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자슬라프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자슬라프 2세는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페레야슬라우 공작과 투라우 공작을 역임했다. 1146년 키예프 대공에 즉위했으나 1149년 유리 돌고루키에게 대공위를 빼앗겼고, 1151년 뱌체슬라프 1세와 함께 다시 키예프 대공이 되었다. 그는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고 올레크 가문과 대립했으며, 1154년 사망할 때까지 키예프를 통치했다. 슬하에 므스티슬라프 2세, 야로슬라프 2세 등을 두었으며, 현재 우크라이나의 군 부대에 그의 이름이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히니아 이자슬라프가 - 므스티슬라프 2세
    므스티슬라프 2세는 이쟈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페레야슬라프 공작을 지냈으며, 1167년부터 116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임하며 혼란 속 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퇴위 후 망명했다.
  • 볼히니아 이자슬라프가 -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는 이자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투라우, 노브고로드, 루츠크 공작을 거쳐 1174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으나 스뱌토슬라프 3세와의 경쟁으로 두 차례 대공 자리에서 물러난 인물이다.
  • 1154년 사망 - 스티븐 (잉글랜드)
    스티븐은 1135년부터 1154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지명을 어기고 왕위를 차지하여 "무정부 시대"로 불리는 내전을 야기했으나, 헨리 피츠엠프레스(훗날 헨리 2세)를 후계자로 인정하며 평화를 이룬 혼란의 시대의 왕이다.
  • 1154년 사망 - 루제루 2세
    루제루 2세는 노르만족 출신으로 남부 이탈리아 공국들을 통합하고 시칠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를 건설하고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 대한 관용 정책과 지중해 무역 장려로 왕국을 번성시켰다.
  • 1096년 출생 - 스티븐 (잉글랜드)
    스티븐은 1135년부터 1154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지명을 어기고 왕위를 차지하여 "무정부 시대"로 불리는 내전을 야기했으나, 헨리 피츠엠프레스(훗날 헨리 2세)를 후계자로 인정하며 평화를 이룬 혼란의 시대의 왕이다.
  • 1096년 출생 - 다이라노 다다모리
    다이라노 다다모리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시라카와 법황과 도바 상황을 섬기며 교토 치안 유지와 해적 토벌에 기여했으며, 아들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헤이케 정권을 수립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자슬라프 2세

2. 생애

므스티슬라프 1세와 그의 아내인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1097년 노브고로드에서 태어났으며, 1129년에는 폴로츠크와 민스크 공국을 얻었다. 1132년 페레야슬라블-루스키의 공작이 되었고, 이후 키예프 대공에 즉위하기 이전에는 페레야슬라우 공국(1132년, 1142년 ~ 1145년), 투라우 공국(1132년 ~ 1134년)의 공작을 역임했다.

1154년에 사망했으며, 이후에는 동생 로스티슬라프 1세가 뱌체슬라프 1세와 키예프를 공동으로 통치했다. 그는 판텔레이몬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으며, 볼히니아갈리치아 (상위 계열)의 이자슬라비치 왕조의 시조이자, 갈리치아의 다니엘의 증조부이다.

첫 번째 부인인 아그네스 폰 호엔슈타우펜은 독일의 콘라트 3세와 그의 첫 번째 부인인 코름부르크의 게르트루트의 딸이었으며, 1151년에 사망했다. 두 번째 부인은 조지아의 데메트레 1세의 딸인 바그라티오니였지만, 1154년 이자슬라프가 죽기 전 몇 달 동안만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자녀는 다음과 같다.


## 바실코 (1151–1182), 슈움스크 공작

  • 에우도키아, 폴란드 대공 미에슈코 3세와 결혼했다.
  • 딸, 1143년 드루츠크 공국의 로고볼드 로고볼도비치와 결혼했다.

2. 1. 키예프 대공위 계승 분쟁

1146년 이고리 2세가 물러나면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1149년 유리 돌고루키를 지지하던 세력들에 의해 대공위에서 물러났다. 이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장남 므스티슬라프의 후손들과 유리 돌고루키를 비롯한 다른 분파 간의 권력 투쟁의 일환이었다. 1151년 유리 돌고루키와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면서 뱌체슬라프 1세와 함께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1] 이 과정에서 키예프 시민들의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자슬라프 2세는 체르니고프의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어 대공위를 굳건히 하려 했으나, 이로 인해 올레크 가문의 스뱌토슬라프와 적대하게 되었다. 스뱌토슬라프는 유리 돌고루키와 동맹을 맺고 이자슬라프 2세와 대립했다.

2. 2. 키예프 대공 재위 (1151년 ~ 1154년)

1151년 이후, 이자슬라프 2세는 유리 돌고루키와의 권력 다툼을 종식시키기 위해 유리의 형인 뱌체슬라프 1세를 공동 통치자로 인정했다. 이로써 이자슬라프 2세는 죽을 때까지 키예프를 안정적으로 통치할 수 있었다.

1147년, 이자슬라프 2세는 키예프와 전 루스의 대주교에 루스인 클리멘트를 임명하려 했으나, 동생 로스티슬라프 1세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같은 시기, 다비드 가문은 올레크 가문과 함께 포로로 잡혀 있던 이고리 2세를 구출하여 이자슬라프 2세를 살해하려 했으나, 이를 알아챈 키예프 시민들이 이고리 2세를 먼저 살해하면서 이 시도는 실패했다.

3. 가족

이자슬라프 2세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독일의 콘라트 3세의 딸인 아그네스 폰 호엔슈타우펜(류바바)이었다. 이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자녀들이 있었다.[3]

이름비고
므스티슬라프 2세
야로슬라프 2세
야로폴크슈움스크 공
에우도키야폴란드 대공 미에슈코 3세와 결혼, 5명의 자녀를 둠.



두 번째 부인은 조지아 왕데메트레 1세의 딸인 루수단이었으나,[1] 이자슬라프 2세의 사망으로 결혼 생활은 몇 달 만에 끝났다.

4. 유산

이자슬라프 2세는 키예프 루스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에 통치했던 인물이다. 그의 통치 시기는 류리크 왕조 내의 권력 분쟁이 심화되던 시기였으며, 동시에 도시민의 영향력이 커지던 시기였다. 2022년 8월 24일, 제8독립특수임무연대(우크라이나)에 그의 이름이 수여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Monomakh branch (Mstyslavychi) at Izbornik https://web.archive.[...]
[2]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웹사이트 Monomakh branch (Volhynia) at Izbornik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Три частини ССО отримали стрічку до Бойового Прапора «За мужність та відвагу» https://www.ukrmilit[...] 2022-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