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교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교 천황은 5세기 초 일본을 통치한 인물로, 닌토쿠 천황의 아들이자 리추 천황과 한제이 천황의 동생이다. 한제이 천황 사후 즉위를 거절했으나, 412년 황후의 설득으로 즉위했다. 재위 기간 중 신라 의사의 치료를 받았으며, 씨족과 성씨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또한, 황후의 여동생을 후궁으로 맞이하려다 실패하고, 근친상간 사건으로 딸을 유배 보냈다. 그는 《송서》에 등장하는 왜왕 '제(濟)'와 동일시되며, 453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교 천황 - 왜5왕
    왜5왕은 5세기 남조 시대에 남조 왕조들과 교류하며 정치적 영향력 확대 및 왜의 위상 강화를 꾀했던 찬, 진, 제, 흥, 무, 다섯 왜왕을 지칭하며, 이들의 활동은 중국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고 관련 학설과 논쟁이 존재한다.
  • 인교 천황 - 인교 지진
    인교 지진은 416년 7월 14일에 발생한 지진으로, 정치적 사건과 연관되어 기록되었으며, 카와치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나 진원은 불확실하다.
  • 닌토쿠 천황의 자녀 - 한제이 천황
    한제이 천황은 5세기 초에 즉위하여 5년간 통치했으며, 닌토쿠 천황의 아들이자 리추 천황 사후 즉위한 천황으로,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사망하여 인교 천황이 뒤를 이었다.
  • 닌토쿠 천황의 자녀 - 리추 천황
    리추 천황은 닌토쿠 천황의 장남으로, 스미노에노 나카츠 황자의 반란을 진압 후 왕위에 올라 국가 시스템 정비와 왕권 강화에 힘쓴 일본 제17대 천황이다.
  • 453년 사망 - 풀케리아
    풀케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황족이자 아우구스타로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섭정 역할을 했으며, 정녀 서약 후 교회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선 활동과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 정책은 비판받았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하여 제국 정통성을 유지한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453년 사망 - 유송 문제
    유송 문제는 유송의 제3대 황제 유의륭의 치세를 가리키며, 초기 정치 안정과 문화 부흥을 이루었으나 잦은 북위와의 전쟁과 말년의 권력 다툼으로 쇠퇴한 시기를 의미한다.
인교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교 천황
인교 천황
이름인교 천황
일본어允恭天皇 (Ingyō-tennō)
일본어 (구 표기)雄朝津間稚子宿禰天皇 (Oasazuma-wakugo-no-sukune no Sumeramikoto)
신상 정보
출생373–375년
사망453년 (78–80세)
매장지에가노 나가노노 기타노 미사사기 (恵我長野北陵), 오사카
종교신토
통치 정보
직위일본 천황
재위 기간412–453년 (전통적)
이전한제이 천황
이후안코 천황
가계
왕가일본 황실
아버지닌토쿠 천황
어머니이와노히메
배우자오시사카노 오오나카츠히메
자녀기나시노 카루 황자
안코 천황
유랴쿠 천황
외 다수

2. 생애

5세기 전반에 실존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일본의 제19대 천황(재위 추정: 412년 ~ 453년)이다. 닌토쿠 천황의 넷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가쓰라기노 소쓰히코의 딸 이와노히메노 미코토이다. 형 리추 천황, 한제이 천황의 동복 동생이다. 이름은 雄朝津間稚子宿禰|오아사즈마 와쿠고노 스쿠네일본어이다.[5][2]

410년한제이 천황이 후계자를 정하지 않고 사망하자 신하들에 의해 추대되었으나, 지병 등을 이유로 거듭 사양하다가 412년 부인 오시사카노 오나카쓰히메의 강한 권유로 즉위하였다.[9] 재위 중 414년에는 신라에서 온 의사 김무에게 지병을 치료받았고,[5][9] 415년에는 씨성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아스카의 아마카시 언덕에서 맹신탐탕( 盟神探湯|구가타치일본어)을 실시하여 씨족과 성을 정리하였다.[5]

또한 외척인 가쓰라기씨의 다마다노 스쿠네를 반역 혐의로 처형하고,[5] 황후의 여동생인 소토리 공주를 총애하여 황후의 질투를 사기도 했다.[5][9] 419년경에는 신라의 충신 박제상일본에 볼모로 잡혀 있던 왕자 미사흔을 구출하려다 붙잡히자 회유하려 했으나, 박제상이 끝까지 거부하자 고문 끝에 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말년에는 황태자로 삼은 아들 기나시노카루 황자가 동복 여동생 가루노오이라쓰메와 근친상간 관계를 맺는 사건이 발생하여 딸을 이요로 유배보냈다.[5][11]

453년 사망하였으며[15], 능묘는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에 있는 에가노나가노노키타노미사사기(惠我長野北陵, 이치노야마 고분)로 비정된다.[17] 그의 사후 황위는 근친상간 문제로 신망을 잃은 황태자 기나시노카루 황자 대신 동생 아나호 황자에게 돌아갔다.[5]

인교 천황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주로 후대의 ''고지키''와 ''일본 서기''(통칭 ''기기'')에 의존하는데, 이들 기록에는 신화적 요소와 후대의 윤색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5][2] 현대 역사학에서는 그의 실존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기록된 연대나 사건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18][16] '인교 천황'이라는 시호는 후대에 단카이노 미후네에 의해 붙여진 것이다.

2. 1. 즉위 전

닌토쿠 천황의 넷째 아들로, 어머니는 가쓰라기노 소쓰히코의 딸인 이와노히메노 미코토이다.[5][2]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雄朝津間稚子宿禰|오아사즈마 와쿠고노 스쿠네일본어였다.[5][2] 그는 리추 천황한제이 천황의 동복 동생이다.

410년 1월, 형인 한제이 천황이 황태자를 정하지 않고 사망하자[5], 신하들은 회의를 거쳐 雄朝津間稚子宿禰|오아사즈마 와쿠고노 스쿠네일본어를 다음 천황으로 추대하였다. 그러나 그는 병(언급되지 않은 마비 질환으로 추정됨[5][9])을 앓고 있다는 이유와, 형들이 자신을 "바보 취급했다"고 언급하며[5] 스스로를 "불운하다" 여겨 여러 차례 즉위를 거절했다.[5][9]

약 2년간의 공위 상태가 지속된 후, 412년 12월, 그가 총애하던 후궁이자 훗날 황후가 되는 忍坂大中姫의 강한 설득과 요청으로 마침내 왕위를 받아들여 즉위하게 되었다.[9]

2. 2. 재위 기간

410년 1월, 형인 한제이 천황이 황태자를 정하지 않고 사망하자, 신하들은 오아사즈마와쿠고노스쿠네노미코토(雄朝津間稚子宿禰尊, 훗날의 인교 천황)를 다음 천황으로 추대했다. 하지만 그는 병과 스스로를 부족하게 여긴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거절했다.[5][9] 공위 상태가 2년 이상 지속되다가 412년 12월, 총애하던 후궁이자 아내인 오시사카노 오나카쓰히메의 강한 설득으로 마침내 즉위하였다.[9]

즉위 후 414년 8월, 신라에서 온 의사 김무(金武)가 천황의 오랜 다리 병을 치료했다.[5][9]고사기』에 따르면 김무는 신라에서 온 사신으로 약에 정통하여 천황의 병을 고쳤다고 한다. 415년 9월에는 여러 씨족들이 (氏)와 성(姓)를 속여 사용하는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아스카의 아마카시 언덕(甘樫丘)에서 맹신탐탕( 盟神探湯|구가타치일본어)이라는 일종의 신명재판을 실시하여 씨성 제도를 개혁했다.[5] 이 개혁은 주로 지배 계급에 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 416년 7월에는 가쓰라기노 소쓰히코의 손자인 다마다노 스쿠네(玉田宿禰)가 반역을 꾀하자 이를 처형했다. 같은 해 일본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는 기록도 있으나[5], 현대에는 이 기록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599년 스이코 천황 때의 지진을 최초의 확실한 기록으로 보기도 한다.[20]

418년 12월, 황후 오시사카노 오나카쓰히메의 여동생인 소토리 공주(衣通郎姫)를 궁으로 들였으나, 황후의 질투 때문에 나라현 가시하라시의 후지와라궁(藤原宮)에 별도로 살게 했다.[5][9] 소토리 공주는 아름다움으로 유명하여 '소토오리 이라쓰메'(衣通郎姫, 옷을 뚫고 나올 정도로 아름다운 처녀)라고 불렸다.[5] 인교 천황은 소토리 공주의 거처를 자주 몰래 방문했다.[5][9] 419년 2월, 소토리 공주는 황후의 질투를 피해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의 지누궁(茅渟宮)으로 거처를 옮겼다.

419년경, 신라의 왕자 미사흔을 구출하려다 일본에 붙잡힌 박제상을 신하로 삼으려 했으나, 박제상이 이를 거부하고 신라에 대한 충절을 지키자 그를 고문하여 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434년에는 장남 기나시노카루 황자(木梨軽皇子)를 황태자로 삼았다.[5] 그러나 이듬해인 435년 6월, 기나시노카루 황자가 자신의 동복 여동생인 가루노오이라쓰메(軽大娘皇女) 공주와 근친상간 관계를 맺은 사실이 발각되었다.[11] 당시 일본에서는 어머니가 다른 남매 간의 결혼은 허용되었으나,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동복 남매 간의 관계는 금기시되었다.[14] 인교 천황은 이미 황태자로 책봉한 아들을 직접 처벌하기 어려워, 대신 딸 가루노오이라쓰메 공주를 이요(伊予)로 유배보냈다.[5]

453년 1월 인교 천황이 사망하자, 신라의 왕이 애도하며 80명의 악사를 보내 그의 영혼을 위로했다고 전해진다.[12] 인교 천황 사후, 황태자였던 기나시노카루 황자는 근친상간 스캔들 등으로 인해 신하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결국 숙청되었으며, 동생인 아나호 황자(穴穂皇子)가 안코 천황으로 즉위했다.[5]

인교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천황'(天皇)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으며, 당시 군주는 '치천하대왕'( 治天下大王|스메라미코토 또는 아메노시타 시로시메스 오키미일본어)이나 '야마토 대왕'( 大和大王/大君|야마토 오키미일본어) 등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 '인교 천황'이라는 이름은 후대에 붙여진 시호이다.[15][16]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주로 후대에 편찬된 ''고지키''(古事記)와 ''일본 서기''(日本書紀)에 의존하는데, 이들 문헌(통칭 ''기기'')에는 신화나 전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역사적 사실이 과장되거나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2] 특히 킨메이 천황(재위 약 509년–571년) 이전 천황들의 재위 연대는 동시대 기록으로 검증하기 어려워 그 정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8][16]

2. 3. 사망

453년 1월에 사망하였다.[15]고지키』에는 갑오년 1월 15일에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후, 황태자였던 기나시노카루 황자는 여동생 가루노오이라쓰메와의 근친상간 문제 등으로 신하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숙청되었으며, 동생인 아나호 황자안코 천황으로 즉위하였다.[16] 능묘는 에가노 나가노 키타노 미사사기(이치노야마 고분)이다.[17]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제16대 닌토쿠 천황이며, 어머니는 가쓰라기노 소쓰히코의 딸인 이와노히메노미코토이다.[23] 인교 천황은 닌토쿠 천황의 넷째 아들로, 리추 천황한제이 천황의 동복 동생이다.

황후와 왕비, 자녀는 다음과 같다.

지위이름아버지자녀비고
황후
(고고)
忍坂大中姫|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일본어[24]황자 稚野毛二派皇子|와카누케노 후타마타일본어[23]왕비 소토오시이라쓰히메의 언니.
장남 기나시노 카루 황자는 후에 동복 여동생 카루노 오이라쓰메 공주와 근친상간 혐의를 받았다.[5][11]
왕비 (후궁)
(히)
衣通郎姫|소토오시이라쓰히메일본어
(오토히메)
황자 稚野毛二派皇子|와카누케노 후타마타일본어[23]없음황후 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의 여동생.[23] 인교 천황이 총애하였으나 황후의 질투로 궁 밖에 거주했다.[5][9]일본서기』에 따르면 그 아름다움이 옷을 통과해 빛날 정도였다고 한다.[10] 『고지키』에서는 인교 천황의 딸 카루노 오오이라쓰메 공주를 소토오시이라쓰히메(衣通郎女) 또는 소토오시노 미코(衣通王)로 기록하여 차이가 있다.[10]



인교 천황은 434년에 장남 기나시노 카루 황자를 황태자로 삼았으나[5], 이후 카루 황자는 자신의 동복 여동생인 카루노 오오이라쓰메 공주와 근친상간 관계를 맺었다는 혐의를 받았다.[11] 인교 천황은 황태자라는 지위 때문에 아들을 직접 처벌하지 못하고, 대신 딸 카루노 오오이라쓰메 공주를 이요 국으로 추방했다.[5] 인교 천황 사후, 황태자였던 기나시노 카루 황자는 여러 신하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동생인 아나호 황자(안코 천황)에게 패배하여 숙청되었으며, 아나호 황자가 제20대 안코 천황으로 즉위했다.

4. 역사적 평가

인교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에는 '천황'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오히려 '천하를 다스리는 대왕'을 의미하는 治天下大王|스메라미코토 또는 아메노시타 시로시메스 오키미jpn나 ヤマト大王/大君|야마토 오키미jpn(야마토 대왕) 등의 칭호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5] '인교 천황'이라는 이름은 후대에 추존호로 붙여진 이름일 가능성이 높으며,[15] 인교 천황의 생애로 여겨지는 시기보다 수 세기 후에, 오늘날 《고지키》로 알려진 연대기에서 일본 황실의 기원에 대한 전설이 편찬되었을 때 정해졌을 수 있다.[16]

《고지키》 기록 외에, 동시대 역사 기록에서 연대를 검증할 수 있는 첫 천황은 킨메이 천황(재위 539년경–571년)이다.[18] 초기 천황들의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름과 연대는 간무 천황(재위 781년–806년) 시대에 이르러서야 "전통적"으로 확정되었다.[16]

4. 1. 5세기 초 통치자

후지이데라에 있는 이치노야마 고분


인교 천황은 역사가들로부터 5세기 초의 통치자로 여겨지며, 그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사실로 받아들여진다.[13] 학자 프랜시스 브링클리는 인교 천황을 "원사 시대의 군주"로 분류하며, 그의 치세는 아들과 관련된 사건과 스캔들로 채워졌다고 기록했다.[14] 다른 학자들은 인교 천황을 《송서》에 나오는 왜의 사이왕과 동일시한다. 이는 443년과 451년에 최소 두 번 유송에 사신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일본(당시 중국 학자들은 ''라고 지칭)의 왕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고기》에는 사신을 보냈다는 기록이 없다.

즉위 23년, 기나시노 가루노 황자를 태자로 책봉했다. 그러나 이듬해 태자는 같은 어머니를 둔 여동생 가루노 오이랏메 황녀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빠졌다. 같은 어머니를 둔 남매의 사랑은 황족의 근친혼이 드물지 않던 당시에도 역시 금기였다.

즉위 42년, 천황이 붕어했다. 그러나 폭정을 저지르고 여색에 빠진 것으로 여겨진 태자에게서 민심이 떠나, 동생인 아나호노 황자에게로 향했다. 아나호노 황자를 두려워한 태자는 몰래 거병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모노노베노 오마에노 스쿠네의 저택으로 도망쳤다. 그곳에 아나호노 황자가 군대를 이끌고 나타나 저택을 포위했다. 오마에노 스쿠네는 태자를 쉽게 배신했고, 최후를 깨달은 태자는 자결했다. 혹은 이요로 유배되었다고도 한다.

『고지키』에 따르면, 태자는 이요의 온천(도고 온천)으로 유배되었다고 한다. 남겨진 가루노 오이랏메 황녀는 더욱 그리워하다가 마침내 이요로 향했다. 재회한 남매는 기쁨에 잠기며 자결했다고 한다. 이 남매의 비련이 『고지키』에 나오는 소토오리히메 전설이며, 인교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래 이야기로 되어 있다.

4. 2. 《송서》와의 관계

일부 학자들은 인교 천황을 중국 남조 송(宋)의 역사서 《송서》 〈왜국전〉에 등장하는 왜5왕 중 한 명인 왜왕 제(濟)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13] 《송서》에 따르면 왜왕 제는 443년451년 두 차례에 걸쳐 송나라(유송)에 사신을 파견한 기록이 있다. 당시 중국에서는 일본을 '왜'라고 불렀다. 그러나 일본의 역사서인 《고사기》나 《일본서기》에는 인교 천황이 중국에 사신을 보냈다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4. 3. 《고사기》, 《일본서기》 기록

고사기》와 《일본 서기》는 인교 천황의 생애에 대한 주요 정보를 담고 있는 기록이다. 이 두 사서를 합쳐 기기(記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전설, 신화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로 추정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과장되거나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2]

기기에 따르면, 인교 천황은 373년에서 375년 사이에 닌토쿠 천황과 황후 이와노히메노 미코토(磐之媛命)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오아사즈마 와쿠고노 스쿠네(雄朝津間稚子宿禰)였다.[5][2] 그는 리추 천황한제이 천황의 동생이다. 410년 형인 한제이 천황이 사망하자 신하들은 만장일치로 오아사즈마를 다음 천황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그는 형들이 자신을 "바보 취급했다"고 말하며 거절했다. 또한 이름 모를 마비 질환을 앓고 있다며 스스로를 "불운하다"고 칭하며 사양했다.[5][9]

2년 넘게 왕위가 비어 있은 후, 오아사즈마는 가장 총애하던 후궁 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의 끈질긴 설득에 결국 왕위를 수락했다.[9] 그는 인교 천황으로 즉위했고, 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는 황후가 되었다. 즉위 초(414년경), 인교 천황은 자신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신라에 사신을 보내 의사를 초빙했다. 신라에서 온 의사는 천황의 다리 병을 진단하고 그해 8월에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해진다.[5][9] 《고사기》에는 신라에서 온 김파진한기무(金波鎭漢紀武)라는 인물이 약에 정통하여 천황의 병을 고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415년(즉위 4년), 인교 천황은 당시 혼란스러웠던 씨족의 우지(氏)와 카바네(姓) 제도를 바로잡기 위해 아마카시 언덕에서 맹신탐탕(盟神探湯, 쿠가타치)이라는 의식을 거행하여 씨성을 정리했다. 이는 많은 가문이 거짓된 이름이나 자격 없는 칭호를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였다.[5] 416년(즉위 5년)에는 일본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한제이 천황의 장례 절차가 중단되기도 했다.[5] 같은 해, 가쓰라기노 소쓰히코의 손자인 타마다노 스쿠네가 반역을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418년경(즉위 7년), 황후 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는 연회에서 자신의 여동생을 남편에게 소개했다. 인교 천황은 그녀에게 깊이 빠져들었다. 그녀의 이름은 오토히메(弟姫, 막내 공주)였으나, 아름다움이 옷을 뚫고 나올 정도라 하여 소토오리 이라츠메(衣通郎姫, 옷을 통과하는 처녀)라는 별명으로 불렸다.[5][10] 인교 천황은 사자를 보내 그녀를 불렀으나, 오토히메는 처음에는 언니인 황후를 생각하여 거절했다. 하지만 사자(나카토미노 이카츠오미)의 끈질긴 설득 끝에 입궁을 수락했다.[5] 황후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겨 오토히메가 황궁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결국 인교 천황은 그녀를 위해 근처 후지와라 궁(藤原宮, 현재의 나라현 가시하라시 추정)에 별도의 거처를 마련해주고 자주 몰래 찾아갔다.[5][9] 이후 황후의 질투 때문에 오토히메는 더 먼 치누노미야(茅渟宮, 현재의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 추정)로 거처를 옮겼고, 천황은 사냥을 핑계로 그녀를 만나러 다녔으나 황후의 간언 이후 발길이 뜸해졌다고 한다. 다만 이 이야기는 《일본서기》에만 기록되어 있고, 《고사기》에는 인교 천황의 딸인 카루노 오오이라츠메를 소토오리히메(衣通郎女)라고 칭하고 있다.

434년(즉위 23년), 인교 천황은 첫째 아들 키나시노 카루 황자(木梨軽皇子)를 황태자로 책봉했다.[5] 그러나 이는 후에 큰 논란을 일으켰는데, 키나시노 카루 황자가 동복 여동생인 카루노 오오이라츠메 공주와 근친상간 관계를 맺었다는 혐의를 받았기 때문이다.[11] 당시 황족의 근친혼이 드물지 않았으나, 어머니가 같은 남매 간의 관계는 금기시되었다.[14] 인교 천황은 이미 태자로 책봉한 아들을 직접 처벌하지 못하고, 대신 딸 카루노 오오이라츠메를 이요 국(伊予国)으로 추방하는 방식을 택했다.[5]

453년(즉위 42년), 인교 천황이 사망하자 신라의 왕은 이를 매우 슬퍼하며 80명의 악사를 일본에 보내 그의 영혼을 위로했다고 전해진다.[12] 인교 천황 사후, 황태자 키나시노 카루는 신하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동생인 아나호 황자(穴穂皇子)에게 밀려났다. 아나호 황자는 군대를 동원하여 키나시노 카루를 포위했고(모노노베노 오마에의 배신), 결국 키나시노 카루는 자결하거나 이요로 유배되었다고 한다.[5] 《고사기》는 키나시노 카루가 이요의 온천(도고 온천)으로 유배되었고, 그를 그리워한 카루노 오오이라츠메가 뒤따라가 재회한 후 함께 자결했다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인교 천황은 역사가들에 의해 5세기 초의 실존했던 통치자로 여겨진다.[13] 일부 학자들은 그를 《송서》 왜국전에 등장하는 왜의 오왕 중 한 명인 사이(濟)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 사이는 443년과 451년에 유송에 사신을 보낸 기록이 있으나, 《고사기》나 《일본서기》에는 이러한 기록이 없다. 당시 통치자의 칭호는 '천황'이 아니라 '천하를 다스리는 대왕'이라는 의미의 스메라미코토(治天下大王) 또는 야마토 대왕(ヤマト大王/大君)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교 천황'이라는 시호는 후대에 단카이노 미후네(淡海三船) 등에 의해 추존된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15][16]

인교 천황의 와풍 시호는 오아사쓰마와쿠고노스쿠네노스메라미코토(雄朝津間稚子宿禰天皇)이며, 《고사기》에는 오아사즈마와쿠고노스쿠네노미코토(男浅津間若子宿禰命)로 기록되어 있다.

=== 가족 관계 ===

구분이름비고
황후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 (忍坂大中姫)와카누케노후타마타 황자 (오진 천황의 아들)의 딸
자녀
(황후 소생)
제1황자 키나시노 카루 황자 (木梨軽皇子)황태자
제1황녀 나가타노 오오이라츠메 황녀 (名形大娘皇女)
제2황자 사카이노 쿠로히코 황자 (境黒彦皇子)
제3황자 아나호 황자 (穴穂皇子)훗날의 안코 천황 (제20대)
제2황녀 카루노 오오이라츠메 (軽大娘皇女)
제4황자 야츠리노 시라히코 황자 (八釣白彦皇子)
제5황자 오오하츠세와카타케 황자 (大泊瀬稚武皇子)훗날의 유랴쿠 천황 (제21대)
제3황녀 타지마노 타치바나노 오오이라츠메 황녀 (但馬橘大娘皇女)
제4황녀 사카미 황녀 (酒見皇女)
오토히메 (弟姫) / 소토오리히메 (衣通郎姫)황후 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의 여동생



=== 연표 ===

일본서기》 기록을 중심으로 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27] (연대는 추정)

연도 (추정)사건
373년 ~ 375년경탄생 (오아사즈마 와쿠고노 스쿠네)
412년 (한제이 천황 5년) 1월한제이 천황 사망 후, 여러 신하들이 천황으로 추대했으나 거절
412년 12월오시사카노 오나카츠히메의 설득으로 즉위
414년 (즉위 3년) 8월신라에서 온 의사가 천황의 병을 치료
415년 (즉위 4년) 9월아마카시 언덕에서 맹신탐탕(쿠가타치)을 실시하여 씨성 제도 정비
416년 (즉위 5년) 7월타마다노 스쿠네의 반역 발각 및 처형. 지진 발생.
418년 (즉위 7년) 12월황후의 여동생 소토오리히메를 후궁으로 삼아 후지와라 궁에 거주하게 함
419년 (즉위 8년) 2월소토오리히메가 황후의 질투로 치누 궁으로 이동
420년 (즉위 9년)천황이 치누 궁에 자주 행차
421년 (즉위 10년)황후의 간언으로 치누 행차가 줄어듦
434년 (즉위 23년) 3월키나시노 카루 황자를 황태자로 책봉
435년 (즉위 24년) 6월키나시노 카루 황자와 동복 여동생 카루노 오오이라츠메의 근친상간 발각
453년 (즉위 42년) 1월붕어. 향년 78세(《고사기》 등) 또는 80세, 81세, 68세 등 기록마다 차이가 있음.
453년 10월이치노야마 고분(에가노 나가노 키타노 미사사기)에 매장
453년 11월신라 왕이 조문 사절 파견


5. 능묘

인교 천황의 실제 묘소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통적으로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에 있는 기념 신사에서 숭배받고 있다.[7][21] 궁내청은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 코쿠후 1초메에 위치한 이치노야마 고분(市ノ山古墳, 또는 시노야마 고분 市野山古墳)을 인교 천황의 능묘(고분)로 공식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능묘는 恵我長野北陵|에가노나가노키타노미사사기일본어라는 공식 명칭을 가지고 있다. 이 고분은 분구 길이가 228m에 달하는 전방후원분이다.

이 외에도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 츠도에 있는 쓰도시로야마 고분(津堂城山古墳) 역시 인교 천황의 능묘 후보지로 거론되며, 궁내청에서는 이곳을 '후지이데라 릉묘 참고지'(藤井寺陵墓参考地)로 지정하고 있다.[22][28]

또한 인교 천황은 다른 역대 천황 및 황족들과 함께 도쿄 황궁의 궁중 삼전 중 하나인 황령전에도 모셔져 있다.

6. 연표

연도사건
410년 1월한제이 천황이 황태자를 정하지 않고 사망하자, 군신들이 그의 동생 오아사즈마와쿠고노스쿠네노미코토(인교 천황)를 추대했으나 병을 이유로 거절함.[5][2]
412년 12월총애하던 후궁이자 후일 황후가 되는 오시사카노오나카쓰히메의 강한 요청으로 천황으로 즉위함.[9]
414년 8월신라에서 온 의사 김무가 천황의 다리 병을 치료함.[5][9]
415년 9월여러 씨성(氏姓)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아스카의 아마카시노오카에서 맹신탐탕( くがたち|구가타치일본어)을 실시함.[5] 이는 뜨거운 물에 손을 넣게 하여 진위 여부를 가리는 원시적인 신판 방식으로, 이를 통해 씨족과 성의 질서를 바로잡으려 함.
416년 7월외척인 다마다노스쿠네(가쓰라기노 소쓰히코의 손자)가 반역을 꾀하자 주살함.[5]
418년 12월황후 오시사카노오나카쓰히메의 여동생인 소토리 공주를 입궁시켰으나, 황후의 질투로 나라현 가시하라시의 후지와라 궁에 살게 함.[5][9]
419년 (추정)신라의 왕자 미사흔을 구출하려던 충신 박제상을 신하로 삼으려 회유했으나 실패하자, 그를 고문하여 살해함.
419년 2월소토리 공주가 황후의 질투 때문에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의 치누 궁으로 거처를 옮김.
434년장남 기나시노카루 황자를 황태자로 책봉함.[5]
435년 6월황태자 기나시노카루 황자와 그의 동복 여동생인 가루노오이라쓰메 황녀의 근친상간 관계가 발각됨. 인교 천황은 황태자를 직접 처벌하는 대신, 가루노오이라쓰메 황녀를 이요국으로 유배보내는 방식으로 사건을 처리함.[5][11]
453년 1월사망함. 『고지키』에는 갑오년(甲午年) 1월 15일 사망으로 기록됨. 신라의 왕이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악사 80명을 보내 조문했다는 기록이 있음.[12] 사후 황태자 기나시노카루 황자는 여러 신하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동생 아나호 황자(안코 천황)에게 숙청됨.[5]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Genealogy of the Emperors of Japan http://www.kunaicho.[...] 2023-08-01
[2] 서적 The Imperial Family of Japan https://books.google[...] Ponsonby Memorial Society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 to 1945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4] 서적 List of Emperors: II. The Dawn of History and The great Reformers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5] 웹사이트 Boox XIII - The Emperor Wo-Asa-Tsuma Wakugo No Sukune: Ingio Tenno https://books.google[...]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6] 웹사이트 Sect. CXI. — Emperor Ingyō (PART IV. — His age and place of burial). https://www.sacred-t[...] R. Meiklejohn and Co.
[7] 웹사이트 允恭天皇 (19) http://www.kunaicho.[...] Kunaichō 2023-08-01
[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9] 웹사이트 Ingyō (412–453) https://books.google[...] Ponsonby Memorial Society
[10] 백과사전 衣通姫 そとおりひめ https://kotobank.jp/[...] 2023-08-12
[11] 서적 A waka anthology: The gem-glistening cup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2] 문서 Nihonshoki http://miko.org/~ura[...]
[13] 웹사이트 Kofun Culture http://www.t-net.ne.[...] 2023-08-09
[14] 서적 Chapter XII: The Protohistoric Sovereigns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15]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ritannica Company
[16] 서적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Volume 2 https://books.google[...] The Japan Society London 1896
[17] 서적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Gukanshō, an Interpretative History of Japan Written in 121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Japanese Politics: Fixed and Floating World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19] 웹사이트 Sect. CXLI. — Emperor Ingyō (Part V — Prince Karu Loves His Sister Princess So-Tohoshi) https://sacred-texts[...] R. Meiklejohn and Co.
[20] 서적 The Catfish and the Keyston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1] 서적 The Burial Mounds and Dolmens of the Early Emperors of Japan The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2] 서적 Encyclopedia Mausoleum Reference Site: Another Emperor's Mausoleum https://iss.ndl.go.j[...] Yoshikawa Kobunkan
[23]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24] 웹사이트 Boox XIII - The Emperor Wo-Asa-Tsuma Wakugo No Sukune: Ingio Tenno https://books.google[...]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25] 웹사이트 Sect. CXXXVII - Emperor Ingyō (Part I - Genealogies) https://sacred-texts[...] R. Meiklejohn and Co.
[26] 문서 古事記
[27] 서적 日本書紀(二) 岩波書店
[28] 서적 事典陵墓参考地 : もうひとつの天皇陵 https://iss.ndl.go.j[...] 吉川弘文館
[29] 문서 王賜銘鉄剣と五世紀の日本 岩田書院
[30] 문서 원래 황태자였으나, 친동생인 가루노오오이라쓰메와 정을 통했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인교 천황 붕어 후 실각하고 유배를 감. 그 후, 그 뒤를 쫓아온 가루노오오이라쓰메와 함께 자살함.
[31] 문서 매우 미인이었다고 한다. 친오빠인 기니시노카루노미코와 정을 통해고, 인교 천황 붕어 후 실각한 기니시노카루노미코는 유배를 갔으나 그 뒤를 쫓아 함께 자살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