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갑인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갑인상은 일본서기에서 나타나는 120년의 연대기적 인상을 의미한다. 일본서기 기년 논쟁은 에도 시대부터 시작되어 메이지 시대를 거치며 일본 학자들 사이에서 일본서기의 기년 신빙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특히 진구 황후와 오진 천황 시기의 연대기에서 이주갑인상의 흔적이 발견되며, 삼국사기와의 기록 비교를 통해 120년의 차이가 확인된다. 신공황후의 한반도 남부 침공 기사, 왜 5왕, 고대 천황들의 재위 기간 문제 등과 관련해서도 일본서기의 기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한다.
일본서기의 기년 문제는 에도 시대부터 의문이 제기되었다. 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는 일본에서 역법이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을 근거로 그 이전 기년에 착오가 많다고 보았다. 국학자 도 데이칸은 진무 천황 원년에서 600년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고,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을 비교하여 신공기와 응신기의 기년이 2주갑(120년) 인상되었다고 지적했다. 그 외에도 신유혁명설에 의거해 진무 천황 즉위년을 정했다는 설, 사이메이 천황 7년(661년)에서 1320년을 소급했다는 설 등이 제기되었다.[5]
신공황후(진구 황후)와 오진 천황 시기의 기년은 이주갑인상(二周甲引上, 120년 연상)의 흔적이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부분이다.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의 백제 왕력 연대를 비교하면, 대부분의 기사에서 120년의 차이가 나타난다.[7]
2. 일본서기 기년 논쟁 연구사
메이지 시대에는 일본 학자들 사이에서도 일본서기 기년의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설이 정설이 되었다. 역사학자 나카 미치요는 일본과 한국 사서를 비교하여 신공기와 응신기의 기록이 2주갑 소급되었고, 신공기의 신라 정벌 이야기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왜병 침입 기사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6]
2. 1. 에도 시대의 연구
에도 시대에는 인쇄술과 유학의 발달로 일본 고전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古史通或問|고사통혹문일본어(1716)에서 일본에서 역법이 사용된 것은 스이코 천황 10년 백제 승려 관륵이 역본을 가져온 이후이므로, 그 이전의 일본서기 기년에는 착오가 많다고 지적했다.[2]
도 데이칸은 衝口發|충구발일본어(1781)에서 진무 천황 원년인 기원전 660년에서 600년을 맞춰야 연기(年紀)가 맞다고 주장했다.[3]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도 데이칸의 주장에는 반발했지만, 古事記傳|고사기전일본어(1798)에서 일본서기의 기년에 모순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특히 그는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을 비교하며 신공기와 응신기의 기년이 2주갑(120년) 인상되었음을 지적했다.[4]
2. 2. 메이지 시대 이후의 연구
메이지 시대에는 일본 학자들 사이에서도 일본서기 기년의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설이 정설로 자리 잡았다. 나카 미치요(那珂通世)는 일본과 한국 사서를 비교하여 신공기, 응신기의 기록이 2주갑(120년) 소급되었으며, 신공기의 신라 정벌 이야기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왜병 침입 기사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6]
3. 신공황후와 오진 천황 시기의 연대기 문제
3. 1. 삼국사기와의 비교
이주갑인상의 흔적이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곳은 일본서기의 진구 황후기(일본서기 연대상 201~269년)와 오진 천황기(일본서기 연대상 270~310년)다. 일본서기와 삼국사기의 백제 왕력 연대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7] 420년 전지왕 사망, 구이신왕 즉위 기사의 경우 2주갑이 아니라 126년 차이가 나지만 나머지 왕력 기사는 전부 일본서기와 삼국사기 사이에 120년 차이가 있다.
일본서기 기년과 내용 | 삼국사기 기년 | 차이 | |
---|---|---|---|
진구 황후 55년(255) | 백제 초고왕(肖古王) 사망 | 375년 근초고왕 사망 | 120년 |
진구 황후 56년(256) | 백제 왕자 귀수(貴須) 즉위 | 376년 근구수왕 즉위 | 120년 |
진구 황후 64년(264) | 백제 귀수왕 사망, 침류왕(枕流王) 즉위 | 384년 근구수왕 사망, 침류왕 즉위 | 120년 |
진구 황후 65년(265) | 백제 침류왕 사망, 진사왕(辰斯王) 즉위 | 385년 침류왕 사망, 진사왕 즉위 | 120년 |
오진 천황 3년(272) | 백제 진사왕 사망, 아화왕(阿花王) 즉위 | 392년 진사왕 사망, 아신왕 즉위 | 120년 |
오진 천황 16년(285) | 백제 아화왕 사망, 직지(直支)가 왜국에서 귀국 | 405년 아신왕 사망, 전지왕 즉위 | 120년 |
오진 천황 25년(294) | 백제 직지왕 사망, 구이신왕(久尒辛王) 즉위 | 420년 전지왕 사망, 구이신왕 즉위 | 126년 |
3. 2. 기타 논의
신공황후의 한반도 남부 침공 기사(신공 49년조)의 실제 연대에 대해서는 3주갑 인상설, 6세기 사건설, 역사성 부인설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8] 신공 5년 기사에 등장하는 신라 사신 모마리질지 이야기는 박제상 설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나,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의 기록과 연도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왜5왕과 관련해서도 《일본서기》의 기년에 의문점이 있다. 《송서》 등에 따르면 왜국은 421년 송에 조공을 한 이후, 502년까지 5명의 왜왕이 중국 남조와 외교관계를 맺었다. 마지막 왜왕 무(武)를 제외하면 421~462년까지 4명의 왜왕이 송나라와 교류했는데, 《일본서기》 상 이 기간 동안 재위한 왜왕은 인교 천황, 안코 천황, 유랴쿠 천황 3명에 불과하다. 일본 학계에서는 이 3명을 왜왕 제, 흥, 무에 비정하는데 어떻게 보아도 《일본서기》의 기년과 중국 사서의 기년은 일치하지 않는다.[9]
다만, 유랴쿠 천황 이후 《일본서기》의 백제관계 기사의 기년은 실제 연대와 일치한다.
또 문제가 되는 연도인 서기 1세기 ~ 4세기 무렵의 치천하대왕(현 일본 천황)들은 재위 기간이 대부분 70년을 넘고, 나이 또한 100살에 가까운데, 전란 끝에 왕위에 오른 것으로 보이는 히미코 등의 역사를 없애기 위해 의도적으로 재위 기간을 늘린 것이라는 가설도 있다.
4. 왜 5왕과 관련된 기년 문제
왜5왕과 관련해서도 일본서기의 기년에 의문점이 있다. 송서 등에 따르면 왜국은 421년 송에 조공을 한 이후, 502년까지 5명의 왜왕이 중국 남조와 외교관계를 맺었다. 마지막 왜왕 무(武)를 제외하면 421~462년까지 4명의 왜왕이 송나라와 교류했는데, 일본서기 상 이 기간 동안 재위한 왜왕은 인교 천황, 안코 천황, 유랴쿠 천황 3명에 불과하다. 일본 학계에서는 이 3명을 왜왕 제, 흥, 무에 비정하는데 어떻게 보아도 일본서기의 기년과 중국 사서의 기년은 일치하지 않는다.[9]
참조
[1]
웹사이트
동북아역사넷
http://contents.nahf[...]
[2]
웹사이트
<역주 일본서기>의 해제
http://contents.nahf[...]
2021-04-27
[3]
웹사이트
<역주 일본서기>의 해제
http://contents.nahf[...]
2021-04-27
[4]
웹사이트
<역주 일본서기>의 해제
http://contents.nahf[...]
2021-04-27
[5]
웹사이트
<역주 일본서기>의 해제
http://contents.nahf[...]
2021-04-27
[6]
웹사이트
<역주 일본서기>의 해제
http://contents.nahf[...]
2021-04-27
[7]
서적
고대 한일관계와 '일본서기'
동북아역사재단
[8]
간행물
『본조통감』의 상대(上代) 기년(紀年)과 외국 사서의 수용 : 『일본서기』 기년론과 관련하여
[9]
서적
앞의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