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스티슬라프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스티슬라프 1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이자 키예프 대공으로, 1076년 스몰렌스크에서 태어났다. 1088년부터 노브고로드 공작, 1095년부터 로스토프 공작을 역임했으며, 스웨덴의 잉에 1세의 딸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와 결혼하여 10명의 자녀를, 류바바 사비디치와 재혼하여 2명의 자녀를 두었다. 쿠만인,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등과의 전쟁을 치렀으며, 1125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여 통일된 국가의 마지막 통치자였다. 1132년 사망 이후 국가는 붕괴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는 그를 성인으로 시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6년 출생 - 고구 (송나라)
고구는 북송 휘종 황제의 총애를 받아 태위까지 올랐으나, 군자금 횡령 등 부정부패를 저질러 금나라의 침략에 일조했으며 소설 《수호전》에서는 간신으로 묘사된다. - 1076년 출생 - 데이시 내친왕 (1076년)
데이시 내친왕은 1078년 조랴쿠 2년에 태어나 이세 신궁의 사이오를 지냈고, 호리카와 천황의 준모로 책봉된 후 중궁에 책립되어 조정의 안정을 도왔으나 21세에 사망, 이쿠호몬인으로 칭해졌다. - 호멜주 출신 - 바실리 이그나텐코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당시 화재 진압에 참여했다가 방사능에 노출되어 사망하고, 사후 적기훈장과 우크라이나 영웅 칭호를 받았다. - 호멜주 출신 - 안드레이 크라우찬카
벨라루스의 10종 경기 육상 선수인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 2011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0년 벨라루스 반정부 시위 참여 후 망명을 신청했다.
므스티슬라프 1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므스티슬라프 1세 모노마흐 |
로마자 표기 | Mstislav Vladimirovich Monomakh |
출생일 | 1076년 2월 |
출생지 | 투로프 |
사망일 | 1132년 4월 14일 |
사망지 | 키예프 |
왕조 | 류리크 가문 |
아버지 |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
어머니 | 기타 오브 웨섹스 |
통치 | |
작위 | 키예프 대공 |
재위 시작 | 1125년 |
재위 종료 | 1132년 |
이전 통치자 | 블라디미르 2세 |
다음 통치자 | 야로폴크 2세 |
가족 | |
배우자 |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 류바바 드미트리예브나 자비디치 |
자녀 | 잉게보르그 오브 키예프 말름프레드 오브 키예프 도브로데야 오브 키예프 프스코프의 프세볼로트 마리아 므스티슬라브나 오브 키예프 이쟈슬라프 2세 로스티슬라프 1세 스뱌토폴크 오브 프스코프 로그네다 크세니아 블라디미르 3세 에우프로시네 오브 키예프 |
기타 | |
러시아어 표기 | Мстислав Владимирович Великий |
우크라이나어 표기 | Мстислав Володимирович Великий |
2. 생애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076년 스몰렌스크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웨식스의 기타(Gytha)이며 외할아버지는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 국왕이다. 이러한 이유로 노르드어 사가 작품에서는 "하랄드"(Harald)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4]
므스티슬라프 1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대공과 웨식스의 기타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의 외할아버지는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 국왕이다. 노르드어 사가 작품에서는 "하랄드"(Harald)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1]
1088년부터 1093년까지 노브고로드 공작을 역임했고, 1093년부터 1095년까지는 로스토프 공작, 이후 스몰렌스크에서 지냈다. 1095년에는 스웨덴의 잉에 1세 국왕의 딸인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Christina Ingesdotter)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1111년에는 아버지 블라디미르와 함께 쿠만인(폴로베츠)에 원정을 떠났고, 1116년에 다시 원정을 떠나 그들의 도시를 함락시켰다. 그의 생애 동안에는 쿠만인,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폴로츠크 공국과의 전쟁이 연달아 벌어졌다. 1096년에는 콜록샤 강(Koloksha) 강에서 자신의 삼촌인 체르니히우의 올레크를 물리쳤다. 이들 간의 적대 관계는 수세기 동안 후손들까지 계속 이어졌다.[6]
1113년 성 니콜라이 대성당,[4] 1117년 성 안드레이 수도원 성당 등 생전에 노브고로드에 수많은 교회를 건설했다. 1125년 아버지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사망하면서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
1122년 1월 18일 크리스티나가 사망한 이후에는 노브고로드의 귀족인 드미트리 사비디치(Dmitry Saviditsch)의 딸인 류바바 사비디치(Ljubava Saviditsch)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2명의 자녀를 두었다. 1130년에는 체르니고프족을 토벌하기 위해 원정을 떠났다.
1132년 4월 14일에 사망했으며,[7] 대공의 자리는 동생 야로폴크 2세에게 넘어갔다. 무스티슬라프의 통치는 대공국이 통일과 강력함을 보여준 마지막 시대가 되었다. 므스티슬라프 1세는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의 축일을 4월 15일로 기념한다.[9][10]
3. 가족 관계
1095년, 므스티슬라프 1세는 스웨덴의 잉에 1세 국왕의 딸인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와 결혼했다. 1122년 1월 18일 크리스티나가 사망한 이후에는 노브고로드의 귀족인 드미트리 사비디치(Dmitry Saviditsch)의 딸인 류바바 드미트리예브나 자비디치와 재혼했다.
3. 1. 첫 번째 부인: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
므스티슬라프 1세는 1095년에 스웨덴의 잉에 1세 국왕의 딸인 크리스티나 잉에스도테르와 결혼했다.[1] 슬하에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비고 |
---|---|---|---|
잉게보르그 | 1100년경 ~ 1137년 이후 | 칸누테 라바르 | 덴마크 국왕 발데마르 1세의 어머니 |
말름프레드 | 1095/1102년 ~ 1137년 이후 | 노르웨이 국왕 시구르 1세, 덴마크 국왕 에리크 2세 | |
에우프락시아 | ? ~ 1131년 | 알렉시오스 콤네노스 (1142년 사망) | 요한 2세 콤네노스의 아들 |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의 브세볼로트 | 1095년 이후 ~ 1138년 | 노브고로드 공 | |
마리야 | 1110/1113년 ~ 1179/1181년 | 키예프의 브세볼로트 2세 | 자녀 5명 |
키예프의 이지야슬라프 2세 | 1097년 ~ 1154년 | 키예프 대공 | |
키예프의 로스티슬라프 1세 | ? ~ 1167년 | 키예프 대공 | |
스뱌토폴크 | ? ~ 1154년 | ||
로그네다 | ? | 볼히니아의 야로슬라프 스뱌토폴코비치 | |
크세니아 | ? | 이자슬라플의 브랴치슬라프 다비도비치 |
3. 2. 두 번째 부인: 류바바 드미트리예브나 자비디치
1122년 1월 18일 첫 부인 크리스티나가 사망한 후, 므스티슬라프 1세는 노브고로드의 귀족인 드미트리 자비디치(Dmitry Saviditsch)의 딸 류바바 드미트리예브나 자비디치와 재혼했다. 슬하에 2명의 자녀를 두었다.- 블라디미르 3세 (1132–1171)
- 키예프의 에우프로시네 (c. 1130 – c. 1193): 1146년 헝가리 국왕 게자 2세와 결혼했다.
4. 평가
므스티슬라프 1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대공의 아들이자 키예프 루스의 마지막 통일된 국가의 통치자였다.[6] 그는 쿠만인,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폴로츠크 공국 등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5] 1096년에는 콜록샤 강에서 자신의 삼촌인 체르니히우의 올레그를 패배시켜, 이후 그의 후손들과 올레그 후손들 사이에 오랜 적대 관계가 시작되었다.[5]
므스티슬라프 1세는 벨리키 노브고로드에 성 니콜라스 대성당(1113년)[4]과 성 안토니 수도원 대성당(1117년) 등 수많은 교회를 건설했다. 또한 키예프에도 베레스토보에 있는 그의 가족 묘소와 포딜에 있는 성모 승천 교회 등 중요한 교회들을 건립했다.[5]
러시아 정교회는 므스티슬라프 1세를 성인으로 시성했으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4월 15일에 그를 기념한다.[9][10] 그의 사후, 키예프 루스는 빠르게 붕괴되기 시작했다.[7]
참조
[1]
서적
Biographischer Index Rußlands und der Sowjetun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10-31
[2]
서적
Выбор имени у русских князей в X—XVI вв. Династическая история сквозь призму антропонимики
Indrik
2006
[3]
서적
Kingship and State Formation in Sweden 1130-1290
Brill
2007
[4]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1983
[5]
서적
The dynasty of Chernigov. 1054-1146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1994
[6]
서적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1976
[7]
서적
The Crisis of Medieval Russia 1200-130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0-13
[8]
서적
Companion to Russian Studies: Volume 1: An Introduction to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9]
웹사이트
Святой благоверный великий князь Мстислав Владимирович + Православный Церковный календарь
https://days.pravosl[...]
[10]
웹사이트
Commemoration of the Vladimir Icon of the Mother of God and the deliverance of Moscow from the Invasion of Tamerlane
https://www.oc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