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양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양원은 조선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홍문관 부제학, 병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한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 서울 수비를 맡았으며, 영의정으로 왜적과 싸우다 왕이 요동으로 파천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했다. 선성군 이무생의 고손자이며,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인물이다.

2. 생애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우의정을 지냈으며, 유도대장을 겸하며 서울 수비를 맡았다. 그러나 선조가 요동으로 파천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하였다.

2. 1. 관직 생활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정자, 홍문관저작, 박사, 부수찬, 시강원사서, 병조좌랑, 홍문관수찬, 홍문관부교리, 이조정랑, 의정부검상, 홍문관응교 등을 거쳤다. 승정원에서 우부승지에 임명되고 병조참지, 우승지, 예조참의를 거쳐 좌승지가 되었다. 병조참지로 재임명되었다가 다시 병조참의를 거쳐 사간원대사간, 홍문관부제학, 병조참지를 지내고 이조참의가 되었다. 이후 도승지로 임명되어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대사헌, 형조참판, 병조참판을 두루 지냈다. 오위도총부부총관을 하다가 개성유수를 거쳐 대사헌, 형조판서를 지내고 예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대제학좌찬성을 지냈다. 병조판서로 다시 임명되었다가 유도대장을 거쳐 우의정에 임명되어 유도대장을 겸하며 임진왜란 때 서울 수비를 맡았다. 이후 좌의정이 되고 영의정이 되어서 왜적과 싸웠지만 왕이 요동으로 파천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한다.

2. 2. 임진왜란과 최후

임진왜란 때 서울 수비를 맡았으나, 선조가 요동으로 파천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선성군 이무생(宣城君 李茂生)정종의 7남
증조부병산군 이말정(屏山君 李末丁)
양조부지산군 이천수(知山君 李千壽)
아버지이원군 이학정(利原君 李鶴汀)
어머니동래 정씨정양(鄭瑒)의 딸
부인진주 류씨군수(郡守) 류간(柳幹)의 딸
장녀이란(李蘭)1547년 ~ ?
사위창녕 성씨 성영(成泳)1547년 ~ 1623년
차녀이영(李英)1549년 ~ ?
사위풍양 조씨 조희식(趙希軾)현령(縣令) 역임
장남이서경(李犀慶)1559년 ~ ?
며느리평산 신씨신흔(申忻)의 딸
손자이복광(李復匡)
손자이중광(李重匡)1585년 ~ ?
차남이구경(李龜慶)1561년 ~ ?
며느리남양 홍씨홍책(洪䇿)의 딸
손자이홍광(李弘匡)1579년 ~ ?
3남이시경(李蓍慶)1565년 ~ ?
며느리원주 김씨김유경(金有慶)의 딸
손자이극광(李克匡)1585년 ~ ?
손자이의광(李毅匡)1587년 ~ ?
측실영산 신씨신세흠(辛世欽)의 딸
4남(서자)이용경(李龍慶)1576년 ~ ?
며느리원주 원씨보덕(輔德) 원사용(元士容)의 딸
손자이인광(李仁匡)1602년 ~ ?
손자이준광(李俊匡)1613년 ~ ?
손자이신광(李信匡)1620년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