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성군 무생은 조선 정종의 서자로, 숙의 지씨의 소생이며 의평군, 임성군의 형제이다. 정종성의 딸이자 정몽주의 손녀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1425년 중직대부 정윤에 봉해졌으나 학문 게을리함으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종친 활동을 하였다. 1454년 중의대부 선성군에 봉해졌고, 1872년 증 상보국 숭록대부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양정이다. 묘는 남한산성 인근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종의 자녀 - 무림군
무림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 정종과 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정부인 홍씨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으며, 세조의 순행을 호종하고 문폐사로 활동하며 지방 실정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도평군
도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로, 기생 첩을 사랑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의 왕자 - 의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자 순종의 이복 동생인 의친왕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서 독립운동에 투신,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한 독립운동가이다. - 조선의 왕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왕족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왕족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선성군 | |
|---|---|
| 기본 정보 | |
| 국가 | 조선 |
| 인물 정보 | |
| 본관 | 전주 이씨 |
| 생년월일 | 1490년 1월 24일 |
| 몰년월일 | 1526년 12월 2일 (36세) |
| 묘소 |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이매리 영장산 |
| 아버지 | 성종 |
| 어머니 | 숙용 심씨 |
| 부인 | 풍덕군부인 파평 윤씨 |
| 자녀 | 이철동 (李哲同) 이억동 (李億同) 이계동 (李季同) 이치동 (李致同) 이신동 (李信同) |
2. 생애
선성군 무생(宣城君 茂生)은 정종 이방과의 네 번째 서자이며 숙의 지씨(淑儀 池氏) 소생이고, 의평군 무생(義平君 元生), 임성군 호생(任城君 好生)의 친형제간이다. 그는 정종성의 딸이자 포은 정몽주의 손녀와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두었다. 1계부인인 김중약의 딸과의 사이에서도 1남을 낳았으며, 2계부인에게서 8남 2녀를 보았다.
1425년(세종 7)에 종3품 중직대부(中直大夫) 정윤(正尹)에 봉해졌으나, 1427년(세종 9) 학문을 게을리한다는 이유로 직첩을 박탈당하고 황해도 배천으로 유배되었다. 훗날 그 본의를 알고 1430년(세종 12) 유배에서 풀려나 종학(宗學)에 나갔다. 1432년(세종 14년) 원윤(元尹)의 직첩을 받고 1454년(단종 2) 3월에 중의대부 선성군(宣城君)에 봉해졌으며, 그해 5월에 종친(宗親), 의빈(儀賓), 문무백관(文武百官)과 함께 경회루(慶會樓)에서 진풍연(進豊宴)을 열기도 하였다.
1872년(고종 9) 3월, “증 상보국 숭록대부 영종정경 행중의대부”(贈 上報國 崇祿大夫 領宗正卿 行中義大夫)로 추증(追贈)되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묘는 남한산성 동북쪽 40km의 거리에 덕봉(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다. 덕봉의 남쪽 남향의 등성에 선성군 양정공(良靖公)의 유택(幽宅)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유배
선성군 무생(宣城君 茂生)은 정종 이방과의 네 번째 서자이며 숙의 지씨(淑儀 池氏) 소생이고, 의평군 무생(義平君 元生), 임성군 호생(任城君 好生)의 친형제간이다. 그는 정종성의 딸이자 포은 정몽주의 손녀와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두었다. 1계부인인 김중약의 딸과의 사이에서도 1남을 낳았으며, 2계부인에게서 8남 2녀를 보았다.1425년(세종 7)에 종3품 중직대부(中直大夫) 정윤(正尹)에 봉해졌으나, 1427년(세종 9) 학문을 게을리한다는 이유로 직첩을 박탈당하고 황해도 배천으로 유배되었다. 훗날 그 본의를 알고 1430년(세종 12) 유배에서 풀려나 종학(宗學)에 나갔다. 1432년(세종 14년) 원윤(元尹)의 직첩을 받았다.
1872년(고종 9) 3월, “증 상보국 숭록대부 영종정경 행중의대부”(贈 上報國 崇祿大夫 領宗正卿 行中義大夫)로 추증(追贈)되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묘는 남한산성 동북쪽 40km의 거리에 덕봉(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다. 덕봉의 남쪽 남향의 등성에 선성군 양정공(良靖公)의 유택(幽宅)이 있다.
2. 2. 복권과 종친 활동
선성군 무생(宣城君 茂生)은 정종 이방과의 네 번째 서자이며 숙의 지씨(淑儀 池氏) 소생이고, 의평군 무생(義平君 元生), 임성군 호생(任城君 好生)의 친형제간이다. 그는 정종성의 딸이자 포은 정몽주의 손녀와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두었다. 1계부인인 김중약의 딸과의 사이에서도 1남을 낳았으며, 2계부인에게서 8남 2녀를 보았다.1425년(세종 7)에 종3품 중직대부(中直大夫) 정윤(正尹)에 봉해졌으나, 1427년(세종 9) 학문을 게을리한다는 이유로 직첩을 박탈당하고 황해도 배천으로 유배되었다. 훗날 그 본의를 알고 1430년(세종 12) 유배에서 풀려나 종학(宗學)에 나갔다. 1432년(세종 14년) 원윤(元尹)의 직첩을 받고 1454년(단종 2) 3월에 중의대부 선성군(宣城君)에 봉해졌으며, 그해 5월에 종친(宗親), 의빈(儀賓), 문무백관(文武百官)과 함께 경회루(慶會樓)에서 진풍연(進豊宴)을 열기도 하였다.
1872년(고종 9) 3월, “증 상보국 숭록대부 영종정경 행중의대부”(贈 上報國 崇祿大夫 領宗正卿 行中義大夫)로 추증(追贈)되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묘는 남한산성 동북쪽 40km의 거리에 덕봉(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다. 덕봉의 남쪽 남향의 등성에 선성군 양정공(良靖公)의 유택(幽宅)이 있다.
2. 3. 사후
선성군 무생(宣城君 茂生)은 정종의 넷째 서자이며 어머니는 숙의 지씨이다. 의평군, 임성군과는 친형제간이다. 정몽주의 손녀와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두었고, 첫째 부인에게서 1남, 둘째 부인에게서 8남 2녀를 두었다.1425년(세종 7) 종3품 정윤에 봉해졌으나, 1427년 학문을 게을리한다는 이유로 직첩을 박탈당하고 황해도 배천으로 유배되었다. 1430년 유배에서 풀려나 종학에 나갔고, 1432년 원윤의 직첩을 받았다. 1454년(단종 2) 3월에 중의대부 선성군에 봉해졌으며, 그해 5월 종친, 의빈, 문무백관과 함께 경회루에서 진풍연을 열었다.
1872년(고종 9) 3월, 증 상보국 숭록대부 영종정경 행중의대부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묘는 남한산성 동북쪽 40km 거리인 덕봉(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에 있다. 덕봉의 남쪽 남향 등성에 선성군 양정공의 유택이 있다.
3. 가족 관계
- 조부 : 태조 이성계
- 백부 : 진안대군
- 부 : 제 2대 정종
- 외조부 : 지윤(池奫)
- 모 : 숙의 지씨(淑儀 池氏)
- 형 : 의평군 원생(義平君 元生)
- 동생 : 임성군 호생(任城君 好生)
- 동생 : 함양옹주(咸陽翁主), 지돈녕(知敦寧) 박갱(朴賡)에게 하가(下嫁)
- 정부인 : 오천군부인(烏川郡夫人) 연일 정씨(延日 鄭氏) - 참의(參議) 정종성(鄭宗誠)의 딸
- * 장녀 : 평양 조씨(平壤趙氏) 조충로(趙忠老)에게 출가(出嫁)
- 1계부인 : 안강군부인 광산김씨(安康郡夫人 光山金氏) - 상호군(上護軍) 김중균(金仲均)의 딸
- * 장남 : 명선대부 춘산도정 이귀손(明善大夫 春山都正 李貴孫)
- 2계부인 : 평산군부인 평산 한씨(平山郡夫人 平山韓氏)
- * 차남 : 추천부수 이숭덕(衝川副守 李崇德)
- * 3남 : 명선대부 명산도정 이금정(明善大夫 明山都正 李金丁)
- * 4남 : 창선대부 풍안부수 이옥석(善善大夫 豊安副守 李玉石)
- * 5남 : 광휘대부 설성부정 이철정(廣徽大夫 雪城副正 李鐵丁)
- * 6남 : 석보부수 이은정(石保副守 李銀丁)
- * 7남 : 승헌대부 병산군 이말정(承憲大夫 屛山君 李末丁)
- * 8남 : 명선대부 도성수 이천정(明善大夫 陶城守 李千丁)
- * 9남 : 덕양부수 이귀정(德陽副正 李貴丁)
- * 차녀 : 해주 오씨(海州吳氏) 오계손(吳繼孫)에게 출가(出嫁)
- * 3녀 : 우효손(禹孝孫)에게 출가(出嫁)
4.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