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순신대교는 전라남도 여수시와 광양시를 연결하는 현수교로, 여수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공사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2003년 사업화되어 2007년 착공, 2012년 여수 엑스포 개최 전에 임시 개통되었으며, 2013년 정식 개통되었다. 총연장 2,260m, 주경간장 1,545m로, 국내 기술로 시공되었으며, 주탑 높이는 270m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개통 이후 아스팔트 포장 문제, 교량 흔들림 사건, 유지보수 비용 문제 등이 발생했으며,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가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완공된 교량 - 거북선대교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744m 길이의 사장교인 거북선대교는 여수국가산업단지 확장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 해소, 산업 물동량 수송 원활화, 지역 경제 발전 및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며, 거북선 모티브 디자인과 야간 조명으로 여수의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 역할을 한다. - 2012년 완공된 교량 - 루스키 다리
루스키 다리는 2012년 APEC 정상 회의를 계기로 건설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중앙 경간을 가진 사장교 중 하나이고 블라디보스토크의 랜드마크이다. - 현수교 - 세토 대교
세토 대교는 오카야마현과 가가와현을 연결하는 총 연장 13.1km의 일본 최대 규모 다리로, 6개의 주요 교량과 5개의 고가교로 구성되어 1955년 시운마루 침몰 사고 이후 건설 논의가 본격화되어 1988년 완공되었으며 시코쿠 지역 발전에 기여했지만 건설 과정의 인명 피해와 재정적 어려움이 남아있다. - 현수교 - 아카시 해협 대교
아카시 해협 대교는 혼슈와 아와지섬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 현수교로, 한신·아와지 대지진에도 큰 피해 없이 1998년 개통되어 지역 경제와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광양시의 건축물 - 진상역
진상역은 경상남도 하동군 진상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68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운영 방식에 변화를 겪었으며, 2016년 경전선 이설로 위치가 변경된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양시의 건축물 - 광양역
광양역은 전라남도 광양시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복선전철화와 노선 확장을 거쳐 현재는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쌍섬식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이순신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이순신대교 |
다른 이름 | 이순신대교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 |
일반 정보 | |
통과 노선 | 이순신대로 |
횡단 위치 | 남해 |
교량 종류 | 현수교 |
총 길이 | 2,260m |
폭 | 27m |
높이 | 270m |
주 경간 | 1,545m |
하단 여유 높이 | 80m |
건설 정보 | |
설계 | 유신코퍼레이션 |
시공사 | DL이앤씨 |
착공 | 2007년 11월 |
개통 | 2012년 5월 12일 |
통행료 | 없음 |
2. 역사
2007년 11월 15일에 착공하여, 2012년 여수 엑스포 개최 직전인 2012년 5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임시 개통되었고, 이듬해 2013년 2월 7일에 정식 개통되었다.[9]
2. 1. 건설 배경 및 명칭 선정
이순신대교는 여수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공사 제3공구에 해당하는 2.26km의 교량 구간으로, 2003년 8월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에 여수산단진입도로 예비타당성 대상 신청으로 사업이 시작되었다.계획 초기에는 가칭 '광양대교'로 불렸으나 2007년 2월부터 4월까지 전라남도에서 열린 전라남도 내 '주요 장대 교량에 대한 명칭 공모'[15][16]를 통해 '이순신대교'라는 현재의 이름이 정해졌다.[17] 이순신대교라는 이름은 다리가 건설된 여수시 묘도와 광양시 금호동 사이의 바다가 임진왜란 당시 노량 해전이 펼쳐진 노량 해협과 인접하였고, 전투를 이끈 이순신 장군의 주 활동 무대 중 하나이자 그가 전사한 곳이라는 이유에서 붙여지게 되었다.[17][18] 또, 2개의 주탑 사이의 거리(주경간)는 이순신 장군의 탄신년인 1545년을 기리기 위해 1,545m로 설계하였고,[19] 이는 2010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고 세계 4위에 해당한다.[20]
2. 2. 설계 및 시공
2003년 8월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에 여수산단진입도로 예비타당성 대상 신청으로 사업이 시작되었다. 여수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공사 제3공구 2.26km의 교량 구간이다.계획 초기에는 가칭 '광양대교'로 불렸으나 2007년 2월부터 4월까지 전라남도에서 열린 전라남도 내 '주요 장대 교량에 대한 명칭 공모'를 통해 '이순신대교'라는 현재의 이름이 정해졌다.[15][16][17]
이순신대교라는 이름은 다리가 건설된 여수시 묘도와 광양시 금호동 사이의 바다가 임진왜란 당시 노량 해전이 펼쳐진 노량 해협과 인접하였고, 전투를 이끈 이순신 장군의 주 활동 무대 중 하나이자 그가 전사한 곳이라는 이유에서 붙여지게 되었다.[17][18] 2개의 주탑 사이의 거리(주경간)는 이순신 장군의 탄신년인 1545년을 기리기 위해 1,545m로 설계하였고,[19] 이는 2010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고 세계 4위에 해당한다.[20]
2007년 11월 15일 착공, 2012년 여수 엑스포 개최 직전인 2012년 5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임시 개통, 다음해 2013년 2월 7일에 정식 개통했다.[9]
2. 3. 개통 및 운영
2012년 여수 엑스포 개최 직전인 2012년 5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임시 개통되었고, 이듬해 2013년 2월 7일에 정식 개통되었다.[9] 개통 이후 관리권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광양시와 여수시는 다리에 대한 관리권이 없다는 이유로 단속 등 관리를 하지 않았다. 이후 관련 지방자치단체인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가 공동 관리하기로 합의하였다.그러나 다리 관리 비용은 매년 약 12억원에 달하고, 시공사의 하자 보수 기간이 끝나면 관리 비용이 연간 1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2023년 11월 전라남도 발표에 따르면, 2013년 2월 이순신대교 개통 이후 2023년까지 유지 관리에 총 443억원이 투입되었다. 여수국가산업단지와 포스코 광양제철소 등을 오가는 대형 자동차 통행이 잦아 도로 표면에 패임이나 균열이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순신대교 유지관리비는 전라남도(33.3%), 여수시(42.7%), 광양시(24.0%)가 분담한다. 유지관리비 규모는 개통 이후 매년 증가해왔다. 2014년~2016년 3년간 총 57억원에서 2017년~2019년 117억원, 2020년~2022년 3년간 188억원이 사용되었고, 2023년에만 80억원 이상이 투입되었다. 2020년 이후 연간 60억원 정도였던 유지관리비는 2023년에 80억원 정도로 증가했다. 전라남도는 2024년에만 200억원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 중이다. 2024년 유지관리비 추산액(73억원)에는 경관 조명(40억원), 교각 내·외부 도장(40억원), 행어 로프 보수(25억원) 등이 추가되었다.[26]
3. 교량의 특징
이순신대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과정이 순수 국내 기술로 건설된 현수교이다. 주탑과 앵커리지, 주탑 사이를 연결하는 주케이블에 행어케이블을 매달아 상판을 지지하는 형태이다.[24] 2010년 10월 10일 완공된 2개의 주탑은 높이가 270m로, 덴마크 스토레벨트 다리(254m)와 서울 63빌딩(249m), 남산(262m)보다 높다.[21][22]
3. 1. 구조 및 제원
이순신대교는 2003년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개설공사 제3공구 사업으로 전라남도가 발주하였으며, 설계사는 유신코퍼레이션, 시공사는 대림산업이다.총연장 2,260m, 주경간장 1,545m인 3경간 대칭 타정식 현수교로 도로는 왕복 4차선이다.[19] 2010년 10월 10일에 완공된 2개의 주탑은 높이 270m로 세계 최고 높이이며, 덴마크 스토레벨트 다리(254m), 서울 63빌딩(249m), 남산(262m)보다도 높다.[21][22] 2개의 주탑 사이의 경간(徑間) 길이는 기본계획 당시 1,100m였으나, 일반 아스팔트 대신 에폭시 아스팔트로 도로를 포장해 445m를 연장한 1,545m로 시공하였다.[23]
이순신대교와 같은 현수교는 주탑과 앵커리지, 주탑과 주탑 사이를 잇는 주케이블에 행어케이블을 매달고 행어케이블이 상판을 들어올리는 형태인데, 이순신대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전 공정이 순수 국내 기술로 시공되었다. 설계는 유신코퍼레이션이 대림산업과 협력하여 맡았고, 시공사인 대림산업이 시공계획, 장비제작 등을 주도하였다. 앵커리지는 흥우산업, 주탑은 청진건설, 케이블은 케이블텍과 관수이앤씨가 협력업체로 참여했으며, 강교제작은 대림C&S와 현대스틸산업이 수행했다. 강판은 포스코, 케이블용 와이어는 고려제강, 주단강품은 삼영엠텍이 생산하였고, 한국기술개발, 동아기술공사, 포스코엔지니어링 3사가 공동으로 감리를 맡았다. 한편, 앵커리지는 여수 쪽엔 지중정착식, 연약지반인 광양 쪽엔 중력식으로 시공되었다.[24][25]
3. 2. 국내 기술 적용
2003년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개설공사 제3공구 사업으로 전라남도가 발주하였으며, 설계는 유신코퍼레이션, 시공은 대림산업이 담당했다.이순신대교와 같은 현수교는 주탑과 앵커리지, 주탑과 주탑 사이를 잇는 주케이블에 행어케이블을 매달고 행어케이블이 상판을 들어올리는 형태인데, 이순신대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전 공정이 순수 국내 기술로 시공되었다.[24] 설계는 유신코퍼레이션이 대림산업과 협력하여 맡았고, 시공사인 대림산업이 시공계획, 장비제작 등을 주도하였다.[24]
협력업체로는 앵커리지에 흥우산업, 주탑에 청진건설, 케이블에 케이블텍과 관수이앤씨가 참여했으며, 강교제작은 대림C&S와 현대스틸산업이 수행했다.[24] 포스코는 강판, 고려제강은 케이블용 와이어, 삼영엠텍은 주단강품을 생산하였고, 한국기술개발, 동아기술공사, 포스코엔지니어링 3사가 공동으로 감리를 맡았다.[24] 한편, 앵커리지는 여수 쪽엔 지중정착식, 연약지반인 광양 쪽엔 중력식으로 시공되었다.[24][25]
3. 3. 앵커리지 형식
이순신대교와 같은 현수교는 주탑과 앵커리지, 주탑과 주탑 사이를 잇는 주케이블에 행어케이블을 매달고 행어케이블이 상판을 들어올리는 형태인데, 이순신대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전 공정이 순수 국내 기술로 시공되었다.[24] 설계는 유신코퍼레이션이 대림산업과 협력하여 맡았고, 시공사인 대림산업이 시공계획, 장비제작 등을 주도하였다. 앵커리지는 흥우산업, 주탑은 청진건설, 케이블은 케이블텍과 관수이앤씨가 협력업체로 참여했으며, 강교제작은 대림C&S와 현대스틸산업이 수행했다. 강판은 포스코, 케이블용 와이어는 고려제강, 주단강품은 삼영엠텍이 생산하였고, 한국기술개발, 동아기술공사, 포스코엔지니어링 3사가 공동으로 감리를 맡았다. 한편, 앵커리지는 여수 쪽엔 지중정착식, 연약지반인 광양 쪽엔 중력식으로 시공되었다.[24][25]4. 논란 및 문제점
이순신대교는 개통 이후 여러 논란과 문제점에 직면했다.
개통 초기, 관리권 문제로 광양시와 여수시가 관리를 소홀히 하다가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가 공동 관리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유지보수 비용이 막대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여수 엑스포를 앞두고 임시 개통 과정에서 발생한 도로 포장 하자와 2014년에 발생한 교량 흔들림 사건은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28][29][30]
4. 1. 도로 포장 하자
여수 엑스포에 맞춰 2012년 5월 3개월 간 임시 개통했을 때, 아스팔트를 두 번 연이어 포장해야 했지만 한 번만 시공하고 차량을 통행시켜 내구성에 문제가 생겼다. 이로 인해 포장이 뜯어지고 훼손되는 일이 발생했다. 시공사인 대림산업은 임시 개통 이후 별다른 보강 조치 없이 포장을 덧씌웠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아스팔트를) 분할 시공하면 일체화가 (강하게) 안 될 수 있다는 점을 놓친 부분이 있다'며 문제를 인정했다.[28]이순신대교 주변은 한국 유수의 공업 지대이며, 대형 차량의 과적재 등으로 인해 아스팔트 노면에 균열이 발생했다. 이에 2014년 6월 5일부터 10월까지 2차선 통행을 규제하고 보수 공사를 실시했다. 기존에 2.5cm 두께로 포설된 아스팔트 포장을 제거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5cm 두께의 에폭시 아스팔트로 재포장했다.[10]
2014년 10월 26일 오후 6시경, 이순신대교가 상하로 크게 흔들린다는 신고를 받고 교량 상부가 일시적으로 봉쇄되었다. 긴급 점검 결과, 도로 포장 공사에 따라 교량 위에 설치되었던 방풍막이 강풍에 의해 진동한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다음 날인 27일에 방풍막을 철거한 후 통행이 재개되었다.[11]
4. 2. 교량 흔들림 사건
2014년 10월 26일 오후, 전남소방본부에 교량이 심하게 흔들린다는 시민들의 제보가 10여 건 접수되어 교량이 전면 통제되었다. 이로 인해 차량들이 급히 대피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일부 시민들은 차량을 버리고 대피하기도 했다.[29] 교량은 아래위로 1m가량 진동했다. 전라남도는 전문가들을 동원해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했고, 전문가들은 도로포장 공사 과정에서 설치한 1.2m 높이의 바람 가림막(방풍막)이 바람을 막아 소용돌이가 생기면서 다리가 흔들린 것으로 진단했다.[30]당시 이순신대교 주변은 한국 유수의 공업 지대로, 대형 차량의 과적재 등으로 인해 아스팔트 노면에 균열이 발생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2014년 6월 5일부터 10월까지 2차선 통행을 규제하고 보수 공사를 실시했다. 기존 2.5cm 두께의 아스팔트 포장을 제거하고, 내구성을 높인 5cm 두께의 에폭시 아스팔트로 재포장했다.[10]
2014년 10월 26일 오후 6시경, 이순신대교가 상하로 크게 흔들린다는 신고를 받고 교량 상부가 일시적으로 봉쇄되었다. 긴급 점검 결과, 도로 포장 공사를 위해 교량 위에 설치했던 방풍막이 강풍에 의해 진동한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다음 날인 27일에 방풍막을 철거하고 통행을 재개했다.[11]
4. 3. 유지보수 비용 문제 및 국도 승격 논의
이 다리는 개통 이후 관리권 문제가 대두되었는데, 광양시와 여수시에서는 다리에 대한 관리권이 없다는 이유로 단속 등 관리를 하지 않다가 관련 지자체인 전라남도, 여수, 광양이 공동 관리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다리의 관리비용이 매년 약 12억원 정도인데다 시공사의 하자보수기간이 끝나면 관리비용이 1년에 1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2023년 11월 전라남도 발표에 따르면 2013년 2월 이순신대교 개통 이후 올해까지 유지관리에 총 443억원이 투입되었다. 여수국가산단과 포스코 광양제철소 등을 오가는 대형 자동차의 통행이 잦은 탓에 도로 표면이 패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일이 속출해서다. 이순신대교 유지관리비는 전남도(33.3%)·여수시(42.7%)·광양시(24.0%)가 분담해서 낸다. 이순신대교 유지관리비 규모는 개통 이후 매년 증가해왔다.
2020년 이후 연간 60억원 정도 썼는데 올해는 20억원 정도 늘었다. 전남도는 당장 2024년에만 200억원 정도 들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 중이다. 내년 유지관리비 추산액(73억원)에 경관조명(40억원), 교각 내·외부 도장(40억원), 행어로프 보수(25억원) 등이 추가된 비용이다.[26]
이 다리는 주된 건설 목적이 광양, 여수 지역의 국가산업단지에서 생산되는 물류를 운송시키기 위한 산업도로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 다리 구간을 근처의 국도 제59호선으로 승격시켜줄 것을 국도 관리 주체인 국토교통부에 2014년 3월 24일 정식으로 건의하였다.[27]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New suspension bridge to break world mark for tower height
http://english.donga[...]
The Dong-a Ilbo
2014-01-20
[2]
웹사이트
Yooshin
http://www.yooshin.c[...]
2021-01-20
[3]
웹사이트
Yi Sun-sin Bridge, Gwangyan, South Korea (Outstanding Structure Award 2013 - Finalist)
http://www.iabse.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ing
2015-07-22
[4]
문서
List of longest suspension bridge spans (Wikipedia english)
https://en.wikipedia[...]
[5]
웹사이트
【写真】李舜臣大橋、世界最高270メートルの主塔完工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우리나라 바다에서 가장 높은 다리는?
http://biz.chosun.co[...]
[7]
웹사이트
(사진뉴스) 광양 이순신 대교 웬말?여수시를 발끈하게 한 문제의 광고판
https://web.archive.[...]
[8]
뉴스
李舜臣大橋の揺れ、原因は全長2キロ超の布製シート
http://www.chosunonl[...]
CNN
2014-11-03
[9]
웹사이트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건설 개요 (여수시청 홈페이지)
http://www.yeosu.go.[...]
[10]
웹사이트
여수-광양 이순신대교 재포장…10월 15일까지 통제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흔들린 이순신대교, 통행은 일단 재개…안전 문제 없나
http://news.jtbc.joi[...]
[12]
간행물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홍보자료 '한국의 해상교량' (해상교량 전시관에서 확인)
[13]
웹인용
우리나라 바다에서 가장 높은 다리는?
http://biz.chosun.co[...]
2013-07-05
[14]
웹인용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 건설 개요 (여수시청 홈페이지)
http://www.yeosu.go.[...]
[15]
웹인용
주요 장대교량 명칭 공모 (전라남도청 홈페이지 도정소식 공지사항)
http://jeonnam.go.kr[...]
[16]
웹인용
전남도, 교량 명칭 공모키로 (전라남도청 홈페이지 도정소식 보도자료)
http://jeonnam.go.kr[...]
2010-12-12
[17]
웹인용
전라남도청 홈페이지 도정소식 보도자료 2008.04.30
http://www.jeonnam.g[...]
[18]
웹인용
여수인터넷뉴스 2010. 11. 05.일자 기사 중 2007년 명칭 공모에 대한 여수시 공문 내용
http://ysinews.com/A[...]
2010-12-12
[19]
웹인용
대림산업 이순신대교 브로셔
http://www.daelim.co[...]
2012-07-18
[20]
웹인용
List of longest suspension bridge spans (Wikipedia english)
https://en.wikipedia[...]
[21]
웹인용
한국형 현수교 이순신대교, 한겨레
http://news.nate.com[...]
[22]
웹인용
세계 최고 높이 270미터…이순신 대교 주탑 완공, SBS
http://news.nate.com[...]
[23]
웹사이트
국내 최장 현수교 이순신대교 노면 포장 전면 교체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14-05-15
[24]
웹인용
하늘에 닿은 다리 '이순신대교'를 가다,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
[25]
웹인용
45년 노하우, 세계최고 이순신대교에 쏟는다, 엔지니어링데일리
http://www.engdaily.[...]
[26]
웹인용
"[단독] '1조700억' 이순신대교, 내년에만 200억 보수비 폭탄"
https://www.joongang[...]
2023-11-21
[27]
웹사이트
이순신대교, 정부가 관리해야?…국도 승격에 촉각
http://imnews.imbc.c[...]
MBC
2013-09-30
[28]
뉴스
도로 곳곳 파손, 구멍까지…이순신 이름에 먹칠한 부실 시공
http://news.jtbc.joi[...]
JTBC 뉴스
[29]
뉴스
"다리가 흔들린다!" 이순신대교 소동…시민들 '철렁'
http://news.jtbc.joi[...]
JTBC 뉴스
[30]
뉴스
흔들린 이순신대교, 통행은 일단 재개…안전 문제 없나
http://news.jtbc.joi[...]
JTBC 뉴스
[31]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32]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