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종환 (기업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환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교육 재단 설립자이다. 경상남도 의령 출신으로, 메이지대학교 유학 후 삼영화학그룹을 설립하여 석유, 플라스틱 용기 등을 생산했다. 2000년 관정이종환교육재단을 설립하여 1조 원 이상을 교육 분야에 기부하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했다. 서울대학교 관정관 신축을 지원하고,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를 중시하여 장학 사업을 펼쳤으며, '관정상'과 '세계 관정 과학상'을 제정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2023년 100세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령군 출신 - 이병철
    대한민국 기업인인 이병철은 삼성그룹의 창업주로, 무역업을 시작으로 제조업, 전자산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의령군 출신 - 박희영 (정치인)
    박희영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제40대 서울특별시 용산구청장이며, 2022년 당선 후 이태원 압사 사고 대응 논란으로 구속되었으나 보석으로 풀려나 직에 복귀하여 사고 관련 책임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마산고등학교 동문 - 허남식
    허남식은 1976년 고등고시 합격 후 부산광역시 기획관리실장과 정무부시장을 거쳐 제31·32·33대 부산광역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을 지냈으나 엘시티 비리 연루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다.
  • 마산고등학교 동문 - 박성호 (1957년)
    박성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학자로, 창원대학교 교수와 총장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 국립 창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1924년 출생 - 윌리엄 렌퀴스트
    윌리엄 렌퀴스트는 미국 대법원장으로 재직하며, 보수주의 성향으로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대한 좁은 해석, 연방 정부 권한 축소 및 주 정부 권한 확대를 주장했으며, `부시 대 고어` 사건과 빌 클린턴 탄핵 재판에 관여했다.
  • 1924년 출생 - 조반니 사르토리
    조반니 사르토리는 이탈리아의 정치학자이며, 특히 의미있는 정당 개념을 통해 정치학계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민주주의 이론, 정치 제도 디자인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종환 (기업인)
기본 정보
씨명이종환
한글 이름이종환
한자 이름李鍾煥
로마자 표기Lee Jong-Hwan
출생일1924년 1월 9일
출생지경상남도 의령군
사망일2023년 9월 13일
직업삼영 화학 그룹 명예회장
학력메이지 대학 상경과 중퇴 (학도병 징집)
경력
주요 직책삼영 화학 그룹 명예회장
기타 경력관정이종환교육재단 설립자
업적 및 기여
주요 사업 분야투명랩, 애자, 교육재단 설립
사회 공헌관정이종환교육재단을 통한 대규모 기부 활동
기타 정보
일본에 대한 인식견하(見下)하거나 두려워하지 않고 공부해야 일본을 넘어설 수 있다
한국의 빌 게이츠"한국의 빌 게이츠를 보고 죽는 것이 소원"이라고 밝힘
의대, 법대생에 대한 생각"의대, 법대생에게는 내 돈을 쓰지 말라"고 말함
참고 자료

2. 생애

이종환은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광주 이씨이다.[5] 마산중학교를 졸업하고 메이지대학교에서 유학했으나, 징병으로 만주에 끌려갔다. 광복 후 조선반도에서 이를 맞이하며, 청년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1]

광복 후 정미소 사업을 시작했고, 한국 전쟁 이후 동대문시장에서 상사를 경영하며 자금을 모았다.[2] 1958년 삼영화학그룹을 설립했다.[2]

2000년 개인 자산 10억달러관정이종환교육재단을 설립했고,[6] 2002년에는 3000억을 들여 장학재단을 설립했다.[2]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정관 신축에 투자했다.[6] 지원금은 1조에 달하며,[8] 법학과나 의학과 등 실용적인 학문보다 기초 학문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를 중시하고 있다.[6] 지원한 장학금 액수는 1392억, 배출한 학생 수는 9,354명(국내 5,032명, 국외 4,322명)에 이른다.[7]

기부금은 자신의 재산의 97%에 달하며,[9] 조선일보는 “알프레드 노벨이나 앤드루 카네기는 재산의 90% 이상을 기부했지만, 95% 이상을 기부한 사람은 이종환을 제외하고는 없다”라고 보도했다.[7]

또한 대일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을 잘 알아야 일본을 넘어설 수 있다”라고 말하며,[1] 2019년 7월에는 서울대 일본연구소에 2.5억을 지원했다.[1]

2016년에는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관정상을 제정한다고 발표했고,[10] 2019년 10월에는 노벨상을 뛰어넘는 상금 규모인 총 75억의 상금을 주는 ‘세계 관정 과학상’을 제정한다고 밝혔다.[8]

2017년 이종환이 횡령을 했다고 허위로 고발한 50대 여성이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7]

2023년 9월 13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향년 100세로 별세했다.[3]

2. 1. 유년 시절 및 학업

경상남도 의령군 출생이다.[2] 본관은 광주 이씨이다.[5] 마산중학교를 졸업한 후 1942년 메이지대학교 상경과에 유학했다. "일본인을 넘으려면 일본인보다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나,[1] 1944년 징병되어 만주로 끌려갔다. 1945년 8월 부대는 오키나와로 이동하게 되었으나, 조선반도에서 광복을 맞이했다. 이때의 경험으로 인해 청년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공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1]

2. 2. 기업 활동

광복 후 정미소 사업을 시작했고, 한국 전쟁 이후 동대문시장에서 소규모 상사를 경영하며 종잣돈을 모았다.[2]

1958년, 석유, 플라스틱 용기 등 생활용품에서부터 콘덴서(캐패시터) 필름 등을 취급하는 삼영화학그룹을 설립했다.[2]

2. 3. 교육재단 설립 및 기부 활동

2000년 개인 자산 10억달러관정이종환교육재단을 설립했고,[6] 2002년에는 3000억을 들여 장학재단을 설립했다.[2]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정관 신축에 투자했다.[6] 지원금은 1조에 달하며,[8] 지원한 장학금 액수는 1392억, 배출한 학생 수는 9,354명(국내 5,032명, 국외 4,322명)에 이른다.[7] 법학과나 의학과 등 실용적인 학문보다 기초 학문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를 중시하고 있다.[6] 이종환은 이에 대해 “과학 영재들이 앞다투어 의학과로, 인문학 우수자들은 법학과로 몰리는 세상에서, 출세나 안정적인 직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자비로 공부하면 된다”라고 말했다.[6]

기부금은 자신의 재산의 97%에 달하며,[9] 조선일보는 “알프레드 노벨이나 앤드루 카네기는 재산의 90% 이상을 기부했지만, 95% 이상을 기부한 사람은 이종환을 제외하고는 없다”라고 보도했다.[7]

또한 대일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을 잘 알아야 일본을 넘어설 수 있다”라고 말하며,[1] 2019년 7월에는 서울대 일본연구소에 2.5억을 지원했다.[1]

2016년에는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관정상을 제정한다고 발표했고,[10] 2019년 10월에는 노벨상을 뛰어넘는 상금 규모인 총 75억의 상금을 주는 ‘세계 관정 과학상’을 제정한다고 밝혔다.[8]

2. 4. 말년

2017년 이종환이 횡령을 했다고 허위로 고발한 50대 여성이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7]

2023년 9월 13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향년 100세로 별세했다.[3]

3. 사상 및 신념

이종환은 "인재가 자원이다"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법학과나 의학과처럼 실용적인 학문보다는 기초 학문,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했다.[6] 그는 “과학 영재들이 앞다투어 의학과로, 인문학 우수자들은 법학과로 몰리는 세상에서, 출세나 안정적인 직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자비로 공부하면 된다”라고 말했다.[6] 또한 "일본을 잘 알아야 일본을 넘어설 수 있다"는 지일(知日)·극일(克日) 정신을 강조했다.[1] 2019년 7월에는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2.5억을 지원했다.[1]

3. 1. 교육 철학

이종환은 "인재가 자원이다"라는 신념으로, 학생들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평생을 바쳤다.[4][6][7] 법학과나 의학과처럼 실용적인 학문보다는 기초 학문,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지원했다.[6] 그는 “과학 영재들이 앞다투어 의학과로, 인문학 우수자들은 법학과로 몰리는 세상에서, 출세나 안정적인 직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자비로 공부하면 된다”라고 말했다.[6]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노벨상에 버금가는 '관정상'을 제정하였고,[10] 2019년에는 노벨상을 뛰어넘는 상금 규모인 총 75억의 '세계 관정 과학상'을 제정한다고 밝혔다.[8]

3. 2. 대일관(對日觀)

"일본을 잘 알아야 일본을 넘어설 수 있다"는 지일(知日)·극일(克日) 정신을 강조했다.[1] 2019년 7월에는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2.5억을 지원했다.[1]

4. 평가

이종환은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며, 재산을 주로 교육 분야에 사회 환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특히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정관 신축에 투자하는 등 교육 분야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6]

그가 설립한 관정이종환교육재단은 1조에 달하는 지원금을 통해[8] 많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해 왔다. 지원한 장학금 액수는 1392억에 달하며, 배출한 학생 수는 9,354명(국내 5,032명, 국외 4,322명)이다.[7]

이종환은 실용적인 학문보다는 기초 학문을 중심으로 지원하며,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를 중시한다.[6] 그는 “과학 영재들이 앞다투어 의학과로, 인문학 우수자들은 법학과로 몰리는 세상에서, 출세나 안정적인 직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자비로 공부하면 된다”라고 말하며 기초 학문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 그의 기부금은 자신의 재산의 97%에 달한다.[9] 조선일보알프레드 노벨이나 앤드루 카네기는 재산의 90% 이상을 기부했지만, 95% 이상을 기부한 사람은 이종환을 제외하고는 없다고 보도했다.[7]

한편, 이종환은 대일 문제에 대해 “일본을 잘 알아야 일본을 넘어설 수 있다”라고 말하며,[1] 2019년 7월에는 서울대 일본연구소에 2.5억을 지원하기도 했다.[1] 2016년에는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관정상을 제정한다고 발표했고,[10] 2019년 10월에는 노벨상을 뛰어넘는 상금 규모인 총 75억의 상금을 주는 ‘세계 관정 과학상’을 제정한다고 밝혔다.[8]

이 외에도 그는 골프 실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에는 지인과 골프 라운드 중 국내 최고령 홀인원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2]

5. 기타

이종환은 골프 애호가로 알려져 있다.[2]

5. 1. 골프

골프 애호가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에는 지인과 골프 라운드 중 국내 최고령 홀인원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2]

6. 저서 및 역서

日本の 뿌리는 한국|니혼노 뿌리와 간코쿠|일본의 뿌리는 한국일본어 (원작 세키 유지의 일본고대사)는 이종환이 설립한 관정교육재단에서 출판되었다.[1]

6. 1. 역서

日本の 뿌리는 한국|니혼노 뿌리와 간코쿠|일본의 뿌리는 한국일본어 (원작 세키 유지의 일본고대사)[1]

참조

[1] 웹사이트 「見下げることも恐れることもなく勉強してこそ日本を越える」=韓国(1)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11-04
[2] 웹사이트 단독 기부왕 이종환 "한국의 빌 게이츠 보고 죽는 게 소원… 의대·법대생엔 내 돈 쓰지마라" http://m.chosun.com/[...] 朝鮮日報 2019-11-04
[3] 웹사이트 투명랩·애자·교육재단을 만들다…이종환 회장 별세(종합) https://www.yna.co.k[...] 2023-09-13
[4] 웹사이트 【日韓経済戦争】「韓国版ノーベル賞」創設!ハンパない日本への対抗心 韓国紙で読み解く https://www.j-cast.c[...] J-CAST会社ウォッチ 2019-11-04
[5]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충절 지키다 노비 전락 가문 후손 700억 빌딩주 https://skyedaily.co[...] 2022-11-14
[6] 웹사이트 [社説]「医学部や法学部の学生には、自分の奨学金を払うな」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9-11-04
[7] 웹사이트 기부왕 이종환 회장에 대한 비방...문재인 정부의 '기업 혐오증, 부자 혐오증'을 생각한다 https://m.pub.chosun[...] 朝鮮日報 2019-11-04
[8] 뉴스 毎年賞金75億ウォン、ノーベル賞超える科学賞作る 朝鮮日報 2019-10-24
[9] 웹사이트 「見下げることも恐れることもなく勉強してこそ日本を越える」=韓国(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11-04
[10] 뉴스 韓国の教育財団『アジアのノーベル賞を作る』 中央日報 2016-07-20
[11] 문서 삼영화학 공업주식회사 창업주는 안정익임.
[12] 뉴스 관정이종환교육재단 설립자 이종환 전 삼영화학그룹 회장 별세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3-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