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나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나케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딸이다. 그녀는 형제인 마카레우스와 근친상간의 사랑에 빠져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카나케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오비디우스의 시, 히기누스의 기록 등 고대 문학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카나케의 이야기는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회화 작품에서도 묘사되었으며, 특히 근친상간으로 인한 비극적인 사랑과 죽음의 모티브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카나케
개요
그리스어Kanákē (Κανάκη)
로마자 표기Kanake
성별여성
역할아이올로스의 딸, 포세이돈의 연인
가계
아버지아이올로스
어머니에나레테
형제자매시지포스, 살모네우스, 아타마스, 크레테우스, 마카레우스, 데이오네우스, 페리에레스, 아이올로스, 알키오네, 칼리케, 페이시디케, 페리메데, 타나그라
배우자마카레우스
자녀아이올로스, 암피사, 테베스
신화
주요 이야기아버지 아이올로스와의 근친상간
자살

2. 아이올로스의 딸: 두 가지 전승

카나케는 아이올로스의 딸로,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 번째 이야기에서 카나케는 포세이돈의 연인으로 등장한다. 이 내용은 하위 섹션 "포세이돈의 연인"에서 자세히 다룬다.

두 번째이자 더 유명한 이야기에서 카나케는 오빠 마카레우스와 근친상간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비극적인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헤로이데스'',[7] 에우리피데스의 ''아이올로스'',[6] 히기누스[8], 위(僞) 플루타르코스[9] 등에 의해 다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마카레우스와의 근친상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포세이돈의 연인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딸인 카나케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호플레우스, 니레우스, 에포페우스, 알로에우스, 트리오파스를 낳았다.[15]

2. 2. 마카레우스와의 근친상간

카나케는 테살리아의 왕 아이올로스(바람의 신)의 딸로, 오빠 마카레우스와 사랑에 빠졌다.[16] 이들은 근친상간을 하였고, 그 결과 카나케는 임신을 하게 되었다. 마카레우스는 카나케와 결혼을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았다.

아이가 태어난 후, 카나케의 유모는 아기를 바구니에 담아 궁궐 밖으로 빼돌리려 했으나, 아기가 울음을 터뜨려 아이올로스에게 발각되었다. 격분한 아이올로스는 카나케에게 칼을 보내 자살을 강요했고,[17][18] 갓 태어난 아기는 버려져 죽게 했다. 마카레우스 또한 이 일로 인해 자살했다.[9][19] 히기누스는 카나케가 아이올로스에게 살해당했다고도 언급한다.[20]

이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헤로이데스''와[7]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연극 ''아이올로스''의 주제였으며,[6] 히기누스도 간략하게 언급했다.[8] 위(僞) 플루타르코스도 이 이야기를 다루었다.[9] 또한 이탈리아 극작가 스페로네 스페로니의 운문 비극 ''카나케''(1588)와 존 가워의 ''고백하는 연인''에서도 다루어졌으며, 제프리 초서의 ''기사의 이야기''의 여주인공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3. 문학과 예술 속 카나케

오빠 마카레우스와의 사랑으로 인해 죽어가는 카나케


카나케는 여러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주요 소재로 다루어졌다.

3. 1. 고대 문학

카나케는 자신의 오빠 마카레우스와 근친상간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바람의 군주(또는 티레니아 왕)인 아이올로스와 그의 아내 암피테아의 자녀였다.[6] 카나케는 마카레우스를 사랑하여 임신까지 하게 되었다. 마카레우스는 카나케와 결혼을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았다.

아이가 태어나자 카나케의 유모는 아기를 궁궐 밖으로 몰래 데려가려 했지만, 아기가 울음을 터뜨려 발각되었다. 아이올로스는 분노하여 카나케에게 자살을 강요했고, 그녀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갓 태어난 아기는 버려져 죽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라틴어 시인 오비디우스가 쓴 ''헤로이데스''에서 다루어졌으며,[7] 히기누스도 간략하게 언급했다.[8] 위(僞)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마카레우스도 이 일로 자살했다.[9]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연극 ''아이올로스''의 주제이기도 하다.

카나케의 이야기는 이탈리아 극작가 스페로네 스페로니의 운문 비극 ''카나케''(1588)와 존 가워의 ''고백하는 연인''에서도 다루어졌다. 제프리 초서의 ''기사의 이야기''의 여주인공 이름도 카나케에서 따온 것이다.

카나케는 테살리아의 왕 아이올로스의 딸로,[16] 형제인 마카레우스와 근친상간을 했다고 전해진다. 에우리피데스는 비극 『아이올로스』에서 이 이야기를 상연했고, 오비디우스는 『헤로이데스』에서, 히기누스도 단편적으로 언급했다. 카나케와 마카레우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아기가 울자 아이올로스에게 발각되어 산에 버려져 늑대에게 먹혔다. 카나케는 아이올로스가 보낸 칼로 자살하고,[17][18] 마카레우스 또한 자살한다.[19] 히기누스는 카나케가 아이올로스에게 살해당했다고도 언급했다.[20]

3. 2. 회화



대 플리니우스(35.99)에 따르면, 테베 출신의 아리스테이데스라는 화가가 오빠에 대한 사랑 때문에 죽어가는 카나케를 그렸다고 한다(ἀναπαυομένηνgrc propter fratris amoremla).[10] 이 그림은 보존되지는 않았지만 기원전 340년에서 29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0]

마카레우스와 카나케의 이야기는 현재 바리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루카니아 출신의 히드리아에서 발견된다.[11] 이는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비극 《아이올로스》의 일부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생각된다.[11]

로마의 프레스코화에도 카나케가 등장하며, 이 그림은 파시파에, 파이드라 등 여성 등장인물 연작의 일부이다.[12] 카나케는 손에 칼을 들고 묘사되어 있다.[12] 이 연작은 헬레니즘 시대의 그림을 모사한 것일 수 있다.[12]

3. 3. 기타

카나케는 포세이돈이 아닌 자신의 오빠 마카레우스의 연인이었다는 다른 버전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전승에 따르면 카나케와 마카레우스는 바람의 군주(또는 티레니아 왕)인 아이올로스와 그의 아내 암피테아의 자녀였다.[6] 카나케는 마카레우스를 사랑하게 되어 그와 근친상간을 했고, 그 결과 임신을 하였다. 마카레우스는 카나케와 결혼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결국 그러지 않았다. 아이가 태어나자 카나케의 유모는 제물을 바치는 척하며 아기를 바구니에 담아 궁궐 밖으로 데려가려 했지만, 아기가 울음을 터뜨리며 정체가 드러났다. 아이올로스는 격분하여 카나케에게 벌로 자살을 강요했고, 그녀에게 칼을 보내 스스로 찌르도록 했다. 그는 또한 갓 태어난 아이를 버려 죽게 했다.

이 이야기는 라틴어 시인 오비디우스가 그의 18편의 이야기-시 모음집인 ''헤로이데스''에서 신화 속 여성들이 연인과 옛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인 척하며 이야기했다.[7] 이 이야기는 히기누스에 의해 간략하게 언급되었고,[8] 위(僞) 플루타르코스에 의해 재현되었는데, 그의 설명에 따르면 마카레우스도 이 문제로 자살했다.[9] 이는 또한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연극 ''아이올로스''의 주제였으며, 현존하는 버전은 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카나케의 이야기는 이탈리아 극작가 스페로네 스페로니의 운문 비극 ''카나케''(1588)에서 무대에 올려졌으며, 존 가워의 ''고백하는 연인''에서도 이야기가 다루어졌다. 그녀는 또한 제프리 초서의 ''기사의 이야기''의 여주인공에게 자신의 이름을 부여했다.

  • 대 플리니우스(35.99)에 따르면, 테베 출신의 아리스테이데스라는 화가가 오빠에 대한 사랑 때문에 죽어가는 카나케를 그렸다고 한다. (ἀναπαυομένηνgrc propter fratris amoremla) 보존되지는 않았지만 이 그림은 기원전 340년에서 29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0]
  • 마카레우스와 카나케의 이야기는 현재 바리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루카니아 출신의 히드리아에서 발견된다. 이는 에우리피데스의 잃어버린 비극 《아이올로스》의 일부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생각된다.[11]
  • 로마의 프레스코화에도 카나케가 등장하며, 이 그림은 여성 등장인물 연작의 일부이다(다른 등장인물로는 파시파에, 파이드라 등이 있다). 카나케는 손에 칼을 들고 묘사되어 있다. 이 연작은 헬레니즘 시대의 그림을 모사한 것일 수 있다.[12]

4. 가계도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자식
아타마스크레테우스데이오네우스
마그네스페리에레스살모네우스
시시포스알키오네칼리케
페이시디케페리메데[3]아르네
타나그라[4]카나케
포세이돈카나케의 자식[5]
알로에우스에포페우스호플레우스
니레우스트리오파스


참조

[1] 서적 Ehoiai
[2] 서적 Hymn to Demeter
[3] 웹사이트 1.7.3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9.20.1 http://www.perseus.t[...]
[5] 웹사이트 1.7.4 https://www.perseus.[...]
[6] 문서 These two are barely distinct characters in any case; see the article on Aeolus for discussion
[7] 웹사이트 11 http://www.perseus.t[...]
[8] 웹사이트 Fabulae https://topostext.or[...]
[9] 웹사이트 Parallela minora http://www.perseus.t[...]
[10] 간행물 LIMC V.1
[11] 웹사이트 See on Digital LIMC http://ark.dasch.swi[...]
[12] 웹사이트 See on Digital LIMC http://ark.dasch.swi[...]
[13] 서적 名婦列伝
[14] 서적 1巻7・3
[15] 서적 1巻7・4
[16] 서적 ギリシア悲劇全集12 エウリーピデース断片
[17] 서적 名婦の書簡
[18] 서적 243話
[19] 서적 242話
[20] 서적 238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