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피메데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피메데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테살리아의 트리오파스의 딸이며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알로아다이 형제인 오토스와 에피알테스를 낳았다. 그녀는 또한 알로에우스와의 사이에서 판크라티스를 낳았으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언급된 명성이 높은 여성 중 한 명이다. 이피메데이아는 낙소스 섬의 트라키아인들에게 납치된 딸 판크라티스를 구출하려는 과정에서 겪는 사건들과 알로아다이 형제의 성장과 비극적인 최후와 관련된 이야기로도 유명하다. 고대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미케네 그리스어의 선문자 B 기록에서 이름이 확인되고, 카리아의 밀라사에서 숭배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이피메데이아
일반 정보
레우키포스의 딸들의 납치
레우키포스의 딸들의 납치
다른 이름이피메데, 이피메데아
로마자 표기Iphimedeia, Iphimede
그리스어Ἰφιμέδεια, Ἰφιμέδη
신화 속 정보
역할테살리아의 공주
거주지테살리아
배우자포세이돈
알로에우스
부모트리오파스와 히스킬라
형제자매에리시크톤
포르바스
자녀알로아다이 (오투스와 에피알테스)
알로아다이와 판크라티스 (판크라토)
소속테살리아 왕가

2. 가족 관계

이피메데이아는 테살리아의 왕 트리오파스의 딸이었으며, 어머니는 미르미돈의 딸 힐실라로 추정된다.[1] 형제로는 에리시크톤[2]과 포르바스가 있었다.[3]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쌍둥이 오토스에피알테스를 낳았는데, 이들은 의붓아버지 알로에우스의 이름을 따 알로아다이라고 불렸다.[4] 다른 기록에는 이들의 친부가 알로에우스였다고도 한다.[5] 알로에우스와의 사이에서는 판크라티스(판크라토)를 낳았다.[6][7] 엘라테와 플라타누스도 이피메데이아의 자식으로 추정된다.

2. 1. 부모와 형제

이피메데이아는 테살리아의 왕 트리오파스(포세이돈카나케의 아들)의 딸이었으며, 프티아의 왕 미르미돈의 딸 힐실라가 어머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 그녀의 형제로는 에리시크톤[2]과 포르바스가 있었다.[3]

이피메데이아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쌍둥이 오토스에피알테스를 낳았는데, 이들은 의붓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알로아다이라고 불렸다.[4] 다른 기록에 따르면 이들의 친부는 이피메데이아의 남편이자 숙부인 알로에우스였다고 한다.[5] 이피메데이아는 알로에우스와의 사이에서 판크라티스[6] (또는 판크라토[7])를 낳았다. 또한 알로아다이의 자매인 엘라테와 플라타누스도 이피메데이아가 낳은 자식으로 추정된다.

2. 2. 남편과 자식

이피메데이아는 테살리아의 트리오파스 왕과 미르미돈의 딸 힐실라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녀의 형제로는 에리시크톤[2]과 포르바스가 있었다.[3]

이피메데이아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쌍둥이 오토스에피알테스를 낳았는데, 이들은 의붓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알로아다이라고 불렸다.[4] 다른 기록에 따르면 이들의 친부는 이피메데이아의 남편이자 숙부인 알로에우스였다고 한다.[5] 이피메데이아는 알로에우스에게서 판크라티스[6] (또는 판크라토[7])를 낳았다.

3. 신화

이피메데이아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아들 오토스와 에피알테스를 낳았다. 이들은 알로아다이라 불리며 놀라운 속도로 성장했는데, 9세에는 어깨 너비가 4.2m, 키가 16m에 달해 오리온 다음으로 가장 크고 아름다운 인간이었다.[17][18] 알로아다이는 끔찍한 괴력을 지녔지만, 성인이 되기 전에 올림포스 신들에게 도전하여 파멸했다.[17][18][21]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딸 판크라티스와 함께 낙소스 섬의 트라키아인들에게 납치되었다. 판크라티스는 낙소스 섬의 왕 아가사메노스와,[23] 이피메데이아는 왕의 친구와 결혼했다.[24] 알로에우스의 아들들은 어머니와 여동생을 찾아 낙소스 섬에서 트라키아인들을 무력으로 항복시켰지만,[22] 판크라티스는 목숨을 잃었다. 알로아다이 형제는 섬에 남아 트라키아인들을 지배했지만, 결국 대립하여 전쟁을 벌이다 서로 죽였다.[25]

호메로스는 『오디세이아』에서 이피메데이아를 튀로, 안티오페, 알크메네 등과 함께 명성이 높은 여자들 중 한 명으로 언급한다.[18] 이들은 오디세우스가 명부를 방문했을 때 페르세포네의 권유로 나타난 여성들이었다.[26]

3. 1. 포세이돈과의 사랑

이피메데이아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사랑하게 되어, 종종 해안가로 가서 치마에 바닷물을 쏟아 붓곤 했다. 그러자 포세이돈이 그녀의 마음에 응답했다고 한다(티로의 이야기 참조).[8]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매일 바다에 나가 바닷물을 떠서 몸에 부었다. 그리하여 포세이돈은 이피메데이아와 관계를 맺었고, 오토스, 에피알테스가 태어났다.[17]

태어난 아이들은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여, 9세가 되었을 때 어깨 너비는 4.2m, 키는 16m까지 자랐다.[17][18]

3. 2. 트라키아 납치 사건

이피메데이아의 딸 판크라티스는 아름다움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녀가 아카이아 프티오티스의 드리우스 근처에서 디오니소스의 오르기아 축제에 참여했을 때, 트라키아인 왕 부테스의 동료들에게 납치되어 스트롱겔레 섬(나중의 낙소스 섬)으로 끌려갔다. 그곳에서 판크라티스는 새로운 왕 아가사메누스에게 시집갔고, 이피메데이아는 그의 친구이자 부관에게 주어졌다.[9] 시켈루스와 헤케토루스는 판크라티스를 두고 싸우다 서로 죽였다(혹은 그들이 스켈리스와 아가사메누스 자신이었다).[9]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판크라티스와 함께 낙소스 섬의 트라키아인들에게 납치되었다. 그리고 판크라티스는 낙소스 섬의 왕 아가사메노스와,[23] 이피메데이아는 왕의 친구와 결혼하게 되었다.[24]

3. 3. 알로아다이 형제의 성장과 최후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포세이돈을 사랑하여 매일 바다에 나가 바닷물을 떠서 몸에 부었다고 한다. 포세이돈은 이피메데이아와 관계를 맺었고, 그 결과 오토스, 에피알테스 형제가 태어났다.[17]

이 아이들은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여, 9세가 되었을 때 어깨 너비 4.2m, 키 16m까지 자랐다.[17][18] 이들의 모습은 오리온에 미치지 못했지만, 그 외에는 인간 중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웠다.[18] 알로아다이 형제는 끔찍한 괴력의 소유자였지만, 성인이 되기 전에 올림포스의 신들에게 싸움을 걸어 파멸했다.[17][18][21]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판크라티스와 함께 낙소스 섬의 트라키아인들에게 납치되었다. 판크라티스는 낙소스 섬의 왕 아가사메노스와[23], 이피메데이아는 왕의 친구와 결혼하게 되었다.[24] 알로에우스의 명령으로 어머니와 여동생을 수색하던 아들들은 두 사람을 낙소스 섬에서 발견하고, 무력으로 트라키아인들을 항복시켰지만[22], 판크라티스는 목숨을 잃었다. 결국 그들은 섬에 머물며 트라키아인들을 지배했지만, 이윽고 아들들은 대립하여 전쟁으로 싸우다 서로 죽였다.[25]

호메로스는 『오디세이아』에서 튀로, 안티오페, 알크메네, 메가라, 에피카스테, 클로리스, 레다, 판도라, 프로크리스, 아리아드네, 마이라, 클뤼메네, 에리퓔레와 함께 이피메데이아를 명성이 높은 여자들 중 한 명으로 언급하고 있다.[18] 이들은 오디세우스가 명부를 방문했을 때, 페르세포네의 권유로 나타난 여성들이었다.[26]

3. 4. 헤카테와의 연관성

이피메데이아는 오디세우스가 저승 입구에서 만난 영웅들 중 한 명이었다.[10]

피에트로 스카르피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헤카테의 쌍둥이로서 지하 세계에 위치해야 한다.[11]

3. 5. 오디세우스와의 만남

이피메데이아는 오디세우스가 저승 입구에서 만난 영웅들 중 한 명이었다.[10] 호메로스는 『오디세이아』에서 튀로, 안티오페, 알크메네, 메가라, 에피카스테, 클로리스, 레다, 판도라, 프로크리스, 아리아드네, 마이라, 클뤼메네, 에리퓔레와 함께 이피메데이아를 명성이 높은 여자들 중 한 명으로 언급하고 있다.[18] 이들은 페르세포네의 권유로 오디세우스가 명부를 방문했을 때 나타난 여성들이었다.[26]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이피메데이아는 포세이돈을 사랑하여 매일 바다에 나가 바닷물을 떠서 몸에 부었다. 그리하여 포세이돈은 이피메데이아와 관계를 맺었고, 오토스와 에피알테스가 태어났다.[17]

4. 고대 숭배

그녀의 이름은 미케네 그리스어 선문자 B 음절 문자 필로스에서 𐀂𐀟𐀕𐀆𐀊|i-pe-me-de-jagmy 형태로 나타난다.[12][13]

파우사니아스폴리그노토스가 그린 이피메데이아의 그림을 언급하며, 그녀가 카리아의 밀라사에서 숭배받았다고 기록했다.[14]

이피메데이아와 그녀의 아들들의 무덤은 보이오티아 안테돈에서 볼 수 있었다.[15]

5. 가계도

wikitext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자식들
아이올로스Αἴολος|Aíolosgrc-에나레테Ἐνάρετη|Enáretēgrc
제우스와 에우리메두사의 자식
제우스Ζεύς|Zeúsgrc-에우리메두사
포세이돈카나케의 자식들
포세이돈Ποσειδῶν|Poseidôngrc-카나케Κανάκη|Kanákēgrccolspan="1" |뮈르미돈-페이시디케colspan="1" |뉘크테우스
트리오파스와 힐실라의 자식들
호플레우스colspan="1" |니레우스colspan="1" |트리오파스Τρίωψ|Tríōpsgrc-힐실라colspan="1" |에포페우스-안티오페-제우스Ζεύς|Zeúsgrc
알로에우스, 이피메데이아, 포세이돈, 폴버스, 에리시크톤, 제토스, 암피온의 자식들
알로에우스Ἀλωεύς|Alōeúsgrc-이피메데이아Ἰφιμέδεια|Īphimédeiagrc-포세이돈Ποσειδῶν|Poseidôngrccolspan="1" |폴버스colspan="1" |에리시크톤Ερυσίχθων|Erysíchthōngrccolspan="1" |제토스Ζῆθος|Zễthosgrccolspan="1" |암피온Ἀμφίων|Amphíōngrc
알로아다이, 판크라티스, 메스트라, 포세이돈의 자식
판크라티스알로아다이Ὦτος, Ἐφιάλτης|Ôtos, Ephiáltēsgrccolspan="8" |메스트라Μήστρα|Mḗstragrc-포세이돈Ποσειδῶν|Poseidôngrc
에우리피로스
colspan="12" |에우리피로스
칼콘과 안타고라스
colspan="12" |칼콘colspan="1" |안타고라스


참조

[1]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2] 서적 Hymn to Demeter https://topostext.or[...]
[3] 서적 Homeric Hymns to Apollo https://topostext.or[...]
[4] 서적 Odyssey http://www.perseus.t[...]
[5] 서적 Pythian Ode http://www.perseus.t[...]
[6]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7] 서적 http://www.perseus.t[...]
[8] 서적 https://penelope.uch[...]
[9] 서적 Naxiaca https://topostext.or[...]
[10]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11] 서적 https://penelope.uch[...]
[12] 서적 Naxiaca https://topostext.or[...]
[13] 서적 Odyssey http://www.perseus.t[...]
[14] 논문 "Un teonimo miceneo e le sue implicazioni per la mitologia greca"
[15] 간행물 Pylos Tn 316 inscription
[16]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i-pe-me-de-ja http://www.palaeolex[...]
[17] 웹사이트 Pylos PY Tn Linear B Series https://web.archive.[...] Deaditerranean 2014-03-13
[18] 웹사이트 PY 316 Tn (44) https://www2.hf.uio.[...] University of Oslo
[19] 서적 http://www.perseus.t[...]
[20] 서적 http://www.perseus.t[...]
[21]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22] 서적
[23]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
[24] 서적 断片16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