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의 국가"는 영국과 일부 영연방 국가에서 사용되는 국가이다. 1745년 런던 극장에서 처음 불린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18세기 후반부터 영국의 국가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영국, 뉴질랜드의 국가이며, 캐나다, 호주 등 일부 영연방 국가의 왕실 찬가로 사용된다. 곡조는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 편곡되었으며, 리히텐슈타인의 국가, 과거 독일 제국의 국가 등 다른 국가의 국가로도 사용되었다. 가사는 군주의 성별에 따라 변경되며,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군주제 옹호, 호전적 정서 반영 등의 이유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2세 - 데팅겐 전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영국, 오스트리아, 하노버 연합군이 프랑스군과 데팅겐에서 벌인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전략적 성과는 미미했으며, 영국 국왕 조지 2세가 직접 지휘한 이 전투는 헨델의 작품으로 기념되었고 유럽의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 조지 2세 -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종결을 기념하는 아헨 강화 조약 축전을 위해 작곡된 5악장 구성의 관현악 모음곡으로, 1749년 런던에서 초연 당시 대규모 관악 앙상블로 연주되었고 이후 관현악 버전으로도 편곡되어 축전 분위기에 맞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 영국의 음악 - 포크 음악
포크 음악은 특정 지역이나 문화의 특징을 반영하여 구전되는 민속 음악의 한 장르로, 다양한 하위 장르와 다른 음악 장르와의 연관성을 가지며, 20세기 중반 이후 컨템포러리 포크 음악으로 부흥하여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 영국의 음악 - 2012년 하계 올림픽 폐막식
2012년 런던 올림픽 폐막식은 '영국 음악의 향연'이라는 주제로 킴 개빈의 창작 감독, 에스 데블린의 디자인, 데이비드 아놀드의 음악 감독 하에 영국 문화와 음악을 기념하는 다채로운 공연, 각국 선수단 입장, 마라톤 시상식, 자원봉사자 기리기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매드니스, 펫 샵 보이즈, 원 디렉션, 스파이스 걸스, 더 후 등 유명 음악가와 나오미 캠벨, 케이트 모스 등 모델들이 참여하여 화려한 무대를 선보였으나 일부 방송사의 부적절한 중계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영국의 국가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또는 왕실 | 국가 또는 왕실 찬가 |
대상 국가 | 영국 일부 영연방 왕국 |
다른 제목 | "God Save the Queen" (군주가 여성일 경우) |
작곡가 | 작곡가 미상 |
채택 시기 | 1745년 9월 (영국, 사실상) |
일본어 | |
한국어 번역 예시 | 국왕 폐하 만세 |
다른 제목 한국어 번역 | 여왕 폐하 만세 (군주가 여성일 때) |
작곡자 | 미상 |
채택 시기 | 1745년 9월 |
한국어 | |
대상 국가 및 지역 (과거 포함) | |
현재 |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국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왕실가) (국가/왕실가) |
이전 | 영국령 아메리카 감비아 영국령 골드코스트 하와이 왕국 영국령 홍콩 영국령 인도 제국 아덴 식민지 앤티가 바부다 앵귈라 바하마 바베이도스 바스톨란드 버뮤다 영국령 카메룬 영국 중앙아프리카 보호령 영국령 실론 영국령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 영국령 동아프리카 영국령 기아나 영국령 온두라스 영국령 리워드 제도 영국령 뉴헤브리디스 영국령 모리셔스 영국령 나이지리아 영국령 솔로몬 제도 영국령 소말릴란드 영국령 버마 케이프 식민지 영국령 키프로스 영국령 도미니카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 피지 식민지 지브롤터 그레나다 길버트 및 엘리스 제도 이오니아 제도 합중국 자메이카 식민지 케냐 식민지 라부안 직할 식민지 라고스 식민지 말라카 직할 식민지 몰타 직할 식민지 나탈 식민지 뉴기니 준주 니제르 해안 보호령 영국령 북보르네오 쿡 제도 연방 |
2. 역사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God Save the King)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 전까지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God Save The Queen)로 불렸다. 여왕 서거 후 찰스 3세가 즉위하면서 가사가 '''국왕'''(King)으로 변경되었다.[161]
이 노래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소한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당시에는 군주를 찬양하는 노래였을 뿐, 국가로 여겨지지는 않았다.[150]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당시,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스코틀랜드에 상륙하여 하이랜드 씨족들을 규합, 잉글랜드로 진격하여 런던을 위협했다. 이때 토마스 아른이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를 편곡하여 조지 2세와 국가의 안녕을 기원했다. 이 곡은 1745년 9월 28일, 드러리 레인 왕립극장에서 벤 존슨의 희극 『연금술사』(The Alchemist) 종연 후 공식적으로 연주되었고, 이후 런던 각지의 극장에서 연주되면서 폭발적으로 퍼져나갔다.
하지만, 아른이 이 곡을 직접 작곡했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1740년에 헨리 케리가 작곡했다는 설, 더 나아가 16세기 성경 구절이나 찬송가에서 기원했다는 설, 심지어 프랑스에서 수입된 자코바이트 노래라는 주장도 있다.
1797년에는 이 노래의 영향을 받은 신성 로마 제국의 첫 번째 국가인 《하느님, 좋은 프란츠 황제 폐하를 보우하소서》가 제정되기도 했다.
''옥스퍼드 음악 백과사전''에서 퍼시 스콜스는 초기 평성가 선율과의 유사성을 지적하지만, 리듬은 갈리아르드의 것이라고 언급한다.[10] 그는 "God Save the King"과 유사한 여러 춤곡을 예로 들며, 존 불과 헨리 퍼셀의 곡을 언급한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라는 문구 자체는 노래보다 훨씬 오래되었으며, 킹 제임스 성경을 포함한 여러 곳에 등장한다.[20] 예를 들어, 열왕기 상 1장 38~40절에는 "온 백성이 기뻐하며 외치되 만세, 왕이여 만수무강하소서 아멘"이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973년 잉글랜드의 에드가 왕의 즉위식 이후 모든 영국 군주 즉위식에서 불리고 선포되었다.[21] 또한, 1545년에는 "God Save the King"이 영국 해군의 암호였으며, 이에 대한 응답은 "오래 우리 위에 통치하소서"였다고 한다.[22][23]현재 노래와 유사한 최초의 출판본은 1744년 ''Thesaurus Musicus''라는 노래 모음집에 실린 것이다.[13] 그러나 이 곡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옥스퍼드 음악 백과사전의 퍼시 스콜스는 초기 평성가 선율과의 유사성을 언급하면서도, 존 불, 헨리 퍼셀 등 여러 작곡가의 곡에서 유사한 부분을 찾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10][11] 특히 헨리 퍼셀의 곡 중에는 현대 곡조의 첫 음표들이 포함된 곡이 있으며, "God Save the King"이라는 가사가 붙어 있기도 하다.[11]
헨리 케리가 이 곡을 작곡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스콜스는 케리 자신이 그런 주장을 한 적이 없고, 그의 아들이 이 주장을 했을 때는 영국 정부에 연금을 요청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점 등을 들어 이 주장을 반박한다.[14]
이 노래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이었다.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왕위를 주장하며 일으킨 이 반란은 잉글랜드 중부 더비까지 진격하여 런던을 위협했다. 이 위기 상황에서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국왕 조지 2세에 대한 충성과 지지를 나타내는 노래로 불리기 시작했다.[150] 토마스 아른은 이 노래를 편곡하여 드러리 레인 왕립극장에서 공연했고,[24] 이후 런던의 다른 극장에서도 공연되면서 널리 퍼졌다.
1745년 9월 28일, 드러리 레인 왕립극장에서 벤 존슨의 희극 『연금술사』(The Alchemist) 종연 후 공식적으로 연주되었고, 이후 런던 각지의 극장에서 연주되면서 폭발적으로 퍼져나갔다.
이처럼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을 계기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조지 2세를 지지하는 노래로 자리 잡았다는 것은 분명하다.
2. 2. 영국 국가로서의 확립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18세기 후반부터 점차 영국의 국가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745년 반란 당시 조지 2세 왕에게 충성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으며, 런던 극장에서 불려지기도 했다.[13] 토마스 아른은 드러리 레인 극장을 위해 이 곡조를 편곡하기도 했다.19세기에는 공식적인 국가로 널리 인정받았으며, 각종 국가 행사와 의식에서 연주되었다. 영국의 헌법 생활의 많은 측면과 마찬가지로, "국왕 폐하 만세"는 왕실 포고령이나 의회법이 아닌 관습과 사용으로부터 공식적인 지위를 얻었다.[15]

19세기와 20세기 초, 영국 제국의 확장과 함께 이 노래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 영연방 국가들의 국가 또는 왕실 찬가로 사용되었다.[77] 잉글랜드는 자체 공식 국가가 없지만, 스포츠 행사에서 잉글랜드가 대표될 때 "국왕 폐하 만세"가 잉글랜드 국가로 취급되기도 한다.[4]
2. 3. 현대의 변화
20세기 초,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재위 시에는 '''여왕'''(Queen)이라는 가사가 사용되었으나, 여왕 서거 후 찰스 3세가 즉위하면서 '''국왕'''(King)으로 변경되었다.[161]20세기 후반, 영연방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각자의 국가를 채택함에 따라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의 사용은 줄어들었다. 현재는 영국과 뉴질랜드의 국가,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일부 영연방 국가의 왕실 찬가로 사용되고 있다.
2001년에는 잉글랜드 축구 팬들이 "Send her victorious" 앞부분에서 "항복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을 불렀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16][17]
2003년부터 영연방 경기 대회에서는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가 제외되었다. 북아일랜드 선수들은 대니 보이 선율에 맞춰 금메달을 받는다. 2010년에는 잉글랜드 영연방 경기 대회 위원회의 여론 조사 결과 예루살렘이 잉글랜드의 새로운 영연방 경기 대회 국가로 채택되었다. 올림픽 영국 선수단과 같이 영국이 하나의 국가로 경쟁하는 스포츠에서는 영국 출신 선수나 팀을 대표하는 데 이 국가가 사용된다.[19]
멜로디의 표준 버전은 G장조이며, 보통 팀파니 롤로 시작한다. 처음 세 줄은 부드럽게 시작하여 "Send him victorious"에서 ''크레센도''로 고조되고, 마지막 "God save the King"에서 다시 ''크레센도''가 이어진다. 1953년 이후,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고든 제이콥이 작곡한 팡파르가 앞에 연주되기도 한다.[35]
3. 가사
God Save the King|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영어는 현재 1~3절만 표준으로 정해져 있으며, 통상 1절만 부르거나 1절과 3절을 함께 부른다. 2절은 호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 거의 불리지 않는다.[20]
"God Save the King"이라는 구절은 노래보다 훨씬 오래되었으며, 킹 제임스 성경 등에도 등장한다.[20] 이 노래의 가사는 제임스 2세를 위해 작곡된 라틴어 구절을 기반으로 했다는 주장도 있다.[26] 1745년 ''젠틀맨즈 매거진''에 "두 극장에서 불린 노래"로 소개되었으며,[24] 프레스턴팬스 전투에서 패배한 조지 2세를 지지하기 위해 불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왕인 찰스 3세가 남성이므로, 남성을 위한 국가가 사용된다. 군주가 여성일 경우 "King"(국왕)은 "Queen"(여왕)으로, 남성 대명사는 여성 대명사로 바뀐다. 가사의 정확한 버전은 없지만, 영국 왕실 웹사이트에 언급된 두 구절(1절, 3절)로 구성된 버전이 표준 영국 버전으로 간주된다.[27]
2012년 하계 올림픽, 2012년 하계 패럴림픽, 2022년 코먼웰스 게임 개막식과 같은 특정 행사와 프롬즈의 마지막 밤에서는 두 번째 구절을 추가로 부르기도 한다. 찰스 3세와 카밀라 여왕의 대관식에서도 두 번째 구절이 불렸다. 6절은 자코바이트 봉기의 기억이 희미해지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통합이 진행됨에 따라 19세기 초에는 거의 불리지 않게 되었다.
기간[155] | 국가 | 국왕/여왕 |
---|---|---|
1745년 9월 - 1837년 6월 20일 약 91년 9개월 | God Save the King영어 | 조지 2세 → 조지 3세 → 조지 4세 → 윌리엄 4세 |
1837년 6월 20일 - 1901년 1월 22일 | God Save the Queen영어 | 빅토리아 |
1901년 1월 22일 - 1952년 2월 6일 | God Save the King영어 | 에드워드 7세 → 조지 5세 → 에드워드 8세 → 조지 6세 |
1952년 2월 6일 - 2022년 9월 8일 | God Save the Queen영어 | 엘리자베스 2세 |
2022년 9월 8일 - 현재 | God Save the King영어 | 찰스 3세 |
3. 1. 영어 가사
God Save the King|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영어는 현재 1~3절만 표준 가사로 정해져 있으며, 통상 1절 단독, 혹은 1절과 3절을 함께 부른다. 2절은 호전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거의 불리지 않는다. 가사는 국왕의 성별에 따라 "King"을 "Queen"으로, 남성 대명사를 여성 대명사로 바꾼다.[27]'''현재 군주가 남성일 경우'''
군주가 여성일 경우, "King"(국왕)은 "Queen"(여왕)으로 바뀌고, 모든 남성 대명사는 여성 대명사로 바뀐다.
6절은 자코바이트 봉기의 기억이 희미해지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통합이 진행됨에 따라 19세기 초에는 거의 불리지 않게 되었다.
3. 2. 한국어 번역
'''1절''':하느님, 저희의 자비로우신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고귀하신 저희의 국왕(왕) 폐하 만수무강케 하사,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국왕(왕) 폐하께 승리와
:복(福)과 영광을 주소서.
:저희 위에 길이 군림케 하소서.
:하느님, 폐하를 지켜 주소서.
'''2절'''
:오, 지도자이신 주님, 일어나시어
:국왕/여왕 폐하의 적들을 변방으로 흩으사
:패배하도록 하소서.
:그들의 정치에 혼란을,
:그들의 간교한 계략에 좌절을.
:당신께 저희의 희망을 거노니
:저희 모두를 보우하소서.
'''3절'''
:그대의 최상의 선물을 기뻐하사
:국왕(왕) 폐하께 부어주소서.
:국왕(왕) 폐하를 길이 군림케 하소서!
:국왕(왕) 폐하께서 우리 법을 수호케 하시길,
:항상 우리가 마음과 목소리로 찬양할 수 있도록
:선정을 베풀게 하소서.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4절'''
:이 땅뿐만 아니라
:널리 하느님의 은혜가 알려지도록 하소서.
:해안으로부터 해안까지
:이 세계의 전 인류가 형제되어야 함을,
:한 가족이 되어야 함을,
:만국이 보게 하소서.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5절'''
:보이지 않는 모든 적들로부터,
:모든 암살자의 습격으로부터
:우리 국왕(여왕) 폐하를 구하소서!
:그 팔을 국왕(왕) 폐하 위에 펼치사
:브리튼을 위하여 지키소셔.
:우리 국모와 황태자와 벗을 지키시길!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6절'''
:주님, 저 원수(元帥)로 하여금
:당신의 가호와 함께
:그의 승리를 허락하소서
:반역을 퇴치하여,
:그분이 성난 노도처럼,
:모반하는 스코틀랜드인들을 부수기를!
:하느님, 국왕(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해석 주'''[151]
- (1절-6절) 그대(Thou, on thee)는 기독교의 하느님을 가리킨다.
- (3절) 의역으로 두 줄 연결 해석: And ever give us cause/ To sing with heart and voice (직역: 그리고 언제나 우리가 여왕 폐하를 찬양할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해 주소서)
- (1절-6절) God save the Queen은 포괄적인 뜻을 가진다, (예-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여왕 폐하를 보호하소서[5절 참고])문맥상의 이유로 '여왕 폐하 만세'로 번역)
- (6절) 여기의 Scot은 영어에서 스코틀랜드인을 가리키는 단수 명사로서, 구체적으로는 스코틀랜드의 재커바이트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1745년 당시 재커바이트는 스코틀랜드에 많았기 때문에 이 절이 지어졌다. 그러나 곧 유행에서 멀어져 더 이상 불리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국가로 채택된 적이 없다.
가사를 바꾸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19세기에는 국가의 2절에 사용된 "그녀의 적들을 흩어버리라"라는 구절이 다소 공격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 국가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있었다. 어떤 사람들은 의회와 왕실의 힘을 더 잘 강조하기 위해 "그녀의 적들"을 "우리의 적들"로 바꾸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했고, 다른 사람들은 신학적 문제를 제기하며 "당신의 적들"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시드니 G. R. 콜스(Sydney G. R. Coles)와 캐논 F. K. 하포드(Canon F. K. Harford)는 완전히 새로운 버전을 작곡했다.
영국 국왕이 국왕이 아닌 여왕일 경우에는 "King영어" 대신 "Queen영어"을, "Father영어" 대신 "Mother영어"을, "his/him영어" 대신 "her영어"을 각각 사용한다. 또한, 남성 군주의 통치 시에는 3절 6행의 ""To sing with heart and voice"영어(마음과 목소리로 노래하라)" 부분이 ""With heart and voice to sing"영어(노래하는 마음으로 노래하는 목소리로)"가 된다는 주장이 있지만, 왕실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To sing with heart and voice"영어"(마음과 목소리로 노래하라)로 변경되지 않았다.[151] 조지 6세까지의 "God Save the King"(국왕 폐하 만세/신이여 국왕을 지켜주소서)도 ""To sing with heart and voice"영어"(마음과 목소리로 노래하라)로 불려졌다.[152] 찰스 3세 즉위 후 ""With heart and voice to sing"영어"(노래하는 마음으로 노래하는 목소리로)로 불린 예도 있다.[154]
3. 3. 가사에 대한 비판적 시각 (한국의 중도진보적 관점)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의 가사는 기본적으로 군주제를 옹호하고, 신에게 국왕의 권위를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민주주의와 시민의 권리를 중시하는 한국의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특히 2절 가사는 "오, 지도자이신 주님, 일어나시어 국왕/여왕 폐하의 적들을 변방으로 흩으사 패배하도록 하소서"라는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적을 멸하고 정치적 음모를 분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호전적이고 배타적인 제국주의적 정서를 반영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51]
6절의 "반역을 퇴치하여, 그분이 성난 노도처럼, 모반하는 스코틀랜드인들을 부수기를!"이라는 가사는 스코틀랜드인을 적대시하는 것으로, 현재는 삭제되어 불리지 않는다.
19세기에는 국가 2절의 "그녀의 적들을 흩어버리라"라는 구절이 다소 공격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 국가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있었다. 의회와 왕실의 힘을 더 잘 강조하기 위해 "그녀의 적들"을 "우리의 적들"로 바꾸자는 의견과, 신학적 문제를 제기하며 "당신의 적들"로 바꾸자는 의견이 있었다. 시드니 G. R. 콜스(Sydney G. R. Coles)와 캐논 F. K. 하포드(Canon F. K. Harford)는 완전히 새로운 가사를 작곡하기도 했다.
4. 영연방 국가에서의 사용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과거 대영제국의 국가로서, 영연방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현재는 많은 영연방 국가들이 자체적인 국가를 채택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왕실 찬가 또는 국가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 뉴질랜드에서는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와 "God Defend New Zealand" 두 곡 모두 국가로 지정되어 있다.[77] 마오리어 버전은 에드워드 마쉬 윌리엄스가 "E te atua tohungia te kuinimi"라는 제목으로 작사하였다.[105]
-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왕실 찬가로 지정되어 왕실 관련 행사에서 연주된다.[84][85][86][87][88]
- 이외에도 바하마, 자메이카, 맨섬 등에서 왕실 찬가로 사용된다.
캐나다에서는 1700년대 후반부터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가 불려왔으며, 20세기 중반까지는 "오 캐나다"와 함께 사실상의 국가 중 하나였다.[95] 1967년 국가 및 왕실 국가에 관한 특별 합동 위원회는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엘리자베스 2세 여왕 재위 기간이었으므로 "여왕 폐하 만세"로 표기)를 캐나다의 왕실 국가로 지정했다.[96] 영어 가사는 영국에서 물려받은 것이었고, 프랑스어 가사는 1952년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식에서 채택된 가사에서 가져온 것이었다.[85]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74년 이전에는 "여왕이여 만세"가 국가였으나, 휘틀럼 정부에 의해 "호주여왕 만세"로 대체되었다. 프레이저 정부 집권 이후 1976년에 "여왕이여 만세"가 국가로 복원되었으나, 1977년 국민투표를 통해 "호주여왕 만세"가 독점적인 "국가"로 선택되었다. 1984년 호크 정부는 "호주여왕 만세"를 국가로 선포하고 "여왕이여 만세"를 왕실 국가로 재지정했다.[79][80] 2022년 10월 27일 "국왕이여 만세"가 왕실 국가로 선포되어, 이전의 "여왕이여 만세"를 대체했다.[78]
벨리즈의 왕실 찬가는 "국왕 폐하 만세"(God Save the King)이다.[81]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왕실 찬가는 "국왕께 경례"(God Save the King)이며 왕실 및 총독 관련 행사에서 연주된다.[112]
로디지아는 1965년 11월 11일 영국으로부터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지만,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충성을 유지하여 "God Save the Queen"을 국가로 유지했다.[107] 1970년 3월 로디지아가 공식적으로 공화국을 선포할 때까지 국가로 남아있었으며,[108] 1974년에 "Rise, O Voices of Rhodesia"가 채택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남아프리카 연방에서는 1938년부터 1957년까지 "갓 세이브 더 킹"(아프리카어: God Red die Koning, 여왕일 경우에는 God Red die Koningin)은 "Die Stem van Suid-Afrikaaf"와 공동 국가였다.[114]
4. 1. 영국의 구성국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는 영국 내에서 각각 다른 국가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축구 등의 스포츠 경기에서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대신 각 지역의 노래를 사용하기도 한다.[61][62][67][68]- 잉글랜드는 일반적으로 "God Save the King"을 사용하지만, 예루살렘, 룰, 브리타니아! (Rule, Britannia!), 희망과 영광의 땅(Land of Hope and Glory)도 사용된 바 있다.[61][62]
- 국제 테스트 크리켓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2004년부터 "예루살렘"을 국가로 사용하고 있다.[63]
- 국제 럭비 리그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God Save the King"과 "예루살렘"을 모두 사용한다.[64]
- 국제 럭비 유니온 및 축구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God Save the King"을 사용한다.[65]
- 코먼웰스 게임에서 잉글랜드 대표팀은 승리 찬가로 "예루살렘"을 사용한다.[66]
- 스코틀랜드는 대부분의 스포츠 행사에서 "스코틀랜드의 꽃(Flower of Scotland)"을 국가로 사용한다.[67]
- 웨일스는 정부 행사와 스포츠 행사에서 "헨 윌래드 피 나다우(Hen Wlad Fy Nhadau)"("나의 아버지의 땅")를 사용한다. 공식적인 행사, 특히 왕실과 관련된 행사에서는 "God Save the King"도 연주된다.[68]
- 북아일랜드는 국가로 "God Save the King"을 사용한다. 그러나 많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영국의 국가에 의해 대표되지 않는다고 느끼고 대안을 찾고 있다.[69] 북아일랜드는 코먼웰스 게임에서 승리 찬가로 "런던데리의 노래(Londonderry Air)"를 사용하기도 한다.[70] "런던데리의 노래"는 노래로 부를 때 "대니 보이(Danny Boy)"의 가사를 사용한다. 아일랜드 공화국 선수들과 함께 아일랜드 전역 팀의 일원으로 국제 럭비 유니온 경기에 참가하는 북아일랜드 선수들은 "아일랜드의 부름(Ireland's Call)"을 사용한다.
- 2005년 영국과 아일랜드 라이온스 럭비 유니온 투어에서는 "포의 힘(The Power of Four)"이라는 노래를 사용했지만, 이 시도는 반복되지 않았다.[71]
2007년 4월, 영국 스포츠 협회가 잉글랜드 선수와 국민이 잉글랜드 대표로 경쟁할 때 선호할 만한 적절한 노래를 채택해야 한다는 제안을 담은 1319호 조기 발의안이 영국 의회에 제출되었다. 이반 해리스가 제안한 수정안 (EDM 1319A3)은 그 노래가 "'God Save The Queen'보다 좀 더 힘이 있어야 하며, 신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72]
5. 다른 국가에서의 사용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의 곡조는 여러 다른 나라의 국가 또는 왕실 찬가로 사용되기도 했다.
국가 | 곡명 | 비고 |
---|---|---|
리히텐슈타인 | 젊은 라인 강 위에 | |
독일 제국 | 국가 | 1871년~1918년까지 사용. |
노르웨이 | 국왕의 노래 | 왕실가 |
미국 | 나의 조국, 이는 너의 것 | 현재는 성조기를 사용. |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 황제 폐하 만세 |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후 폐지. |
하와이 왕국 | E Ola Ke Aliʻi Ke Akua영어 | 현재 미사용. |
작센 왕국 | Gott segne Sachsenland영어 | 독일 통일로 현재 미사용. |
러시아 제국 | 러시아인의 기도 | 1816년~1833년까지 사용. 이후 신이여 차르를 보호하소서 채택. |
6. 음악적 각색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오랜 역사 동안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편곡되어 왔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작곡가 | 작품명 및 설명 |
---|---|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 6개의 건반악기 협주곡 작품 1의 6번 D장조 마지막 악장에 이 곡의 선율을 변주곡 형태로 사용[27]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국왕을 구하소서"를 주제로 한 변주곡(피아노곡) (WoO 78 (1802–1803)) 작곡,[27] 교향곡 "웰링턴의 승리"에 이 곡 인용[27] |
무치오 클레멘티 | "위대한 국민 교향곡"이라고 불리는 교향곡 G장조 3번(WoO 34)에서 "국왕을 구하소서" 주제 사용[27] |
프란츠 리스트 | 이 국가에 대한 피아노 파라프레이즈 작곡 (공식 목록 S.259, 약 1841년)[27] |
니콜로 파가니니 | "국왕을 구하소서"를 주제로 한 바이올린 독주 변주곡과 관현악 반주가 있는 바이올린곡 (Maestosa suonata sentimentale) 작곡[27] |
클로드 드뷔시 | 전주곡(Preludes) 중 하나인 S. 픽윅 씨에게 경의를 표하며(Hommage à S. Pickwick Esq. P.P.M.P.C.)에서 "국왕을 구하소서"의 간략한 도입부 사용[27] |
에드워드 엘가 | 알버트 홀에서 열린 "대관식 콘서트"에서 클라라 버트가 독창으로 부른 "희망과 영광의 땅"(Land of Hope and Glory) 편곡 선보임[121] |
벤저민 브리튼 | 1961년 리즈 페스티벌을 위해 "국왕을 구하소서"를 관현악으로 편곡. BBC 프롬스에서 연주[123] |
찰스 아이브스 | 1891년에 오르간을 위해 미국에 대한 변주곡(Variations on "America") 작곡[27] |
요한 슈트라우스 1세 | 왈츠 "Huldigung der Königin Victoria von Grossbritanniende"(대영제국 빅토리아 여왕에게 경의를 표하며) Op. 103의 끝부분에서 "국왕을 구하소서"를 전곡 인용[27] |
요제프 하이든 | 1794년 런던 방문 중 "국왕을 구하소서"가 국가로 사용되는 것에 감명받음[27] |
고든 제이콥 | 1953년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트럼펫 팡파르 도입부가 있는 "국왕을 구하소서" 합창 편곡 작곡[127] |
7. 비판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는 영국 내에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비판받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국가를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138][139][140][141]
- 종교적 관점: 21세기에 시대착오적이고 무관하다는 비판이 있다.
- 정치적 관점: 군주제를 찬양하는 것을 거부하는 공화주의자들의 비판이 있다.
- 전쟁 관련: 전쟁과 제국주의를 조장하는 찬가라는 비판이 있다.
- 잉글랜드의 국가 부재: 잉글랜드는 스포츠 경기 등에서 사용할 자체 국가가 없는 반면,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웨일스는 비공식 국가를 가지고 있다. 잉글랜드는 "God Save the King"을 독점적, 비공식적으로 사용한다.
영국 내에서는 국가 변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으며, 종교적으로는 기독교 국가로서 신을 믿는 내용이라는 점, 정치적으로는 군주제를 정당화하는 내용이라는 점, 전쟁을 찬미하는 이미지를 준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 2008년 8월 27일, 가디언은 "시대에 뒤떨어진 God Save The Queen을 마침내 폐기할 때다"라며 영국 정부와 영국 왕실을 비판했다.[156]
2015년 9월 15일 세인트폴 대성당에서 열린 영국 본토 항공전 75주년 추모식에서 노동당 당수 제러미 코르빈은 국가를 제창할 때 전혀 노래하지 않았다.[157]
참조
[1]
웹사이트
Australian National Anthem
https://www.pmc.gov.[...]
Australian Government
2022-01-19
[2]
웹사이트
https://www.canada.c[...]
[3]
웹사이트
God Save The King anthem
https://www.mch.govt[...]
New Zealand Government
2023-10-08
[4]
웹사이트
Tynwald: Votes and Proceedings
https://www.tynwald.[...]
2003-01-23
[5]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6]
문서
English Hymnal, Hymns Ancient and Modern, and Songs of Praise
[7]
웹사이트
Thatcher funeral: Her Majesty Queen Elizabeth II, Prince Philip arrive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United Kingdom – God Save the King
http://nationalanthe[...]
NationalAnthems.me
[9]
간행물
[[First Folio]] facsimile
Methuen Publishing
1910
[1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National, Patriotic, and Typical Airs of All Lands
[12]
서적
The Literary Correspondence of John Pinkerton, Esq.
[13]
multiref
Thesaurus musicus
https://books.google[...]
J. Simpson
1745
[14]
서적
The English Hymnal with Tunes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God Save the Quee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nthem
https://www.historyt[...]
[16]
서적
The Changing Face of Football
https://books.google[...]
Berg Publishers
2001-11-01
[17]
뉴스
Race issues (News), FA (Football Association), England football team, Rio Ferdinand, John Terry, Football, Sport, UK news
https://www.theguard[...]
2013-03-29
[18]
웹사이트
Anthem 4 England – At the 2010 Commonwealth games Blake and Parry's "Jerusalem" was used by the England team Land of Hope and Glory
http://anthem4englan[...]
[19]
웹사이트
National anthems & national songs
http://www.learnengl[...]
British Council
[20]
성경
1 Samuel x. 24; 2 Samuel xvi. 16 and 2 Kings xi. 12
[21]
웹사이트
Guide to the Coronation Service
http://www.westminst[...]
Dean and Chapter of Westminster
[22]
서적
Flag and Fleet: How the British Navy Won the Freedom of the Seas
http://www.sakoman.n[...]
Macmillan
[23]
문서
The Watchword in the Night shall be, 'God save King Henrye!' The other shall answer, 'Long to raign over Us!'
[24]
학술지
A Song for Two Voices: As sung at both Playhouses
https://books.google[...]
1745-10
[2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26]
서적
God Save the King: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music and words of the national anthem
Novello & Co.
[27]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https://www.royal.uk[...]
The Royal Family
[28]
서적
The Book of English Songs
[29]
서적
National Hymns: How They are Written and how They are Not Written
Rudd & Carleton
[30]
서적
Household Book of Poetry
https://archive.org/[...]
Freeport, N.Y., Books for Libraries Press
[31]
서적
Hymns Ancient and Modern, Revised Version
SCM-Canterbury Press Ltd
[32]
서적
Scouting for Boys
[33]
서적
The Crown and the People
Secker & Warburg
[34]
문서
Official versions published by Kneller Hall Royal Military School of Music
[35]
서적
Imperialism and Music: Britain 1876–1953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Zimmermann Telegram
Ballantine
1966
[37]
서적
Church Hymnary
Canterbury Press
2005-05
[38]
문서
A rare performance of Hole's verse
[39]
학술지
Extra Supplement: God save the Queen
1897
[40]
웹사이트
Carmarthen under the Search-Light
https://newspapers.l[...]
1897-07-02
[41]
서적
Songs of Praise
Oxford University Press
1925
[42]
뉴스
Forgotten National Anthem Sung at Halesowen Service
http://www.blackcoun[...]
2017-01-20
[43]
웹사이트
"This National Anthem Thing - View from a country with no anthem, or 4, 5 or 6 or one nobody sings."
https://www.dailykos[...]
2017-09-27
[44]
서적
The Words of the Most Favourite Pieces, Performed at the Glee Club, the Catch Club, and Other Publ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printed by the Philanthropic Society for the editor
1814
[45]
서적
An Account of the National Anthem Entitled God Save the King!
https://books.google[...]
W. Wright
1822
[46]
서적
Richards
2002
[47]
간행물
The history of God Save the King
https://archive.org/[...]
1836
[48]
웹사이트
The Oxford Book of Eighteenth-Century Verse
https://www.questia.[...]
[49]
서적
The Union Jack: the Story of the British Flag
Atlantic Books
2006
[50]
웹사이트
The horrid assassin Is Hatfield, attempting to shoot the king in Drury Lane Theatre- on the 15th of May, 1800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2-08-10
[51]
서적
Political Murder: From Tyrannicide to Terror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52]
서적
Bonnie Prince Charlie
Canongate Books Ltd.
1989
[53]
웹사이트
etext 9089 at Project Gutenberg and p35 at FullTextArchive.com
https://www.fulltext[...]
[54]
뉴스
God Save the Queen – lyrics
https://www.telegrap[...]
2012-08-09
[55]
웹사이트
Should Welsh Olympics 2012 stars sing God Save the Queen anthem?
http://www.walesonli[...]
Wales Online
2012-08-09
[56]
웹사이트
A song. Tune-"God save the guillotine"
https://searchworks.[...]
[57]
서적
Poetry Wars: Verse and Politics in the American Revolution and Early Republ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ncorporated
2017
[58]
웹사이트
God Save the Guillotine (пародия на God Save the King, текст)
https://18century-ru[...]
2004-05-16
[59]
뉴스
Radio 4 keeps flying the flag
https://www.theguard[...]
2013-03-09
[60]
뉴스
GB News plays national anthem every morning to mark Queen's Platinum Jubilee year
https://www.independ[...]
2022-02-02
[61]
뉴스
Time, and the Green and Pleasant Land
https://www.nytimes.[...]
2010-04-23
[62]
웹사이트
Britannia History – Rule Britannia!
http://www.britannia[...]
2011-02-26
[63]
웹사이트
Sing Jerusalem for England!
http://news.bbc.co.u[...]
2011-02-26
[64]
웹사이트
Hubert Parry: The Composer – Icons of England
http://www.icons.org[...]
2011-02-26
[65]
웹사이트
Home nations fans 'back England'
http://news.bbc.co.u[...]
2011-02-26
[66]
웹사이트
Commonwealth Games 2010: England stars discuss Jerusalem
http://news.bbc.co.u[...]
2011-02-26
[67]
웹사이트
Flower of Scotland
http://www.heraldsco[...]
2011-02-26
[68]
웹사이트
Land of My Fathers v La Marseillaise: Clash of rugby's greatest anthems
https://web.archive.[...]
2011-02-26
[69]
뉴스
Poll: Should God Save the Queen be dropped for Northern Ireland sports events – and what could replace it? – BelfastTelegraph.co.uk
http://www.belfastte[...]
2016-05-23
[70]
서적
With God on Their Side: Sport in the Service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71]
뉴스
Sing when you're winning
http://news.bbc.co.u[...]
BBC Sport
2011-02-26
[72]
웹사이트
Parliamentary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s. Early day Motion 1319
https://web.archive.[...]
Edmi.parliament.uk
2014-02-12
[73]
뉴스
Tory MP calls for BBC 1 to mark Brexit with national anthem at the end of each day
https://www.telegrap[...]
2016-11-03
[74]
뉴스
BBC just trolled a conservative MP brilliantly with God Save the Queen
http://metro.co.uk/2[...]
2016-11-04
[75]
뉴스
GB News announces it will play God Save The Queen every single day
https://www.thenatio[...]
2022-01-17
[76]
뉴스
Tories Celebrate GB News Playing 'God Save The Queen' Every Morning
https://www.huffingt[...]
2022-01-17
[77]
웹사이트
Letter from Buckingham Palace to the Governor-General of New Zealand
https://web.archive.[...]
2007-04-03
[78]
웹사이트
Proclamation - Royal Anthem
https://www.legislat[...]
Australian Government
2022-10-27
[79]
웹사이트
Australian National Anthem
https://www.pmc.gov.[...]
Australian Government
2022-01-19
[80]
서적
The Unknown Nation: Australia After Empire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2010
[81]
서적
The World Factbook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82]
뉴스
New Governor-General takes office: 'I will build bridges'
https://www.breaking[...]
2021-05-27
[83]
웹사이트
Ceremonial and Canadian Symbols Promotion > Royal anthem "God Save the Queen"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0-06-25
[84]
서적
A Crown of Maples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09-06-21
[85]
백과사전
National and royal anthems
https://web.archive.[...]
Historica Foundation of Canada
2010-06-25
[8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ieutenant Governor > Royal Salute > Royal Salute (Formerly known as the Vice-Regal Salute)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Nova Scotia
2010-06-25
[87]
백과사전
O Canada
https://www.britanni[...]
2010-06-25
[88]
서적
Discover Canada
http://www.cic.gc.ca[...]
Queen's Printer for Canada
[89]
문서
Alberta Police and Peace Officers' Memorial Day 2009 Order of Service
Queen's Printer for Alberta
2009-09-27
[90]
웹사이트
Ceremonial and Canadian Symbols Promotion > The National Flag of Canada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0-07-05
[91]
웹사이트
National Remembrance Day Ceremony
https://web.archive.[...]
Royal Canadian Legion
2009-11-04
[92]
웹사이트
Canada Remembers > Partnering Opportunities > Community Engagement Partnership Fund > Nova Scotia > Community Engagement Partnership Fund: Nova Scotia
https://archive.toda[...]
Queen's Printer for Canada
[93]
웹사이트
Remembrance Day
https://web.archive.[...]
Vancouver Board of Parks and Recreation
2009-11-11
[94]
웹사이트
Honours and Salutes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7-03-04
[95]
서적
National Anthem of Canada
http://faculty.maria[...]
Marianopolis College
[96]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 Canada > Parliamentary Action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0-06-29
[97]
문서
The Honours, Flags and Heritage Structure of the Canadian Forces
https://web.archive.[...]
Queen's Printer for Canada
1999-04-01
[98]
웹사이트
Hymne royal " Dieu protège le Roi " on Canadian Heritage site
https://www.canada.c[...]
2017-08-11
[99]
Youtube
God Save the King (2022 bilingual version)
https://www.youtube.[...]
2022-11-12
[100]
웹사이트
Découvrir le Canada – Les symboles canadiens
https://www.canada.c[...]
2017-10-11
[101]
서적
Customs, Ceremonies and Traditions of the Channel Islands
Robert Hale
[102]
웹사이트
Hear Our Voices, We Entreat—''The Extraordinary Story of New Zealand's National Anthems''
https://web.archive.[...]
Exisle Publishing
[103]
웹사이트
New Zealand's National Anthems
https://web.archive.[...]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104]
웹사이트
Protocol for using New Zealand's National Anthems
https://web.archive.[...]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105]
백과사전
'God save the Queen' in te reo Māori
https://teara.govt.n[...]
2014-10-22
[106]
웹사이트
History of God Save the Queen
https://web.archive.[...]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8-12-29
[107]
서적
A matter of weeks rather than months: The Impasse between Harold Wilson and Ian Smith: Sanctions, Aborted Settlements and War 1965–1969
Trafford Publishing
2008-04-01
[108]
서적
Beethoven's Ninth: A Political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05-01
[109]
서적
Beethoven's Ninth: A Political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05-01
[110]
서적
Pioneers, settlers, aliens, exiles: the decolonisation of white identity in Zimbabw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11]
뉴스
Zimbabwe athlete sings own anthem
http://news.bbc.co.u[...]
BBC
2004-07-19
[112]
뉴스
SVG gov't opts to install new GG on Emancipation Day
https://www.iwnsvg.c[...]
iWitness News
2019-08-02
[113]
웹사이트
Proclamation
http://assembly.gov.[...]
assembly.gov.vc
2020-01-20
[114]
뉴스
South Africa Will Play Two Anthems Hereaf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8-06-03
[115]
웹사이트
Sweden (royal anthem) – nationalanthems.info
http://www.nationala[...]
[116]
서적
A history of Icelandic literatur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Lincoln
[117]
웹사이트
Ελλάς (Σημαίαι-Εμβλήματα-Εθιμοτυπία)
http://anemi.lib.uoc[...]
Pyrsos Publishing
[118]
웹사이트
Hawaiʻi ponoʻī
http://www.huapala.o[...]
[119]
웹사이트
Latvijas svētās skaņas (Part I)
https://www.vestnesi[...]
Latvijas Vēstnesis
1998-11-13
[120]
서적
Sixty Patriotic Songs of All Nations
https://archive.org/[...]
Ditson
[121]
웹사이트
His Music : Orchestral Arrangements and Transcriptions
https://web.archive.[...]
Elgar
[122]
서적
Edward Elgar, a Creative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23]
웹사이트
Benjamin Britten – The National Anthem
https://web.archive.[...]
Boosey.com
2013-08-21
[124]
웹사이트
3 Sonatas for Piano and Violin, Op.12 (Dussek, Jan Ladislav) - IMSLP
https://imslp.org/wi[...]
[125]
웹사이트
God save the Queen (Blanc, Adolphe) - IMSLP
https://imslp.org/wi[...]
[126]
음반
Kremerata Baltica: "Happy Birthday"
Nonesuch Records
[127]
서적
Music and Ceremonial at British Coronations: From James I to Elizabeth I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28]
서적
The Jimi Hendrix Experience
https://books.google[...]
Arcade Publishing
[129]
웹사이트
Queen Live
http://www.queenlive[...]
[130]
음반
A Night at the Opera, 30th Anniversary CD/DVD
http://www.allmusic.[...]
AllMusic
[131]
서적
Sex Pistols: The Inside Story
https://books.google[...]
Omnibus Press
[132]
웹사이트
Official Singles Chart – The Sex Pistols – God Save The Queen
https://www.official[...]
[133]
서적
Ska Revival Albums: Bad Manners Albums, Madness (Band) Albums, the Beat Albums, the Members Albums, the Specials Albums, the Toasters Albums
General Books
[134]
뉴스
First recording of computer-generated music – created by Alan Turing – restor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9-26
[135]
웹사이트
Restoring the first recording of computer music – Sound and vision blog
http://blogs.bl.uk/s[...]
British Library
2016-09-13
[136]
서적
Writings on the Poor Laws, Vol. I
Clarendon Press
[137]
서적
Political Beethove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8]
뉴스
Why some people don't sing the national anthem
https://www.bbc.co.u[...]
BBC NEWS
2015-09-16
[139]
뉴스
Jeremy Corbyn was right not to sing 'God Save the Queen'. It's rubbish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5-09-16
[140]
뉴스
Time to ditch God Save The Quee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8-27
[141]
웹사이트
Do we need a new National Anthem?
https://www.republic[...]
The Republic
2017-11-11
[142]
서적
A Crown of Maples
http://www.pch.gc.ca[...]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0-06-25
[143]
웹사이트
Isle of Man
http://www.nationala[...]
nationalanthems.info
2010-08-17
[144]
웹사이트
Jersey (British crown dependency)
https://www.cia.gov/[...]
2011-04-15
[145]
웹사이트
Guernsey (British crown dependency)
https://www.cia.gov/[...]
2011-04-15
[146]
웹사이트
Isle of Man (British crown dependency)
https://www.cia.gov/[...]
2011-04-15
[147]
문서
북아일랜드의 국가
[148]
논문
名詞節中の仮定法現在について
[149]
Youtube
The National Anthem - God Save the Queen
https://www.youtube.[...]
2012-06-05
[150]
서적
ベートーベンの『第九交響曲』
鳥影社
[151]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https://www.royal.uk[...]
2022-09-13
[152]
Youtube
God Save the King : National Anthem of The United Kingdom
https://www.youtube.[...]
youtube
2020-11-11
[153]
Youtube
Anthem of the British Empire "God Save the King" (1901-1952)
https://www.youtube.[...]
youtube
2017-12-22
[154]
Youtube
King Charles III, God Save The King performed by Katherine Jenkins today.
https://www.youtube.[...]
youtube
2022-09-10
[155]
문서
국가의 변경일
[156]
웹사이트
Peter Tatchell: It's time to ditch God Save The Queen
http://www.theguardi[...]
2008-08-27
[157]
웹사이트
Jeremy Corbyn was right not to sing 'God Save the Queen'. It's rubbish
https://www.telegrap[...]
2015-09-15
[158]
웹인용
National Anthem
http://www.royal.gov[...]
2014-08-21
[159]
웹인용
Isle of Man
http://www.nationala[...]
2010-08-17
[160]
문서
그레고리오 성가
[161]
문서
군주 칭호
[162]
웹인용
Hymne royal « Dieu protège la Reine » - Hymnes et symboles - Sujets
http://www.pch.gc.ca[...]
2021-03-11
[163]
웹인용
Quebec History
http://faculty.maria[...]
2021-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