 통해 중세 교회에 대한 귀중한 역사적 자료를 남겼다.[37] 이 외에도 그레고리오 7세의 전기, Ordo Romanus에서 교회의 여러 전례 예식, 34편의 강론 등을 기록하였다.[38]

6. 2. 부정적 평가

호노리오 3세는 제5차 십자군 원정 추진 과정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와의 관계 설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프리드리히 2세는 1217년에 성지로 가겠다는 서약을 했으나[14], 잦은 약속 불이행으로 십자군 원정이 지연되었다. 호노리오 3세는 프리드리히 2세에게 원정을 떠날 것을 계속 촉구하였으나, 프리드리히 2세는 여전히 망설였다.[14] 결국 1221년 9월 8일 이집트 원정은 다미에타 상실로 실패했다.

1225년 6월 24일, 프리드리히 2세가 십자군 원정을 떠나는 것이 확정되자 호노리오 3세는 그와 예루살렘의 이사벨라 2세 여왕의 혼담을 추진했다. 그러나 1225년 7월 산 제르마노 조약으로 인해 2년의 유예기간이 허용되었다.

프리드리히 2세는 십자군 원정 준비에 돌입했지만, 호노리오 3세는 1227년 3월 18일 십자군 원정이 성공하는 것을 보지 못하고 로마에서 선종하였다.

6. 3. 종합적 평가

호노리오 3세는 중세 교황으로서 교회 개혁과 십자군 원정 추진에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온화한 성품과 외교적 노력을 통해 여러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를 조정하고 십자군 원정을 독려했다. 특히 제5차 십자군 원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당시 유럽의 복잡한 정치 상황과 십자군 내부의 분열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노리오 3세는 도미니코회, 카르멜회, 프란체스코회 등의 주요 수도회를 인가하고 성직자 교육을 강조하는 등 중세 교회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베긴회도 승인하여 기독교 포교 활동을 지원했다.[27] 또한, 저술 활동을 통해 교회법을 집대성한 칙령집 『제5집령』을 편찬하는 등 교회 행정에도 기여했다.[27]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보면, 호노리오 3세가 종교 간 화합보다는 기독교 세력 확장을 우선시했던 점은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알비 십자군 참가를 요청하는 등[24] 이단 억압에 적극적이었던 점은 종교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현대적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러나 교회 개혁과 사회 통합을 위한 그의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Magyar katolikus lexikon I–XV http://lexikon.katol[...] Szent István Társulat 1993–2010
[2] 논문 Chronica Ludovicus Guerin 1870
[3] 문서
[4]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1193 https://cardinals.fi[...] 2022-04-21
[5] 문서
[6]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1193 https://cardinals.fi[...] 2022-04-21
[7] 논문 Pope Honorius III and the Holy Land Crusades, 1216–1227: A Study in Responsive Papal Government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London 2013
[8] 서적 II. András balkáni külpolitikája [Andrew II's foreign policy in the Balkans] Székesfehérvári Egyházmegyei Múzeum 2012
[9] 문서 Religiosam vitam Turin 1858
[10] 문서 Solet annuere Turin 1858
[11] 문서 Ut vivendi Turin 1858
[12] 문서
[13] 서적 The Roots of Balkanization Eastern Europe C.E. 500-1500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0
[14] 웹사이트 Pope Honorius III
[15] 서적 Étude sur le Liber Censuum de l'Église romain Ernest Thorin 1892
[16] 서적 Honorii III Romani pontificis opera Omnia 1879
[17] 서적 The Meaning of Witchcraft Red Wheel Weiser Conari
[18] 웹사이트 The Grimoire of Honorius http://www.sacred-te[...] 1913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서적 ユーゴスラヴィア史 増補版 恒文社 1993-03
[29] 서적 魔術と占星術 白水社
[30] 서적 Grimoires - A History of Magic Books Oxford University Press
[31] 논문 Chronica Ludovicus Guerin 1870
[32] 문서
[33] 문서 Religiosam vitam Turin 1858
[34] 문서 Solet annuere Turin 1858
[35] 문서 Ut vivendi Turin 1858
[36] 문서 이곳은 16세기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Collegium Divi Thomæ)로 바뀌었다가 20세기에 [[산티 도메니코 에 시스토 성당]]의 [[교황청립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일명 안젤리쿰 Angelicum)로 다시 바뀌었다. 이곳의 교육과정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의 엄격한 해석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1,000명의 학생들 중 4분의 3은 성직자들이다.
[37] 서적 "Étude sur le Liber Censuum de l'Église romain" Ernest Thorin 1892
[38] 서적 Honorii III Romani pontificis opera Omnia Paris 18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