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희 (법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장희는 대한민국의 법학자이다. 부산상업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독일 킬크리스티안알브레히트대학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세계국제법협회 한국본부 회장, 국제상설중재재판소 재판관 등을 지냈다. 또한, 정부 정책 자문 활동과 시민 사회 단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을 발표했으며, 현민 학술상, 국민훈장 모란장 등을 수상했다.
1965년 3월부터 1968년 2월까지 부산상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2. 학력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법학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법학사),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전공하여 법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석사(국제법) 학위를 취득한 후, 1980년부터 1984년까지 독일 킬크리스티안알브레히트대학교(Kiel Christian Albrecht University)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전공하여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1.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1965-1968)
1965년 3월부터 1968년 2월까지 부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2. 2.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사, 1969-1973)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법학사).
2. 3.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법학석사, 국제법, 1973-1975)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법학사),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전공하여 법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2. 4. 독일 킬 대학교 대학원 졸업 (법학박사, 국제법, 1980-1984)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석사(국제법) 학위를 취득한 후, 1980년부터 1984년까지 독일 킬크리스티안알브레히트대학교(Kiel Christian Albrecht University) 대학원에서 국제법을 전공하여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3. 경력
3. 1. 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및 명예교수(1987-현재)로 재직하며, 모의 UN총회 지도교수(1992-1998), 학보사 주간 및 편집인(1992-1993), 교수협의회 서울 부회장(1996-1998), 법과대학 학장(2002-2004), 대외부총장(2006-2007) 등을 역임했다.
3. 2. 전공 학술활동
3. 3. 국제 학술 활동
이장희는 여러 해외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1992년 1월부터 2월까지 미국 하와이 East-West Center에서, 1992년 6월부터 7월까지 독일 본 대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있었다. 1995년 7월부터 8월까지는 독일 하이델베르크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1996년 10월부터 1997년 2월까지는 미국 예일 로스쿨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세계국제법협회(ILA) 런던본부 상임위원으로 활동하였는데, 1996년 1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난민절차위원회 상임위원을, 2005년 6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지속가능한 발전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2013년 5월부터 현재까지는 ILA 런던본부 “Use of Force” 상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06년 4월부터 현재까지 네덜란드 헤이그 (PCA) 재판관을 맡고 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이탈리아 সানরেমো 국제인도법 학술대회에 대한적십자사 대표로 참석하고 있다.
2013년 2월부터는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 Comparative Law'와 'HUFS Global Law Review'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3. 4. 정부 정책자문 활동
이장희는 대한적십자사 인도법 자문위원 및 자문위원장(1995년-현재)을 역임하고 있다. 경찰청, 국무총리실, 교육부, 통일부, 외교통상부, 민주평통, 대통령 자문 국가정책기획위원회, 교과부, 경상북도, 동북아역사재단, 해양경찰청 등 여러 정부 부처 및 기관에서 자문 활동을 수행했다. 특히 2007년에는 제2차 남북정상회담 대통령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1996년 4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경찰청 치안연구소 연구위원을 위촉받았다. 2005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국무총리실 노근리사건희생자심사보고서 작성기획단 단장을 맡았다.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2005년 9월-2007년 9월), 교육부 사학법시행령개정위원장(2005년 12월-2006년 6월), 교육부 임시이사후보심사위원회 위원장(2006년 9월-2008년 9월), 교과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2007년 12월-2009년 10월), 교과부 사립대총장승인심사위원회 위원(2007년 9월-2009년 9월)을 역임하였다.
2001년 6월부터 현재까지 외교통상부 외규장각 문제 정책자문위원, 2011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외교통상부 한일청구권 협정 대책 TF 팀 자문위원을 맡고있다. 2003년 7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민주평통 정치외교분과위원회 상임위원장 겸 운영위원을 역임했다. 대통령자문 국가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및 통일외교안보위원장(2006년 11월-2008년 3월)을 역임했다.
2008년 11월부터 현재까지 경상북도지사 독도수호 법률자문위원을 맡고있다. 2006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재단법인 동북아역사재단 이사를 역임했다. 2007년 4월부터 현재까지 해양경찰청 국제해양법위원(위원장 역임)을 맡고있다.
3. 5. 시민사회 봉사
이장희는 한반도 평화, 언론, 인권, 통일,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시민사회단체에서 활동해왔다. 2006년 3월부터 현재까지 (사)한반도평화를 위한 국회의원․시민단체 협의회 상임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2007년 3월부터 현재까지 시민사회신문 공동대표로, 2009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아시아투데이(일간지) 상임고문으로, 2011년 9월부터 현재까지 서울 타임스(주간지)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 9월부터 현재까지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법률가위원회 위원, 위원장, 명예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1999년 9월부터 현재까지 (사)민화협 정책위원장, 공동의장, 상임의장을 맡고 있으며, 2005년 9월부터 현재까지 (사)언론인권센터 부이사장, 이사장, 명예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사)경실련통일협회 이사, 정책위원장, 운영위원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지도위원을 맡고 있다.
2000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사)통일교육협의회 통일교육연구소장, 공동의장, 상임공동의장, 고문을 역임하고 있다. 2001년 9월부터 현재까지 (사)평화통일시민연대 상임공동대표, 2003년 9월부터 현재까지 (사)남북경협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2005년 3월부터 현재까지 (사)세계역사 NGO 포럼 이사, 공동대표 및 동아시아역사네트워크 상임공동대표로 활동 중이다.
4. 상훈
대한국제법학회로부터 현민 학술상을 수상하였다.(2001)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2004.12)
한국외국어대학교 총장으로부터 한국외대 학술 업적 평가에서 법과대학 최우수상을 3회(2000년, 2004년, 2006년) 수상하였다.
교육부총리 감사패를 2006년 6월에 받았다.
4. 1. 현민 학술상 (대한국제법학회, 2001)
대한국제법학회로부터 현민 학술상을 수상하였다.(2001)4. 2. 국민훈장 모란장 (대한민국 정부, 2004)
이장희는 2004년 12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4. 3.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최우수상 (2000, 2004, 2006)
이장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총장으로부터 한국외대 학술 업적 평가에서 법과대학 최우수상을 3회(2000년, 2004년, 2006년) 수상하였다.4. 4. 교육부총리 감사패 (2006)
교육부총리 감사패를 2006년 6월에 받았다.5. 학술 연구업적
5. 1. 주요 저서 및 공저
- ,(공저)(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12.12.),pp.201-218.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법적 구제 및 정책과제“
- [한일협정 50년사의 재조명II],(공저)(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12.12.)
- [한일협정 50년사의 재조명I],(공저)(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12.10.)
- [1910년 ‘한일병합조약’의 역사적.국제법적 재조명],(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11.9.)
- [독일연방공화국 60년. 1949-2009 분단국가에서 민주통일 국가로],(공저)(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9)
- International Legal Issues in Korea-Japan relations영어(공저)(Seoul: 동북아역사재단, 2008)
-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범죄에 대한 경찰초동수사 개선방안],(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7)
- [한국정전협정과 동북아시아 새 평화체제 구축](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7)
- [바른 한일어업협정안](공저)(서울; 우리영토, 2007)
- [남북합의서의 법적 쟁점과 정책 과제](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7)
- [중간수역의 법적 성격과 훼손문제](공저)(서울: 우리영토, 2006)
- [신한일어업협정폐기와 금반언효과](공저)(서울: 우리 영토, 2006)
- [현대국제조약집](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5)
- [동북아지역안보의 현안이쓔와 향후 전망](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4)
- [6.15이후 북한법의 변화와 전망](공저)(서울:도서출판 아사연, 2003)
-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정책방안](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3)
- [이라크 전후 국제질서의 쟁점과 과제](공저)(서울: 도서출판, 아사연, 2003)
5. 2. 주요 연구논문
- "Jang-Hie Lee영어, \"Legal Issue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on the Use of Force of New Weapons Technology\", HUFS Global Law Review,Vol.5.August 2013,Number 2, Center for International Legal Studies , The Law Research Institute of Law Schoo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제3차 북핵실험과 국제법적 쟁점 검토”, 외법논집, 제38권 제1호, 2014년 2월.
- “ UN 안보리의 ICJ 제소 권고와 독도영유권 문제”, 독도논총 7권 1호, 2013년 11월 30일, 독도조사연구학회
- “국제법상 ‘보호책임’의 개념성립과 적용사례”, 외법논집, 제37권 제1호, 2013년 2월.
- "통일후 조중국경조약의 국가승계문제”, 백산학보 제91호, 2011년 12월.
- "패드라 브랑카(싱가포르)/플라우바투푸티로(말레이시아)도서 영유권 분쟁에 대한 국제법적 분석“, 고려법학 제52호, 2009.
- “안중근재판에 대한 국제법적 평가”, 외법논집 33집 2호, 2009.
- “도교국제군사재판과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 대한 국제법적비교연구”, 동북아역사논총 제25호, 2009.
- “핵무기비확산체제의 분석과 국제법적 평가”, 고려법학, 제50호, 2008.
- “노르웨이-영국의 직선기선의 분쟁이 영유권문제에 주는 국제법적 함의”, 외법논집, 제25호, 2007.
- “전략물자 반출입에 대한 법제도적 문제점과 정책방안” 외법논집 제18집, 2005.
- “한-미 SOFA와 타국 SOFA와의 비교-형사관할권 시설.구역의 불평등성을 중심으로”, 외법논집 13집, 2002.
- “6.29 서해교전과 북방한계선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외법논집 12집, 2002.
- “서해 5도의 국제법적 쟁점과 그 대응방안”, 외법논집 제10집 2001
- “국제대인지뢰금지협약의 동시가입의 검토”, 외법논집 제9집,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